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835Y1 - Teeth Thread Support - Google Patents

Teeth Thread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835Y1
KR200374835Y1 KR20-2004-0032233U KR20040032233U KR200374835Y1 KR 200374835 Y1 KR200374835 Y1 KR 200374835Y1 KR 20040032233 U KR20040032233 U KR 20040032233U KR 200374835 Y1 KR200374835 Y1 KR 200374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ntal floss
support shaft
flos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2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우태
Original Assignee
김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태 filed Critical 김우태
Priority to KR20-2004-0032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8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83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실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치실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치실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중에 치실이 늘어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치실을 사용함에 있어 편리하도록 구성한 치실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supporting dental flos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eeth using dental floss, and to prevent the floss from stretching and loosening while removing foreign substances using dental floss, and to facilitate the use of dental flos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ntal floss suppo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치실 지지대는 일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진 형태의 지지대와, 지지대의 후단에 체결되는 손잡이와, 지지대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나오거나 지지대 내부로 들어가는 지지축을 구비한 체결부 및, 지지대의 선단부 양측면에는 각각 형성된 제1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dental flos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support having one end split into two, a handle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ort, and a support shaf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or entering into the suppor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fastening part and the front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include a first protrusion formed respectivel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치실 지지대는 이미 사용한 치실을 제거한 후에 치실이 보관된 손잡이로부터 치실을 뽑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치실이 감긴 타래 및 치실 지지대가 함께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가 필요치 않다는 장점이 있다.The dental flos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use by removing the dental floss already used and removing and installing the dental floss from the handle where the dental floss is stored, and since the floss wound and the dental floss support are attached together, The advantage is that no management is required.

Description

치실 지지대{Teeth Thread Support}Dental Thread Support

본 고안은 치실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치실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실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중에 치실이 늘어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치실을 사용함에 있어 편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supporting dental flos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eeth by using dental floss. In particular, in the use of dental floss, the dental floss prevents the floss from stretching and loosening while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It is configured for convenience.

일반적으로 공지된 치실 지지대(1)는 도 1에서와 같이 손잡이(2)의 상측에 돌출부(3, 3')를 양측에 돌출시켜 Y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치실고정핀(4)이 설치되어 치실고정핀(4)에 일정 길이의 치실을 감은 후 돌출부(3, 3')의 상단부 양측에 V자형으로 형성된 치실홈(5, 5')을 형성하여 치실을 걸친다. 그리고 치실 고정핀(4)에 치실의 선단을 고정시켜 손잡이(2)를 잡고 치실홈(5, 5')의 사이에 위치한 치실을 통하여 치아의 사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한다.Generally known dental floss support (1) is formed in the Y-shaped by projecting the protrusions (3, 3 ')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ure 1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2, the floss fixing pin (4) in the center It is installed and wound the floss of a certain length on the floss fixing pin (4) and forms the floss grooves (5, 5 ') formed in a V-shape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s (3, 3') to span the dental floss. And by fixing the tip of the floss to the floss fixing pin (4) to grab the handle (2) through the floss located between the floss grooves (5, 5 ')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formed between the teeth.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공지된 치실 지지대는 치실을 사용하기 위해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며, 치실을 보관하는 별도의 치실보관구를 구비하는 등의 관리해야할 대상물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known dental floss support described above is used to cut to a certain length in order to use the dental floss,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are many objects to be managed such as having a separate dental floss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dental floss.

또한, 치실고정핀이 지지대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치실로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 돌출된 치실고정핀이 입술 및 잇몸 등에 부딪혀 통증을 발생시킨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oss fixing pin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truding floss fixing pins hit the lips and the gums and cause pain in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ith the floss.

또한, 종래의 치실 지지대는 치실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다보면, 치아 사이에 치실이 걸리게 되고, 치실이 긴장되면서 치실이 걸쳐진 Y형 지지대의 선단부가 안쪽으로 변형되면서 치실이 지지대에서 이탈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ental floss support removes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by using the dental floss, the dental floss is caught between the teeth, while the dental floss is deformed inward as the distal end of the Y-shaped support that the dental floss is stretched inwards There is a problem.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치실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중에 치실이 늘어나 느슨해져 치실이 지지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치실이 지지대에 장착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됨으로써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하게 구성된 치실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floss is extended and loosened while removing the foreign matter by using the floss to prevent the floss detached from the support, the dental floss is mounted on the support to one assemb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ntal floss support that is configured to be easily stored and managed by.

또한, 본 고안의 치실 지지대는 그 외측면이 매끈하게 구성되어 치실로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구강조직과 지지대가 부딪히는 문제점을 해결한다.In addition, the dental flos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mooth the outer surfac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oral tissue and the support collide in removing the foreign matter with the dental flos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치실 지지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floss sup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지지대의 우측 사시도이고,2 is a right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floss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실 지지대의 좌측 사시도이고,3 is a left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실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며,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shown in Figure 1,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치실 지지대의 종단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shown in FIG. 1.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종단면도이고,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대가 설치된 치실 지지대의 종단면도이다.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in which the support shown in FIG. 7 is installed.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실 지지대의 우측 사시도이다.9 is a right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치실지지대 101 : 치실100: dental floss support 101: dental floss

103 : 타래 110 : 손잡이103: skein 110: handle

120 : 지지대 130, 230, 330 : 체결부120: support 130, 230, 330: fastening portion

133, 231, 232, 331 : 지지축 135 : 누름판133, 231, 232, 331: support shaft 135: pressure plate

141, 142 : 홈 151, 152 : 돌기141, 142: groove 151, 152: protrusion

161, 162, 163 : 클립 170 : 절단부161, 162, 163: Clip 170: Cutou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진 형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후단에 체결되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나오거나 상기 지지대 내부로 들어가는 지지축을 구비한 체결부 및, 상기 지지대의 선단부 양측면에는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support having one end divided into two, a handle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ort, and a support shaft protruding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or entering the support insid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fastening part and the front end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are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protrusions, respectively.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치실이 감겨진 타래가 고정되고, 상기 타래에서 풀린 치실은 체결된 상기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로 빠져 나와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제1 돌기에 감겨진 상태로, 두 갈래로 갈라진 상기 지지대의일단부에 걸쳐 위치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skein of the floss wound, and the floss loosened from the skein comes out between the fastened handle and the support in a state wound around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first projection, It is located over one end of the support divided into two branches.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손잡이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실린더 구조로서, 상기 손잡이의 개방부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에는 상기 치실이 통과하는 슬롯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end of the open and the other end is a closed cylinder structure, the inner side of the open portion of the handle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is formed with a male screw is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the male screw There is formed a slot through which the dental floss passes.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체결부는, 가압에 의해 상기 지지축이 하우징의 내부로 들어오면 하우징에 내장된 코일스프링이 수축되면서 걸림되고, 한 번 더 가압되면 걸림해제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축이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ort shaft enters the interior of the housing by pressing the coil spring is embedded in the housing is contracted, if the pressure is pressed once more releases the suppor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The shaft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면으로 돌출된 제1 지지축과,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2 지지축과, 상기 제1 지지축과 상기 제2 지지축이 상호 직각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축은 상하운동하고 상기 제2 지지축은 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회전하는 캠 및, 상기 캠을 수용하며 상기 제1 지지축과 상기 제2 지지축이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블록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shaft protru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he second support shaft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 and the first support shaft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shaft is vertically moved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is rotated so as to rotate linearly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through hole receives the cam and penetrates the first support shaft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respectively. And formed blocks.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지지대는,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 쪽으로 비스듬하게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된 제1 홈과, 상기 제1 홈과 대응하여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 돌기 및, 상기 지지대의 두 갈래로 갈라진 선단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제2 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obliquely toward the one end of the support from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respectively And a second groove formed in a bifurcated front end surface of the support.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는 치실을 긴장시킬 수 있도록 치실을 걸쳐 놓을 수 있는 긴장용 클립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tension clip that can be placed over the dental floss to tension the dental floss.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는 치실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용 클립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ixing clip for fixing the end of the dental flos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지지대는,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 쪽으로 비스듬하게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된 제1 홈과, 상기 제1 홈과 대응하여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클립 및, 상기 지지대의 두 갈래로 갈라진 선단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제2 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obliquely toward the one end of the support from the fastening portion, the clip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A second groove is formed in the two-pronged end face of the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치실 지지대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ental floss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지지대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실 지지대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실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치실 지지대의 종단면도이다.In the drawings, Figure 2 is a right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eft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shown in Figure 1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shown in FIG.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지지대(100)는, 내부에 치실(101)이 감겨 있는 손잡이(110)와, 손잡이(110)의 전방에 체결되는 Y형의 지지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손잡이(110) 내부에서 풀려 나온 치실(101)은 지지대(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홈(141, 142), 돌기(151, 152) 및 클립(161, 162)을 거쳐 설정된 경로를 따라 진행한 후에 지지대(120) 상부에 위치한 체결부(130)에 체결된다.2 and 3, the dental floss support 100 includes a handle 110 having a dental floss 101 wound therein, and a Y-shaped support 120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handle 110. do. And the dental floss 101 released from the handle 110 proceeds along a set path through a plurality of grooves 141, 142, protrusions 151, 152, and clips 161, 162 formed in the support 120. Afterwards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130 located on the support 120.

아래에서는 치실 지지대(120)에 따른 양호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각 실시예의 상호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Below,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dental floss support 120, the mutually different features of each embodiment are as follows.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는 지지대에 형성된 체결부의 구성이상호 다르게 구성되며, 제4 실시예는 지지대의 설정된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돌기를 대신하여 클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ar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support, and the fourth embodiment replaces the projection for stably supporting the yarn located along the set path of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clip is formed.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0)는 일단부가 개방되고 타단부는 폐쇄된 실린더 구조로서, 손잡이(110)의 내부에 타래(103)가 고정되며, 상기 타래(103)에는 치실(101)이 감겨져 있다. 그리고 손잡이(110)의 개방부 안쪽에는 암나사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타래(103)에서 풀린 치실(101)은 손잡이(110)의 개방부 쪽으로 풀려 나온다. 이와 같은 손잡이(110) 구조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110)의 폐쇄부(113)가 나사 체결구조로 되고, 상기 폐쇄부(113)의 내측에는 지지봉(115)이 고정되며, 상기 타래(103)가 지지봉(115)에 끼워져 손잡이(110) 내에 고정된다. 손잡이(110)가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타래(103)에 치실(101)이 모두 풀려 소모되면 폐쇄부(113)의 나사체결을 해제하여 타래(103)를 교체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handle 110 has a cylinder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opene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and the tuft 103 is fixed inside the handle 110, and the tuft 103 is provided in the tuft 103. The dental floss 101 is wound. And inside the opening of the handle 110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 111, the floss 101 is released from the tuft 103 is released toward the opening of the handle 110. In the structure of the handle 110, more preferably, the closing portion 113 of the handle 110 is a screw fastening structure, the support rod 115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losing portion 113, Skein 103 is fitted to the support rod 115 is fixed in the handle (110). As the handle 110 is configured in this manner, when all the floss 101 is loosened and consumed in the tuft 103, the screw 103 of the closing part 113 is released to replace the tuft 103.

한편, 지지대(120)는 'Y'형의 구조로서, 지지대(120)의 전방은 두 갈래로 갈라진 구조를 갖는다. 아래에서는 두 갈래로 갈라진 부위를 '선단'이라 하고, 그 반대쪽 방향의 단부를 '후단'이라 한다. 그리고 지지대의 양측면은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구분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120 is a 'Y' type structure, the front of the support 120 has a bifurcated structure. In the following, the bifurcated part is called the 'tip' and the opposite end is called the 'rear'.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is divid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대(120)의 후단 외주에는 수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손잡이(110)의 암나사부(111)에 나사 체결되는데, 상기 수나사부(121)에는 슬롯(123)이 형성되는데, 슬롯(123)은 수나사부(1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수나사부(121)의 후단에서 수직으로 꺾여 수나사부(121)의 측면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타래(103)에서 풀린 치실(101)은 슬롯(123)을 통해 나사 체결된 지지대(120)와 손잡이(110) 밖으로 나온다.A male screw portion 12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ar end of the support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111 of the handle 110. The male screw portion 121 has a slot 123 formed therein. Reference numeral 12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le screw portion 121 and is bent vertically at the rear end of the male screw portion 121 to have a structure opened to the side of the male screw portion 121. The floss 101 released from the tuft 103 comes out of the support 120 and the handle 110 screwed through the slot 123.

한편, 지지대(120)의 중앙에는 치실(101)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130)가 체결되는데, 제1 실시예에서의 체결부(130)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enter of the support 12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130 that can be wrapped around the dental floss 101 is fastened, the fastening portion 130 in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as follows.

체결부(130)는 통상의 토글스위치와 같은 구성으로서, 체결부(130)의 하우징(131)을 관통해 나와 위치한 지지축(133)을 사용자가 누르면, 하우징(131) 내부에 위치한 코일스프링(137)이 수축되면서 지지축(133)은 하우징(131) 안쪽으로 들어가 걸림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한 번 지지축(133)을 누르면 하우징(131) 내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코일스프링(137)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축(133)이 하우징(131) 밖으로 돌출된 상태로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지지축(133)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지지축(133)을 누를 수 있게 누름판(135)이 형성된다.The fastening part 130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a general toggle switch, and when a user presses the support shaft 133 located through the housing 131 of the fastening part 130, the coil spring located inside the housing 131 ( As the support shaft 133 is contracted while the support shaft 133 is contracted, the user presses the support shaft 133 again in this state to release the latching state inside the housing 131. The support shaft 133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3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137. The pressing plate 135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133 that operates in this way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support shaft 133.

사용자가 누름판(135)을 누르면, 지지축(133)이 체결부(130)의 하우징(131) 안쪽으로 들어가면 누름판(135)의 상면은 지지대(120)의 상면과 일치하게 되어 지지대(120)의 상면은 매끈한 면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판(135)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지지축(133)이 하우징(131) 밖으로 돌출되게 튀어나오면서, 누름판(135)은 지지대(12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면서 지지축(133)이 노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지지축(133)에 치실(101)을 1~2회 정도 감싼 후에 설정된 진행경로를 따라 진행시킨다. 치실(101)의 진행경로는 차후에 설명하기로 하고, 진행경로를따라 되돌아온 치실(101)은 다시 지지축(133)에 1~2회 정도 감긴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판(135)을 누르면, 지지축(133)은 하우징(131)의 내부로 진입해 들어가면서 하우징(131) 내부에서 잠금되고, 이 상태에서 지지대(120)의 상면은 매끈한 면을 유지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late 135, when the support shaft 133 enters into the housing 131 of the fastening part 130,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135 coincid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so that The upper surface forms a smooth surface.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plate 135 again, the support shaft 133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31, and the pressure plate 135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and the support shaft 133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shaft 133. ) Is exposed. The user wraps the dental floss 101 on the support shaft 133 1 or 2 times and then proceeds along the set progress path. The progress path of the dental floss 101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dental floss 101 returned along the progress path is wound once or twice on the support shaft 133.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late 135 in this state, the support shaft 133 is locked into the housing 131 as it enters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31, and in this stat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is smooth. Keep it.

이와 같은 체결부(130)의 내부구조는 통상의 토글스위치의 내부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체결부(130)의 내부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astening unit 130 is the same as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oggle switch.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astening unit 130 will be omitted.

한편, 지지대(120)의 상면에는 2개의 제1 홈(141)이 체결부(130)에서 지지대(120) 양측 선단 쪽으로 비스듬하게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대(120)의 양측에는 제2 돌기(152)가 각각 제1 홈(141)과 마주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제2 돌기(152)가 형성된 지지대(120)의 양측면 선단 쪽에는 제1 돌기(151)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두 갈래로 갈라진 지지대(120)의 선단면에는 제2 홈(142)이 각각 가로방향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wo first grooves 14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obliquely toward both ends of the support 120 in the fastening part 130.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120, the second projection 152 is formed in the portion facing the first groove 141, respectively, the second projection 152, the first projection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support 120 is formed 151 are formed, respectively. The second grooves 142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support 120 split into two branches.

이와 같은 다수 개의 홈(141, 142)과 돌기(151, 152)를 따라 치실(101)이 진행하면서, 돌기(151, 152)에 감기거나 홈(141, 142) 내에 위치한다. 아래에서는 치실(101)이 지지대(120)에 장착되는 과정을 치실(101)의 진행경로를 따라 설명한다.As the dental floss 101 progresses along the plurality of grooves 141 and 142 and the protrusions 151 and 152, the protrusions 151 and 152 are wound or positioned in the grooves 141 and 142. Hereinafter, the process in which the dental floss 101 is mounted on the support 120 will be described along the progress path of the dental floss 101.

체결부(130)의 지지축(133)에 1~2회 감긴 치실(101)은 지지대(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홈(141)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대(120)의 일측면으로 진행한 후에, 제2 돌기(152)에 1~2회 감긴다. 그리고 제1 돌기(151) 쪽으로 진행하여 제1 돌기(151)에 3~4회 감기고, 지지대(120)의 선단면에 형성된 제2 홈(142)에 각각 끼워져진행방향이 전환된다. 지지대(120)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제2 홈(142)을 통과하면서 두 갈래로 갈라진 지지대(120)의 선단에는 치실(101)이 긴장된 상태로 위치하며, 제2 홈(142)을 통과한 치실(101)은 지지대(1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1 돌기(151)에 3~4회 감기고, 타측면 상에 위치한 제2 돌기(152)에 1~2회 감긴 상태로, 타측에 위치한 제1 홈(141)을 통해 체결부(130)로 진행한다. 그리고 체결부(130)의 지지축(133)에 다시 1~2회 감긴다.The dental floss 101 wound one or two times on the support shaft 133 of the fastening part 130 proceeds to one side of the support 120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first groove 141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120. After that, it is wound around the second protrusion 152 once or twice. Then, the process proceeds toward the first protrusion 151 and is wound three to four times on the first protrusion 151,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each of the second grooves 142 form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support 120 is switched. Dental floss 101 is located in a tensioned state at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120 divided into two branches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groove 142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120, and the dental floss passed through the second groove 142. 101 is wound 3 to 4 times on the first protrusion 15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120, wound 1 to 2 times on the second protrusion 152 located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located on the other side 1 proceeds to the fastening part 130 through the groove 141. And again wound on the support shaft 133 of the fastening portion 130 once or twice.

이와 같은 치실(101)의 진행경로에 있어서, 치실(101)은 긴장된 상태로 제1 돌기(151)에 각각 감겨 있어 두 갈래로 벌어진 지지대(120)의 선단에 위치한 치실(101)은 상당히 긴장된 상태로 위치한다.In the progress path of the dental floss 101, the dental floss 101 is wound in the first protrusion 151 in a tense state, and thus the dental floss 101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two-pronged support 120 is considerably tense. Is located.

한편, 손잡이(110)에서 체결부(130)까지 연장된 가상선을 중심으로 타측부 쪽에는 2개의 클립(161, 162)이 위치한다.Meanwhile, two clips 161 and 162 ar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virtual line extending from the handle 110 to the fastening portion 130.

한 개의 클립은 치실(101)을 긴장시키는 긴장용 클립(161)으로서, 손잡이(110)에서 나온 치실(101)이 체결부(130)에 감기기 전에 클립(161)을 통과시켜 치실(101)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다른 한 클립은 고정용 클립(162)으로서, 체결부(130)에 감긴 상태의 치실(101) 단부가 너풀거리지 않도록 치실(101)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립이다.One clip is a tension clip 161 for tensioning the dental floss 101, and the dental floss 101 passes through the clip 161 before the dental floss 101 from the handle 110 is wound on the fastening portion 130. Keep you tense. The other clip is a fixing clip 162, which is a clip for fixing the end of the dental floss 101 so that the end of the dental floss 101 wound around the fastening portion 130 does not rumble.

고정용 클립(162)이 위치한 지지대(120)의 측면에는 치실(101)을 끊는 절단부(도 3의 170)가 장착되어 치실(101)을 끊는데 사용된다.The cutting part (170 of FIG. 3) cutting the dental floss 101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120 on which the fixing clip 162 is positioned and used to cut the dental floss 101.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치실 지지대의 사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use relationship of the dental floss support configured in this way.

손잡이(110) 내부에서 지지대(120)의 수나사부(121) 슬롯(123)을 통해 빠져나온 치실(101)은 긴장용 클립(161)을 통과한 후에 체결부(130)의 지지축(133)에 1~2회 정도 감긴 후에, 제1 홈(141)을 통해 지지대(120)의 일측면으로 진행한 후에, 제2 돌기(152)에 1~2회 감기고, 다시 제1 돌기(151)에서 3~4회정도 감긴 상태로 두 갈래로 갈라진 지지대(120)의 선단면에 위치한 제2 홈(142)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홈(142)을 통과한 치실(101)은 타측면의 제1 돌기(151)에 3~4회 정도 감기고, 동 측면의 제2 돌기(152)에 1~2회 감긴다. 그리고 제2 돌기(152)의 상부에 위치한 제1 홈(141)을 따라 지지대(120)의 상면으로 진행한다. 지지대(120)의 상면으로 진행해 온 치실(101)은 다시 지지축(133)에 1~2회 감긴 후에 고정용 클립(162)을 통해 지지대(120)의 타측면으로 내려간다.The dental floss 101, which escapes through the male threaded portion 121, the slot 123 of the support 120 from the handle 110, passes through the tension clip 161, and then the support shaft 133 of the fastening portion 130. After winding about 1 to 2 times, after proceed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 120 through the first groove 141, and wound around the second protrusion 152 1 to 2 times, and again in the first protrusion 151 It passes through the second groove 142 locat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support 120 divided into two branches in a state wound about 3-4 times. The dental floss 101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groove 142 is wound 3 to 4 times on the first protrusion 151 of the other side, and wound 1 to 2 times on the second protrusion 152 of the same side.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along the first groove 141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52. The dental floss 101 which has advanc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is wound once or twice on the support shaft 133 and then descends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120 through the fixing clip 162.

이와 같이 치실(101)을 고정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체결부(130)의 누름판(135)을 눌러 누름판(135)이 지지대(120)의 상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게 한다.As such, when the fixing of the dental floss 101 is completed,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late 135 of the fastening unit 130 so that the pressing plate 135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이와 같이 치실(101)이 진행경로를 따라 지지대(120)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110)를 파지하고 두 갈래로 갈라진 지지대(120) 선단에 위치한 치실(101)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In this way, while the dental floss 101 is wrapped around the support 120 along the progress path, the user grips the handle 110 and uses the dental floss 101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two-parted support 120 between the teeth. Remove foreign substances.

이때, 치아와 치아 사이로 들어가는 치실(101)은 지지대(120)의 양측면 제1 돌기(151)에 3~4차례 감긴 상태로 긴장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치실(101)이 치아에 걸려 지지대(120)의 선단이 변형되더라도 치실(101)이 지지대(120)의 선단 제2 홈(142)에서 이탈하거나 또는 제1 돌기(151)에서 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120)가 복원되면 치실(101)은 원형 상태로 위치한다.At this time, since the dental floss 101 that enters between the teeth is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the dental floss 101 is wound three to four times on both sides of the first protrusion 151 of the support 120, the dental floss 101 is caught by the support 120. Even if the tip of the dental floss 101 is deformed, the dental floss 101 is not detached from the tip second groove 142 of the support 120 or released from the first protrusion 151. Therefore, when the support 120 is restored, the dental floss 101 is positioned in a circular stat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를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에 체결부의 구성이 다를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체결부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부여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is different, and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Therefore, hereinafter, only fastening por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given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면에서,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30)는, 지지대(120)의 상면으로 돌출된 제1 지지축(231)과, 지지대(120)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2 지지축(232)과, 제1 지지축(231)과 제2 지지축(232)이 상호 직각으로 힌지결합되어 제1 지지축(231)은 상하운동하고 제2 지지축(232)은 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회전하는 캠(234)을 포함하며, 상기 캠(234)을 수용하며 상기 제1 지지축(231)과 제2 지지축(232)이 관통하도록 관통공(231h, 232h)이 각각 지지대(120)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fastening part 230 includes a first support shaft 231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and a second support shaft 232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 120. And the first support shaft 231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232 are hing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so that the first support shaft 231 moves up and down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232 rotates in a linear direction. It includes a cam 234, the through hole (231h, 232h) to each of the support 120 to accommodate the cam 234 and the first support shaft 231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232 through Is formed.

상기 체결부(230)는 지지대(120)의 중앙에 위치하며 제1 지지축(231)이 상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지지축(231)이 지지대(120)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반대로 제1 지지축(231)이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지지대(120)의 안쪽에 위치하여 지지대(120)의 상면과 같거나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The fastening part 2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120,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shaft 231 moves upward, the first support shaft 231 protrud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support shaft 231 moves downward, the support shaft 231 is located inside the support 120 to be located at or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축(231)을 누르면 제1 지지축(231)이 지지대(120)의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캠(234)의 회전중심축(237)을 기준으로 제2 지지축(232)쪽으로 선회하면서, 제2 지지축(232)을 지지대(120)의 측면 밖으로 밀어낸다. 이와 반대로, 제2 지지축(232)을 블록(236)의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되면, 제2 지지축(232)은 직선운동하면서 블록(236)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캠(234)은 선회하면서 제1 지지축(231)을 상부로 밀어올리면서 제1 지지축(231)은 지지대(120)의 상부로 돌출되어 나온다. 또한, 지지대(120)의 내부에는 캠(234)이 자유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캠(234)과 접하는 걸림부(238)가 형성된다. 상기 캠(234)이 제1 지지축(231)과 제2 지지축(232)에 의해 회전함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38)와 접하면서 마찰이 발생하고, 이런 마찰력에 의해 캠(234)은 자유회전하지 않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support shaft 231 is pressed, the first support shaft 231 enters the inside of the support 120, and toward the second support shaft 232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axis 237 of the cam 234. While pivoting, the second support shaft 232 is pushed out of the side of the support 120. 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support shaft 232 is pushed into the inside of the block 236, the second support shaft 232 enters the inside of the block 236 while moving linearly, and the cam 234 pivots and While pushing up the first support shaft 231, the first support shaft 231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ort 120. In addition, a locking portion 238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120 to contact the cam 234 to prevent the cam 234 from freely rotating. When the cam 234 rotates by the first support shaft 231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232, friction occurs while contacting the locking portion 238, and the cam 234 is caused by such friction force. There is no free rotation.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1 지지축(231)의 상단과 제2 지지축(232)의 일측단부에는 사용자가 쉽게 누를 수 있도록 누름판(135)이 각각 형성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pressing plate 135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shaft 231 and one side end of the second support shaft 23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ress.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 또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에 체결부의 구성이 다를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체결부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부여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hird embodiment also differs only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when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Therefore, hereinafter, only fastening por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given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면에서,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대가 설치된 치실 지지대의 종단면도이다.In the drawings,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installed in the support shown in FIG.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의 중앙에는 관통공(12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7)에는 체결부(330)인 지지축(331)이 관통해 위치한다.상기 관통공(127)의 내측면에는 약 3mm 간격의 홈(128H, 128L)이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통공(127)에 지지축(331)이 삽입되어 위치하는데, 상기 지지축(331)의 측면에는 상기 홈(128H, 128L)과 정합하는 돌기(33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a through hole 127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120, and a support shaft 331, which is a fastening part 330, is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7.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27, grooves 128H and 128L of about 3 mm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The support shaft 331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127, and protrusions 333 matching the grooves 128H and 128L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shaft 331.

따라서 지지축(331)이 지지대(120)의 상부로 돌출되어 나오게 되면, 돌기(333)는 상부에 위치한 홈(128H)과 정합하게 되고, 지지축(331)이 관통공(127)의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관통공(127)의 내측면 하부에 형성된 홈(128L)과 돌기(333)가 정합하게 된다. 돌기(333)와 하부 홈(128L)이 정합할 경우에는 지지축(331)의 상면은 지지대(120)의 상면과 동일하게 위치하여 매끈한 면을 형성한다.Therefore, when the support shaft 331 protrudes ou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120, the projection 333 is matched with the groove 128H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the support shaft 331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27 When moved, the groove 128L and the protrusion 333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27 are matched. When the protrusion 333 and the lower groove 128L are matche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331 is positioned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20 to form a smooth surface.

그리고 지지축(331)의 상하단에는 누름판(135)이 각각 형성된다.And the pressing plate 135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shaft 331, respectively.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지대 측면의 제2 돌기를 대신하여 클립이 형성된 것이 다를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The fourth embodiment differs in that the clip is formed in place of the second projection on the side of the suppor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도면에서,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실 지지대의 우측 사시도이다.9 is a right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floss suppor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의 양측면에는 제1 홈(141)과 마주하는 부위에 클립(163)이 형성된다. 체결부(130)에 감긴 치실(101)은 제1 홈(141)을 따라 지지대(120)의 일측면으로 진행하여 클립(163)에 걸친 후에 제1 돌기(151)로 진행하게 된다. 한편 지지대(120)의 타측면에 형성된 클립(163)은 제1 돌기(151)에서 3~4회 감겨 온 치실(101)이 걸쳐진 상태로 제1 홈(141)으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치실(101)이 클립(163)에 걸쳐진 상태로 제1 홈(141)에 위치하기 때문에, 치실(101)이 제1 홈(14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clips 163 are formed at portions facing the first grooves 141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120. The dental floss 101 wound around the fastening part 130 proceeds to one side of the support 120 along the first groove 141 and then proceeds to the first protrusion 151 after covering the clip 163. On the other hand, the clip 16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120 enters the first groove 141 in a state in which the dental floss 101 wound three to four times from the first protrusion 151 spans. In this way, since the dental floss 101 is positioned in the first groove 141 with the clip 163 extending, the dental floss 10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groove 141.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치실 지지대는 이미 사용한 치실을 제거한 후에 치실이 보관된 손잡이로부터 치실을 뽑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치실이 감긴 타래 및 치실 지지대가 함께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가 필요치 않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ental flos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by removing the dental floss already used and removing the dental floss from the handle in which the dental floss is stor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separate management is required.

또한, 본 고안의 치실 지지대는 치실이 감긴 체결부가 지지대의 상면과 매끈한 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치실 지지대를 입안에 넣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중에 잇몸 또는 입술 등에 부딪힘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dental flos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ing portion wound around the floss forms a smooth surfa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prevents bumps or the like while putting the dental floss support in the mouth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또한, 본 고안의 치실 지지대는 두 갈래로 갈라진 치실 지지대의 선단 측면에 제1 돌기와 제2 홈이 형성되어 치실은 안정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지지대가 다소 변형되더라도 치실이 제1 돌기 및 제2 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flos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groove formed on the tip side of the two-pronged dental floss support so that the dental floss is stably supported, so that the dental floss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groove even when the support is deformed somewha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고안의 치실 지지대는 치실의 단부가 너풀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클립을 형성하여 치실 지지대 자체가 간결하게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flos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dental floss support itself looks concise by forming a clip to prevent the end of the dental floss.

이상에서 본 고안의 치실 지지대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dental flos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일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진 형태의 지지대와,One end divided into two supports, 상기 지지대의 후단에 체결되는 손잡이와,A handle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ort; 상기 지지대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나오거나 상기 지지대 내부로 들어가는 지지축을 구비한 체결부 및,A fastening part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or into the support; 상기 지지대의 선단부 양측면에는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지지대.Dental floss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first protrusion formed on each sid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치실이 감겨진 타래가 고정되고, 상기 타래에서 풀린 치실은 체결된 상기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로 빠져 나와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제1 돌기에 감겨진 상태로, 두 갈래로 갈라진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지지대.The inside of the handle is fixed to the skew wound wound, and the floss loosened from the skein exits between the fastened handle and the support and wound around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first projection, the bifurcated A dental floss support being positioned over one end of the suppor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손잡이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실린더 구조로서, 상기 손잡이의 개방부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에는 상기 치실이 통과하는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지지대.The handle has an open end and the other end is a closed cylinder structure, the inner side of the open portion of the handle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is formed with a male screw is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the male thread is passed through the dental floss Dental floss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부는, 가압에 의해 상기 지지축이 하우징의 내부로 들어오면 하우징에 내장된 코일스프링이 수축되면서 걸림되고, 한 번 더 가압되면 걸림해제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축이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지지대.When the support shaft is press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the pressing portion, the coil spring embedded in the housing is contracted, and when it is pressed once more, it is released and the support shaft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Dental floss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면으로 돌출된 제1 지지축과,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2 지지축과, 상기 제1 지지축과 상기 제2 지지축이 상호 직각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축은 상하운동하고 상기 제2 지지축은 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회전하는 캠 및, 상기 캠을 수용하며 상기 제1 지지축과 상기 제2 지지축이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지지대.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shaft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 second support shaf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and the first support shaft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are hing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 first support shaft moves up and down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rotates linearly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block configured to receive the cam and through holes formed therethrough so that the first support shaft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pass therethrough, respectively. Dental floss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지지대는,The support is,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 쪽으로 비스듬하게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된 제1 홈과,First groove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at an angle toward the one end of the support from the fastening part; 상기 제1 홈과 대응하여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 돌기 및,Second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grooves, 상기 지지대의 두 갈래로 갈라진 선단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제2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지지대.Dental floss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roove is formed in the cross-pronged end of the second gro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는 치실을 긴장시킬 수 있도록 치실을 걸쳐 놓을 수 있는 긴장용 클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지지대.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is a dental floss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clip that can be placed over the dental floss so as to tension the dental flos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는 치실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용 클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지지대.An upper dental floss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clip for fixing the end of the dental floss formed.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지지대는,The support is,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 쪽으로 비스듬하게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된 제1 홈과,First groove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at an angle toward the one end of the support from the fastening part; 상기 제1 홈과 대응하여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클립 및,Clip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grooves; 상기 지지대의 두 갈래로 갈라진 선단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제2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지지대.Dental floss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roove is formed in the cross-pronged end of the second gro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KR20-2004-0032233U 2004-11-15 2004-11-15 Teeth Thread Support KR2003748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233U KR200374835Y1 (en) 2004-11-15 2004-11-15 Teeth Thread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233U KR200374835Y1 (en) 2004-11-15 2004-11-15 Teeth Thread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835Y1 true KR200374835Y1 (en) 2005-02-03

Family

ID=4944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233U KR200374835Y1 (en) 2004-11-15 2004-11-15 Teeth Thread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835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60B1 (en) 2011-07-27 2013-06-27 주식회사 치아랑 Dental floss holder for the user using orthodontic appliance
KR101290297B1 (en) 2011-11-16 2013-07-26 황동환 safe floss holder
KR101331147B1 (en) 2011-12-16 2013-11-20 주식회사 치아랑 Dental floss holder for the user using orthodontic appliance
KR20230025418A (en) * 2023-02-03 2023-02-21 케이 오 제이 Dental Floss Device Having Dental Floss Reel and Dental Floss Hold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60B1 (en) 2011-07-27 2013-06-27 주식회사 치아랑 Dental floss holder for the user using orthodontic appliance
KR101290297B1 (en) 2011-11-16 2013-07-26 황동환 safe floss holder
KR101331147B1 (en) 2011-12-16 2013-11-20 주식회사 치아랑 Dental floss holder for the user using orthodontic appliance
KR20230025418A (en) * 2023-02-03 2023-02-21 케이 오 제이 Dental Floss Device Having Dental Floss Reel and Dental Floss Holder
KR102555118B1 (en) * 2023-02-03 2023-07-12 케이 오 제이 Dental Floss Device Having Dental Floss Reel and Dental Floss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9823B1 (en) Applicator for setting a surgical needle
JP2001218869A (en) Face mask
KR200374835Y1 (en) Teeth Thread Support
KR20070107674A (en) Insert for a clamping element, clamping element comprising said insert and universal joint produced therefrom
US20170027146A1 (en) Knot tying tool
KR200182299Y1 (en) Floss holder having floss case
CH666795A5 (en) DEVICE FOR CLOSING A SPORTS SHOE.
KR200395036Y1 (en) Mount substitution brake-holder
KR100884486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length of a line
KR200395907Y1 (en) Teeth Thread Support
KR20000016736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ensioning dental floss, and a device for cleaning teeth
KR20110004721U (en) 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
JP2003210640A (en) Freely detachable sport shoe with ice/roller skate shoe table
FR2555826A1 (en) Plug and socket cable connector
EP0115238A2 (en) Fly and dust guard system for the spring of a weft gripper
US20100006120A1 (en) Dental floss holder
JP4026058B2 (en) Fishing line storage
KR200365222Y1 (en) floss holder combining floss
KR20060008587A (en) Floss holder combining floss
GB2074876A (en) Device for supporting thread
KR200203389Y1 (en) Teeth cleaner
KR200200016Y1 (en) Tooth thread holder
RU2077872C1 (en) Device for cleaning interdental gaps
CN216724075U (en) Rope rotary cover, rope rotary seat, rope tightening device, shoe and article
CN216724074U (en) Novel rope tightening cover, rope tightening base, rope tightening device, shoe and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