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318Y1 -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318Y1
KR200376318Y1 KR20-2004-0032574U KR20040032574U KR200376318Y1 KR 200376318 Y1 KR200376318 Y1 KR 200376318Y1 KR 20040032574 U KR20040032574 U KR 20040032574U KR 200376318 Y1 KR200376318 Y1 KR 200376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ce
germination
hom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김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현 filed Critical 김성현
Priority to KR20-2004-0032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3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3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에서 쉽게 쌀눈을 발아 시켜 필요한 양을 신선하게 얻을 수 있는 기구를 제작 할 목적이다. 양수기를 작동시켜 물을 쌀통위로 올려서 넘쳐 떨어지게 하는 것을 연속으로 반복하여 흐르는 물의 성질을 갖게 하였다. 휴면 기를 지난 씨앗은 수분과 온도가 적절하면 스스로 발아가 되지만 수분 유지 시 공기가 통하지 않으면 부패하게 된다. 이 점을 감안하여 수분 유지 시 용기를 망사형으로 만들고 공간을 확보 해 줌으로써 공기가 잘 통하게 하였다. 발아시키는 과정에 흐르는 물을 사용하여 쌀의 잔류 농약 등 오염 물질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몸에 좋은 발아 쌀을 저렴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Home, germination making dish}
쌀눈 발아를 위해서는 물을 자주 공급해야 하는데 바쁜 일상 속에서는 번거로운 일이다. 이점을 해결하여 가정에서 직접 쌀눈을 발아 시켜 필요한 양을 신선하게 얻을 수 있는 기구를 제작 할 목적이다.
씨앗이 수분, 공기, 온도가 적절하면 발아하는데 이에 자연에 가까운 조건을 만들어 주는 고안이다.
씨앗이 번식을 위하여 발아하는 것은 자연의 이치이다. 이에 자연에 가까운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사실상 현미 발아만으로 밥을 지을 경우 먹기가 거북하다. 현미는 두 번 밥을 지어도 부드럽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현미에서 쌀눈이 남아 있을 만큼 도정을 더 하여 이 쌀눈을 발아 시킨다. 이 쌀눈 발아만으로 밥을 지으면 부드럽고 맛이 좋은 밥이 된다. 벼는 물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계속 물을 공급해도 발아를 하고 또 충분한 물을 공급한 후에 수분 유지를 시키면 발아하기도 한다. 고여있는 물은 부패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수기와 기포발생기(20)를 작동하여 아랫물통(14)의 물을 송수관(17)으로 밀어 올린다. 윗물통(13) 바닥에 있는 물분산기(12)를 통해 물이 넓게 퍼져서 쌀통(11)의 쌀 사이로 올라간다. 올라 온 물은 쌀통(11)의 망사를 넘어 윗물통(13)의 상단부분 구멍으로 넘쳐 떨어진다. 떨어지는 물은 공기와 접하게 되며 (19)항균필터를 통과할 때 이물질이 걸러지고 신선 해 진다. 이를 연속으로 반복하여 흐르는 물의 성질을 갖게 한다. 쌀눈 발아 시에 수분유지를 해야 할 때가 있는데 수분 유지 시에도 공기가 통하지 않으면 부패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점을 감안 하여여 뚜껑(10)은 그물형으로 만들어 필요시 물에 젖은 천 등으로 덮어서 수분 유지도 하고 공기도 통하게 하였다. 또, 쌀통(11)의 용기는 망사형으로 만들어 쌀과 용기의 밀착을 줄였고 공기도 잘 통하게 하였다. 수분 유지 시에는 배수구(16)를 막고 양수기와 기포발생기(20)의 작동을 중단하면 윗물통(13)과 쌀통(11)의 사이에 있는 물은 배수되고 공간이 생겨서 쌀통(11)의 망사부분에 공기가 잘 통하게 된다. 또, 송수관 끝부분(18)은 물이 올라 갈 때는 내부의 날개가 구멍을 막고 물이 빠질 때는 구멍이 열려 윗물통(13)으로 공기가 통한다. 수온은 가열 및 감지기(22)를 사용하여 25°∼29°로 유지시키면 발아에 도움이 된다. 집수정 및 운반용기(15)는 하수구가 먼 경우 사용하면 편리하다.
본 고안은 가정에서 쌀눈 발아를 위해 자연에 가까운 조건을 만들어 주는 기구이다. 고여 있는 물은 부패하기 쉬우므로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수기와 기포발생기(20)가 아랫물통(14)의 물을 송수관(17)으로 밀어 올린다. 윗물통(13) 바닥에 있는 물분산기(12)를 통해 물이 넓게 퍼져서 쌀통(11)의 쌀 사이로 올라간다. 올라 온 물은 쌀통(11)의 망사를 넘어 윗물통(13)의 상단부분의 구멍으로 넘쳐 떨어진다. 떨어지는 물은 공기와 접하며 (19)항균필터를 통과할 때 이물질이 걸러지고 신선해진다. 위의 방법을 연속으로 반복하여 흐르는 물의 성질을 갖게 한다. 쌀눈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물 공급을 중단하고 수분을 유지해야 할 때는 공기가 잘 통하지 않으면 부패 할 수 있다. 이 점을 감안하여 뚜껑(10)은 그물형으로 만들어서 필요시에는 물에 적신 천등으로 덮어서 수분 유지 및 공기도 통하게 하였다. 쌀통(11)의 용기는 망사형으로 만들어 쌀과 용기의 밀착을 줄였고 공기도 통하게 하였다. 윗물통(13)과 쌀통(11)은 수분 유지 시 물은 빠지고 없기 때문에 공간이 생겨서 공기가 잘 통하게 되어 부패를 막을 수 있다. 아랫물통(14)에서 윗물통(13), 물분산기(12), 쌀통(11), 뚜껑(10)을 각각 들어내어 분리 할 수 있고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들어 얹어 조립할 수 있다. 수분 유지를 위하여 물을 뺄 때에는 배수구(16)를 열고 양수기와 기포발생기(20)의 전원을 끄면 쌀통(11)의 물과 윗물통(13)의 물은 송수관 끝부분(18)을 통하여 아랫물통(14)의 물과 함께 배수구(16)를 통하여 밖으로 배수된다. 용기에 물을 채울 때는 배수구(16)을 막고 쌀통(11)으로 물을 부으면 송수관 끝부분(18)을 통해 아랫물통(14)에 물이 공급된다. 집수정 및 운반용기(15)는 하수구와 거리가 먼 곳에 쌀눈 발아제조 용기를 두었을 때 집수정 역할을 하며 급수 및 윗물통 쌀통을 담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용기로 사용한다. 발아 과정에 하수구와 가까운 곳에 쌀눈 발아제조 용기를 둘 때는 집수정 및 운반용기(15) 부분은 제거해서 사용하면 편리하다. 송수관 끝 부분(18)은 부드럽고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서 조립시에는 윗물통(13), 물분산기(12), 쌀통(11), 뚜껑(10)의 무게에 눌림으로 틈을 없게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되고 송수가 잘 되게 한다. 또 구멍을 내고 내부로 날개를 만들어 물이 올라 갈 때는 구멍이 막히고 물이 빠질 때는 구멍이 열려 윗물통(13)으로 공기가 통하게 한다. 물분산기(12)는 송수 된 물을 넓게 퍼지게 하는 기구이다. 양수기와 기포발생기(20)는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기포발생기는 물속에 공기방울을 만들어 보낸다. 시간조절기(21)는 물공급과 수분 유지의 시간을 조절 한다. 가열 및 감지기(22)는 수온을 25°∼29°로 유지시켜 발아에 도움을 준다.
쌀눈 발아 제조 용기로 쌀눈을 발아시키는 과정에 흐르는 성질을 띤 물 속에 쌀눈 쌀을 침수시켜서 쌀에 잔류 농약 등 오염물질을 줄이거나 제거하며 쌀눈 발아를 가정에서 필요한 양 만큼 신선하게 직접 만들어 먹으므로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입 단면도
제2도는 전개도
제3도는 송수관 끝 부분(18)의 입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뚜껑(그물형으로 만들어 필요시 물에 적신 천 등으로 덮는다.)
11 : 쌀통(망사형으로 만들어 물과 공기를 잘 통하게 한다.)
12 : 물분산기(송수된 물을 넓게 분산시킨다.)
13 : 윗물통(상단부분에 구멍을 내어 올라 온 물이 넘치게 한다.)
14 : 아랫물통(상단부분에 구멍을 내어 공기가 잘 통하게 한다.)
15 : 집수정 및 운반 용기
16 : 배수구
17 : 송수관
18 : 송수관 끝 부분(탄력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서 기구 조립 시 윗물통(13)과 물분산구(12), 쌀통(11)의 무게에 눌림으로 틈을 없게 하여 누수를 막고 송수가 잘되게 함. 구멍을 내어 내부 쪽에 날개를 만들어 물이 올라 갈 때는 구멍이 막히고 물이 빠질때는 구멍이 열려 윗물통(13)으로 공기가 통하게 한다.)
19 : 항균필터(떨어지는 물이 통과 할 때 이물질 등을 걸러준다.)
20 : 양수기와 기포발생기(기포발생기는 수분 유지시 아랫물통(14)에 기포를 공급하여 물을 움직이게 한다.)
21 : 시간조절기(필요시 시간을 조절하여 양수기를 작동한다.)
22 : 가열 및 감지기

Claims (1)

  1. 가정에서 쉽게 쌀눈을 발아시킬 수 있는 발아 제조용기로 하단과 상단에 물통을 두고 물을 올려서 넘쳐 떨어지게 하는 순환 작용부.
    상기 순환 작용부 상단에 망사형 용기에 쌀을 두어서 물에 잠기게 하고 쌀 사이로 물이 움직이게 하는 침수부.
    아랫물통에 구멍을 내어 침수부를 통과한 물이 아래로 떨어질 때 공기와 접하게 하고 항균필터를 통과하며 깨끗하게 되는 정화수단.
    기구에 청소 및 관리를 쉽게 하는 편리한 분리와 조립수단.
    온도 유지 장치와 배수와 운반을 편리하게 하는 용기.
    상기 내용을 포함하는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KR20-2004-0032574U 2004-11-12 2004-11-12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KR200376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574U KR200376318Y1 (ko) 2004-11-12 2004-11-12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574U KR200376318Y1 (ko) 2004-11-12 2004-11-12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318Y1 true KR200376318Y1 (ko) 2005-03-10

Family

ID=4367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574U KR200376318Y1 (ko) 2004-11-12 2004-11-12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3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231Y1 (ko) 자동 급수 화분
TWI663908B (zh) 水栽托盤和水栽系統
JP2013150591A (ja) 植物の栽培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に用いる培地、栽培槽および栽培装置
CN105684868A (zh) 一种水培植物墙栽植方法及装置
KR100675405B1 (ko)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GB2545163A (en) A plant growing system for static solution hydroponics
KR200376318Y1 (ko)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KR101519965B1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KR200362129Y1 (ko)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CN203575199U (zh) 储水花盆
FR2498887A1 (fr) Dispositif hydroponique
KR200406343Y1 (ko) 침수식 콩나물 재배상자 배수구의 개폐장치
KR101614818B1 (ko) 화분 급수장치
WO1998027804A1 (en) Self-watering plant containers
CN209017520U (zh) 一种润灌栽培设施
CN206005322U (zh) 一种喷洒与漫灌结合式花盆
CN206586040U (zh) 一种渗灌节水花盆
JP4313616B2 (ja) 養液栽培装置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TWM547246U (zh) 豆芽培育裝置
KR200361444Y1 (ko)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JPH11318216A (ja) 定水位底面給水式植物栽培装置または水飲み給水装置関係品
JP6705795B2 (ja) 栽培装置及び栽培システム
KR102406445B1 (ko)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및 배수 구조
CN218604131U (zh) 果蔬种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