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803Y1 -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 Google Patents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5803Y1 KR200375803Y1 KR20-2004-0032247U KR20040032247U KR200375803Y1 KR 200375803 Y1 KR200375803 Y1 KR 200375803Y1 KR 20040032247 U KR20040032247 U KR 20040032247U KR 200375803 Y1 KR200375803 Y1 KR 2003758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ture
- iron plate
- pipe
- steel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고정구에 사용되는 철근을 대체하기 위하여 고안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판의 양 끝부분을 말아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관(管)형상으로 되게하고, 상기 철판의 양 끝부분 사이에는 간극을 두는 한편 상기 관의 외측표면에는 리브를 돌출되게 형성한 철판 강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중량이 가벼운 철판을 이용하여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는 한편 작업자가 상기 고정구를 소지하고 이동하기가 용이하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관의 형상으로 인해 벤딩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판 강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로서, 특히 철판을 말아서 중공의 관(管)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관의 외측표면에는 리브를 돌출하여 형성한 철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해 압축강도가 큰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는 압축강도는 우수하나 인장강도가 약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철근이 사용된다. 상기 철근은 콘크리트 타설시 미리 거푸집내부에 시방서에서 지시된 갯수만큼 설치가 되는데, 이때 상기 철근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속칭 대근 또는 늑근이라고 하는 철근 고정구가 사용되게 된다.
종래의 고정구(10)는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철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다음 이를 벤딩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철근에 부착되어 사용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철근의 가격이 고가인 한편, 그 중량 또한 무거워서 작업하기가 힘들고, 운반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철근은 강도가 높아 벤딩할 때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경량이면서 가격이 저렴한 철판을 관(管)형상으로 형성함에 의해 중량이 가벼워서 작업성이 양호하고, 운송비가 적게 소요되는 한편 상기 철판의 우수한 변형성에 의해 벤딩 작업 또한 용이하게 되는 철근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철판의 양 끝부분을 말아서 중공의 관(管)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철판에는 콘크리트와의 접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리브를 돌출하여 형성한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에 있다.
이때, 상기 철판의 양 끝부분 사이에 간극을 두어 상기 간극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되게 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철판에 콘크리트와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연을 도금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철근 대신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판을 말아서 관(管)형상으로 만들어 이를 벤딩하여 철근 고정구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철근 고정구(20)는 철판 본체(21)를 도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방향에서 말아서 관형상으로 만들게 된다. 이때 후술하는 리브(22)가 형성되게 된다.
상술한 바에 의해 형성된 관 형상의 철판(21)은 도 2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형상은 일반 철근과 같이 관(管)의 형상이나 그 내부는 일반 철근과는 달리 비어있다. 상기 비어있는 형상으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벤딩이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워서 작업자가 소지하고 이동하기가 편리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구는 그 내부가 비어있어 강도가 약할 수 있가 있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23)을 형성하였다. 상기 간극(23)은 철판(21)을 원형 형상으로 형성할 때 상기 철판(21)의 양 끝부분을 연결되게 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두게하여 형성된다.
상기 간극(23)이 형성됨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간극(23)부분을 통하여 본 고안의 고정구(20)내부에 주입되게 되고 그 주입된 콘크리트가 양생되게 되면 철판으로만 이루어진 본 고정구의 강도가 그 콘코리트에 의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구(20)의 외측표면에는 리브(22)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리브(2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와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철판을 말아서 관형상으로 형성함에 의해 고정구를 만드는 것으로서, 상기 철판이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여 종래의 철근보다 작업성이 우수하고 운송비도 저렴하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구는 그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이어서 종래의 철근보다 용이하게 벤딩할 수 있고 또한,미리 공장에서 현장에 소요되는 규격에 맞게 제작하여 현장에 투입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철판을 이용하게 되는데, 콘크리트와의 접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리브(22)를 형성하였다. 상기 리브(22)는 철판(21)의 외부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리브(22)에 의해 콘크리트와 철판(21)과의 마찰력이 증대되고 상기 증대된 마찰력에 의해 콘크리트와 본 고안의 고정구(20)가 보다 견고하게 상호 접합되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철판의 경우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본 고안과 같이 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경우 그 콘크리트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으로 인하여 녹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이때, 상기 녹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상기 철판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고정구(20)와 접합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철판에 아연 도금을 하였다.
아연도금이라고 하는 것은 철판에 아연을 도금하는 것으로서, 상기 아연도금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내부식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상기 아연도금은 그 외관은 수려하지 아니하나 본 고안과 같은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사용되기 때문에 수려한 외관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아연도금을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 보다 콘크리트와 접합이 잘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게 되면, 경량이면서 가격이 저렴한 철판을 이용하여 관(管)형상으로 형성하여, 종래 철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한편 중량이 가벼워서 작업자가 들고 이동하기가 편리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운송비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공간이 비어있는 형상에 의해 종래 철근보다 벤딩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용상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작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철근 고정구 20 : 본 고안의 고정구
21 : 철판 22 : 리브
23 : 간극
Claims (4)
- 철근을 고정하는 고정구로서,상기 고정구는 철판(21)의 양 끝부분을 말아서 중공의 관(管)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외측표면에 리브(22)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 철근을 고정하는 고정구로서,상기 고정구는 철판(21)의 양 끝부분을 말아서 중공의 관(管)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철판(21)의 양 끝부분사이에 간극(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을 형성하는 철판(21)에 아연도금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2247U KR200375803Y1 (ko) | 2004-11-15 | 2004-11-15 |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2247U KR200375803Y1 (ko) | 2004-11-15 | 2004-11-15 |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4417A Division KR20050034653A (ko) | 2005-01-18 | 2005-01-18 |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5803Y1 true KR200375803Y1 (ko) | 2005-03-11 |
Family
ID=4367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32247U KR200375803Y1 (ko) | 2004-11-15 | 2004-11-15 |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5803Y1 (ko) |
-
2004
- 2004-11-15 KR KR20-2004-0032247U patent/KR20037580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1866B1 (ko) | ㄱ형강을 이용한 선조립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 |
EP1517774B1 (en) | Method for providing attachments between a concrete part to a further part | |
KR100389114B1 (ko) |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 |
CN114072560B (zh) | 钢合性混凝土部件用预装配钢筋组装体和轻型永久铸模的结合结构 | |
WO2008030009A1 (en) | Interior/exterior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984407B1 (ko) | 바닥 구조 | |
CN213449279U (zh) | 建筑用石材板固定具 | |
KR200375803Y1 (ko) |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 |
KR20050034653A (ko) | 철판 가공관을 이용한 철근 고정구 | |
JP3870180B2 (ja) | 柱梁接合構造 | |
KR101736594B1 (ko) |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 |
JP2011052485A (ja) | 補強梁受け金物 | |
CN210562651U (zh) | 一种预制混凝土墙板与建筑主体的装配式连接结构 | |
CN211341177U (zh) | 阳台板与预制外墙挂板的连接节点 | |
CN210500792U (zh) | 一种预制混凝土构件间的双管型钢筋连接结构 | |
CN206971482U (zh) | 一种装配式墙体的顶部连接卡件 | |
JP2012246676A (ja) | 機械式鉄筋継手 | |
KR200268380Y1 (ko) |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 | |
CN213062634U (zh) | 一种装配式建筑用折弯件下圈梁 | |
KR200327065Y1 (ko) | 난간동자 | |
CN215106576U (zh) | 一种预应力钢筋混凝土梁体构造 | |
JP2598811Y2 (ja) | スペーサー | |
CN109183980B (zh) | 快装式房屋 | |
KR200332938Y1 (ko) | 조립식 데크패널의 체결구조 | |
KR940003073B1 (ko) | 금속박판이 피복된 구조용 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