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275Y1 -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275Y1
KR200374275Y1 KR20-2004-0031791U KR20040031791U KR200374275Y1 KR 200374275 Y1 KR200374275 Y1 KR 200374275Y1 KR 20040031791 U KR20040031791 U KR 20040031791U KR 200374275 Y1 KR200374275 Y1 KR 200374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eed roller
guide
teller machin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동훈
전형준
박창호
황진용
문창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1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2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the articles resting on rollers or ba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고에서 픽업롤러에 의해 유출되는 지폐의 일면에 마찰을 가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피드롤러, 피드롤러 의해 마찰을 받는 상기 지폐의 타면 하부로 피드롤러에서 유격되어 피드롤러보다 저속으로 회전하여 마찰을 가하는 보조롤러 및 피드롤러 또는 보조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피드롤러와 보조롤러 사이의 유격을 조정하도록 하는 가이드가 제공된 브라켓을 포함으로써, 피드롤러와 보조롤러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PICKING ROLLER IN AUTO TELLER MACHINE}
본 고안은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를 출금하는 픽업롤러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를 집어 당기는 롤러 사이의 유격을 조정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기본적인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현금자동지급기와 현금자동입출금기와 같은 지폐자동입출금기가 있다.
여기서, 상기 현금자동지급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현금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현금자동입출금기는 현금자동지급 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상기 지폐자동입출금기는 지폐를 연속적으로 한 장씩 송출하는 출금고, 입출금 겸용의 지폐를 수납하여 연속적으로 한 장씩 송출하는 지폐 리사이클고, 상기 지폐 입금고나 리사이클고에 수납되지 않은 입금지폐나 상기 출금고로부터 연속적으로 한 장씩 송출된 지폐 중 출금하지 않은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리젝트고, 상기 리사이클고에 대하여 보충 할 지폐를 연속적으로 한 장씩 송출하고, 상기 리사이클고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 카세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폐자동입출금기의 출금고에는 지폐를 한 장씩 송출하기 위한 복수의 롤러가 포함된 지폐픽업부가 제공된다. 즉, 상기 출금고에 저장된 지폐는 지폐픽업부의 픽업롤러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의 마찰력에 의해 지폐가 끌어당겨질 때, 지폐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두 장이 한꺼번에 당겨져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장착된 출금 이동로를 따라 이송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 픽업롤러로 당겨지는 지폐 중 한 장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픽업롤러로 당겨진 지폐의 일면에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마찰력을 가하여 상기 출금 이동로로 지폐를 보내는 피드롤러 및 상기 피드롤러보다 저속으로 회전하여 상기 픽업롤러로 당겨진 지폐의 타면에 마찰력을 가하는 보조롤러가 상기 출금고에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에는 두 장의 지폐가 유입되면 상기 보조롤러에 한 장의 지폐가 접촉되도록 하는 유격이 제공된다.
즉,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피드롤러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픽업롤러로 한 번에 두 장의 지폐가 적층상태로 상기 출금고에서 배출될 때, 상기 피드롤러에 접촉하지 않는 다른 한 장의 지폐(적층된 지폐 중 보조롤러에 접촉한 지폐)가 먼저 이송된 지폐보다 늦게 이송되도록 마찰력을 가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피드롤러에 의해 마찰력을 받는 지폐(적층된 지폐 중 피드롤러에 접촉한 지폐)가 상기 출금 이송로로 이송되면 상기 다른 한 장의 지폐가 상기 피드롤러에 의해 마찰력을 받아 먼저 이송된 지폐를 따르도록 시간적인 간격을 제공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의 유격은 상기 피드롤러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축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축을 고정시킴으로써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고에 적재된 지폐를 픽업하여 출금 이송로로 이송하는 상기 지폐픽업부의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의 유격이 고정되면, 상기 출금고에 적재되는 지폐의 종류는 그만큼 제한된다.
즉,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의 유격을 두 장의 현금이 지나갈 때 한 장의 현금이 상기 보조롤러에 의해 마찰을 받아 두 장의 현금이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출금 이송로로 이송되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출금고에 상기 현금 외에 다른 지폐 종류를 적재하여 출금되도록 한다면 지폐의 종류에 따라 두께가 다르므로 인해 상기 고정된 유격은 두 장의 지폐 중 한 장이 상기 보조롤러에 의해 접촉되어 두 장의 지폐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데 적합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의 고정된 유격은 상기 출금고에 다양한 지폐의 종류가 적재되고,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두 장의 지폐가 한번에 픽업될 때, 픽업된 두 장의 지폐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데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부에서 장시간 출금이 이루어지면,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축이나 베어링의 마모, 보조롤러를 고정하는 고정부에서 마모 등 다양한 기계적인 변화에 의해서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의 유격은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의 상기 유격의 변화로 인해 상기 보조롤러가 지폐에 가하는 마찰력은 감소되고, 상기 피드롤러에 의해서 복수의 지폐가 한번에 이송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로 지폐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격은 기계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의 유격이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작단계에서 고정되면, 상기 유격을 최초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부품을 교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은 단지 출금고에서만 일어나는 문제점은 아니며, 지폐가 한 장씩만 당겨지어 배출되도록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든 지폐 저장부에서 일어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는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의 유격이 다양한 지폐의 종류에 맞게 유연하게 조정되고, 금융자동화기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유격이 변화되더라도 상기 유격을 유연하게 조정하여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고에서 지폐가 한 장씩 연속적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의 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의 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금융자동화기기 20: 출금고
30: 지폐픽업부 40: 프레임
50: 픽업롤러 60: 피드롤러
70: 보조롤러 75: 회전축
80: 브라켓 82: 가이드
83: 홈 85: 결합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고에서 지폐를 당기어 유출시키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당겨진 지폐의 일면에 마찰을 가하여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장착된 출금 이송로로 이송하도록 하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 의해 마찰을 받는 상기 지폐의 타면 하부에서 유격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피드롤러보다 저속으로 회전하여 지폐에 마찰을 가하는 보조롤러, 상기 피드롤러 또는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의 상기 유격을 조정하는 가이드가 제공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는 결합부재의 지지점에서 상기 회전축에 대한 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곡선통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을 금융자동화기기에 결합시킬 수 있는 볼트나 핀 등이다.
이때,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고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 이송로로 지폐를 송출하는 지폐픽업부의 프레임에 설치된 픽업롤러에 의해 회전에 의해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폐픽업부의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당겨진 지폐는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에 의해 출금 이송로로 보내지며, 상기 피드롤러의 하부에서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피드롤러보다 저속으로 회전하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당겨진 지폐가 두 장이면, 한 장이 먼저 이송된 다른 한 장을 따라 이송되도록 마찰력을 가한다. 이때,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두 장의 지폐가 당겨지면 한 번에상기 출금이송로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조롤러에 의해 소정간격을 두고 이송된다.
그런데, 상기 출금고에 기존의 지폐와 다른 종류의 지폐를 적재하여 출금되도록 한다면 지폐의 종류에 따라 두께가 달라지므로, 상기 유격은 바뀐 지폐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축의 위치가 기계적인 훼손으로 변하여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의 유격이 벌어지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당겨진 두 장의 지폐 중 하나가 상기 보조롤러에 의해 마찰력을 받지 못하여 상기 피드롤러에 의해 마찰력을 받는 지폐와 함께 이송되므로,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축에 고정된 상기 브라켓의 가이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유격을 조정하여야 한다.
즉, 상기 브라켓의 가이드에 고정된 결합부재의 지지점에서 상기 회전축까지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하여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회전축에 대한 지지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보조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유격은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조정된 유격은 최초의 지폐 픽업부와 같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당겨지는 두 장의 지폐 중 한 장은 상기 보조롤러에 의해 마찰력을 충분히 받아 상기 피드롤러에 의해 마찰력을 받는 다른 지폐에 대해 소정간격을 두고 따르도록 하는 유격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는 결합부재의 지지점에서 상기 회전축에 대한 거리가 단계적으로 변화는 홈을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재에서 상기 회전축에 대한 거리가 홈이 배치된 간격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에 포함되는 단계적인 홈은 지폐의 종류에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로 한 장의 지폐가 송출되도록 결정된 각기 다른 유격을 제공하는 하는 것으로, 상기 홈의 간격은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는 지폐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에 단계적인 홈이 포함됨으로써,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고에 지폐를 적재하고 관리하는 은행원이나 기타 관리자는 기존과 다른 지폐를 출금고에 적재할 때 그에 따른 가이드의 홈에 상기 결합부재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유격을 조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마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본 기술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의 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의 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의 출금고(20)에서 지폐를 유출하는 픽업롤러(50), 상기 픽업롤러(50)에 의해 유출되는 지폐의 일면에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마찰을 가하여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이송로로 이송하도록 하는 피드롤러(60), 상기 피드롤러(60)에서 유격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피드롤러(60)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는 보조롤러(70) 및 상기 보조롤러(70)의 회전축(75)에 결합되어 상기 피드롤러(60)와 상기 보조롤러(70) 사이의 상기 유격을 조정하도록 하는 가이드(82)가 제공된 브라켓(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80)은 상기 보조롤러(70)의 회전축(75)에 결합되고 단부에는 상기 보조롤러(70)의 상기 회전축(75)에 대한 거리가 변하도록 곡선통로의 가이드(82)가 제공된 것으로, 상기 브라켓(80)은 상기 가이드(82)를 통과하는 결합부재(85)에 의해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85)는 상기 가이드(82)를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80)을 금융자동화기기(10)에 결합시킬 수 있는 볼트나 핀 등이다.
이때,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의 출금고(20)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에 장착된 출금 이송로로 지폐를 송출하는 지폐픽업부(30)의 프레임(40)에 설치된 픽업롤러(50)의 회전에 의해 당겨지어 유출된다.
즉, 상기 지폐픽업부(30)의 상기 픽업롤러(50)에 의해 당겨진 지폐는 상기 피드롤러(60)의 회전에 의해 출금 이송로로 보내지며, 상기 피드롤러(60)의 하부에서 프레임(40)에 설치된 상기 보조롤러(70)는 상기 피드롤러(60)보다 저속으로 회전하여 상기 픽업롤러(50)에 의해 당겨진 지폐가 두 장이면, 한 장의 지폐가 먼저 상기 피드롤러(60)에 의해 이송된 지폐를 따르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고에 다른 종류의 지폐를 적재하려면 상기 지폐픽업부(30)에 포함된 상기 피드롤러(60)와 상기 보조롤러(70)의 유격을 조정해야 한다.
또한, 상기 피드롤러(60)와 상기 보조롤러(70)의 회전축(75)의 기계적인 훼손으로 인해 상기 유격이 벌어져 상기 픽업롤러(50)에 의해 당겨진 두 장의 지폐 중 하나가 상기 보조롤러(70)에 접촉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보조롤러(70)의 회전축(75)에 고정된 상기 브라켓(80)의 가이드(82)에서 상기 결합부재(85)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유격을 조정해야 한다.
즉, 상기 브라켓(80)의 상기 가이드(82)에 고정된 상기 결합부재(85)에서 상기 보조롤러(70)의 상기 회전축(75)까지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하여 상기 브라켓(80)에서 상기 보조롤러(70)의 상기 회전축(75)에 대한 지지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보조롤러(70)와 상기 피드롤러(60)의 유격은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롤러(70)와 상기 피드롤러(60)의 조정된 유격은 최초의 지폐픽업부(30)와 같이 상기 픽업롤러(50)에 의해 당겨지는 두 장의 지폐 중 한 장의 지폐가 상기 보조롤러(70)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받도록 하는 유격이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브라켓(80)에 제공된 상기 가이드(82)는 상기 결합부재(85)가 상기 가이드(8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80)이 상기 보조롤러(70)의 회전축(75)에서 분리됨 없이 상기 브라켓(80)을 상기 보조롤러(70)의 상기 회전축(75)에서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80)의 가이드(82)를 통과하는 상기 결합부재(85)에서 상기 보조롤러(70)의 상기 회전축(75)까지의 지지거리는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80)의 상기 가이드(82)에는 상기 결합부재(85)가 고정되도록 하는 홈(83)이 단계적으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홈(83)의 배치 간격은 상기 결합부재(85)의 상기 가이드(82)에 대한 지지점에서 상기 보조롤러(70)의 상기 회전축(75)의 거리를 의미하는 R 1 ~ R 3까지 단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82)에 포함되는 단계적인 상기 홈(83)은 지폐의 종류에 상기 피드롤러(60)와 상기 보조롤러(70) 사이로 한 장의 지폐가 송출되도록 결정된 각기 다른 유격을 제공하는 하는 것으로, 상기 홈(83)의 간격은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는 지폐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82)에 단계적인 홈(83)이 포함됨으로써,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고에 지폐를 적재하고 관리하는 은행원이나 기타 관리자는 기존과 다른 지폐를 출금고에 적재할 때 그에 따른 가이드(82)의 홈(83)에 상기 결합부재(85)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유격을 조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마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의 유격이 다양한 지폐의 종류에 맞게 유연하게 조정되고, 금융자동화기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유격이 변화되더라도 상기 유격이 유연하게 조정되어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고에서 지폐가 한 장씩 송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장착된 출금고에서 지폐를 외부로 유출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상기 출금고에서 유출된 지폐의 일면에 마찰을 가하여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장착된 출금 이송로로 지폐를 이송하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에 의해 마찰을 받는 상기 지폐의 타면하부에서 상기 피드롤러에서 유격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피드롤러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는 보조롤러;
    상기 피드롤러 또는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피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의 유격을 조정하는 가이드가 제공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가이드를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는 결합부재의 지지점에서 상기 회전축에 대한 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곡선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는 결합부재의 지지점에서 상기 회전축에 대한 거리가 단계적으로 변화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KR20-2004-0031791U 2004-11-10 2004-11-10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KR200374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91U KR200374275Y1 (ko) 2004-11-10 2004-11-10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91U KR200374275Y1 (ko) 2004-11-10 2004-11-10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317A Division KR20060042598A (ko) 2004-11-10 2004-11-10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275Y1 true KR200374275Y1 (ko) 2005-01-27

Family

ID=4944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791U KR200374275Y1 (ko) 2004-11-10 2004-11-10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2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11B1 (ko) 2006-06-30 2010-12-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시트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11B1 (ko) 2006-06-30 2010-12-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시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845B2 (en)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and method
US6629694B2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KR200374275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KR101960817B1 (ko) 매체 분리장치
KR200388998Y1 (ko) 출금부에서의 종이매체 홀딩구조
KR20130027711A (ko) 지폐처리장치 및 지폐처리방법
KR20060042598A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절장치
US8590887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with sheet roller portion with different friction forces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411492Y1 (ko) 잼 방지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KR20120078306A (ko) 지폐입출금부의 프론트 플레이트와 백 플레이트 구동장치
JP4928149B2 (ja) 紙幣入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
JPH01313252A (ja) 紙葉類の方向変換装置
KR200393229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799393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JPH02137081A (ja) 紙弊群管理方式
KR101145052B1 (ko) 금융 자동화기기
KR101177945B1 (ko)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CA2520339C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JP2023034937A (ja) 媒体処理装置
JP3618520B2 (ja) 紙葉類分離給送装置
KR20110079206A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종이매체 이송 제어 방법
KR10101650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EP1705139A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080062864A (ko) 지폐입출금장치의 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