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311Y1 - 조립식 통합 분전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통합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311Y1
KR200377311Y1 KR20-2004-0034746U KR20040034746U KR200377311Y1 KR 200377311 Y1 KR200377311 Y1 KR 200377311Y1 KR 20040034746 U KR20040034746 U KR 20040034746U KR 200377311 Y1 KR200377311 Y1 KR 200377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distribution panel
lower plate
cabinet
distribu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4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1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ainly consisting of a frame onto which plates are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재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한 전류를 단속하는 강전 분전반과 약한 전류를 단속하는 약전 분전반을 개별 분전반으로 별도 제작하고, 상기 각 분전반을 동시에 수용하며, 상기 각 분전반사이의 전기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공간과, 상기 전압차가 다른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케이블 배선통로가 구비되는 조립 설치가 용이한 하나의 철재 분전반으로 형성된 통합 분전함을 제공함으로써, 대규모의 전력을 소비하는 공장이나 공사현장, 대형 건물 및 대형 주거지역 등의 현장에 상기 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편리하게 조립, 설치 및 이전할 수 있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간선(幹線)으로부터 흐르는 전류가 각각의 분기(分岐)로 갈라지는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마다 상기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하여 설치된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전류를 단속하는 복수의 분전함과, 상기 분전반의 전체적 외관을 형성하고 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상기 분전함을 동시에 수용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통합 분전반{FABRICATED CONSOLIDATION CABINET PANEL}
본 고안은 철재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한 전류를 단속하는 강전 분전반과 약한 전류를 단속하는 약전 분전반을 개별 분전반으로 별도 제작하고, 상기 각 분전반을 동시에 수용하며, 상기 각 분전반사이의 전기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공간과, 상기 전압차가 다른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케이블 배선통로가 구비되는 조립 설치가 용이한 하나의 철재 분전반으로 형성된 통합 분전함을 제공함으로써, 대규모의 전력을 소비하는 공장이나 공사현장, 대형 건물 및 대형 주거지역 등의 현장에 상기 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편리하게 조립, 설치 및 이전할 수 있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분전반은 옥내배선에 있어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곳에, 각 분기회로마다의 스위치를 설치해 놓은 것으로서, 주택에 사용되는 분전반은 컷아웃스위치를 배열하여 고정시킨 간단한 것이지만, 빌딩의 경우는 적어도 각 층마다 강철로 만든 분전반이 벽 속에 설치되어 있고 완전한 개폐문이 달려 있다.
또한 어떤 실내의 배선점검이나 수리 및 개장(改裝) 등을 할 때 그 방의 분기스위치를 분전반에서 절단하여 정전시킬 수가 있는데, 종래의 분전반에서 사용하던 방식으로는 포장퓨즈가 달린 나이프스위치를 각 분기회로마다 설치하였으나, 근래에 조금 더 발전된 형태로는 스위치는 텀블러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주택에 사용되는 분전반과는 달리 대규모의 전력을 소비하는 공장이나 공사현장, 대형 건물 및 대형 주거지역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분전반은 각 구성 부위가 캐비닛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있는데,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분전반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분전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분전반(100)은 상기 분전반(100)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닛(101)에 바닥부(140)와 천장부(130)가 구비되어 그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닛(101)에는 강전부분으로 구분된 강전 분전반(110) 공간과 약전부분으로 구분된 약전 분전반(120) 공간이 상기 캐비닛(101)에 일체로 구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도면번호 114번은 상기 강전 분전반(110)의 도어부 이고, 도면번호 124는 상기 약전 분전반(120)의 도어부이다.
그리고 상기 강전 분전반(110) 공간 및 상기 약전 분전반(120) 공간과 인접한 공간에 케이블 통로 칸막이(112)를 형성하여 상기 강전 및 약전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미도시)이 이격 배선되어 안내될 수 있는 케이블 통로(11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통로(113) 내부에는 상기 이격 배선되는 케이블(미도시)을 결속할 수 있는 케이블 지지대(111)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미도시)을 결속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종래의 분전반(100)은 각 구성 부위가 상기 캐비닛(101)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그 외형이 크고 무거워 상기 분전반(100)의 제작 시 과다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운반 및 설치에 상당한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분전반(100)의 각 구성 부위가 상기 캐비닛(101)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강전 분전반(110) 또는 약전 분전반(120)의 일부사양에 변경사항이 발생할 시 상기 변경사항에 적극 대응할 수 없어 상기 분전반(100) 전체를 재(再)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분전반(100)을 제작함에 있어 상기 분전반(1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 중 그 크기가 가장 큰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분전반(100)의 골격을 이루는 캐비닛(101)을 제작해야 함으로 인해 상기 캐비닛(101)의 크기가 실제 필요 없는 부분을 포함하는 크기로 제작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강전 및 약전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미도시)을 이격 배선하여 안내하기 위하여 구비된 케이블 통로 칸막이(112)가 최초의 설계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 통로 칸막이(112)로 인해 형성되는 케이블 통로(113)의 넓이가 한정되어, 상기 한정된 공간만으로 상기 케이블 통로(113)를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타 공간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시 적극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강한 전류를 단속하는 강전 분전반과 약한 전류를 단속하는 약전 분전반을 개별 분전반으로 별도 제작하고, 상기 각 분전반을 동시에 수용하며, 상기 각 분전반사이의 전기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공간과, 상기 전압차가 다른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케이블 배선통로가 구비되는 조립 설치가 용이한 하나의 철재 분전반으로 형성된 통합 분전함을 제공함으로써, 대규모의 전력을 소비하는 공장이나 공사현장, 대형 건물 및 대형 주거지역 등의 현장에 상기 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편리하게 조립, 설치 및 이전할 수 있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은, 간선(幹線)으로부터 흐르는 전류가 각각의 분기(分岐)로 갈라지는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마다 상기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하여 설치된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전류를 단속하는 복수의 분전함과, 상기 분전반의 전체적 외관을 형성하고 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상기 분전함을 동시에 수용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구성하는 각 구성 부위가 상기 캐비닛에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그 외형이 간소하고 가벼워 상기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시간과 그 운반 및 설치가 상당히 간편한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별도로 구비된 강전 분전함 또는 약전 분전함의 일부에 사양변경사항이 발생할 시 상기 변경된 사양에 해당하는 부분만 해체하여 조립하면 됨으로 인해 상기 통합 분전함 전체를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줄이고, 상기 변경된 사항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각종 지지부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200)은 다수의 결합구멍(201)이 구비된 좌, 우 및 상, 하측 프레임(230, 240, 210, 220)이 상기 결합구멍(201)과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조립,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조립식 통합 분전반(2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식 통합 분전반(200)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210)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210)과 인접하여 상기 좌, 우측 프레임(230, 240)에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 지지대(260)와, 상기 하부 프레임(220)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220)과 인접하여 상기 좌, 우측 프레임(230, 240)에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 지지대(262)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조립식 통합 분전반(200)의 전체적 골격을 보완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200)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상기 캐비닛(200)에는 다양한 전류를 단속하는 복수의 분전함(300, 400, 도 4참조)이 수용되는데, 상기 수용되는 복수의 분전함(300, 400, 도 4참조)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분전함(300, 400, 도 4참조)을 공간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좌, 우측 프레임(230, 240)의 소정의 위치에 분전반 지지대(26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분전반 지지대(261)가 고정되는 위치와 대응되도록 좌, 우측 프레임(230, 240)에 분전반 받침대(270, 271)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분전함(300, 400, 도 4참조)을 더욱 받혀줌으로써 상기 조립식 통합 분전반(200)의 전체적 골격을 더욱 보완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바람직하게 나사로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이외에 볼트 및 너트 등 상기 좌, 우 및 상, 하측 프레임(230, 240, 210, 220)을 상호 조립,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을 조립,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결합수단으로써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상기 캐비닛(200)에 수용되는 복수의 분전함(300, 400, 도 4참조)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장착되는 강전 분전함 및 약전 분전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과 강전 분전함 및 약전 분전함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분전반은 간선(幹線)으로부터 흐르는 전류가 각각의 분기(分岐)로 갈라지는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마다 설치되어 상기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하여 분전함 케이스(310, 410) 및 상기 분전함 케이스(310, 410)에 힌지(미도시) 결합되어 개폐되는 도어부(311, 411)로 구성되어 상기 전류를 단속한다.
그런데 상기 전류는 일반주택 및 대규모의 전력을 소비하는 공장이나 공사현장, 대형 건물 그리고 대형 주거지역 등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24V, 110V, 220V, 380V 등의 다양한 전압차이를 가지는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전류를 그 세기에 따라 단속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은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한 전류를 단속하는 강전 분전반(300)과 약한 전류를 단속하는 약전 분전반(400)을 개별 분전반으로 별도 제작하고, 상기 각 분전반(300, 400)을 상기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캐비닛(200)에 마련된 결합구멍(201)과 상기 각 분전반(300, 400)에 마련된 결합구멍(201)이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조립,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다양한 전류를 그 세기에 따라 단속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되는 각 분전반(300, 400)의 구조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장착되는 강전 분전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장착되는 강전 분전함의 작동양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장착되는 강전 분전함과 약전 분전함의 내부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장착되는 강전 분전함(300)의 내부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장착되는 강전 분전함(300)은 상기 강전 분전함(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분전함 케이스(310) 및 상기 분전함 케이스(310)에 힌지(미도시) 결합되어 개폐되는 도어부(311)로 구성되어 그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분전함 케이스(310) 내부에는 상판 지지부재(333)가 구비된 하판(330)이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하판(330)의 상부에 상판(320)이 장착되는데, 상기 상판(320)은 상기 하판(330)에 구비된 상판 지지부재(333)와 결합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330)의 일측장부에는 상기 하판(33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케이블 통로 칸막이(340)와, 상기 케이블 통로 칸막이(34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련된 케이블 통로 덮개(350) 그리고 상기 케이블 통로 칸막이(340)가 구비된다.
상기 구비된 상기 케이블 통로 칸막이(340)와 케이블 통로 덮개(350)로 구획된 공간으로 인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장착되는 강전 분전함(300)에는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미도시)이 통과할 수 있는 케이블 통로(A, 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판(330)과 대면되는 상기 분전함 케이스(310) 내부 일면에는 복수의 하판 지지부재(312)가 구비되고, 상기 하판(330)에는 상기 하판 지지부재(312)가 구비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하판 지지부재(312)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331)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하판(330)이 상기 분전함 케이스(310)에 안착됨에 있어 상기 하판 지지부재(312)가 상기 가이드 홈(331)에 삽입되어 상기 하판(330)이 상기 가이드 홈(331)의 형성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331)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하판(3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 인해 상기 강전 분전함(300)에 형성되는 상기 케이블 통로(A, B)는 그 넓이가 A, B에서 A', B'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는 상기 복수의 분전함을 구비할 수 있으나,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을 더욱 연장하여 별도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200)을 구성하는 좌, 우측 프레임(230, 240)을 상기 캐비닛(200)의 상부 방향으로 더욱 연장하고, 상기 연장된 공간 상부에 연장 프레임(510)을 구비하여,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별도의 공간(500)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확장된 공간(500)을 상기 수용되는 강전 분전함(300) 및 약전 분전함(400)이외에 케이블 수납함 및 그 이외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200)을 구성하는 좌, 우측 프레임(230, 240)을 상기 캐비닛(200)의 하부 방향으로 더욱 연장하고, 상기 연장된 공간 하부에 별도의 상부 프레임 지지대(260)와 분전반 지지대(261)를 마련하여 상기 약전 분전함(400)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확장된 공간(600)을 상기 수용되는 강전 분전함(300) 및 약전 분전함(400)이외에 별도의 트랜지스터 반 및 그 이외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구성하는 각 구성 부위가 상기 캐비닛에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그 외형이 간소하고 가벼워 상기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시간과 그 운반 및 설치가 상당히 간편한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별도로 구비된 강전 분전함 또는 약전 분전함의 일부에 사양변경사항이 발생할 시 상기 변경된 사양에 해당하는 부분만 해체하여 조립하면 됨으로 인해 상기 통합 분전함 전체를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줄이고, 상기 변경된 사항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제작할 때 상기 조립식 통합 분전반에 구비되는 상기 강전 분전함 및 약전 분전함에 그 넓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 크기가 실제 필요 없는 부분이 포함되지 않은 실용적인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강전 분전함 및 약전 분전함에 제공되는 임의로 그 넓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강전 및 약전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을 이격 배선하여 안내하기 위하여 구비된 케이블 통로 칸막이가 최초의 설계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 통로를 더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공간을 다른 필요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전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각종 지지부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장착되는 강전 분전함 및 약전 분전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과 강전 분전함 및 약전 분전함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장착되는 강전 분전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에 장착되는 강전 분전함의 작동양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합 분전반의 캐비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분전반 101 : 캐비닛
110 : 강전 분전반 111 : 케이블 지지대
112 : 케이블 통로 칸막이 113 : 케이블 통로
120 : 약전 분전반 121 : 케이블 지지대
122 : 케이블 통로 칸막이 130 : 천장부
140 : 바닥부 200 : 캐비닛
210 : 상부 프레임 220 : 하부 프레임
230 : 좌측 프레임 240 : 우측 프레임
250 : 칸막이 260 : 상부 프레임 지지대
261 : 분전함 지지대 262 : 하부 프레임 지지대
270 : 분전함 받침대 300 : 강전 분전함
310 : 강전 분전함 케이스 320 : 상판
330 : 하판 331 : 이동 홈
332 : 케이블 결속 지지대 333 : 상판 지지부재
334 : 케이블 지지대 400 : 약전 분전함
500 : 케이블 트레이 600 : 트랜지스터 부

Claims (8)

  1. 간선(幹線)으로부터 흐르는 전류가 각각의 분기(分岐)로 갈라지는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마다 상기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하여 설치된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전류를 단속하는 복수의 분전함과,
    상기 분전반의 전체적 외관을 형성하고 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상기 분전함을 동시에 수용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은,
    상기 분전함의 외관을 형성하는 분전함 케이스 및 상기 분전함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도어부와,
    상기 분전함 케이스 내부에 안착되며 상판 지지부재가 구비된 하판과,
    상기 상판 지지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하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의 일측장부에 상기 하판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케이블 통로 칸막이와,
    상기 케이블 통로 칸막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련된 케이블 통로 덮개와,
    상기 케이블 통로 칸막이 및 상기 케이블 통로 덮개로 구획된 공간으로 인해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케이블 통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과 대면되는 상기 분전함 케이스 내부 일면에 복수의 하판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판에는 상기 하판 지지부재가 구비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하판 지지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이 마련되어,
    상기 하판이 상기 분전함 케이스에 안착됨에 있어 상기 하판 지지부재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판이 상기 가이드 홈의 형성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통로 칸막이가 마련된 방향의 상기 하판 일측장부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케이블 지지대를 마련하여 상기 하판이 상기 케이블 통로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케이블 통로가 더욱 넓어지게 되면 상기 케이블 지지대를 회동하여 상기 케이블 통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의 형성방향은 상기 하판의 면방향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다수의 결합구멍이 구비된 좌, 우 및 상, 하측 프레임이 상기 결합구멍과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어 상기 분전반의 전체적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인접하여 상기 좌, 우측 프레임에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인접하여 상기 좌, 우측 프레임에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는 분전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분전함을 공간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좌, 우측 프레임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는 분전반 지지대와,
    상기 분전반 지지대가 고정되는 위치와 대응되도록 좌, 우측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분전함을 받혀주는 분전반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합 분전함.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을 구성하는 좌, 우측 프레임을 더욱 연장하여 상기 캐비닛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수용되는 분전함 이외에 별도의 케이블 수납함, 트랜지스터 반 및 그 이외의 기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합 분전반.
KR20-2004-0034746U 2004-12-07 2004-12-07 조립식 통합 분전반 KR200377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46U KR200377311Y1 (ko) 2004-12-07 2004-12-07 조립식 통합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46U KR200377311Y1 (ko) 2004-12-07 2004-12-07 조립식 통합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311Y1 true KR200377311Y1 (ko) 2005-03-11

Family

ID=4367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746U KR200377311Y1 (ko) 2004-12-07 2004-12-07 조립식 통합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3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117B1 (ko) * 2009-06-17 2011-07-26 정성수 사용 편리 및 멀티 정보 제공을 위한 일체형 통합 세대 분전반
KR101159483B1 (ko) 2011-03-24 2012-06-25 이해룡 선박용 전기/통신 네트워크 통합 분배상자
CN112490080A (zh) * 2020-11-09 2021-03-12 电科北方智能电气有限公司 一种小型断路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117B1 (ko) * 2009-06-17 2011-07-26 정성수 사용 편리 및 멀티 정보 제공을 위한 일체형 통합 세대 분전반
KR101159483B1 (ko) 2011-03-24 2012-06-25 이해룡 선박용 전기/통신 네트워크 통합 분배상자
CN112490080A (zh) * 2020-11-09 2021-03-12 电科北方智能电气有限公司 一种小型断路器
CN112490080B (zh) * 2020-11-09 2023-12-22 电科北方智能电气有限公司 一种小型断路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17525A (zh) 致冷器和冷冻器门的供电系统
US20080302033A1 (en) Power and Communication Distributions System Using Split Bus Rail Structure
US20170321415A1 (en) Central core for a building
KR200377311Y1 (ko) 조립식 통합 분전반
KR100835587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분전함
US7209343B2 (en) Adjustable riser and panel board incorporating same
US20110286155A1 (en) Transfer Switch Enclosure
KR100880625B1 (ko) 분배전반용 배전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전함
CN210898145U (zh) 一种箱式变电站
KR101534396B1 (ko) 마감품질을 위해 높낮이 조절되는 가변형 분전함
JPH08172709A (ja) 端子盤
JP2602586Y2 (ja) 低圧配電盤
CN113585536A (zh) 房屋内使用的自助式隐藏型可移动隔墙
RU2282923C1 (ru) Шкаф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электроаппаратуры (варианты)
JP3219775U (ja) 配電盤・分電盤のキュービクル内機器取付ユニット
CN110219479A (zh) 一种智能家居体验馆
KR101615129B1 (ko) 기본벽체와 가변형벽체가 일체화된 개방형 벽체모듈 및 그 시공 방법
JP4325144B2 (ja) 分電盤を収納した什器
KR200236602Y1 (ko) 천정 매입형 분전반
WO2018022847A1 (en) Central core for a building
RU2316093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центр
KR200228552Y1 (ko) 조립식 칸막이
GB2614809A (en) Electrical enclosure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04715817U (zh) 一种户外通讯机房的内部布线系统
KR101487379B1 (ko)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