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351Y1 - auto-dock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ing - Google Patents

auto-dock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351Y1
KR200374351Y1 KR20-2004-0031986U KR20040031986U KR200374351Y1 KR 200374351 Y1 KR200374351 Y1 KR 200374351Y1 KR 20040031986 U KR20040031986 U KR 20040031986U KR 200374351 Y1 KR200374351 Y1 KR 200374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eans
moving
main wheel
jig
anechoic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9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해량
임재철
Original Assignee
정해량
임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량, 임재철 filed Critical 정해량
Priority to KR20-2004-0031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35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351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Abstract

본 고안은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험하기 위한 파워 트레인이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가지는 이동지그(12)와, 파워 트레인이 장착된 이동지그를 출입구 문턱이 설치된 무향실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지그가 실리는 이동대차(14)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출입구 문턱을 용이하게 지나가도록 앞 주바퀴를 승강시켜 지면을 따라 주행케 하는 제1주행수단(16)과, 뒷 주바퀴를 승강시켜 지면을 따라 주행케 하는 제2주행수단(18)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파워 트레인의 탈, 장착시간을 줄이고 무향실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mounting system for a power train test, wherein the moving jig 12 having a mounting bracket on which a power train for testing is mounted and the moving jig equipped with a power train are moved to an anechoic chamber where an entrance threshold is installed. The moving jig is composed of a moving cart 14, the first moving means 16 for driving along the ground by elevating the front main wheel so as to easily pass the doorway threshold, and the rear main wheel. Since the second driving means 18 to elevate the driving along the ground,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removal and installation time of the power train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anechoic chamber.

Description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auto-dock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ing}Auto-dock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ing

본 고안은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mounting system for power train testing.

차량의 엔진 및 트랜스미션의 소음, 진동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동력 측정장비인 다이나모미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시험을 하기 위한 무향실에서 다이나모미터와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연결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In order to analyze the noise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and transmission of the vehicle, a dynamometer, a power measurement device, should be used. In the anechoic chamber for the test, the work of connecting the dynamometer to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is performed.

종래 파워 트레인 즉,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무향실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파워 트레인을 무향실로 운반하여 무향실에 설치된 작업대 위에 장착지그를 설치한 후 이 장착지그에 파워 트레인을 장착/설치하게 된다.In order to install a conventional power train, that is,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in an anechoic chamber, a power train is transported to an anechoic chamber to install a mounting jig on a workbench installed in the anechoic chamber, and then install / install the power train on the mounting jig.

그런데, 장착지그를 여러개의 무향실에 설치하여 파워 트레인(엔진과 트랜스미션)을 무향실로 운반하여 설치하게 되면 1회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약 16시간)이 걸리며 1시간의 시험을 위해 고가의 장비가 소요되고, 또한 시험한 결과를 분석하는 시간동안 대기상태가 장시간일 뿐만 아니라 설치기간이 장시간이므로 탈거한 후 다른 엔진과 트랜스미션을 장착하여 시험을 할 수가 없게 된다.However, if the mounting jig is installed in several anechoic chambers and the power trains (engines and transmissions) are transported and installed in the anechoic chambers, it takes a lot of time (approximately 16 hours) to install one time, and expensive equipment is required for one hour of testing. In addition, the standby state is not only a long time during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but also because the installation period is long, it is impossible to test the engine after removing it with other engines and transmission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워 트레인의 탈, 장착시간을 줄이고 무향실의 활용도를 높이는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mounting system for a power train test to reduce the removal and installation time of the power train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anechoic chamber.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파워-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의 구성도(엔진과 트랜스미션의 조립상태),1 is a block diagram of the automatic mount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gine and transmission assembled state),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워-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을 무향실에 설치한 상태도,2 is a state in which the auto-mount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anechoic chamber,

도3은 도2의 이동 지그가 고정 지그에 설치된 상태도,3 i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jig of FIG. 2 is installed in the fixed jig;

도4는 도3의 우측면도,4 is a right side view of FIG. 3;

도5는 도3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FIG. 3;

도6은 도3의 고정 슬라이딩 대의 입면도 및 측면도,6 is an elevatio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ixed sliding seat of FIG. 3;

도7은 도3의 이동 슬라이딩 대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입면도 및 측면도,7 is an elevatio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movable sliding stand fixing means of FIG.

도8은 도3의 이동 슬라이딩 대의 입면도 및 측면도,8 is an elevatio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movable sliding stand of FIG. 3;

도9는 도3의 크로스 이동 블록의 입면도 및 측면도,9 is an elevation and side view of the cross moving block of FIG. 3;

도10은 도3의 크로스 이동블록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입면도,10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the cross moving block fixing means of FIG.

도11은 도3의 마운팅 브라켓 및 고정구의 구성도,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fixture of FIG.

도12은 도1의 이동대차의 입면 구성도,12 is an eleva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bile truck of FIG. 1;

도13는 도12의 평면도,Figure 13 is a plan view of Figure 12,

도14는 도12의 앞 주바퀴와 앞 보조바퀴의 작용상태도,14 i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front main wheel and the front auxiliary wheel of Figure 12,

도15은 도12의 뒷 주바퀴와 뒷 보조바퀴의 작용상태도이다.15 i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rear main wheel and the rear auxiliary wheel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 고정지그 14 : 이동대차12: fixed jig 14: moving cart

15 : 앞 주바퀴 16 : 제1주행수단15: front wheel 16: the first driving means

17 : 뒷 주바퀴 18 : 제2주행수단17: rear wheel 18: second driving means

20 : 고정지그 30 : 이동 슬라이딩 대 고정수단20: fixing jig 30: moving sliding stand fixing means

32 : 이동 슬라이딩 대 34 : 크로스 이동블록32: sliding sliding block 34: cross moving block

36 : 크로스 이동블록 고정수단 38, 40 : 마운팅 브라켓36: cross moving block fixing means 38, 40: mounting bracket

42, 44 : 고정구 46 : 고정 슬라이딩 대42, 44: fixture 46: fixed sliding stand

60 : 육각 이송랙 62 : 리이드 스크류60: hexagonal feed rack 62: lead screw

80 : 베이스 프레임 82 : 전면 감지센서80: base frame 82: front detection sensor

84 : 제1구동수단 86 : 연결 브라켓84: first driving means 86: connection bracket

88 : 앞 보조바퀴 90 : 동력전달수단88: front auxiliary wheel 90: power transmission means

92 : 후면 감지센서 94 : 제2구동수단92: rear detection sensor 94: second driving means

96 : 뒷 보조바퀴96: rear auxiliary wheel

본 고안에 의한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은, 시험하기 위한 파워 트레인이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가지는 이동지그와, 파워 트레인이 장착된 이동지그를 출입구 문턱이 설치된 무향실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지그가 실리는 이동대차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출입구 문턱을 용이하게 지나가도록앞 주바퀴를 승강시켜 지면을 따라 주행케 하는 제1주행수단과, 뒷 주바퀴를 승강시켜 지면을 따라 주행케 하는 제2주행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mounting system for testing a power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jig having a mounting bracket on which a power train for testing is mounted and a moving jig equipped with a power train to an anechoic chamber provided with an entrance threshold. Is made of a moving cart, the moving cart is the first driving means for driving along the ground by elevating the front main wheel so as to pass easily through the doorway threshold, and the second main wheel for lifting along the groun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wo running means.

상기 제1주행수단은, 무향실의 출입구 문턱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앞측에 설치된 전면 감지센서와, 상기 전면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앞측에 설치된 제1구동수단과, 상기 제1구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회동하도록 상기 앞 주바퀴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회동에 따라 상기 앞 주바퀴가 상승할 때 하강하여 지면에 닿도록 상기 연결브라켓의 단부에 설치된 앞 보조바퀴와, 상기 앞 주바퀴에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앞 보조바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다.The first driving means may include a front sensing sensor installed at a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to detect an entrance threshold of the anechoic chamber, and first driving means installed at a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to be driven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of the front sensing sensor; A connecting bracket connected to the front main wheel to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eans, and a front install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so that the front main wheel descends and touches the grou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bracket; An auxiliary wheel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front main wheel to the front auxiliary wheel.

상기 제2주행수단은, 무향실의 출입구 문턱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뒤측에 설치된 후면 감지센서와, 상기 후면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뒷측에 설치된 제2구동수단과, 상기 제2구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하강하여 지면에 닿음에 따라 상시 뒷 주바퀴가 상승하도록 상기 제2구동수단에 연결된 뒷 보조바퀴를 구비한다.The second driving means may include a rear sensor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base frame to detect an entrance threshold of the anechoic chamber, and second driving means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base frame to be driven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rear sensor; It is provided with a rear auxiliary wheel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eans such that the rear main wheel is always raised as it descend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eans and touches the ground.

상기 이동지그는, 무향실에 운반된 후 고정지그 위에 안착되어 이동 슬라이딩 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이동 슬라이딩 대와,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 상에 고정되는 크로스 이동블록과,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에 크로스 방향으로 이동가능케 설치된 마운팅 브라켓과, 엔진 및 트랜스 미션을 설치하도록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구로 이루어진다.The movable jig is mounted on a fixed jig after being transported to the anechoic chamber, the movable jig is fixed by the movable sliding stand fixing means, the cross movable block fixed on the movable sliding stand, and the cross movable block in the cross direction. And a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to install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이 끼워져 고정되는 이송랙이관통하여 설치되는 한편, 상기 이송랙을 크로스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이드 스크류가 상기 이송랙에 물리어 설치되고, 상기 리이드 스크류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이송랙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가 설치되어 있다.The cross moving block is provided with a feed rack through which the mounting bracket is fitted and fixed, while a lead screw for moving the feed rack in the cross direction is installed by being bitten by the feed rack and moved by the lead screw. A fixing bolt for fixing the transfer rack is install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험하기 위한 파워 트레인(2), 즉 엔진(4)과 트랜스미션(6)이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8, 10)을 가지는 이동지그(12)와, 파워 트레인(2)이 장착된 이동지그(12)를 출입구 문턱(도13에 도시)이 설치된 무향실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지그(12)가 실리는 이동대차(14)로 이루어진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mounting system for a power train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jig 12 having a power train 2 for testing, that is, a mounting bracket 8 and 10 on which an engine 4 and a transmission 6 are mounted, and a power train 2. The moving jig 12 is equipped with a moving cart 14 on which the moving jig 12 is mounted so as to move the jig 12 mounted thereinto to an anechoic chamber in which an entrance threshold (shown in FIG. 13) is installed.

상기 이동대차(14)는 상기 출입구 문턱을 용이하게 지나가도록 앞 주바퀴(15)를 승강시켜 지면을 따라 주행케 하는 제1주행수단(16)과, 뒷 주바퀴(17)를 승강시켜 지면을 따라 주행케 하는 제2주행수단(18)을 구비한다.The trolley 14 lifts the first main wheel 16 and the rear main wheel 17 to move along the ground by elevating the front main wheel 15 so as to easily pass through the doorway threshold. A second traveling means 18 for running along the road is provided.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워-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을 무향실에 설치한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대차(14)로 무향실에 운반된 이동지그(12)는 무향실에 설치된 고정지그(20)상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이동지그(12)의 마운팅 브라켓(8, 10)에 장착된 엔진(4)과 트랜스미션(6), 즉 파워 트레인(2)의 양측으로 드라이브 샤프트(22, 24)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2, 24)의 끝단에 다이나모미터(26, 28)가 설치된다.Figure 2 is a state diagram installed in the anechoic chamber for the automatic power-train te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ving jig 12 carried in the anechoic chamber by the moving trolley 14 is seated and fixed on the fixing jig 20 installed in the anechoic chamber, and is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s 8 and 10 of the moving jig 12. Drive shafts 22, 24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ounted engine 4 and transmission 6, ie the power train 2, respectively, and dynamometers 26, 28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drive shafts 22, 24. ) Is installed.

상기 이동지그(12)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파워 트레인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 무향실에 운반된 후 고정지그(20) 위에 안착되어 이동 슬라이딩대 고정수단(30)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동 슬라이딩 대(32) 상에 크로스 이동블록(34)이 크로스 이동블록 고정수단(36)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34)에 마운팅 브라켓(38, 40)이 크로스 방향으로 이동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38, 40)에 엔진 및 트랜스미션이 고정구(42, 44)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이다.The moving jig 12 is transported in the anechoic chamber as shown in Figs. 3 to 5 (the power train is not shown) and then seated on the fixing jig 20 and fixed by the movable sliding table fixing means 30. The cross movable block 34 is fixed by the cross movable block fixing means 36 on the movable sliding base 32, and the mounting brackets 38 and 40 are moved in the cross direction to the cross movable block 34.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the mounting bracket (38, 40) in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structure is installed by the fasteners (42, 44).

상기 고정지그(20)는 가로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된 고정 슬라이딩 대(46, 46)의 각각을 다수의 다리(48)가 받치고, 양측의 다리(48)의 하단에 크로스 플레이트(50)가 고정되어 지면에 밀착하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 슬라이딩 대(46)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 고정수단(30)의 후술하는 하측 걸림블록이 끼워져 걸리는 V형 홈(46a)이 저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32)의 홈에 끼워져 걸리는 사각 돌기(46b)가 상면 중앙에 형성된 사각 로드 형상이다.The fixing jig 20 supports a plurality of legs 48 each of the fixed sliding bases 46 and 46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ross plate 50 is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gs 48 on both sides.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s shown in FIG. 6, the fixed sliding base 46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V-shaped groove 46a to which the lower locking block,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movable sliding base fixing means 30 is fitted. A rectangular projection 46b, which is fitted into the groove of 32, has a rectangular rod shap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 고정수단(30)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V형 홈(46a)에 걸리는 하측 걸림블록(52)과,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32)의 후술하는 하 걸림턱에 걸리는 상측 걸림블록(54)과, 상기 하측 걸림블록(52)과 상측 걸림블록(54)을 연결하여 상기 고정 슬라이딩 대(46)와 이동 슬라이딩 대(32)를 고정하는 고정볼트(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 고정수단(30)은 상기 고정 슬라이딩 대(46)와 이동 슬라이딩 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다수개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7, the movable sliding stand fixing means 30 is caught by a lower locking block 52 that is caught by the V-shaped groove 46a and a lower locking jaw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An upper locking block 54 and the lower locking block 52 and the upper locking block 5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xing bolt 56 fixes the fixed sliding base 46 and the movable sliding base 32. The movable sliding stand fixing means 30 is provided in plural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liding stand 46 and the movable sliding stand 32.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32)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슬라이딩대의 사각 돌기(46b)가 끼워져 걸리는 사각 홈(32a)이 저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 고정수단의 상측 걸림블록(52)이 걸리는 하 걸림턱(32b)이 양측면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 고정수단(36)의 후술하는 하측 걸림블록이 걸리는 상 걸림턱(32c)이 양측면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34)의 후술하는 경사돌기가 끼워져 걸리는 V형 홈(32d)이 상면 중앙에 형성된 사각 로드 형상이다.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32)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이동 슬라이딩 대(32, 32)의 양단에 마감대(58)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movable sliding stand 32 has a square groove 32a in which the square protrusion 46b of the fixed sliding stand is fitted, an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and an upper locking block of the movable sliding stand fixing means. Lower latching jaw 32b on which 52 is applie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and upper locking jaw 32c on which the lower locking block,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cross moving block fixing means 36 i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cross The V-shaped groove 32d into which the inclined protrusion described later of the moving block 34 is fitted is a rectangular rod shap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 5, the movable sliding base 32 has a finishing frame 58 connected to both ends of two movable sliding bases 32 and 32 disposed at both sides, thereby forming a rectangular frame as a whole.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34)은 도3, 도5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 이송랙(60 : 도3 및 도5에 도시)이 관통하는 육각 구멍(34a)이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V형 홈(32d)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경사돌기(34b)가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며,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 고정수단의 후술하는 상측 걸림블록이 걸리는 V형 홈(34c)이 상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육각 구멍(34a)의 일측에는 상기 육각 이송랙(60)을 구동하는 리이드 스크류(62)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 블록이다.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34)의 상면에는 상기 육각 이송랙(60)을 고정하도록 고정볼트(64)가 설치된다. 상기 육각 이송랙(60)은, 크로스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일부분에 상기 리이드 스크류(62)에 물리는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38)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리이드 스크류(62)는 상기 육각 이송랙(60)을 구동하기 위한 부재로서 그 일단에는 핸들(66)이 착탈 가능케 끼워져 고정된다.3, 5 and 9, the cross moving block 34 has a hexagonal hole 34a through which the hexagonal transfer rack 60 (shown in FIGS. 3 and 5)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inclined protrusion 34b into which the V-shaped groove 32d is inserted and guided is formed along the botto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shaped groove 34c on which the upper locking block described later of the cross moving block fixing means is caught. It is formed on both sides, one side of the hexagon hole 34a is a block formed with a space in which the lead screw 62 is installed to drive the hexagonal conveyance rack 60. A fixing bolt 64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 moving block 34 to fix the hexagonal transfer rack 60. The hexagonal transfer rack 60 is formed with a screw that is bitten by the lead screw 62 in a portion to move in the cross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mounting bracket 38 is fitted and fixed. The lead screw 62 is a member for driving the hexagonal transfer rack 60, the handle 66 is detachably fitted to one end thereof.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 고정수단(36)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의 상 걸림턱(32c)에 걸리는 하측 걸림블록(68)과,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의 V형 홈(34c)에 걸리는 상측 걸림블록(70)과, 상기 하측 걸림블록(68)과 상측 걸림블록(70)을 연결하여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32)와 크로스 이동블록(34)을 고정하는 고정볼트(72)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 고정수단(36)은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32)와 크로스 이동블록(3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0, the cross moving block fixing means 36 includes a lower locking block 68 that is caught by an upper locking jaw 32c of the movable sliding table, and a V-shaped groove 34c of the cross moving block. It consists of a fastening bolt (72) for fixing the upper locking block (70), the lower locking block (68) and the upper locking block (70) to fix the movable sliding table (32) and the cross moving block (34). . The cross moving block fixing means 36 is provid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sliding stand 32 and the cross moving block 34.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38, 40)은 그 하측에 상기 육각 이송랙(60)에 끼워지는 육각 구멍(38a, 40a)이 형성된 환형봉 형태이며, 마운팅 브라켓(38, 40)의 상측에 상기 고정구(42, 44)가 설치되어 엔진 및 트랜스미션이 고정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38, 40) 및 고정구(42, 44)는 이동지그(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데, 마운팅하는 곳이 하나일 경우에 양측의 고정구(44)는 횡 플레이트(74)에 의해 연결되어 잡아줄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mounting brackets 38 and 40 are in the form of annular rods formed with hexagonal holes 38a and 40a fitted to the hexagonal transfer rack 60 at the lower side thereof, and the mounting brackets 38 and 40 as shown in FIG. The fixtures 42 and 44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hereof to fix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The mounting brackets 38 and 40 and the fixtures 42 and 44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jig 12. When the mounting place is one, the fixtures 44 on both sides are formed by the transverse plate 74. It can also be hooked up.

상기 이동대차(14)는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지그(12)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80)의 앞, 뒤에 상기 앞 주바퀴(15) 및 뒷 주바퀴(17)가 설치되는데, 상기 베이스 프레임(80)의 앞측에는 상기 제1주행수단(16)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80)의 뒷측에는 상기 제2주행수단(18)이 설치된다.12 and 13, the front main wheel 15 and the rear main wheel 17 are locat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base frame 80 on which the moving jig 12 is seated. Is installed, the first driving means 16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80, the second driving means 18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80.

상기 제1주행수단(16)은 무향실의 출입구 문턱(D)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80)의 앞측에 설치된 전면 감지센서(82)와, 상기 전면 감지센서(82)의 감지신호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80)의 앞측에 설치된 제1구동수단(84)과, 상기 제1구동수단(84)의 구동에 따라회동하도록 상기 앞 주바퀴(15)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86)과, 상기 연결브라켓(86)의 회동에 따라 상기 앞 주바퀴(15)가 상승할 때 하강하여 지면에 닿도록 상기 연결브라켓(86)의 단부에 설치된 앞 보조바퀴(88)와, 상기 앞 주바퀴(15)에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앞 보조바퀴(88)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90)을 구비한다.The first driving means 16 is illustrated according to a front detection sensor 82 installed in front of the base frame 80 and a detection signal of the front detection sensor 82 to detect the entrance threshold D of the anechoic chamber. The first driving means 84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80 so as to be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nd the front main wheel 15 to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eans 84; A front auxiliary wheel install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86 so that the front main wheel 15 descends and contacts the ground when the front main wheel 15 ris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86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racket 86 88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90 for transmitting power transmitted to the front main wheel 15 to the front auxiliary wheel 88.

상기 제2주행수단(18)은 무향실의 출입구 문턱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뒤측에 설치된 후면 감지센서(92)와, 상기 후면 감지센서(92)의 감지신호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80)의 뒷측에 설치된 제2구동수단(94)과, 상기 제2구동수단(94)의 구동에 따라 하강하여 지면에 닿음에 따라 상기 뒷 주바퀴(17)가 상승하도록 상기 제2구동수단(94)에 연결된 뒷 보조바퀴(96)를 구비한다.The second driving means 18 is a rear detection sensor 92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to detect the entrance threshold of the anechoic chamber, and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not shown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ear detection sensor 92 The second main driving means (94)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80 to be driven by the lower main wheel 17 as the lower contact with the ground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eans (94) And a rear auxiliary wheel 96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eans 94 to ascend.

상기 베이스 프레임(80)에는 상기 이동지그(12)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다수의 기준핀(10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앞 주바퀴를 구동하는 모터(102)와 이 모터(10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테리(104)가 설치되어 있다.The base frame 8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ference pins 100 for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jig 12 while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102 and the motor 102 for driving the front main wheels. The battery 104 is installed.

상기 앞 주바퀴(15)는 앞 주축(1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앞 주축(110)에는 상기 모터(102)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112)가 설치되어 있다.The front main wheel 15 is connected to the front main shaft 110, the front main shaft 110 is provided with a gear 112 that receives the power of the motor 102.

상기 연결브라켓(86)은 상기 앞 주바퀴(15)에 연결된 앞 주축(1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회동축(114)에서 앞측으로 구부러진 구조로서, 이 연결브라켓(86)에는 체인(116)과 다수의 스프로켓(118)으로 이루어진 상기 동력전달수단(9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켓(118)은 상기 앞 보조바퀴(88)와 상기 앞 주축(110)에 연동하는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체인을 이동방향을 바꾸는 다수의 아이들 스프로켓으로 구성된다.The connecting bracket 86 extends upward from the front main shaft 110 connected to the front main wheel 15 and is bent forward from the pivot shaft 114. The connecting bracket 86 includes a chain 116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9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prockets 118 is installed. The sprocket 118 is composed of a drive sprocket interlocked with the front auxiliary wheel 88 and the front main shaft 110 and a plurality of idle sprockets for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hain.

상기 제1구동수단(84)은 상기 양측의 연결브라켓(86)을 잇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대의 중앙에 연결되어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동축(114)을 회동중심으로 상기 연결브라켓(86)을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수단(94)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80)의 후측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뒷 보조바퀴(96)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로 되어 있다.The first driving means 84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rod (not shown) connecting the connecting brackets 86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connecting bracket is pivoted around the pivot shaft 114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means (not shown). It is a hydraulic cylinder which rotates 86. The second driving means 94 is installed at the rear center of the base frame 80 and serves as a hydraulic cylind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rear auxiliary wheel 96.

한편, 상기 양측의 뒷 주바퀴(17)가 연결된 뒷 주축에는 이송대차(14)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도록 뒷 주바퀴(17)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링크 시스템(122)을 가진 조향장치(1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뒷 주바퀴(17)의 후측에는 무향실의 출입구 문턱(D)을 넘을 때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조 감지센서(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링크 시스템(122)을 가진 조향장치(120)는 일반적인 대차의 조향장치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ering device 120 having a link system 122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ear main wheel 17 to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eed cart 14 on the rear main shaft connected to the rear main wheels 17 on both sides. Is installed. In addition, an auxiliary detecting sensor 130 is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rear main wheel 17 to facilitate control when crossing the entrance threshold D of the anechoic chamber. The steering apparatus 120 having the link system 122 is similar to the steering apparatus of a general bogi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대차(14)에 이동지그(12)(엔진 및 트랜스 미션이 설치된 상태의 이동지그)를 안착하여 무향실로 이동한 후, 이동지그(12)를 무향실에 설치된 고정지그(20)상에 안착시켜 고정하게 되는데, 이동대차(14)가 무향실의 출입구 문턱(D)을 넘을 때에는 상기 제1주행수단(16)이 도14와 같이 작동하고 상기 제2주행수단(18)이 도15과 같이 작동하여 이동하게 된다.The mobile jig 12 (moving jig in the state where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are installed) is seated on the moving trolley 1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moved to the anechoic chamber, and then the moving jig 12 is mounted on the fixed jig 20 installed in the anechoic chamber. When the moving cart 14 crosses the entrance threshold D of the anechoic chamber, the first traveling means 16 operates as shown in FIG. 14, and the second traveling means 18 as shown in FIG. 15. It works together and moves.

즉, 전면 감지센서(82)가 출입구 문턱(D)을 감지하여 앞 주바퀴(15)와 앞 보조바퀴(88)사이에 출입구 문턱(D)이 위치하게 되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로 된 제1구동수단(84)의 작동에 의해 연결 브라켓(86)이 회동축(114)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앞 보조바퀴(88)가 하강하여 지면에 닿게 되고 앞 주바퀴(15)가 상승하여 들리게 되고, 모터(102)의 동력은 체인(116)과 다수의 스프로켓(118)으로 이루어진 상기 동력전달수단(90)을 통해 앞 보조바퀴(88)에 전달되어 주행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front door sensor 82 detects the doorway threshold D and the doorway threshold D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main wheel 15 and the front auxiliary wheel 88, the hydraulic pressure as shown in FIG.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eans 84 made of a cylinder, the connecting bracket 86 is rotated with the pivot shaft 114 as the pivot center so that the front auxiliary wheel 88 descends to reach the ground and the front main wheel 15 ) Is lifted and lifted up, and the power of the motor 102 is transmitted to the front auxiliary wheels 88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90 including the chain 116 and the plurality of sprockets 118 to travel.

그리고, 후면 감지센서(92)가 출입구 문턱(D)을 감지하여 뒷 주바퀴(17)와 뒷 보조바퀴(96)사이에 출입구 문턱(D)이 위치하게 되면,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로 된 제2구동수단(94)의 작동에 의해 뒷 보조바퀴(96)가 하강하여 지면에 닿게 되고 뒷 주바퀴(17)는 상승하여 들리게 되어 주행하게 된다.Then, when the rear door sensor 92 detects the doorway threshold D and the doorway threshold D is located between the rear main wheel 17 and the rear auxiliary wheel 96, as shown in FIG.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eans 94 made of a cylinder, the rear auxiliary wheel 96 descends to reach the ground, and the rear main wheel 17 is lifted and lifted to travel.

이때, 상기 후면 감지센서(92)가 출입구 문턱(D)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1구동수단(84)의 작동에 의해 앞 보조바퀴(88)가 상승하고 앞 주바퀴(15)가 하강하여 지면에 닿게 되어 동력은 앞 주바퀴(15)로 전달되어 주행하게 되고, 상기 보조감지센서(130)가 출입구 문턱(D)을 감지하게 되면 이동대차(12)가 출입구 문턱(D)을 완전히 통과한 상태이므로 상기 제2구동수단(94)의 작동에 의해 뒷 보조바퀴(96)가 상승하고 뒷 주바퀴(17)가 하강하여 지면에 닿게 되어 정상적으로 주행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rear sensor 92 detects the entrance threshold D, the front auxiliary wheel 88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eans 84 and the front main wheel 15 is lowered.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ront main wheels 15 to travel, and when the auxiliary detection sensor 130 detects the entrance threshold D, the moving cart 12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entrance threshold D. Since the rear auxiliary wheels 96 are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eans 94 and the rear main wheels 17 are lowered to reach the ground, thereby driving normally.

한편, 상기 제1구동수단(84)은 상기 보조 감지센서(130)가 출입구 문턱(D)을 감지할 때 작동함에 의해, 앞 보조바퀴(88)가 상승하고 앞 주바퀴(15)가 하강하여 지면에 닿게 되어 동력은 앞 주바퀴(15)로 전달되어 주행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riving means 84 is operated when the auxiliary detecting sensor 130 detects the entrance threshold (D), the front auxiliary wheel 88 is raised and the front main wheel 15 is lowered The power comes in contact with the ground may be transmitted to the front main wheels 15 to control the driving.

그리고, 상기 후면 감지센서(92)가 출입구 문턱(D)을 감지한 후 제2구동수단(94)의 작동시간 및 이동대차(14)의 이동시간을 감안하여 얼마의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제2구동수단(94) 및/또는 제1구동수단(94)을 원위치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 감지센서(130)는 선택적으로 설치된다.In addition, after the rear side sensor 92 detects the entrance threshold D, the second tim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time of the second driving means 94 and the movement time of the moving cart 14. Since the driving means 94 and / or the first driving means 94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the home position, the auxiliary detecting sensor 130 is selectively installed.

본 고안에 의한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에 의하면, 여러 개의 파워 트레인 무향실에 엔진 및 트랜스미션, 진동계등 시험 센서, 엔진 냉각수 배관, 연료 배관, 엔진 급기 배관 설치 및 엔진 및 트랜스 미션 콘트롤 박스 등을 고가의 실험실에서 설치하는 것을 별도의 조립실에서 조립하게 되므로 무향실의 활용도가 증가하게 되고, 특히, 짧은 시간에 엔진과 트랜스미션의 탈, 장착이 가능하므로 시험의 분석에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시험물에 대해서는 기존에 설치된 엔진과 트랜스미션을 탈착하고 다른 엔진과 트랜스미션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되어 무향실의 활용이 대폭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mounting system for the power train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ransmission, vibration sensor test sensors, engine coolant piping, fuel piping, engine supply pipe installation, engine and transmission control box, etc. Since installation in a laboratory is assembled in a separate assembly room, the utilization of the anechoic chamber increases, and in particular, since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can be removed and installed in a short time, the existing specimens that take much time for analysis of the test are The engine and transmission installed in the engine can be removed and other engines and transmissions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which greatly increases the utilization of the anechoic chamber.

그리고, 조립담당자의 기능이 숙달되며 작업인원을 축소할 수 있으며, 엔진과 트랜스미션을 운반할 시 무향실에 설치된 호이스트에 의한 위험한 상태로 운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해소되고, 이동대차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으므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시험실(무향실)에서 연료배관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낮고, 주위의 여러 가지 고가의 계측장비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다이나모미터, 정반 등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서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assembly personnel is mastered and the number of workers can be reduced, and the problem of transporting the engine and transmission in a dangerous state by the hoist installed in the anechoic chamber is solved. It can be transported, and the fuel pipe is not installed in the test room (anechoic room), so it is less likely to cause a safety accident, and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when various expensive measuring equipments are installed around it. Since it is not installed in the space, safety is effective.

Claims (5)

시험하기 위한 파워 트레인이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가지는 이동지그(12)와, 파워 트레인이 장착된 이동지그를 출입구 문턱이 설치된 무향실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지그가 실리는 이동대차(14)로 이루어지되,A mobile jig 12 having a mounting bracket on which a power train for testing is mounted, and a mobile trolley 14 on which the mobile jig is mounted to move the moving jig equipped with the power train to an anechoic chamber in which an entrance threshold is installed. ,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출입구 문턱을 용이하게 지나가도록 앞 주바퀴를 승강시켜 지면을 따라 주행케 하는 제1주행수단(16)과, 뒷 주바퀴를 승강시켜 지면을 따라 주행케 하는 제2주행수단(18)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 시스템.The moving cart has a first driving means 16 for elevating the front main wheel so as to pass along the ground so as to easily pass through the doorway threshold, and a second driving means for elevating the rear main wheel to run along the ground ( 18) an automatic mounting system for power train testing,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주행수단(16)은,The first travel means 16, 무향실의 출입구 문턱(D)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80)의 앞측에 설치된 전면 감지센서(82)와,A front sensor 82 installed in front of the base frame 80 to detect an entrance threshold D of the anechoic chamber, 상기 전면 감지센서(82)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80)의 앞측에 설치된 제1구동수단(84)과,First driving means 84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80 to be driven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front detection sensor 82; 상기 제1구동수단(84)의 구동에 따라 회동하도록 상기 앞 주바퀴(15)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86)과,A connection bracket 86 connected to the front main wheel 15 so as to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eans 84; 상기 연결브라켓(86)의 회동에 따라 상기 앞 주바퀴(15)가 상승할 때 하강하여 지면에 닿도록 상기 연결브라켓(86)의 단부에 설치된 앞 보조바퀴(88)와,A front auxiliary wheel 88 install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86 so that the front main wheel 15 descends and contacts the ground as the connecting bracket 86 rotates; 상기 앞 주바퀴(15)에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앞 보조바퀴(88)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시스템.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90) for transmitting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front main wheel (15) to the front auxiliary wheel (88).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주행수단(18)은,The second travel means 18, 무향실의 출입구 문턱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뒤측에 설치된 후면 감지센서(92)와,A rear sensor 92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base frame to detect an entrance threshold of the anechoic chamber, 상기 후면 감지센서(92)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80)의 뒷측에 설치된 제2구동수단(94)과,Second driving means 94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base frame 80 to be driven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rear detection sensor 92; 상기 제2구동수단(94)의 구동에 따라 하강하여 지면에 닿음에 따라 상기 뒷 주바퀴(17)가 상승하도록 상기 제2구동수단(94)에 연결된 뒷 보조바퀴(9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시스템.And a rear auxiliary wheel 96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eans 94 such that the rear main wheel 17 is raised as the lower main wheel 17 descends in response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eans 94. Automated mounting system for power train test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지그(12)는,The moving jig 12, 무향실에 운반된 후 고정지그(20) 위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이동 슬라이딩 대(32)와,After moving in the anechoic chamber and seated on the fixed jig 20 is fixed to the mobile slide 32, 상기 이동 슬라이딩 대(32) 상에 고정되는 크로스 이동블록(34)과,A cross moving block 34 fixed on the movable sliding table 32;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34)에 크로스 방향으로 이동가능케 설치된 마운팅 브라켓(38, 40)과,Mounting brackets 38 and 40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cross direction on the cross moving block 34, 엔진 및 트랜스 미션을 설치하도록 상기 마운팅 브라켓(38, 40)에 고정되는 고정구(42, 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시스템.And a fixture (42, 44) secured to said mounting bracket (38, 40) to install an engine and transmiss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크로스 이동블록(34)에는,In the cross moving block 34, 상기 마운팅 브라켓(38, 40)이 끼워져 고정되는 이송랙(60)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편, 상기 이송랙(60)을 크로스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이드 스크류(62)가 상기 이송랙에 물리어 설치되고, 상기 리이드 스크류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이송랙(60)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6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트레인 시험용 자동장착시스템.The transfer rack 60 through which the mounting brackets 38 and 40 are fitted is fixed to the mounting rack, and a lead screw 62 for moving the transfer rack 60 in the cross direction is bitten by the transfer rack. And a fixing bolt (64) for fixing the transfer rack (60) moved by the lead screw.
KR20-2004-0031986U 2004-11-12 2004-11-12 auto-dock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ing KR2003743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986U KR200374351Y1 (en) 2004-11-12 2004-11-12 auto-dock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986U KR200374351Y1 (en) 2004-11-12 2004-11-12 auto-dock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351Y1 true KR200374351Y1 (en) 2005-01-28

Family

ID=4944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986U KR200374351Y1 (en) 2004-11-12 2004-11-12 auto-dock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35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2944B2 (en) * 2015-11-23 2021-07-06 Daf Trucks N.V. Auto docking method for application in heavy truc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2944B2 (en) * 2015-11-23 2021-07-06 Daf Trucks N.V. Auto docking method for application in heavy tru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433B1 (en) Wheel hub of tap measurement tester for vehicles
KR101282463B1 (en) testing device f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peed sensor
KR101832393B1 (en) Column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performance test system
CN205156852U (en) End of hub unit ring flange is jumped and radial run -out check out test set
CN105277124A (en) Wheel hub unit flange plate end jump and radial jump detection equipment
CN105203064A (en) Hub unit negative clearance detection device
CN113030519A (en) Detection equipment for circuit board
KR20150080787A (en) Door hinge loading device for vehicle
CN107991093A (en) A kind of detection device that can detect carrier bar Short Item automatically
CN106931851A (en) A kind of spline detection means
KR101783698B1 (en) Fixing device for testing transmission of electric car
KR200374351Y1 (en) auto-docking system for power-train testing
KR101386235B1 (en) Testing apparatus for roller of excavator and testing method for it
KR100737013B1 (en) Door inner module insp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KR100247623B1 (en) Gpr mounted vehicle for investigation of cable tunnel lining
KR20170071168A (en) Brake tester for automotive scan with shaft weighing measurement equipment
CN113720384B (en) Glass lifter detection equipment
CN209745450U (en) Device for intelligently detecting motor braking torque
CN106017939B (en) A kind of skylight of vehicle experimental method
CN210070983U (en) Industry workshop raise dust noise detection device
CN113447284A (en) Tire inspection device and tire inspection system
CN111076661A (en) Automobile tail door handle position detecto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5620061U (en) Sunroof anti -pinch force detection device
CN220252187U (en) Expansion turnbuckle installation in-place detection tool for skylight assembly
CN117723318B (en) Reliability determining method and testing system for automobile automatic driv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