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687Y1 - 패류용 가두리 시설 - Google Patents

패류용 가두리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687Y1
KR200375687Y1 KR20-2004-0033267U KR20040033267U KR200375687Y1 KR 200375687 Y1 KR200375687 Y1 KR 200375687Y1 KR 20040033267 U KR20040033267 U KR 20040033267U KR 200375687 Y1 KR200375687 Y1 KR 200375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fixed
buoyancy member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화
고정봉
고지영
Original Assignee
고지영
고정봉
고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영, 고정봉, 고경화 filed Critical 고지영
Priority to KR20-2004-0033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류용 가두리 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두리 시설은, 일측에 부구가 연결되어 있는 상부중심판과; 내부가 빈 다수 개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가 내측으로 서식공간을 형성한 채 조립되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는 내부가 연통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 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중심판에 상단이 고정되어 있는 부력구조물과; 부력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중심판과; 부력구조물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발판이 설치되어 있는 바닥구조물과; 바닥구조물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패류가 서식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양식함과; 일측은 부력구조물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공급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 일측은 부력구조물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배출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배출관;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적조, 파도, 천적으로부터 가두리 내부의 패류를 보호할 수 있고, 상승 또는 하강시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으며, 패류가 도난, 분실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패류용 가두리 시설{THE CRAWL FACILITY FOR SHELLFISH}
본 고안은 패류용 가두리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복, 조개 등의 패류를 양식하기 위한 방법으로 육상 수조를 이용한 양식 방법 이나 해수 표면층에서 양식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육상 수조를 이용한 양식은 육상에 시설물을 설치한 후 해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시설물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어려웠다.
또, '전복 양식 용구'(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6641호)와 같이 해수 표면층에서 양식하는 방법이 안출되었으나, 적조 등에 의해 패류가 폐사하거나 악천후 시 강한 파도 등에 의해 시설물이 파손되고, 양식중인 패류를 도난당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바다 밑바닥에 구조물을 침강시켜 양식하는 '연해안천해저용 어류·어패 양축 가두리'(한국 특허공고 특1992-0000484)가 안출되었다.
위 시설은 바다 밑바닥에서 패류를 양식하고 필요시 부양함(100)에 공기를 공급, 배출시켜 부력에 의해 시설물을 바다 위로 부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시설물의 상승, 하강시 균형을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시설물이 바다 밑바닥에 안착되어 불가사리 등의 천적으로부터 패류를 보호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패류용 가두리 시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패류 양식을 위한 가두리 시설을 수중에 위치시켜, 적조나 파도 등에 의한 기후적 요인과 바다 바닥에 주로 서식하는 천적으로부터 가두리 내부의 패류를 보호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부력구조물 관내의 공기와 물의 공급, 배출을 통해 가두리를 일정 위치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되 상승 또는 하강시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양식함을 부력구조물 내부에 고정시켜 양식함으로써 패류가 도난 또는 분실되지 않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고안은 패류용 가두리 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두리 시설은 수중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켜, 적조, 파도, 천적 등으로부터 양식중인 패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부력구조물 관내의 공기와 물의 공급, 배출에 따라 수직 이동할 수 있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가 모두 연결되어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 개의 양식함을 내부에 고정시켜 패류를 대량 양식할 수 있게 되고, 양식 도중 패류를 분실하거나 도난 당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패류용 가두리 시설은, 일측에 부구가 연결되어 있는 상부중심판과; 단단한 재질의 내부가 빈 다수 개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가 내측으로 서식공간을 형성한 채 조립되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는 내부가 연통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 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중심판에 상단이 고정되어 있고,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 내부의 공기 양에 따라 수중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부력구조물과; 부력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질량이 큰 물질로 형성되어 있어 부력구조물의 무게중심을 잡도록 된 하부중심판과; 부력구조물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발판이 설치되어 있는 바닥구조물과; 바닥구조물 위에 설치되되 고정장치에 의해 바닥구조물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패류가 서식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양식함과; 일측은 부력구조물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공급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 일측은 부력구조물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배출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배출관;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상부중심판(10)은 일측에 부구(11)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중심판(10)은 질량이 큰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스틸 판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중심판(10)의 예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면 위로 떠오르는 부구(11)와 체인, 로프 등의 줄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부중심판(10)의 평면 형태는 원형 이외에 다양한 각형, 구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상부중심판(10)에 크레인인양고리(12)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크레인인양고리(12)는 본 고안의 가두리를 크레인으로 강제로 들어올릴 때 크레인의 고리를 걸도록 되어 있다.
또, 크레인인양고리(12)는 상부중심판(10)에 완전 고정하지 않고 간격부재(12a) 등을 이용해 약간 유동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부력구조물(2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단한 재질의 내부가 빈 다수 개의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가 내측으로 서식공간을 형성한 채 조립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서식공간임을 알 수 있다.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는 내부가 연통되어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에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과정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러한 부력구조물(2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중심판(10)에 상단이 고정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 물배출구(23)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 내부에 공기가 공급 배출됨에 따라 수중의 물이 배출 또는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 내부의 공기 양에 따라 수중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물배출구(23)에 물배출밸브(23a)를 달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물배출밸브(23a)를 여닫음으로써 부력구조물(20) 내부에 물의 출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부력구조물(20)에 유입되는 물이 균등하게 들어오도록 하기 위해 각 수평부력부재(21)에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된 물분배관(23b)을 연결한 후 물분배관(23b) 일측에 물배출구(23)와 물배출밸브(23a)를 형성하게 되면 물이 수직부력부재(22)에 골고루 유입 또는 배출된다.
또는, 수평부력부재(21)가 부력구조물(20) 하부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별도의 물분배관(23b)을 형성하지 않고, 수평부력부재(21)에 물배출구(23)와 물배출밸브(23a)를 설치해도 된다.
이때, 부력구조물(20)의 구성요소인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를 물보다 비중이 큰 재질과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의 관을 일정한 질량 비율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부력구조물(20) 내부에 공기가 가득찬 상태에서는 수면 위로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일정량의 물이 부력구조물(20) 내부에 들어갔을 때는 수중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는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되며,
특히, 스테인레스 관 등과 같이 물보다 비중이 큰 부재와 폴리에틸렌 관 같이 물보다 비중이 작은 부재를 일정한 비율로 조절해 부력구조물(20) 내부에 공기를 과도하게 공급하거나 배출시키지 않아도 부력구조물(20)이 수중에서 상하로 쉽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다수 개의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가, 내부가 연통된 채 조립된 부력구조물(20)은 기존의 가두리에서 선보인 부력부재, 에어링 등이 설치된 것과는 차별된 것으로 수중에서의 균형 유지가 훨씬 쉽고, 상하로 이동 중에도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부력구조물(20)의 예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상부중심판(10)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서식공간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제1수직부력부재(22a)와;
상기 제1수직부력부재(22a)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식공간의 둘레를 따라 튜브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1수평부력부재(21a)와;
상기 제1수평부력부재(21a)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제1수평부력부재(21a)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2수직부력부재(22b)와;
상기 제2수직부력부재(22b)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식공간의 둘레를 따라 튜브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2수평부력부재(21b)와;
상기 제2수평부력부재(21b)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제2수평부력부재(21b)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3수직부력부재(22c)와;
상기 제3수직부력부재(22c)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식공간의 둘레를 따라 튜브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3수평부력부재(21c)와;
상기 제3수평부력부재(21c)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서식공간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4수직부력부재(22d);로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부력구조물(20)의 중앙이 불룩한 구조를 이룬 것이다.
이때, 수평부력부재(21)가 설치된 부력구조물(20)의 평면 형태는 원, 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의 갯수를 줄이거나 늘려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은 상부중심판(10)과 제1수직부력부재(22a)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중심판(10)에 하부가 고정되고,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25)을 구비한 후,
브라켓(25)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에 일치되도록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28)를 끼워 볼트(26)로 체결하고,
제1수직부력부재(22a)의 끝을 플랜지(27)로 용접 고정하고, 플랜지(27)에 플레이트(28)의 일측 끝을 용접 고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은 제1수직부력부재(22a)가 볼트(26)를 축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은 실시예는 제1수직부력부재(22a)와 상부중심판(10)을 연결하는 수많은 연결방법중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상부중심판(10)에 제1수직부력부재(22a)가 삽입되는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제1수직부력부재(22a)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해 상부중심판(10)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나사결합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고무바킹 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수직부력부재(22a) 끝단에 플랜지(27)를 용접 고정하고, 브라켓(25)을 플랜지(27)와 상부중심판(10)에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제1수직부력부재(22a)와 제2수직부력부재(22b)가 제1수평부력부재(21a)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수평부력부재(21a)의 상부와 하부에 홀을 형성한 후 연결관을 홀에 용접 고정한 후 연결관과 제1수직부력부재(22a), 연결관과 제2수직부력부재(22b)를 서로 맞댄 후 조립플랜지(29)와 볼트(26), 고무바킹으로 연결, 고정하였다.
이를 위해 조립플랜지(29)는 연결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위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제1수평부력부재(21a)에 홀을 형성한 후 제1수직부력부재(22a), 제2수직부력부재(22b)를 홀에 끼워 용접 고정하는 방법으로 연결,고정시킬 수도 있다.
기타 조립방법으로는 서로 조립되는 관의 일측은 직경을 크게 하여 한쪽 관을 다른쪽 관에 삽입한 후 외부고무바킹 등으로 삽입부위를 밀폐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연결방법은 기타 다른 수직부력부재(22)와 수평부력부재(21)의 연결 방법에 같이 적용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하부중심판(30)은 부력구조물(2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중심판(30)은 상부중심판(10)과 마찬가지로 질량이 큰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스틸 판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중심판(30)이 부력구조물(20)에 조립되는 예는 위에서 상부중심관이 부력구조물(20)에 조립되는 방법과 같이 최하단의 수직부력부재(22) 끝단에 플랜지를 용접고정하고,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28) 일측을 플랜지(27)에 용접 고정시킨 후 플레이트(28) 양측에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25)을 달아 볼트(26)로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력구조물(20) 최하단의 수직부력부재(22)가 하부중심판(30)으로 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 수직부력부재(22) 끝단에 플랜지를 용접고정한 후 브라켓으로 플랜지와 하부중심판(30)을 용접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바닥구조물(40)은 부력구조물(20)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발판(43)이 설치되어 있다.
바닥구조물(40)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부력부재(21)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외부프레임(41)과;
외부프레임(41)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연결부재(42);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외부프레임(41)과 수평부력부재(21)와의 고정방법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프레임(41)에 연결관을 용접 고정한 후 플랜지를 연결관에 용접 고정하고,
외부프레임(41)에도 연결관과 플랜지를 용접고정한 후 각각의 플랜지를 볼트체결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이밖에도 외부프레임(41)을 수평부력부재(21)에 직접 용접고정할 수도 있고, 외부프레임(41)과 수평부력부재(21)에 연결관을 용접 설치한 후 연결관에 플랜지를 맞댄후 용접 고정하거나 연결관끼리 용접 고정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외부프레임(41)은 도면과 같이 각관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갖는 스틸부재나 스테인레스스틸 부재, 폴리에틸렌 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바닥구조물(40)의 구성으로 위와 같이 외부프레임(41)과 다수 개의 연결부재(42)로 형성하는 방법 이외에도 상부 하중에 대해 지탱할 수 있는 구조의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발판(43)은 양식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각종 발판을 사용할 수 있는데 물의 투수가 쉽도록 다수 개의 출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을 조립하여 설치하면 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양식함(50)은 바닥구조물(40) 위에 설치되되 고정장치에 의해 바닥구조물(40)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패류가 서식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양식함(5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키는 덮개(51)와 케이스(52), 그리고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53)로 구성할 수 있다.
덮개(51)는 경첩 등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케이스(52)에는 다수 개의 출수구(5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출수구(52a)를 통해 바닷물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양식되는 패류에게 신선한 바닷물이 공급되게 된다.
이때, 출수구(52a)의 크기는 케이스(52) 내부의 패류가 케이스(52) 밖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칸막이(53)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52) 내벽에 걸림턱(54)이 양측에 설치되어 있어 걸림턱(54)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설치된다.
칸막이(53)를 설치하게 되면 패류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좁은 공간에 다수의 패류를 양식할 수 있게 된다.
양식함(5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되어 있는 그릴형, 팔레트 형 등 다양한 형태의 양식함(50)을 설치할 수 있다.
고정장치(6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심함(50)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61)와,
고정부재(61)의 볼트구멍에 끼워진 후 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부재를 양식함(50) 위에 고정시키는 고정봉(6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봉(62) 하부는 바닥구조물(40)에 볼트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러한 양식함(50)은 다수 개의 층으로 적층시킬 수도 있다.
이때는 최상단의 양식함(50) 상부에 고정부재(61)를 얹은 후 고정봉(62) 상부를 최상단의 고정부재(61)에, 하부를 바닥구조물(40)에 고정시킴으로써 양식함(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 고정부재(61)를 각층의 양식함(50) 상부에 얹은 후 층을 이룬 고정부재(61)를 고정봉(62)으로 바닥구조물(4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장치는 다수 개의 양식함(50)을 한번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설명은 고정장치(60)의 다양한 구성 방법 중 한 예에 불과한 것으로 양식함(50)의 상부와 측면을 묶는 로프나 와이어로 구성할 수도 있고, 다수 개의 양식함(50) 상부를 덮는 판을 구비한 후 판을 부력구조물(20)이나 바닥구조물(40)에 볼트 등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공기공급관(70)은 부력구조물(20)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공기공급밸브(71)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부의 부구(11)에 고정된다.
공기공급관(70)의 끝단은 부력구조물(20) 하부의 수직부력부재(22) 또는 수평부력부재(21)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공기공급관(70)을 최하단의 수직부력부재(22)에 설치한 경우이다.
이때, 부력구조물(20)의 하부로 보다 균등하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공급을 각 수직부력부재(22)로 분배하는 분배기를 설치하거나 수직부력부재(22) 사이를 연결하는 고무관 등을 설치한 후 고무관 일측에 공기공급관(70)을 연결하거나 수평부력부재(21)에 공기공급관(7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공기배출관(80)은 부력구조물(20)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공기배출밸브(81)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부의 부구(11)에 고정된다.
공기배출관(80)과 부력구조물(20)이 연결되는 위치는 제1수직부력부재(22a) 나 제1수평부력부재(21a)와 같이 최상부의 수직부력부재(22) 또는 수평부력부재(21)에 연결된다.
이때, 상부에 수평부력부재(21)가 없는 경우 도 3과 같이 공기분배관(82)으로 수직부력부재(22) 사이를 연결한 후 공기분배관(82)에 연결할 수도 있다.
위의 공기공급관(70)과 공기배출관(80)은 각각 타측이 상부의 부구(11)와 연결되는데, 부력구조물(20)의 외측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부력구조물(20)의 내측으로 설치하고 상부중심판(10)에 구멍을 뚫어 상부중심판(10)의 구멍을 통과한 후 부구(11)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두 관을 커플링 등으로 묶고, 부구(11)에 연결된 쪽에도 공기공급밸브(71)와 공기배출밸브(8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력구조물(20) 또는 바닥구조물(40)에 고정추(91)와 앵커(9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고정추(91)는 로프나 체인 등의 줄에 의해 부력구조물(20)에 연결되어 부력구조물(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보조 역할을 한다.
고정추(91)를 부력구조물(20)이나 바닥구조물(40)에 연결하는 시점은 본 고안의 가두리 시설이 수중에 위치를 잡은 후 설치할 수도 있고, 부력구조물(20), 바닥구조물(40)에 먼저 연결한 후 가두리 시설의 위치를 세팅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추(91)는 설치후 상태가 가두리 시설에 탱탱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90)는 고정추(91)와 마찬가지로 부력구조물(20)에 로프나 체인 등의 줄로 연결되어 있으며, 수중 해류의 흐름에 의해 부력구조물(2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부력구조물의 외부에 그물망(24)을 설치할 수 있다.
그물망(24)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력구조물의 상측면에만 설치하면 된다.
물론 전체 부력구조물을 다 덮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바닥구조물(40)의 발판에 의해 하부가 막혀 있으므로 바닥구조물(40) 위치까지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그물망(24)을 고정하는 방법은 부력구조물(20)의 각 관절부위를 이용하거나 끈이나 고리 등을 이용해 고정할 수 있다.
그물망(24)은 여러 가지 효과를 갖게 되는데, 먼저 수중을 통합 외부 침입을 막는 보조 역할을 한다.
즉, 그물망(24)과 고정장치(60) 등에 의해 외부에서 패류를 도난하기 힘들게 되는 것이다.
또, 그물망(24)의 그물 간격을 작게 할 경우 양식함(50) 내부의 패류가 양식함(50) 밖으로 이탈하게 되더라도 그물망(24)에 의해 외부로 도망가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그물망(24)의 간격을 작게 형성할 경우 위와 같은 양식함(50) 대신 덮개가 없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야행성인 패류의 성격상 야간에는 부력구조물 내부의 서식공간에서 활동하다 주간에는 양식함(50)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부구(11)는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자가발전식 램프나 야광판를 설치해 야간에 가두리 시설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게 하는 것이 좋다.
또, 상부중심판(10)과 부구(11)를 연결하는 줄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킹물을 달면 부력구조물(20)의 수중 위치가 몇 미터 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하는 과정은, 먼저 상부중심판(10)에 부력구조물(20)의 수직부력부재(22)를 고정시킨 후 수직부력부재(22)에 수평부력부재(21)를 조립하는 방법으로 계속 조립한 후 하단의 수직부력부재(22)에 하부중심판(30)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진행하면 된다.
공기공급관(70)과 공기배출관(80) 등의 설치는 부력구조물(20) 설치 전, 후에 상관없이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부중심판(10)에 홀을 뚫은 후 공기공급관(70)과 공기배출관(80)이 홀을 통해 상부의 부구(11)와 연결되도록 해 공기공급관(70) 및 공기배출관(80)이 외부로부터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두리 시설을 수중의 소정 위치로 침강시킬 때는 상부의 공기배출밸브(81)를 개방한 후 침강시키면 부력구조물(20)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밸브(8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부력구조물(20) 하부부터 물이 유입되면서 부력구조물(20)이 침강하게 된다.
원하는 일정 깊이에 도달하게 되면 공기배출밸브(81)를 잠궈 내부의 공기가 더이상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 후 부력구조물(20) 하부에 앵커(90)와 고정추(91)를 달아 해류 등에 의해 부력구조물(2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일정 깊이 이후 계속 침강할 경우에는 공기공급밸브(71)를 개방한 후 가두리 시설이 더이상 가라앉지 않을 때까지 외부에서 공기를 불어넣으면 된다.
가두리 시설을 수면 위로 상승시키고자 할 때는 공기공급밸브(71)를 열고 공기를 공급하면서 공기배출밸브(81)를 닫게 되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양식함(50)의 패류가 완전히 성장한 이후 가두리 시설을 상승시켰을 때 양식함(50)의 위치가 해수면보다 다소 높도록 부력구조물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하강, 상승시키는 구성은 부력구조물(20)이 침강이나 상승 중에 부력구조물(20) 내부의 공기가 균등하게 상부부터 채워진 상태가 되므로 안전하게 원하는 위치에 세팅할 수 있게 된다.
또, 원하는 위치에 부력구조물(20)을 위치시킨 후에도 단단한 재질로 된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에 의해 그물이 고정되어 있어 파도나 해류 등에 의해 그물이 요동치지 않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양식함(50) 내부의 패류에 먹이를 공급하는 방법은 위와 같이 가두리 시설을 상승시켜 양식함(50) 내부에 직접 먹이를 공급할 수도 있고, 사료공급라인을 형성하여 가두리 시설을 부양시키지 않은 채 양식함(50)에 사료가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적조나 파도 등에 의한 기후적 요인과 바다 바닥에 주로 서식하는 천적으로부터 가두리 내부의 패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부력구조물 관내의 공기와 물의 공급, 배출을 통해 가두리를 일정 위치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되 상승 또는 하강시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 개의 양식함을 부력구조물 내부에 고정시켜 양식함으로써 다수의 패류를 도난, 분실의 위협 없이 양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패류용 가두리 시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패류용 가두리 시설의 분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가두리 시설의 부력구조물과 바닥구조물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가두리 시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개략도.
도 5는 본 고안 가두리 시설 상부중심판에 크레인인양고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가두리 시설 상부중심판과 부력구조물이 연결된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 가두리 시설 상부중심판과 부력구조물의 연결된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 가두리 시설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가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부력구조물에 양식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 가두리 시설의 양식함을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상부중심판 11 : 부구
12 : 크레인인양고리 12a : 간격부재
20 : 부력구조물 21 : 수평부력부재
21a : 제1수평부력부재 21b : 제2수평부력부재
21c : 제3수평부력부재 22 : 수직부력부재
22a : 제1수직부력부재 22b : 제2수직부력부재
22c : 제3수직부력부재 22d : 제4수직부력부재
23 : 물배출구 23a : 물배출밸브
23b : 물분배관 24 : 그물망
25 : 브라켓 26 : 볼트
27 : 플랜지 28 : 플레이트
29 : 조립플랜지 30 : 하부중심판
40 : 바닥구조물 41 : 외부프레임
42 : 연결부재 43 : 발판
50 : 양식함 51 : 덮개
52 : 케이스 52a : 출수구
53 : 칸막이 54 : 걸림턱
60 : 고정장치 61 : 고정부재
62 : 고정봉 70 : 공기공급관
71 : 공기공급밸브 80 : 공기배출관
81 : 공기배출밸브 82 : 공기분배관
90 : 앵커 91 : 고정추
100 : 부양함

Claims (7)

  1. 가두리 시설에 있어서,
    일측에 부구가 연결되어 있는 상부중심판과;
    단단한 재질의 내부가 빈 다수 개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가 내측으로 서식공간을 형성한 채 조립되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는 내부가 연통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 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중심판에 상단이 고정되어 있고,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 내부의 공기 양에 따라 수중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부력구조물과;
    상기 부력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질량이 큰 물질로 형성되어 있어 부력구조물의 무게중심을 잡도록 된 하부중심판과;
    상기 부력구조물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발판이 설치되어 있는 바닥구조물과;
    상기 바닥구조물 위에 설치되되 고정장치에 의해 바닥구조물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패류가 서식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양식함과;
    일측은 상기 부력구조물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공급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
    일측은 상기 부력구조물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배출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패류용 가두리 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조물 또는 하부중심판에 앵커와 고정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용 가두리 시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조물의 외부에 그물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용 가두리 시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부력구조물은 물보다 비중이 큰 재질로 된 파이프와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된 파이프가 일정한 질량 비율을 가진 채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용 가두리 시설.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조물은,
    상부가 상부중심판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서식공간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제1수직부력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력부재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식공간의 둘레를 따라 튜브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1수평부력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력부재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제1수평부력부재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2수직부력부재와;
    상기 제2수직부력부재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식공간의 둘레를 따라 튜브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2수평부력부재와;
    상기 제2수평부력부재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제2수평부력부재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3수직부력부재와;
    상기 제3수직부력부재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식공간의 둘레를 따라 튜브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3수평부력부재와;
    상기 제3수평부력부재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서식공간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끝단이 하부중심판에 고정되어 있는 제4수직부력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용 가두리 시설.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구조물은 수평부력부재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외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용 가두리 시설.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양식함이 다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패류용 가두리 시설.
KR20-2004-0033267U 2004-11-24 2004-11-24 패류용 가두리 시설 KR200375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267U KR200375687Y1 (ko) 2004-11-24 2004-11-24 패류용 가두리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267U KR200375687Y1 (ko) 2004-11-24 2004-11-24 패류용 가두리 시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822A Division KR100643779B1 (ko) 2004-11-24 2004-11-24 패류용 가두리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687Y1 true KR200375687Y1 (ko) 2005-03-11

Family

ID=4367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267U KR200375687Y1 (ko) 2004-11-24 2004-11-24 패류용 가두리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6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550A (ko) * 2020-09-23 2022-03-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제브라피쉬 치어 행동실험 및 라이브 이미징용 베드 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550A (ko) * 2020-09-23 2022-03-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제브라피쉬 치어 행동실험 및 라이브 이미징용 베드 툴
KR102548371B1 (ko) * 2020-09-23 2023-06-27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제브라피쉬 치어 행동실험 및 라이브 이미징용 베드 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227B1 (ko)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US6044798A (en) Floating aquaculture apparatus
US9737057B2 (en) Containment pens for finfish aquaculture
US5438958A (en) Platform supported mariculture system
US5299530A (en) Submergible fish cage
AU2005302222B2 (en) Containment pens for finfish aquaculture
US10512252B2 (en) Cage farming apparatus
WO2011162861A1 (en) Aquaculture geodesic fish cage
CN111874171B (zh) 模块化空间桁架结构半潜式海上浮式平台
CN104067960A (zh) 可在水上实地组装的外海海域和礁盘内抗风浪养殖网箱系统
RU27212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подвод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0643779B1 (ko) 패류용 가두리 시설
CN109068616B (zh) 鲍鱼养殖设备和方法
KR100643777B1 (ko) 수중 가두리 시설
US6230646B1 (en) Deep ocean, mid-water farming apparatus
WO2018156027A1 (en) Fish farm made of a rigid material
KR200375687Y1 (ko) 패류용 가두리 시설
WO1995014374A2 (en) Platform supported mariculture system
KR20200113515A (ko) 가두리 양식장
KR200374986Y1 (ko) 수중 가두리 시설
KR101947320B1 (ko)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NO346189B1 (en) Fish farming system
KR200375141Y1 (ko)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
NO346190B1 (en) Load-bearing connecting element
KR20060056181A (ko)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