KR200377527Y1 - Pure cleaning device of central lavatory - Google Patents

Pure cleaning device of central lavat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527Y1
KR200377527Y1 KR20-2004-0035352U KR20040035352U KR200377527Y1 KR 200377527 Y1 KR200377527 Y1 KR 200377527Y1 KR 20040035352 U KR20040035352 U KR 20040035352U KR 200377527 Y1 KR200377527 Y1 KR 200377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clean liquid
toilet
clean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3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좌현
Original Assignee
서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좌현 filed Critical 서좌현
Priority to KR20-2004-0035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52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527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1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flushing 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 변기(용변기)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중앙집중식 위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세식 변기의 오물을 제거하는데 필요로하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주(主) 공급관 부분에 역류방지수단과 전자펌프와 청정액 용기를 갖는 청정액 공급수단을 설치하여 소정량의 청정액이 세정수 중으로 용존되어 함께 공급되게 함으로써 변기의 세정과 함께 자동 청정(淸淨)이 이루어지고, 세정수 주(主) 공급관으로 청정액을 바로 공급하는 중앙집중화(中央集中化) 구조로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비용과 인력이 크게 절감되며, 청결한 화장실을 유지할 수 있어서 쾌적하고 위생적인 화장실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alized sanitary apparatus for keeping toilets in a clean state, and includes a backflow preventing means and an electronic pump in a main supply pipe portion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required to remove dirt from the flush toilet. And a cleaning liquid supply means having a cleaning liquid container,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is dissolved and supplied into the washing water, thereby automatically cleaning the toilet and cleaning the main water supply pipe. The centralized structure of supplying clean liquids is convenient for maintenance, greatly reducing costs and manpower, and maintaining a clean bathroom, creating a pleasant and hygienic bathroom atmosphere.

Description

중앙집중식 변기 청정장치{PURE CLEANING DEVICE OF CENTRAL LAVATORY}PURE CLEANING DEVICE OF CENTRAL LAVATORY}

본 고안은 화장실 변기(便器)의 중앙집중식(中央集中式) 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alized cleaning device of the toilet bowl (中 便 集中 式).

일반적으로 사무실, 호텔, 여관, 극장, 학교, 근린생활시설, 근린문화시설, 여객 대합실, 목욕탕, 회관, 휴게소, 공공기관, 백화점, 병원등 대중이 이용하는 화장실에는 다수의 수세식 변기, 이를테면 대변기ㆍ소변기ㆍ양변기ㆍ특수변기 등이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oilets such as offices, hotels, inns, theaters, schools,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neighborhood culture facilities, passenger waiting rooms, bathhouses, halls, rest areas, public institutions, department stores, hospitals, etc. • Toilets and special toilets are installed and used.

상기 수세식 변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량의 세정수가 배출되면서 변기내의 오물을 씻어내려 정화조로 흘러가도록 함으로서 청결 및 위생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변기를 일정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청소를 하지 않게되면, 세정수 또는 변기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심하게는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될 뿐 아니라 위생상태를 헤치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수세식 변기의 위생상태와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여러 수단과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The flush toilet maintains cleanliness and hygiene by flushing dirt in the toilet while flow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hing water by a user's operation to flow into the septic tank. Therefore, when the toilet is not used or is not clea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acteria may multiply in the washing water or the toilet or decay badly, resulting in a bad smell, and a hygienic condition. Many means and methods are provided to maintain the hygiene and cleanliness of the community.

예컨데, 각각의 변기부분에 청정액 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세정수와 청정액을 변기로 흘려 보내 변기의 살균, 소독 및 세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위생과 청결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변기 수가 많은 경우 통상 깨끗한 지하수, 또는 재 활용수 등을 변기 세정수로 이용하고 있다.For example, a clean liquid supply device is installed in each toilet part to maintain the hygiene and cleanliness by disinfecting, disinfecting and cleaning the toilet by send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clean liquid to the toilet. Clean ground water or recycled water is used as toilet flushing water.

종래에는 변기마다 1달 분량(300㎎ 전후)의 청정액이 저장된 청정액 용기를 변기마다 설치한 다음 상기 청정액을 변기 용변부로 자유 낙하시키거나 또는 주기적이거나 비주기적으로 분사시켜 변기(便器)의 세정과 청정을 달성하고 있다.Conventionally, a toilet for each toilet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for cleaning the liquid containing one month (about 300 mg) of the cleaning liquid for each toilet, and then freely dropping the cleaning liquid onto the toilet bowl or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spraying the toilet. Achieve cleaning and cleanliness.

따라서, 청정액 공급장치를 변기마다 설치(시공)하고 있으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미관이 많이 저하되며, 청정액 공급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1달 주기로 청정액을 보충공급하는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하며, 이때에도 변기마다 설치된 청정액 공급장치의 청정액을 보충해주는 유지보수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since a clean liquid supply device is installed (constructed) for each toilet, installation costs are not only high, but aesthetics are greatly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pace for installing the clean liquid supply device must be secur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maintenance operation of replenishing and supplying a clean liquid every month, and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time, manpower, and cost are required to maintain and replenish the clean liquid of a clean liquid supply device installed in each toilet.

또한 세정액이 1달 이전에 소모되면 해당 변기의 청정이 불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량이 많은 변기의 경우 청정액이 빨리 소모되면서 지속적이거나 주기적인 청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청정액 교환조치가 늦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liquid is consumed before one mon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of the toilet is impossib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use toil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 liquid is consumed quickly and thus the clean liquid exchange action is delayed due to the lack of continuous or periodic clean.

그리고 고급화장실 변기에는 설치가 힘들 뿐 아니라, 별도의 배관작업을 필요로하며, 청정제가 완전 소모되면 청정액의 재투입이 허용되지 않아 용기를 폐기하게 되므로 쓰레기 공해가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is not only difficult to install, but also requires separate piping work, and when the detergent is completely consumed, re-injection of the cleaning liquid is not allowed, which causes the container to be disposed of, thus causing pollu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전체 변기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주(主) 공급관에 청정액 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용변후 사용되는 변기(양변기, 소변기, 좌변기, 특수변기 등)의 세정수 중으로 소정량의 청정액이 자동 공급되어 용존되게 함으로써 세정과 동시에 변기(용변기)의 청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변기마다 설치하는 별도의 청정설비 없이도 변기의 청결 및 위생상태를 자동(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청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to the washing water of toilets (two-seater, urinal, left toilet, special toilet, etc.) used after toilet by installing a clean liquid supply device in a main water supply pipe that supplies washing water to the whole toilet. Cleaner is automatically supplied and dissolved so that the toilet (toilet) is automatically clean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leanliness and hygiene of the toilet automatically (continuously) is maintain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cleaning facility for each toilet.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수세식 변기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주(主) 급수관에 분지관 또는 보조 급수관을 연결 구성한 다음 역류방지수단과 전자펌프를 갖는 청정액 공급장치에 연결하여 세정수 중으로 소정량의 청정액이 공급되어 용존되게 함으로써 세정수에 의해 변기의 오물이 제거될 때 세정과 함께 세정수에 용존된 청정액의 작용에 의해 변기의 세정과 청정이 함께 이루어지게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ranch pipe or an auxiliary water pipe is connected to a main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a plurality of flush toilets, and then connected to a clean liquid supply device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means and an electronic pump. When a certain amount of clean liquid is supplied and dissolved, the toilet is cleaned and cleaned by the action of the clean liquid dissolved in the wash water when the toilet water is removed by the wash water.

본 고안에서 청정액 공급장치에 역류방지수단과 전자펌프에 의해 세정수가 청정액 공급장치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고, 더불어 청정액이 세정수 중으로 소정량씩 공급되어 용존되므로 변기의 세정과 함께 자동 청정이 이루어지며, 청정액이 세정수 주(主)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므로 중앙집중화가 가능하여 설치와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비용과 인력이 크게 절감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cleaning liquid supply apparatus by the backflow preventing means and the electronic pump in the cleaning liquid supply apparatus, and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and dissolved in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cleaning water to dissolve the toilet. Since the clean liquid is supplied through the main supply pipe of the washing water, it is possible to centralize, thus simplify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nd greatly reducing the cost and manpower.

본 고안은 수세식 변기의 수량이 1개인 경우에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으며, 수세식 변기의 수량이 많은 공중화장실 또는 대형 건물의 화장실,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화장실 등과 같이 2개 이상 복수개의 변기를 갖춘 화장실에 적용함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f course be applied even when the number of flush toilets is one, and a toilet with a large number of flush toilets or a toilet in a large building, a toilet capable of accommodating a large number of people, etc. It is more preferable to apply to the toilet.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 구성도로, 세정수 공급원(2)과, 주 급수관(4a) 및 분배관 또는 보조 급수관(4)으로 상기 세정수 공급원(2)에 연결되어 세정수가 공급되는 1개 이상 복수의 변기(용변기)(6)로 구성된 화장실에 있어서, 세정수 공급원(2)과, 상기 세정수 공급원(2)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전체 변기(U)(S)로 공급하는 주 급수관(4a)에 청정액 공급장치(8)를 설치하여 변기(U)(S)로 공급되는 세정수 중으로 소정량(필요량의)의 청정액(6)이 자동 공급되면서 용존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세정수 공급원(2)은 상수 또는 펌프에 의해 지하수가 저수된 물탱크 등이 될 것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of the washing water supply source 2 and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and the distribution or auxiliary water supply pipe 4 are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supply source 2 to supply the washing water. In a toilet composed of a toilet (toilet) 6, a main water supply line 4a for supplying a washing water supply source 2 and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source 2 to all the toilet bowls U. The cleaning liquid supply apparatus 8 is installed in the washing machine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required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6 is automatically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U. The washing water source 2 may be a water tank in which ground water is stored by a constant or a pump.

그리고, 수세식 변기(U)(S)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한 개 이상 복수 개의 변기(U1~Un)(S1~Sn)가 단층 또는 복수 층(F1~Fn)에 설치되며, 분배관 또는 보조 급수관(4)을 통하여 주 급수관(4a)에 각각 연결되어 변기의 오물(용변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세정수가 공급되며, 용변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량의 세정수가 변기로 공급되면서 변기내의 오물을 씻어내려 정화조로 흘러가도록 함으로서 청결 및 위생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세정수 중에 용존된 청정액이 같이 공급되므로 변기의 살균과 소독, 청정이 이루어지면서 변기(S)(U)의 위생과 청결상태가 유지된다.In the flush toilet U and S, one or more toilet bowls U1 to Un and S1 to Sn are installed in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F1 to Fn, as shown in FIG.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through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4 so as to remove soil (stool) from the toilet,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cleaning water is supplied to the toilet by the user's operation after the toilet. Cleans and sanitary conditions are maintained by washing out the dirt inside and flowing to the septic tank. At this time, since the clean solution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gether, the sanitary and sanitary state of the toilet bowl S is maintained while the toilet is sterilized and disinfected.

본 고안에서 변기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주 급수관(4a)이 층별 또는 복수 층단위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본 고안의 청정액 공급장치(8)를 층별 또는 복수 층 단위별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toile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floors or plural floor units, the cleaning liquid supply device 8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by floor or plural floor units.

본 고안 청정액 공급장치(8)는 도 2와 같이 주 급수관(4a)과 연결되는 청정액 공급관(10)과,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12)와, 소정량의 청정액을 지속적이거나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전자펌프(16)와, 상기 전자펌프(1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18)와, 필요에 의해 또는 용기(22)를 교체할 때 청정액의 공급과 차단을 위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밸브(20)와, 상기 개폐밸브(20)와 청정액 용기(22)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호스(24)로 구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24)의 말단(24a)은 청정액 용기(22)에 분리/결합할 수 있게 체결되어 수밀이 유지된다.The clean solution supply device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 solution supply pipe 10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a check valve 12 for preventing backflow of the washing water,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 solution as shown in FIG. The electronic pump 16 for continuous or periodic supply, the controller 18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ump 16, and for supply and interruption of the clean liquid when necessary or when the container 22 is replaced. Open / close valve 20 for opening or closing, and flexible hose 24 for connecting the on-off valve 20 and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22, the end 24a of the flexible hose 24 is a cleaning liquid The watertightness is maintained by being fastened to the container 22 so as to be separated / coupled thereto.

그리고, 청정액 공급관(10)의 말단(10a)은 주 급수관(4a)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세정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세정수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청정액(6)이 자연스럽게 용존될 뿐 아니라, 세정수가 청정액 공급관(10)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end 10a of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10 is installed to be located inside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and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leaning water is supplied so as not to disturb the flow of the cleaning water so that the cleaning liquid 6 naturally dissolves. In addition, the backwashing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into the clean liquid supply pipe 10.

그리고, 상기 청정액 공급관(10)의 말단(10a)은 유속흐름에 저항하지 않도록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세정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 또는 유선형상으로 밴딩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end 10a of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bent in a curved shape or a streamlined shap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as shown in FIGS.

상기 청정액 공급관(10)의 말단(10a)은 주 급수관(4a)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주 급수관(4a)의 관체 부분에 설치하는 경우 청정액(6)이 분사되는 방향이 주 급수관(4a)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설치하여 청정액(6)이 세정수 중으로 골고루 잘 용존될 수 있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end 10a of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10 is install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or when installed in the tubular portion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6 is injected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ning liquid 6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center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so that the cleaning liquid 6 can be evenly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상기 청정액(6)은 변기(U)(S) 수에 비례한 소모량을 계산하여 1달 또는 소정기간에 필요로하는 소모량을 미리 계산하여 충분한 량의 청정액(6)을 저장한 다음 도 6과 같이 청정액 용기(22)의 관체부(30)에 오링(40)과 플렉시블 호스(24)의 말단을 접촉시킨 다음 체결부재(38)로 수밀유지되게 체결하고 개폐밸브(20)를 개방시키면 전자펌프(16)가 가동되는 동안 청정액(6)이 세정수 중으로 공급되어 용존된다.The cleaning liquid 6 stores a sufficient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6 by calculating a consumption amount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oilet bowls U and calculating a required consumption amount in one month or a predetermined period. If the end of the O-ring 40 and the flexible hose 24 in contact with the tubular portion 30 of the clean liquid container 22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n tighten the water tightly with the fastening member 38 and open the on / off valve 20. The clean liquid 6 is supplied into the washing water and dissolved while the electron pump 16 is operating.

상기 관체부(30)에 형성되는 배출공(28)은 청정액 용기(22)의 바닥부에 설치하되 최저부에 설치하여 청정액(6)이 전량 소모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청정액 용기(22)의 상부 일측에는 분리가능한 덮개(26)를 체결시켜 청정액(6)을 주입하거나 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외부 공기가 청정액 용기(2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청정액(6)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도록 한다.The discharge hole 28 formed in the tubular part 3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lean liquid container 22 but installed at the lowest part so that the clean liquid 6 can be consumed in its entirety.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art 22, a detachable cover 26 is fastened so that the cleaning liquid 6 can be injected or replenished, and in use, the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22 so that the cleaning liquid can be introduced. Induce smooth discharge of (6).

상기 청정액 용기(22) 저부에는 일체형 또는 별도의 받침대(62)를 구비시켜 플렉시블 호스(24)와 청정액 용기(22)의 바닥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The bottom of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22 is provided with an integrated or separate pedestal 62 to protect the flexible hose 24 and the bottom of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22.

상기 배출공(28)의 외주에는 하향 돌출형 관체부(30)가 형성되며, 관체부(3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32)가 빙둘러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22)의 이동이나 보관시에는 도 5와 같이 상기 관체부(30)의 나사부(32)에 오링(34)이 결합된 마개(36)의 나사부가 체결되어 수밀이 유지되므로 청정액(6)의 유출이나 누출이 방지되며, 도 6과 같이 플렉시브 호스(24)가 연결되는 경우 플렉시블 호스(24)가 헐겁게 끼워지고 오링(40)이 결합된 체결부재(38)의 나사부(42)를 상기 관체부(30)의 나사부(32)에 체결시켜 고정하면 체결부의 수밀이 유지되며, 청정액(6)은 전자펌프(16)의 가동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24)를 통하여 주 급수관(4a)으로 공급된다.A downwardly protruding tubular portion 3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hole 28, and a screw portion 3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30.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22 is moved or stored, as shown in FIG. 5, the screw part of the stopper 36 in which the O-ring 34 is coupled to the screw part 32 of the tubular part 30 is fastened to maintain watertightness. 6 is prevented from leaking or leaking, and when the flexible hose 24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6, the flexible member 24 is loosely fitted and the threaded portion 42 of the fastening member 38 to which the O-ring 40 is coupled. ) Is fastened by fastening to the threaded portion 32 of the tubular portion 30 to maintain the watertightness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cleaning liquid 6 is supplied through the flexible hose 24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ump 16. 4a).

상기 호스(24)는 물론 플렉시블하지 않아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단지 청정액 용기(22)에 체결할 때 다소간의 불편이 따를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청정액 공급관(10)의 중간에 설치된 체크밸브(12)는 수압이 높은 세정수가 청정액 공급관(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되며, 전자펌프(16)가 동작하면 세정수의 수압을 이기면서 청정액(6)이 공급된다.The hose 24, of course, does not have any difficulty in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not flexible. It is more preferable to be flexible because it may be somewhat inconvenient when fastening to the clean liquid container 22, and the check valve 12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clean liquid supply pipe 10 has a high water pressure. 10) to prevent backflow, and when the electronic pump 16 operates, the cleaning liquid 6 is supplied while overcom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상기 전자펌프(16)는 청정액 공급관(10)의 내경에 따라 펌핑용량이 달라진다. 즉, 청정액 공급관(10)의 내경이 작아질수록 펌핑용량이 작아질 수 있으며, 청정액 공급관(10)의 내경이 커지면 펌핑용량을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The pumping capacity of the electronic pump 16 varies accor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lean liquid supply pipe 10. That is, the smaller the inner diameter of the clean liquid supply pipe 10 may be, the smaller the pumping capacity may be, and the larger the inner diameter of the clean liquid supply pipe 10 will have to increase the pumping capacity.

본 고안에서 도 6과 같이 관체부(30)에 플렉시블 호스(24)를 연결하는 경우, 용기(22)를 뒤집어 마개(36)가 용기(22)의 상부로 향하도록 하고 덮개(26)가 하부로 향하도록 한 다음, 배출공(28)이 개방되게 마개(36)를 열어 청정액(6)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오링(40)과 플렉시블 호스(24)를 관체부(30)에 접촉시킨 다음 체결부재(38)로 체결시키면 체결부의 견고한 수밀이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22)의 상하 위치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켜 배출공(28)과 플렉시블 호스(24)가 용기(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전자펌프(16)의 동작상태에 따라 청정액(6)이 공급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necting the flexible hose 24 to the tubular portion 30 as shown in FIG. 6, the container 22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stopper 36 faces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22 and the cover 26 is lowered. The o-ring 40 and the flexible hose 24 in contact with the tubular portion 30 while opening the stopper 36 so that the discharge hole 28 is opened so that the cleaning liquid 6 does not flow out. When the fastening member 38 is fastened, the fastening portion maintains the tight watertightness, and in this stat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container 22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s, so that the discharge hole 28 and the flexible hose 24 are connected to the container 22. When positioned below the clean liquid 6 is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pump 16.

상기 플렉시블 호스(24)는 용기(22)로부터 분리 결합이 쉬우면서 견고한 수밀이 유지되는 다른 결합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데, 퀵클램프, 억지결합구조등을 적용할 수 있다. The flexible hose 24 may be configured as another coupl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tainer 22 while maintaining a tight water tightness. For example, quick clamps and interference coupling structures can be applied.

제어기(18)는 도 7과 같이 전원부(58)를 갖는 제어부(54) 입력에 주 급수관(4a)의 유속(또는 유량)을 감지하는 유속감지기(44)와, 청정액(6)의 소모상태를 감지하는 청정액 소모량 감지기(45)와, 동작시간과 청정액(6)을 공급하는 양이나 청정액(6) 공급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56)가 접속되고, 제어부(54)의 출력에 전자펌프(16)(48)와, 공기중에서 오존(O3)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46) 및/또는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54)와, 제어기(18)의 동작상태와 설정상태, 에러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60)와, 동작이상이나 청정액(6)이 거의 소모되거나 에러가 발생되거나 고장이 발생된 경우 경고등과 같은 시각적인 경보 또는 부저나 스피커에 의한 청각적인 경보를 발하는 경보부(61)등으로 구성된다.The controller 18 is a flow rate detector 44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at the input of the control unit 54 having the power supply unit 58, as shown in FIG. The cleaning liquid consumption detector 45 for detecting the liquid crystal and the setting unit 56 for setting an operation time and the amount of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6, the supply period of the cleaning liquid 6,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4.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 the electronic pump 16, 48, the ozone generator 46 for generating ozone (O 3 ) in the air, and / or the anion generator 54 for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anions A display unit 60 for displaying the state, setting state, error state, etc., and a visual alarm such as a warning lamp or a buzzer or a speaker when the malfunction or the cleaning liquid 6 is almost exhausted, an error occurs or a malfunction occurs. And an alarm unit 61 for emitting an audible alarm.

상기 전원부(58)는 상용 교류전원을 강압 정류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베터리 또는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8 may be used by step-down rectifying the commercial AC power, or use a battery or a battery.

청정액(6) 공급량은 주 급수관(4a)의 규모, 세정수의 수압, 세정수 공급수량, 희석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를테면, 청정액(6)을 세정수 중으로 10만분의 1로 희석하는 경우 세정수 공급유량이 '1톤/분'이면, 청정액 공급량은 '10g/분'이 되며, 1만분의 1로 희석하는 경우 세정수 공급유량이 '1톤/분'이면 청정액 공급량은 '100g/분'이 될 것이다.The supply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6 depends on the size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the amount of washing water supplied, the degree of dilu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diluting the cleaning liquid 6 to one hundred thousand in the washing water, if the washing water supply flow rate is '1 ton / minute, the cleaning liquid supply amount is '10 g / minute', and diluting to one thousandth. If the cleaning water supply flow rate is '1 ton / minute', the clean liquid supply will be '100 g / minute'.

그리고, 전자펌프(16)는 설정부(56)와 제어기(18)에 의해 동작하며, 주 급수관(4a)으로 공급되는 수량을 감안하여 전자펌프(16)의 동작시간이 설정된다. Then, the electronic pump 16 is operated by the setting unit 56 and the controller 18, the operation time of the electromagnetic pump 16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quantity suppli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상기 전자펌프(16)가 동작되는 기준값은 제어기(18)에 접속된 설정부(56)를 통하여 변경되거나 새로운 값으로 설정되며, 전자펌프(16)는 설정된 값이나 비교에 의해 제어기(1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주기적이거나 비주기적으로 동작하면서 주 급수관(4a)으로 청정액(6)을 공급하게된다.The reference value at which the electronic pump 16 is operated is changed or set to a new value through the setting unit 56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8, and the electronic pump 16 is set from the controller 18 by a set value or a comparison. The cleaning liquid 6 is suppli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while operating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도 2는 제어기(18)에 접속된 유속감지기(또는 유량감지기)(44)를 주 급수관(4a)에 설치하여 세정수 공급량에 비례하는 양의 청정액(6)이 자동으로 공급되게 구성한 것이다.FIG. 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flow rate sensor (or flow rate sensor) 44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8 is installed in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so that the cleaning liquid 6 in an amount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washing water supplied is automatically supplied.

상기의 경우, 제어기(18)의 입력부로 입력되는 유속감지값(또는 유량감지값)은 제어기(18)에 미리 설정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되며, 기준값에 비례하는 값으로 전자펌프(16) 제어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펌프(16)는 소정기간동안 가동되면서 청정액(6)을 펌핑하게 되며, 상기 청정액(6)은 청정액 공급관(10)과 청정액 공급관(10)의 말단(10a)을 경유하여 주 급수관(4a)으로 공급되면서 세정수에 용존된다. 그리고, 상기 청정액(6)이 용존된 세정수는 각각의 변기(U)(S)로 공급된다.In this case, the flow rate detection value (or the flow rate detection value) input to the input unit of the controller 18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preset in the controller 18 and is a value proportional to the reference value.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 electronic pump 16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pump the cleaning liquid 6, and the cleaning liquid 6 is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10 and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10. It is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while being suppli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via the end (10a) of the. Then,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6 is dissolved is supplied to each toilet U.

한편, 공기중의 비타민이라 일컬어지는 음이온은 생명활동에 없어서는 안되는 생명원으로 생체조직을 알칼리성으로 변화시켜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전반적인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생체기능의 균형을 유지하고 자연 치유력을 증가시킨다.On the other hand, anion, called vitamin in the air, is an indispensable source of life activity, changing biological tissues to alkalinity, activating physiological functions, activating overall metabolism, maintaining balance of biological functions and increasing natural healing power. .

또한, 음이온은 대사 물질의 일종인 치토크롬 C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철(Fe)을 포함한 효소의 대사 과정을 활발히 하여 동, 식물의 발육을 촉진시키며, 생체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신진대사를 활발히 촉진시켜 생명력을 강하게 한다.In addition, the anion increases the synthesis of chitochrome C, a type of metabolite, promotes the metabolism of enzymes including iron (Fe), promotes the development of copper and plants, activates the cells that make up tissues, It actively promotes metabolism and strengthens vitality.

또한, 산화력이 강한 오존(O3)은 수돗물 소독에 주로 이용하는 염소보다 약 7배나 높은 산화력과 약 3,150배 까지의 강력한 살균력이 있어서 박테리아, 곰팡이, 이끼, 대장균은 물론 염소로는 살균이 불가능한 바이러스까지 사멸시키며, 수돗물의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의 경우 0.3 ppm에서 10초만에 99.9%까지 사멸시킨다.In addition, ozone (O 3 ), which has strong oxidizing power, has about 7 times higher oxidizing power and up to 3,150 times stronger sterilizing power than chlorine, which is used for tap water disinfection. It kills up to 99.9% of tap water virus or bacteria in 0.3 ppm in 10 seconds.

또한, 오존(O3)은 살균 뿐 아니라, 소독, 표백등의 효과도 있어 수중의 냄새분자와 결합하여 탈취하고, 탁도를 크게 떨어뜨리며, 염소 소독의 경우 생성되는 2차 공해 물질인 발암물질(THM)등이 생성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ozone (O 3 ) is not only sterilized, but also has effects such as disinfection and bleaching, which combines with odor molecules in the water to deodorize, greatly reduces turbidity, and is a secondary pollutant that is produced in the case of chlorine disinfection ( THM) and the like are not known to be produced.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청정액(6)과 더불어 오존(O3) 또는 오존(O3)과 음이온이 용존된 세정수를 변기로 공급하여 강력한 살균소독을 달성할 수 있다. 예컨데, 공기중에서 오존(O3) 및/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킨 다음 세정수 중으로 용존시키는 방법과 세정수 공급원, 이를테면 세정수 탱크 또는 세정수 중에 음이온 발생기(54) 및/또는 오존발생기(46)를 설치하여 생성된 오존이 수중으로 바로 용존되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trong sterilization can be achieved b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in which ozone (O 3 ) or ozone (O 3 ) and anion are dissolved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6 to the toilet. For example, ozone (O 3 ) and / or anions are generated in the air and then dissolved in the wash water and the anion generator 54 and / or the ozone generator 46 in a wash water source, such as a wash water tank or wash water. This can be achieved by allowing ozone generated by installation to be dissolved directly in water.

이를테면, 산화력이 우수하여 살균ㆍ소독ㆍ표백력 등을 갖는 오존(O3) 및/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킨 다음 세정수 중으로 용존시켜 각각의 변기(U)(S)로 공급되어 작용되게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세정효과와 더불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등이 화장실 공간으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기능을 보다 향상시킨 것이다.For example, it is further improved by generating ozone (O 3 ) and / or anions having excellent oxidizing power and having sterilization, disinfection, and bleaching power, and then dissolving it in the washing water to be supplied to each toilet (U) (S). Along with the cleaning effect, anion, which i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is supplied to the toilet space, thereby improving the function.

즉,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3과 같이 제어기(18)의 제어를 받는 오존발생기(46)와, 상기 오존발생기(46)로부터 발생된 오존(O3)을 주 급수관(4a)으로 불어넣어 세정수 중으로 용존되게 하는 전자펌프(48)와, 상기 전자펌프(48)가 동작하지 않을 때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50)와 오존 및/또는 음이온 공급관(52)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ozone generator 4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 and the ozone O 3 generated from the ozone generator 46 are blown in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as shown in FIG. An electronic pump 48 to b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a check valve 50 to prevent backflow of the washing water when the electronic pump 48 is not in operation, and an ozone and / or anion supply pipe 52.

그리고, 상기 오존 및/또는 음이온 공급관(52)의 말단(52a)은 유속흐름에 저항하지 않도록 도 4와 같이 유선형이나 만곡형으로 밴딩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end 52a of the ozone and / or anion supply pipe 5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bent in a streamlined or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4 so as not to resist flow velocity.

상기에서 오존발생기(46)와 더불어 음이온 발생기(54)를 같이 설치하여 음이온화된 오존(O3) 또는 오존화 된 음이온이 전자펌프(48)에 의해 세정수 중으로 공급되어 용존되게 함으로써 세정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zone generator 46 together with the anion generator 54, anionized ozone (O 3 ) or ozonized anion is supplied into the washing water by the electron pump 48 to be dissolved, thereby improving cleaning efficiency. It can improve more.

상기 오존발생기(46)와 음이온 발생기(54)는 제어기(18)로 주기적이거나 비주기적으로 가동시켜 필요한 량의 오존 및/또는 음이온이 세정수 중으로 공급되어 용존되도록 한다.The ozone generator 46 and the anion generator 54 are operat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by the controller 18 so that the required amount of ozone and / or anions are supplied into the washing water and dissolved.

상기에서 음이온 발생기(54) 및 오존발생기(46)는 공급되는 고전압에 의해 대향 전극 사이로 공기절연이 파괴되면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다수의 산소계 활성종이 발생되며, 상기 산소계 활성종은 원자산소(O), 산소(O2), 산소 이온(O2+, O2 -), 오존(O3)등이 있으며, 이들이 세정수 중으로 용존되어 용존 산소량이 증가하고, 청정시 화장실 변기와 화장실 공간으로 일부 방출되면서 악취나 담배연기, 분진, 유해가스 등을 화학적으로 산화, 분해 및 제거하게된다.In the anion generator 54 and the ozone generator 46, a plurality of oxygen-based active species are generated by corona discharge as air insulation is broken between the counter electrodes due to the high voltage supplied thereto, and the oxygen-based active species is atomic oxygen (O), Oxygen (O 2 ), Oxygen ions (O 2 +, O 2- ), Ozone (O 3 ), etc. These ar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Odor, tobacco smoke, dust and harmful gases are chemically oxidized, decomposed and removed.

특히 오존(O3)은 공기중의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을 멸균하고, 기생번식을 방지하는 효과와 탈취작용이 있으며, 변기 및 화장실로 방출되는 음이온은 인체에 작용하면서 생체조직을 약알칼리성으로 변화시켜 전반적인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며, 생체기능의 균형을 유지하여 자연치유력을 증가시키고 대사물질인 치토크롬 C의 합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철(Fe)을 포함한 효소의 대사과정을 활발히 하여, 생체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를 활성화시켜 활발한 신진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생명력을 강하게 한다.In particular, ozone (O 3 ) sterilizes bacteria and fungi in the air, and prevents parasitic reproduction and deodorization.Anions released into toilets and toilets change the tissues to weak alkalis while acting on the human body. It activates overall metabolism, balances biological function, increases natural healing power and increases the synthesis of metabolic chitochrome C. In addition, by actively promoting the metabolism of enzymes, including iron (Fe), by activating the cells constituting the living tissue to make active metabolism and to strengthen the vitality.

또한, 세정수는 음이온 및 오존의 작용에 의해 경수는 연수로 되고, 수소 이온 농도가 약 알칼리(pH 6.5→7.6)화 되며, 중금속 물질인 아연, 염소 이온, 철이온, 망간, 알루미늄 납 성분등이 산화 제거되므로 주 급수관(4a)이나 보조 급수관(4)등의 내부 부식이나 스케일 등이 방지되며, 세정수 중의 대장균, 세균, 박테리아, 곰팡이류 등이 완전히 박멸되고 유기물질이 분해되어 감소되며, 탈색, 탈취에도 탁월한 기능이 발휘된다.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is soft water by the action of anion and ozone,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is weak alkali (pH 6.5 → 7.6), zinc, chlorine ions, iron ions, manganese, aluminum lead components, etc. This oxidation and removal prevents internal corrosion and scale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4, and completely eliminates coliforms, bacteria, bacteria, and molds in the washing water, and decomposes and reduces organic substances. Excellent function for deodorization.

상기 오존(O3)은 산화력이 강하므로 내산화성을 갖는 재질, 이를테면 합성수지, 스텐레스 등으로 상기 오존발생기(46)와, 전자펌프(48)와, 체크밸브(50)와, 오존공급관(20)과 음이온발생기(54)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ozone (O 3 ) is strong in oxidizing power, the ozone generator 46, the electronic pump 48, the check valve 50, and the ozone supply pipe 2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oxidation resistance, such as synthetic resin and stainless steel. It is preferable to constitute an anion generator 54 with.

그리고, 본 고안에서 청정액 용기(22)에 체결되는 덮개(26) 부분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게 조절함으로써 청정액(6)의 원활한 공급을 유도하도록 한다. 사안에 따라서는 청정액 용기(22)을 이동하는 중 주입된 청정액(6)이 유출되지 않도록 덮개(26) 부분에 체크밸브를 설치하거나, 또는 청정액 용기(22)를 설치장소에 설치한 후 상기 마개(36)의 패킹을 제거하거나 마개를 약간 열어 놓는 등의 방법으로 공기가 용기(22) 내부로 유입되게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cover 26 that is fastened to the clean liquid container 22 to induce smooth supply of the clean liquid 6. In some cases, a check valve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portion 26 so that the injected clean liquid 6 does not leak while the clean liquid container 22 is moved, or the clean liquid container 22 is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place. Afterwards, the packing of the stopper 36 may be removed or the stopper may be slightly opened to induce air to flow into the container 22.

또한 변기의 사용빈도는 여러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이를테면, 시간대별의 경우 야간이나 새벽과 같이 사람의 왕래가 적은 시간이거나 학교등의 경우 수업시간, 시험시간인 경우 변기 사용빈도가 훨씬 줄어들게 되므로 세정수에 비례한 청정액 공급이 필요하다.The frequency of use of the toilet also depends on many factor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ime zones, such as night or dawn, when the time of human traffic is small, or in the case of school, such as class time, test time, the use frequency of the toilet is much reduced, so it is necessary to supply a clean liquid in proportion to the washing water.

또한, 휴게소 등의 경우 평일보다는 휴일이나 공휴일에 변기 사용빈도가 월등히 높은 편이므로 청정액 공급량도 비례하여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case of rest areas, the use of toilet bowls is much higher on holidays or holidays than on weekdays, so the amount of cleansing liquid should also increase proportionally.

본 고안에서 청정제는 고체 또는 액체이거나 이들을 병용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의 타이머 기능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청정액(6)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청정액(6)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더라도 주 급수관(4a)과 보조 급수관(4) 속에 청정액이 용존되어 있으므로 언제든지 변기의 청정이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agent may be a solid or a liquid,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cleaning liquid 6 may be periodically supplied using the timer function of the controller. Even if the cleaning liquid 6 is periodically supplied, since the cleaning liquid is dissolved in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4, the toilet is cleaned at any time.

상기 청정액(6)은 변기를 깨끗하게 세정하고, 급수관의 부식이나 스케일이 방지되며, 급수관 내에 박테리아, 세균의 번식을 억제함으로써 악취발생의 근원을 차단하여 맑고 향기로운 방향에 의해 쾌적한 화장실 분위기가 연출된다.The cleaning liquid 6 cleans the toilet bowl, prevents corrosion and scale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prevents the growth of bacteria and bacteria in the water supply pipe to block the source of odor, thereby creating a comfortable toilet atmosphere by a clear and fragrant direction. .

그리고, 화학반응을 통해 변기의 구석구석까지 씻어내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요인을 방지할 뿐 아니라, 암모니아가스, 유황가스 등의 악취입자를 분해 제거한다. 상기 청정액(6)의 성상은 분말보다는 투명성 액체가 바람직하다.The chemical reaction also washes every corner of the toilet to prevent bacteria from propagating and to decompose and remove odor particles such as ammonia gas and sulfur gas. The property of the cleaning liquid 6 is preferably a transparent liquid rather than a powder.

그리고, 청정액 용기(22)는 동절기에 얼지 않도록 보온재로 감싸거나 또는 항온기능을 갖는 전열수단을 이용하여 20℃~30℃의 온도로 항온 유지되게 구성함으로써 동절기 동파를 방지하고 화학반응 저하가 방지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22 is wrapped 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so as not to freeze in winter or by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at a temperature of 20 ℃ ~ 30 ℃ by using a heat transfer means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function to prevent the winter freeze and prevent chemical reaction degrada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그리고, 세정수 중에 완전 분해되고 청정(세정), 소취, 제균, 방향성을 가지면서 인체나 변기 등에 유해성이 없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향기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운 계절에는 시원함을 줄수 있도록 세정액(6)에 시원한 색감의 안료를 첨가할 수 있으며, 추운계절에는 따뜻한 색감의 안료를 첨가할 수 있으며, 화장실이 설치된 장소에 따라 세정수에 색깔을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병원같은 경우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수 있는 색감의 안료를 첨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completely decomposed in the washing water, has clean (deodorization), deodorization, disinfection, and fragrance, and is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or toilet bowl, so that various fragrance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can be applied, and cool in the hot season. A cool color pigment may be added to the cleaning solution 6, a warm color pigment may be added in the cold season, and the color may be different in the washing water depending on where the toilet is installed. If you're in a hospital, you may want to add color pigments that give you a sense of security.

한편, 지하수의 경우 지표수(지하수)를 대부분 이용하고 있고 염소를 주기적으로 투입하여 소독하고 있으나, 원수에 유기물질이 많은 경우 염소가 이들 물질과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trihalormothan : THM)이 생성되며, 또한 충분한 살균이나 유해물질이 제거되지 않아 주 급수관(4a)과 보조 급수관(4) 내에 유기물에 의한 스케일이 생성되고 물에 악취가 발생하며, 경도는 높고 탁도는 흐리며, 물탱크에 저장하는 경우 특히 여름철에 물이 썩으면서 비린내가 나고 각종 병원성 세균이 잔류하는 등 수질의 상태가 매우 열악한 편이다.Groundwater uses mostly surface water (groundwater) and disinfects it by periodically adding chlorine.However, if there are many organic substances in raw water, chlorine reacts with these substances to cause trihalormothan (THM). In addition, since sufficient sterilization or harmful substances are not removed, organic scales are generated in the main water supply pipe 4a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4, odor occurs in the water, the hardness is high, the turbidity is cloudy, the water tank In case of storage in the water, especially in the summer, rotten water smells like a variety of pathogenic bacteria, such as water quality is very poor.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다량의 음이온과 오존(O3)이 발생되는 공기중 음이온 발생기(54) 및/또는 오존 발생기(46)로 음이온 및/또는 오존을 발생시킨 다음 세정수 중으로 용존시켜 세정수(지하수) 중에 기생번식하는 각종 병원균이나 세균들을 살균 소독하고 탈취하여 배관 스케일 등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결핍된 음이온을 공급시켜 양이온과 음이온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주위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nion and / or ozone are generated by anion generator 54 and / or ozone generator 46 in the air in which a large amount of anions and ozone (O 3 ) are generated, and then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to wash water ( Sterilizes and deodorizes various pathogens and bacteria that are parasitic propagation in groundwater) to prevent pipe scales, and also maintains a pleasant environment by supplying absolute or insufficient anions to balance cations and anions.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청정액 공급부에 역류방지수단과 전자펌프를 설치하여 세정수가 청정액 공급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청정액이 세정수 중으로 소정량씩 공급되어 용존되게 함으로서 세정과 함께 자동 청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backflow preventing means and an electronic pump in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back to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and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and dissolved in the cleaning water by a predetermined amount so that the cleaning solution is automatically cleaned.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made.

또한 청정액을 주 급수관 한 곳에서 집중 공급하는 중앙집중화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인력과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화장실 변기를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서 쾌적한 화장실 분위기가 조성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entralize the centralized supply of cleansing liquid in one main water supply line, so maintenance is easy, labor and cost are greatly reduced, and the toilet toilet can be kept clean and hygienic at all times, creating a comfortable toilet atmosphere. There is.

또한 공급유량에 비례한 량의 청정액이 공급되므로 균일한 청정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변기의 청결도를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청정액은 리필/교체하는 방법으로 재공급과 보충공급이 가능하므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amount of clean liquid is supplied in proportion to the supply flow, not only the uniform cleanness is achieved, but also the cleanliness of the toilet can be increased, and the clean liquid can be resupplyed and replenished by refilling / replacing. It can be environmentally friendly.

또한 본 고안은 청정액 및/또는 오존 및/또는 음이온은 전자펌프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어 각각 용존되고 전자펌프의 가동이 중단되면 체크밸브의 유로(기로) 폐쇄작용에 의해 세정수의 역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clean water and / or ozone and / or anions are supplied at a constant pressure by the electronic pump, and dissolved in each of them. When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ump is stopped, the backflow of the washing water is prevented by closing the flow path of the check valve. There is an effect that is prevented.

또한 오존 및/또는 음이온을 이용하는 경우, 변기 세정수가 음이온 및/또는 오존에 의해 깨끗이 정화되고 세균이나 병원균 등이 살균되며, 또한 세정수가 음이온 및/또는 오존으로 버블링되므로 염소 소독이 불필요 할뿐 아니라 유해물질 및 유기물질이 제거되어 발암물질(THM)과 각종 악취가 제거되고 경도는 낮아지며 탁도가 맑아지므로 수세식 변기가 골고루 양호하게 세정 및 청정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ozone and / or anion, the toilet cleaning water is cleansed by the anion and / or ozone, sterilizes bacteria and pathogens, and the washing water is bubbled with anion and / or ozone, so that chlorine disinfection is not necessary. Hazardous substances and organic substances are removed to remove carcinogens (THM) and various odors, hardness is low, and turbidity is clear, so the flush toilet is well cleaned and cleaned.

도 1 : 본 고안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 본 고안의 요부 구성도. 2 is a mai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본 고안 청정액 용기의 배출공 부분 일 실시예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discharge hol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n liquid container.

도 6 : 본 고안 청정액 용기의 관체부에 호스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se is fastened to the tubular portion of the clean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 본 고안 일 실시예의 회로 블럭도.7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세정수 공급원 (4)--보조 급수관(2)-clean water source (4)-auxiliary water supply

(4a)--주 급수관 (6)--청정액(4a)-Main Supply Line (6)-Clean Liquid

(8)--청정액 공급장치 (10)--청정액 공급관(8)-Clean liquid supply device (10)-Clean liquid supply pipe

(10a)--청정액 공급관 말단 (12)(50)--체크밸브(10a)-Clean liquid supply pipe end (12) (50)-Check valve

(16)(48)--전자펌프 (18)--제어기(16) (48)-Electronic Pump (18)-Controller

(20)--개폐밸브 (22)--청정액 용기(20)-opening and closing valve (22)-cleaning container

(24)--플렉시블 호스 (26)--덮개(24)-flexible hose (26)-cover

(28)--청정액 배출공 (30)--관체부(28)-Clean liquid discharge hole (30)-Conduit

(32)(42)--나사부 (34)(40)--오링(32) (42)-Thread (34) (40)-O-Ring

(36)--마개 (38)--체결부재(36)-Spigot (38)-Tightening Member

(44)--유속감지기(또는 유량감지기) (45)--청정액 소모량 감지기(44)-Flow Sensor (or Flow Sensor) (45)-Clean Liquid Consumption Detector

(46)--오존발생기 (52)--오존 및/또는 음이온 공급관(46)-Ozone Generator (52)-Ozone and / or Anion Supply Line

(52a)--오존 및/또는 음이온 공급관의 말단(52a)-end of the ozone and / or anion supply line

(54)--음이온 발생기 (56)--설정부(54)-Anion Generator (56)-Settings

(60)--표시부 (61)--경보부(60)-Indicator (61)-Alarm

Claims (6)

수세식 변기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주 급수관에 청정액 공급관을 연결하고, 상기 청정액 공급관에 체크밸브와 전자펌프를 갖는 청정액 공급장치를 연결하여 세정수 중으로 소정량의 청정액이 용존 공급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변기 세정장치.A clean liquid supply pipe is connected to a main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a flush toilet, and a clean liquid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and an electronic pump is connected to the clean liquid supply pipe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clean liquid is dissolved in the clean water. Central toilet bowl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 청정액 공급장치는 주 급수관과 연결되는 청정액 공급관과,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소정량의 청정액을 공급하는 전자펌프와, 상기 전자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청정액의 공급과 차단을 위한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와 청정액 용기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호스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말단과 청정액 용기를 분리/결합하는 체결수단과,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청정액 용기 덮개로 구성하여서 된 중앙집중식 변기 세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liquid supply device includes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of the washing water, an electronic pump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ump, On / off valves for supplying and blocking semen, Flexible hoses connecting the on-off valves and the clean liquid container, Fastening means for separating / combining the ends of the flexible hoses and the clean liquid containers, and Clean liquid into which external air flows. Central toilet bowl cleaning device composed of container cov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청정액 공급관의 말단은 주 급수관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세정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만곡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변기 세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erminal of the clean liquid supply pipe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main water supply pipe, the centralized toilet bowl clea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flowing wat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제어기에 접속된 유속감지기를 주 급수관에 설치하여 세정수 공급량에 비례하는 양의 청정액이 주 급수관으로 자동 공급되게 구성하여서 된 중앙집중식 변기 세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entralized toilet bowl cleaning device in which a flow rate sensor connected to a controller is installed in a main water supply pipe so that a clean liqui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제어기의 제어를 받는 오존발생기 및 음이온 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 및 음이온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오존 및 음이온을 주 급수관으로 공급하는 전자펌프와, 상기 전자펌프가 동작하지 않을 때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오존 및 음이온을 주 급수관으로 공급하는 오존 및 음이온 공급관으로 구성하여서 된 중앙집중식 변기 세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ozone generator and anion generator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an electronic pump for supplying ozone and anions generated from the ozone generator and anion generator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and a check to prevent backflow of the washing water when the electronic pump is not operated. A central toilet bowl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valve and an ozone and anion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ozone and anion to a main water supply pip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제어기는 전원부를 갖는 제어부 입력에 주 급수관의 유속을 감지하는 유속감지기와, 청정액의 소모상태를 감지하는 청정액 소모량 감지기와, 동작시간과 청정액을 공급하는 양이나 청정액 공급주기를 설정하는 설정부가 각각 접속되고, 제어부의 출력에 전자펌프와,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와, 제어기의 동작상태와 설정상태와 에러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동작이상과 청정액 소모 및 고장이 발생되면 경보하는 경보부를 각각 접속 구성하여서 된 중앙집중식 변기 세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t the flow rate sensor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main water supply line, the clean liquid consumption detector for detecting the consumption state of the clean liquid, the operation time and the amount of supply of the clean liquid or the supply cycle The setting un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electronic pump, an ozone generator for generating ozone, an anion generator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the setting state and an error state of the controller, an operation error and a blue Central toilet bowl cleaning device by connecting and configuring the alarm unit to alarm when semen consumption and trouble occurs.
KR20-2004-0035352U 2004-12-13 2004-12-13 Pure cleaning device of central lavatory KR20037752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352U KR200377527Y1 (en) 2004-12-13 2004-12-13 Pure cleaning device of central lavat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352U KR200377527Y1 (en) 2004-12-13 2004-12-13 Pure cleaning device of central lavator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005A Division KR100577894B1 (en) 2004-12-13 2004-12-13 Central lavatory and its pure clea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527Y1 true KR200377527Y1 (en) 2005-03-11

Family

ID=4367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352U KR200377527Y1 (en) 2004-12-13 2004-12-13 Pure cleaning device of central lavat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52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049A (en) * 2021-03-02 2022-09-13 (주)아이에어 Washing wat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049A (en) * 2021-03-02 2022-09-13 (주)아이에어 Washing wat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KR20220124114A (en) * 2021-03-02 2022-09-13 (주)아이에어 Washing wat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KR20220124113A (en) * 2021-03-02 2022-09-13 (주)아이에어 Washing wat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KR102511961B1 (en) * 2021-03-02 2023-03-20 (주)아이에어 Washing wat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KR102511960B1 (en) * 2021-03-02 2023-03-20 (주)아이에어 Washing wat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KR102511962B1 (en) * 2021-03-02 2023-03-20 (주)아이에어 Washing wat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3311B2 (en) Toilet bowl water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3480173B2 (en) Toilet bowl unit with sterilizing water supply function
WO1996006237A1 (en) Toilet stool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02191808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sterilizing and cleaning pedestal pan
KR200377527Y1 (en) Pure cleaning device of central lavatory
US20230211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plumbing fixtures and rooms with plumbing fixtures
JP2007077665A (en) Toilet bowl flush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and toilet bowl flushing system
KR100577894B1 (en) Central lavatory and its pure cleaning device
JPH11235378A (en) Electrolytic water hand-washing unit
EP4150168B1 (en) Plumbing fixture sanitising system
KR200353265Y1 (en) Drinking water purifier with disinfection system
KR200445937Y1 (en) Auto deodorizing and washing system for a urinal with disinfection
CN201883474U (en) Special water supply and drainage devic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CN212452968U (en) Microbial degradation intelligent toilet bowl
JP2001232369A (en) Toilet stool sterilizer and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device
CN216195191U (en) Male and female toilet-sharing clean toilet system
JPH10331231A (en) Cleaning device of toilet with ozonized water
JP3516369B2 (en) Antifouling and deodorizing method for toilet drain pipe
KR200286635Y1 (en) The domestic water clean system with using electrolytic water
JP2001248204A (en) Bowl sterilizing device
JPH10338958A (en) Ozonized water supply device
JP20010299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iving wastewater
CN220469027U (en) Toilet sterilization module and toilet assembly
JP7321617B2 (en) Water treatment system, water treatment method
JP2000054455A (en) Toilet bowl wa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