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233Y1 -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233Y1
KR200375233Y1 KR20-2004-0031875U KR20040031875U KR200375233Y1 KR 200375233 Y1 KR200375233 Y1 KR 200375233Y1 KR 20040031875 U KR20040031875 U KR 20040031875U KR 200375233 Y1 KR200375233 Y1 KR 200375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current
output
m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우
Original Assignee
김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우 filed Critical 김철우
Priority to KR20-2004-0031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2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2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 H02H3/066Reconnection being a consequence of eliminating the fault which caused disconn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3/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of short duration, e.g. light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전차단기가 차단이 되었을 때 누전차단기의 차단요인이 실제 누설전류에 의한 차단요인 인지 아니면 낙뢰나 서지전압에 의한 차단요인 인지를 구별하여 실제누설일 경우에만 정확하게 누전차단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주전원차단기가 차단된 이후에는 부하감지기능에 의해 실제누전상태 지속인지 아니면 기후적인 원인으로 일시적인 누전현상(안개, 결로 등)으로 인하여 누전상태가 해소 가되게 되면 상기 주전원 차단스위치(레버)를 기구적인 메커니즘으로 온(ON)동작시켜주는 차단스위치를 소형 기어드모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재투입되도록 함으로써 기존누전차단기와 동일한 특성의 조건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뇌 서지전압에 의한 오동작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 이다

Description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AUTO RESET EARTH LEAKAGE BREAKER HAVING FUNCTION FOR PROTECTING LIGHTNING}
본 고안은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누설전류와 낙뢰나 입력 서지전압에 의한 일시적인 비 누설전류를 구별하여 정확하게 누전차단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누전으로 주전원이 차단(OFF)된 후, 다시 정상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주전원 차단스위치(레버)를 기구적인 메커니즘으로 온(ON)동작시켜주는 차단스위치 복구모터를 동작시켜 자동으로 전원이 재투입되도록 한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누전차단기는 누설전류가 감지되면 주전원을 차단시켜 부하를 보호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누전차단기는 실제 누설전류이외에 낙뢰에 의한 뇌 전압이나 급작스런 서지전압이 입력되어도 이를 누설전류로 오인하여 역시 주전원 차단스위치를 끊어(OFF)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누설전류와 뇌 전압 등의 비 누설전류를 구분하여 실제 누설전류인 경우에만 주전원 차단스위치를 오프할 수 있도록 한 기술도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누전차단기도 무인으로 운용되는 통신기기 또는 기타 전력사용처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누설전류에 의하여 주전원이 차단된 경우, 이를 복구시키기 위해서는 일일이 사용자가 누전 차단스위치를 수동으로 복구(ON)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제품의 신뢰도에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가 개시되었다.
상기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는 누전으로 인하여 차단스위치가 오프된 후에 다시 정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주전원을 릴레이 등의 계전기를 통해 다시 통전시켜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릴레이 스위칭 방식은 접점의 내구성강도 에 따른 에러현상(단락사고 시 화재 등)이 야기되는 등 기존의 누전차단기와 전기적 특성(단시간전류)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안전성이 큰 문제가 되어 현장적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누전차단기의 차단특성은 기존의 누전차단기와 같으나 차단된 누전차단기의 주전원 차단레버스위치를 기구적인 메커니즘으로 차단레버를 복구시키는 구동부를 내장하여 복구동작을 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전원이 재투입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누전차단기와 동일한 특성의 조건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제 누설전류와 낙뢰나 서지전압에 의한 일시적인 비 누설전류를 구별하여 정확하게 누전차단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누전으로 주전원이 차단(OFF)된 후, 다시 정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주전원 차단스위치를 기구적인 메커니즘으로 온(ON)동작시켜주는 차단스위치 복구모터를 동작시켜 자동으로 전원이 재투입되도록 하며 과전류겸용 누전차단기일경우에는 바이메탈에 의한과전류 감지기능이 있어 과전류에 의한 차단이 이루어졌을 경우 에는 자동복구가 되지 않고 영구차단 되어서 선로나 부하를 점검한 후 수동으로 레버를 복구를 하게되어있으며 단지 예민하게 오작동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누전에 대하여서만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기능과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주요부분에 대한 출력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전원차단부 20: 누설전류감지부
30: 누전신호처리부 31: 신호증폭부
32: 제1비교부 40: 스위칭부
50: 누설전류차단제어부 60: 비누전신호검출부
61: 파형정형부 62: 제2비교부
70: 출력감지부 80: 신호발생부
90: 전류제한통전부 100: 복구구동부
101: 제3비교부 102: 모터구동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구적 메카니즘 구조에 의하여 구동모터의 동작(회전)에 의해 주전원차단부의 차단스위치(레버)가 온(ON)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전원단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누설전류감지부와; 상기 누설전류감지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누설전류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누전신호처리부와; 상기 누전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누설전류차단제어부로 이송시키며, 스위칭 동작 시에는 상기 누전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누설전류차단제어부로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누전신호처리부 및 스위칭부를 통해 누전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신호 처리하여 주전원 차단부의 트립코일을 여자시켜 주전원차단부를 차단(OFF)하여 주는 누설전류차단제어부와; 상기 주전원차단부의 전원 차단시 부하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여 기동되어 신호발생부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출력감지부와; 상기 출력감지부의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전류제한통전부로 간헐적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주전원차단부의 각 스위치접점에 직렬 연결된 저항 및 스위칭소자를 병렬로 연결하여 통전이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주전원차단부의 오프시 주전원을 부하 측으로 통전시켜주되, 미약한 제한전류(30mA)로 통전되도록 하여 누설전류감지부가 계속하여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제한전류통전부와; 상기 출력감지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누전신호처리부의 신호를 비교하여 누전신호처리부로부터 누전전류가 소멸된 전압이 검출되면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주전원차단부를 강제로 복구시켜주는 복구구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누전차단기는 주전원차단부(10), 누설전류감지부(20), 누전신호처리부(30), 스위칭부(40),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 비누전신호검출부(60), 출력감지부(70), 신호발생부(80), 전류제한통전부(90), 복구구동부(100) 및 과전류감지부(11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자면, 미 도시된 기구적 메카니즘 구조에 의하여 구동모터(M)(소형 기어드 모터)의 동작(회전)에 의해 주전원차단부(10)의 차단스위치(레버)가 온(ON)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M)의 동작에 의하여 미 도시된 차단스위치가 온 동작되는 구성은 얼마든지 설계변경 가능하므로,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구동모터(M)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부분까지만 설명되게 될 것이다.
주전원차단부(10)는 주전원 차단스위치로, 전원입력단(R)(W)에 개재되어 인가되는 주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하여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트립코일의 여자에 의해 스위치 접점이 떨어지거나 구동모터(M)의 동작에 의해 스위치 접점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누설전류감지부(20)는 누설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변류기(ZCT)로 구성되며, 전원단(R)(W)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누전신호처리부(30) 및 비누전신호검출부(60)로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누전신호처리부(30)는 상기 누설전류감지부(2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누설전류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는 누설전류감지부(20)를 통해 입력되는 미약한 전류신호를 증폭하여 주는 신호증폭부(31)와, 이미 설정된 기준신호와 상기 신호증폭부(31)를 통해 입력된 전류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증폭부(31)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기준신호보다 크면 누설전류로 판단하여 소정의 누설전류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32)로 구성된다.
스위칭부(40)는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로 이송시키며, 비누전신호검출부(60)로부터 비누전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로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시킨다.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는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 및 스위칭부(40)를 통해 누전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신호 처리하여 주전원 차단부(10)의 트립코일을 여자시켜 주전원차단부(10)를 차단(OFF)하여 준다.
비누전신호검출부(60)는 상기 누설전류감지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입력받아 구형파로 정형하고 이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 누설전류가 아닌 낙뢰에 의한 뇌 전압이나 서지전압 등의 비누전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누전신호의 경우 상기 스위칭부(40)로 스위치 오프(OFF)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누전신호검출부(60)는 상기 누설전류감지부(2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를 구형파로 정형하는 파형정형부(61)와, 상기 파형정형부(61)를 통해 출력되는 구형파와 이미 설정된 기준 구형파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누전신호 출력을 수행하는 제2비교부(62)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파형정형부(61)를 통해 출력되는 실제 누전신호에 의한 구형파는 도 2의 (a)와 같은 16~17mS 주기와 6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파형이다.
그러나 뇌 전압이나 서지전압과 같은 비누전신호의 구형파형은 도 2의 (b)와 같이 불규칙한 주기 및 주파수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2비교부(62)를 통해 누설전류에 대한 기준값과 상기 파형정형부(61)를 통해 출력되는 파형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입력되는 신호가 누설전류인지 비누설전류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출력감지부(70)는 주전원차단부(10)의 전원 차단시 부하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여 기동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신호발생부(80)로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신호발생부(80)는 상기 출력감지부(70)의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전류제한통전부(90)로 간헐적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한다.
제한전류통전부(90)는 주전원차단부(10)의 오프시 주전원을 부하측으로 통전시켜주되, 미약한 제한전류(30mA)로 통전되도록 하여 누설전류감지부(20)가 계속하여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 제한전류통전부(90)는 주전원차단부(10)의 각 스위치접점에 직렬연결된 저항(R1) 및 스위칭소자(S1)와 저항(R2) 및 스위칭소자(S2)를 병렬로 연결하여 통전이 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신호발생부(80)에서는 상기 스위칭소자(S1)(S2)로 도 2의 (c)와 같은 스위칭신호를 출력한다. 즉 3초 간격으로 0.5초씩 통전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스위칭소자(S1)(S2)의 통전(ON)시에는 전류제한용 저항(R1)(R2)에 의하여 약 30mA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30mA의 전류를 3초 간격으로 0.5초씩 인가하여 주는 이유는 부하에서의 감전이나 장애를 주지 않기 위함이다.
복구구동부(100)는 상기 출력감지부(70)의 출력신호와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의 신호를 비교하여 누전신호처리부(30)로부터 누전전류가 소멸된 전압이 검출되면 구동모터(M)를 구동시켜 주전원차단부(10)를 강제로 복구(ON)시켜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구구동부(100)는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의 신호증폭부(31)의 출력신호와 부하단의 출력감지부(70)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의 신호증폭부(31)의 출력신호가 누설전류가 아닌 정상전류, 즉 15mA이하가 입력되면 차단스위치 복구신호를 출력하는 제3비교기(101)와, 상기 제3비교기(101)의 출력에 의해 구동모터(M)를 동작시키는 모터구동부(100)로 구성된다.
과전류감지부(110)는 2개의 스위치편(111)(112)을 구비하여, 과전류시 전원단에 개재된 한 쌍의 바이메탈(BM)의 감지편(a)이 휘어지면 이에 의해 동작되어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출력감지부(70)로 과전류발생 신호를 입력하여 준다.
이때 상기 출력감지부(70)는 구동모터(M) 복구동작제어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자면, 상기 전원단(R,W)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과전류를 감지하는 바이메탈(BM)이 설치되는 데, 상기 바이메탈(BM)은 부하의 이상으로 전원단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절곡된 감지편(a)이 일정각도 휘어지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감지편(a)에는 주전원차단부(10)의 스위치접점이 연결되어(미 도시: 통상의 과전류차단기능이 있는 누전차단기에 설치됨), 상기 감지편(a)이 휘면 주전원차단부(10)는 차단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과전류시에는 주전원 차단스위치의 복구동작이 없이 영구적으로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누전차단기의 전체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정상전류 입력시에는 입력단(R,W)으로 입력된 전원은 부하 측에 인가되어 정상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진다.
누설전류가 발생된 경우, 이때에는 누설전류감지부(20)의 영상변류기(ZCT)를 통해 감지된 누설전류가 누선신호처리부(30)의 신호증폭부(31) 및 제1비교부(32)를 통해 누설전류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비교부(32)를 통해 출력된 누설전류감지신호는 스위칭부(40)를 통해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로 입력된다.
상기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는 주전원차단부(10)의 트립코일을 여자시켜 주전원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전원(R,W)이 부하측으로 인가되지 않아 누설에 대한 안전을 보장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변류기(ZCT)를 통해 감지된 누설전류는 비누전신호검출부(60)의 파형정형부(61) 및 제2비교부(62)로도 인가되어지나, 정상 누설전류인 경우 도 2의 (a)와 같은 구형파가 출력되어 제2비교부(62)는 어떤 출력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주전원차단부(10)의 차단과 동시에 출력감지부(70)에서는 소정의 기동신호를 발생하여 신호발생부(80)로 인가한다. 상기 신호발생부(80)는 상기 출력감지부(70)의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전류제한통전부(90)로 도 2의 (c)와 같은 간헐적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전류제한통전부(90)의 전류제한용 저항(R1,R2)에 의하여 부하 측에는 30mA의 전류가 간헐적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출력감지부(70)의 출력신호는 제3비교부(101)에 입력되고,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의 신호증폭부(31)의 출력신호도 상기 제3비교부(101)에 입력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 제3비교부(101)에 입력되는 신호증폭부(31)의 출력신호가 30mA(KS규정에 의한 누설전류 차단감도)이상이고, 상기 출력감지부(70)의 출력신호도 30mA이상인 경우 제3비교부(101)는 어떤 출력도 수행하지 않는다.
추후 누전현상이 소멸되어, 상기 영상변류기(ZCT)로 감지된 전류가 15mA이하로 낮아지면 신호증폭부(31)의 출력과 출력감지부(70)의 입력신호에 차이가 발생하여 제3비교부(101)는 복구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3비교부(101)가 복구신호를 출력하면 모터구동부(102)는 구동모터(M)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구동모터(M)가 구동되어 주전원차단부(10)의 차단스위치(레버)가 강제로 온(ON)되어 주전원이 부하로 다시 인가된다. 이때 출력감지부(70)는 차단되어 더 이상의 출력을 하지 않게 되고, 신호발생부(80)의 출력이 중지되어 전류제한통전부(90)의 스위칭소자(S1)(S2)는 오프된다.
한편, 누설전류감지부(20)를 통해 누설전류가 아닌 낙뢰에 의한 뇌 전압 또는 급작스런 서지전압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 신호는 누전신호처리부(30)의 신호증폭부(31) 및 제1비교부(32)를 통해 스위칭부(40)로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누설전류는 비누전신호검출부(60)의 파형정형부(61)에도 인가된다.
상기 파형정형부(61)에 인가된 뇌 전압 또는 서지전압은 도 2의 (b)와 같은 불규칙한 주기와 주파수를 가지는 구형파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구형파는 제2비교부(62)를 통해 기준파형과 비교되어 비누전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2비교부(62)를 통해 출력된 비누전신호는 스위칭부(40)에 인가되어 스위칭부(40)를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누전신호처리부(30)의 제1비교부(32)를 통해서 출력되는 누전감지신호는 스위칭부(40)를 통해 차단되어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로 인가되지 않는다.
결국 상기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가 동작되지 않아 주전원차단부(10)는 계속하여 온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유입된 서지전압 또는 뇌 전압은 부하 단에 연결된 피뢰기부(미 도시)를 통해 방전됨으로써 불필요하게 주전원이 차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부하 측의 이상(단락이나 지락 등)현상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때에는 바이메탈(BM)의 동작으로 그 감지편(a)이 휘어지게 된다.
상기 감지편(a)이 휘이면서 이에 연결된 주전원차단부(10)는 즉시 차단(OFF)되어 주전원은 부하 측으로 인가되지 않게 되며, 동시에 감지편(a)은 과전류감지부(110)의 스위치편(111)(112)을 건드리게 되어, 과전류감지부(110)로 일정 과전류 감지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과전류감지부(110)는 상기 스위치편(111)(112)으로부터 입력된 과전류감지신호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감지부(70)로 출력한다.
상기 과전류감지부(110)로부터 과전류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출력감지부(70)는 신호발생부(80) 및 복구구동부(100)로 어떤 출력도 수행하지 않게 되어, 구동모터(M)에 의하여 주전원차단부(10)가 온동작 하지 않도록 하여준다.
따라서 과전류 발생시에는 주전원이 영구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부하기기나 선로를 확인 후 수동으로 복구하게 되어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실제 누설전류와 낙뢰나 입력 서지전압에 의한 일시적인 비 누설전류를 구별하여 정확하게 누전차단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누전으로 주전원이 차단(OFF)된 후, 다시 정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오프(OFF)된 누전차단기의 주전원 차단스위치를 기구적인 메커니즘으로 온(ON)동작시켜주는 차단스위치의 레버를 차단기내부의 복구모터를 이용하여 복구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전원이 재투입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누전차단기와 동일한 특성의 조건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기구적 메카니즘 구조에 의하여 구동모터(M)의 동작(회전)에 의해 주전원차단부(10)의 차단스위치(레버)가 온(ON)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전원단(R)(W)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누설전류감지부(20);
    상기 누설전류감지부(2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누설전류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누전신호처리부(30);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로 이송시키며, 스위칭 동작 시에는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로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스위칭부(40);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 및 스위칭부(40)를 통해 누전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신호 처리하여 주전원 차단부(10)의 트립코일을 여자시켜 주전원차단부(10)를 차단(OFF)하여 주는 누설전류차단제어부(50);
    상기 주전원차단부(10)의 전원 차단시 부하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여 기동되어 신호발생부(80)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출력감지부(70);
    상기 출력감지부(70)의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전류제한통전부(90)로 간헐적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80);
    상기 주전원차단부(10)의 각 스위치접점에 직렬 연결된 저항(R1) 및 스위칭소자(S1)와 저항(R2) 및 스위칭소자(S2)를 병렬로 연결하여 통전이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주전원차단부(10)의 오프시 주전원을 부하 측으로 통전시켜주되, 미약한 제한전류(30mA)로 통전되도록 하여 누설전류감지부(20)가 계속하여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제한전류통전부(90); 및
    상기 출력감지부(70)의 출력신호와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의 신호를 비교하여 누전신호처리부(30)로부터 누전전류가 소멸된 전압이 검출되면 구동모터(M)를 구동시켜 주전원차단부(10)를 강제로 복구(ON)시켜주는 복구구동부(100)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감지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입력받아 구형파로 정형하고 이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 누설전류가 아닌 낙뢰에 의한 뇌 전압이나 서지전압 등의 비누전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누전신호의 경우 상기 스위칭부(40)로 스위치 오프(OFF)신호를 출력하는 비누전신호검출부(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는 누설전류감지부(20)를 통해 입력되는 미약한 전류신호를 증폭하여 주는 신호증폭부(31)와, 이미 설정된 기준신호와 상기 신호증폭부(31)를 통해 입력된 전류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증폭부(31)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기준신호보다 크면 누설전류로 판단하여 소정의 누설전류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80)에서는 상기 스위칭소자(S1)(S2)로 3초 간격으로 0.5초씩 통전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구동부(100)는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의 신호증폭부(31)의 출력신호와 부하단의 출력감지부(70)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누전신호처리부(30)의 신호증폭부(31)의 출력신호가 누설전류가 아닌 정상전류가 입력되면 차단스위치 복구신호를 출력하는 제3비교기(101)와, 상기 제3비교기(101)이 출력에 의해 구동모터(M)를 동작시키는 모터구동부(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전신호검출부(60)는 상기 누설전류감지부(2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를 구형파로 정형하는 파형정형부(61)와, 상기 파형정형부(61)를 통해 출력되는 구형파와 이미 설정된 기준 구형파(60Hz) 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누전신호 출력을 수행하는 제2비교부(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에는 과전류감지용 바이메탈(BM)이 더 설치되고,
    2개의 스위치편(111)(112)을 구비하여, 상기 바이메탈(BM)의 감지편(a)이 휘어지면 이에 의해 동작되어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며 출력감지부(70)로 과전류발생 신호를 입력하여 줌으로써, 상기 출력감지부(70)가 주전원차단부(10)를자동복구시도를하지 않도록 하여주는 과전류감지부(110)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20-2004-0031875U 2004-11-11 2004-11-11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200375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875U KR200375233Y1 (ko) 2004-11-11 2004-11-11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875U KR200375233Y1 (ko) 2004-11-11 2004-11-11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233Y1 true KR200375233Y1 (ko) 2005-02-07

Family

ID=4935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875U KR200375233Y1 (ko) 2004-11-11 2004-11-11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2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437B1 (ko) 2005-09-20 2007-02-02 김철우 오동작방지 회로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KR100863783B1 (ko) 2007-02-24 2008-10-16 김선호 누전차단기 오동작 방지회로
KR20210145939A (ko)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클라루스 자가 진단형 누전차단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437B1 (ko) 2005-09-20 2007-02-02 김철우 오동작방지 회로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KR100863783B1 (ko) 2007-02-24 2008-10-16 김선호 누전차단기 오동작 방지회로
KR20210145939A (ko)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클라루스 자가 진단형 누전차단기
KR102375746B1 (ko) * 2020-05-26 2022-03-18 주식회사 클라루스 자가 진단형 누전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6151B2 (en) Protective device
CN201541117U (zh) 保护装置
US72334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ctrical faults and isolating power source from the electrical faults
US9219360B2 (en) Safe quick disconnect leakage protector
WO2000074192A1 (en) Fail safe fault interrupter
US20160141123A1 (en) Synthetic fault remote disconnect for a branch circuit
US8953289B2 (en) Electrical wiring device
WO2005086310A1 (en) Automatic reset device particularly for residual current-operated circuit breakers and the like
KR101253992B1 (ko) 지진 피해 방지를 위한 배전기기 보호장치
US7239491B1 (en) Protective device with miswire protection
EP3444834B1 (en) Electronic status reporting circuit breaker
CN105207189A (zh) 用于提供电弧闪光缓解的方法、系统和设备
JP4756991B2 (ja) 自動投入機構を備えたサージ保護装置
JP7218497B2 (ja) 地絡保護継電システム
KR200375233Y1 (ko) 뇌 전압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US66711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faults and for isolating power supply from the ground faults
KR101719677B1 (ko) 내진의 단계별 차단 복구 및 최적 운전기능을 구비한 고저압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KR100804520B1 (ko) 누설 전류를 2단계로 감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누전차단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69224A (ko) 모터 이중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100804518B1 (ko) 누설 전류를 2단계로 감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누전차단 방법 및 그 장치
KR100712672B1 (ko) 일체식 2단 접점 개폐구조를 갖는 자동복귀형 누전차단기
KR102038635B1 (ko) 서지 프리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101094621B1 (ko) 자동복구 누전차단기의 전자회로 및 신호처리방법
AU20023139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a distribution bus
WO2004054062A1 (ja) 雷害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