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755Y1 -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 - Google Patents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755Y1
KR200373755Y1 KR20040029437U KR20040029437U KR200373755Y1 KR 200373755 Y1 KR200373755 Y1 KR 200373755Y1 KR 20040029437 U KR20040029437 U KR 20040029437U KR 20040029437 U KR20040029437 U KR 20040029437U KR 200373755 Y1 KR200373755 Y1 KR 200373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g
carrying
inner bag
storag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9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희
Original Assignee
(주)박홍근홈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박홍근홈패션 filed Critical (주)박홍근홈패션
Priority to KR20040029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6Sacks for corpses; Corpse wrappings

Abstract

본 고안은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별도의 개폐수단에 의해 시신을 내부에 안치시킬 수 있는 본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시신 보관백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내부 바닥면과 측면부를 방수처리부재에 의해 방수처리하고, 본체의 상면 일측에는 별도의 투명창 및 표찰포켓부가 형성되며, 본체의 양측으로는 복수개의 운반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 위치되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개폐수단이 구비된 별도의 내부백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 운반 및 보관 용 백에 관한 것이다.
이로 인해 시신을 밀봉한 상태로 보관장소 까지 운반할 수 있고 본체내부의 바닥면과 측면부만을 방수처리 함으로서, 본체의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시신에서 발생되는 혈액이나 분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된 투명창 및 표찰포켓부에 의해 시신의 얼굴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 하지 않고서도 시신의 신원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운반손잡이를 이용하여 시신을 운반함으로 시신의 훼손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Dead body conveyance and storage bag}
일반적으로 건물붕괴나 교통사고, 항공기사고, 살인사건 등으로 인한 사망사고 시 사고 현장의 시신은 대개 천등에 의해 덮인 상태로 비치되어 외관상 거부감을 느끼게 되고, 상기 시신을 사고 현장으로부터 병원과 같은 보관장소로 옮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시신을 단순히 천으로 덮은 상태로 들것에 실어 이동시킴으로서, 이송중에 시신으로부터 나온 혈액이나 분비물이 운반자나 주변에 묻게 되고 혈액이나 분비물의 냄새에 의해 이송에 어려움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341108호 『바디 백』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신체크기와 비슷한 침낭형태의 보관백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보관백은 지퍼에 의해 일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시신을 보관백의 내부에 안치시킨 후, 지퍼를 닫아 보관백 내부에 안치된 시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관백을 전체적으로 고무재질이나 방수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천으로 제작하여 시신으로부터 나온 혈액이나 분비물이 보관백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보관백을 이루는 고무나 방수천은 일반천보다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보관백 전체를 상기와 같은 천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조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관백에 시신을 넣어 이송시킬 경우에는 시신이 안치된 보관백을 이송자가 직접 들쳐 업거나 별도의 들것을 이용하여 이송시키게 되는데, 사망 후 오랫동안 방치된 시신은 심하게 부패되어 있으므로 사람이 직접 보관백을 업은 상태로 이송 시키게 되면 시신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건물붕괴 등과 같이 많은 사망자가 동시에 발생될 경우 시신 보관 장소에서 가족이나 의사들이 시신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보관백의 지퍼를 일일이 열어 시신의 얼굴을 확인하여 신원을 확인해야 함으로, 신원확인의 시간이 지연되고, 보관백을 개방함으로서 발생되는 악취에 의해 확인 작업이 용이하지 못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족이 시신을 찾기 위해서는 많은 시신의 얼굴을 직접 접해야 함으로 정신적인 충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첫째, 시신을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시신의 혈액이나 분비물이 본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음은 물론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별도의 운반손잡이를 통해 시신을 이송시킴으로서, 시신의 훼손을 방지하고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는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보관백을 직접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신의 신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손쉽게 시신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 중 본체의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중 내부백이 본체내부에 들어가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내부백이 본체내부에 들어가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공간부
15 : 개폐수단 16 : 투명창
17 : 투명창덮개 18 : 덮개
11 : 단턱부
19 : 표찰포켓부 20 : 운반손잡이
22 : 가로손잡이 23 : 세로손잡이
24 : 지지면 30 : 내부백
31 : 개봉부 32 : 밀봉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는 본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내부 바닥면과 측면부를 방수처리부재에 의해 방수처리하고, 본체의 상면에는 별도의 투명창 및 표찰포켓부가 형성되며, 본체의 양측으로는 복수개의 운반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 위치되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계폐수단이 구비된 별도의 내부백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이하 본체와 내부백에 함께 형성된 투명창과 개폐수단, 표찰포켓부 및 운반손잡이는 각각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11)에 의해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사방이 천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내부에 시신이 안치될 크기의 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면부에는 개폐수단(14)에 의해 개폐되는 덮개(18)가 형성되고 상기덮개(18)의 일부를 개방하여 시신을 본체(10) 내부로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를 이루는 천의 재질은, 본체(10)의 바닥면과 단턱부(11)는 방수천과 같은 방수처리부재(13)을 사용하고 바닥면과 단턱부(11)를 제외한 본체(10)의 상면부는 일반 부직포와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10) 전체를 부직포로 제작한 후 본체의 내부면, 즉 내부바닥면과 내부단턱부에 별도의 방수처리부재(13)를 덧대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본체를 제작함으로서, 시신으로부터 배출되어 본체(10)의 내부바닥면에 고인 혈액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가가 높은 방수천을 본체(10)의 일부분에만 사용함으로서 본체(10)의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상기 투명창(16)은 본체(1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로 시신의 얼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투명창(16)이 설치되는 위치는 시신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투명창(16)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투명창(16)이 시신의 얼굴과 맞닿더라도 시신의 얼굴이 훼손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투명창(16)의 일측에는 별도의 투명창덮개(17)를 구비하여 시신을 이송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투명창덮개(17)로 투명창(16)을 덮어 시신의 얼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시신의 신원확인은 상기 투명창(16) 외에도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표찰포켓부(19)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는데, 상기 표찰 포켓부는 시신의 인적사항이나 사고 경위를 메모한 메모지를 넣어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표찰포켓부(19)는 외부에서 쉽게 표찰포켓부(19) 내부의 메모지를 볼 수 있도록 전체 또는 일부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체(10) 내부에 시신을 넣어 손쉽게 이동하기 위하여 본체(10)에 별도의 운반손잡이(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운반손잡이(20)는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단부가 고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10)를 기준으로 시신 몸통의 좌우쪽의 해당하는 위치에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가로손잡이(22)와 시신의 머리와 다리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세로손잡이(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운반손잡이(20)를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서, 운반자가 양쪽에서 동시에 본체(10)를 들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운반손잡이(20)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 시킨다면 힘을 분산시켜 쉽게 운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로손잡이(23)를 이용하여 시신을 운반한다면 시신의 머리부분에 형성된 고리부와 발 부분에 형성된 고리부만을 잡아 시신을 들 수 있으므로, 2명의 운반자로만 시신을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로손잡이(23)는 각각의 고리부 폭을 시신의 어깨폭에 맞추어 형성시켜 시신의 무게중심이 본체(10)의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세로손잡이(23)의 폭은 사람의 평균 어깨넓이인 30~40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반손잡이(20)는 각각의 고리부의 끝단부를 상기 본체(10)에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각각의 고리부를 일체로 형성시켜 본체(10)의 바닥면을 감싸도록 지지면(24)이 형성되어 있는 방식으로 고정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면(24)을 형성시킨다면 운반손잡이(20)의 지지면(24)이 시신의 몸체를 받쳐주기 때문에 이송 중 시신이 본체(10)의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더욱 쉽게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반손잡이(20)를 본체(10)의 바닥면을 감싼 형태로 형성시키면 시신의 무게에 의해 운반손잡이(20)가 본체(10)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체(10)에 별도의 내부백(30)을 더 구비하여 시신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더욱 용이하게 차단 할 수 있고 본체(10)를 다시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내부백(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내부백(30)의 일부분이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수단(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수단(15)은 [도 3]내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백(30)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작크와 내부백의 일단부가 개봉되어 있는 개봉부(3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개봉부(31)의 일측에는 상기 개봉부(31)선단을 묶어 밀봉시키기 위한밀봉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내부백(30)의 상면 중 시신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투명창(16)과 투명창덮개(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찰포켓부(19)가 형성되어 시신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부백(30)의 내부는 [도 3]에 A로 표시된 영역, 즉 내부백(30)의 내부바닥면과, 내부측면부의 일정높이부분에 방수처리부재(13)를 구비시켜 시신으로부터 나온 혈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백(30)에도 상기 본체(10)와 동일한 방식으로 별도의 운반손잡이(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내부백(30)은 시신을 내부백(30)의 내부에 넣은 뒤 내부백(30)을 다시 본체(10)의 내부에 넣어 이송시키거나 유사시 내부백(30)에 형성된 운반손잡이(20)을 이용하여 시신이 들어있는 내부백(30)만을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부백(30)을 별도로 구비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본체(10)만을 이용하여 시신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본체(10)의 재질을 외부의 충격에 의해 찢어지지 않도록 두껍고 튼튼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무게 및 제조단가가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시신을 바로 본체(10)에 넣어 이송할 경우 한번 사용한 본체(10)에는 시신의 혈액과 분비물미 묻어 다시 사용하기가 어렵고 보관장소에서 시신을 수용한 상태로 시신과 함께 보관 되어야 함으로 다른 시신들을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본체(10)를 사용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별도의 내부백(30)에 시신을 안치시키고 시신이 안치된 내부백(30)을 본체(10)를 이용하여 보관장소까지 운반한 후 내부백(30)만을 빼내어 보관장소에 보관하면 본체(10)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부백(30)은 본체(10)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으므로 얇은 재질의 천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1회사용 후 폐기하여도 무관하다.
그리고 내부백(30)과 본체(10)를 이용하여 시신을 2중으로 밀봉시킨 상태로 이송하므로 이송 중 시신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쉽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내부백(30)에도 투명창(16)과 투명창덮개(17) 및 표찰포켓부(1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관장소에서 내부백(30)을 직접 개방하지 않고서도 시신의 신원을 얼마든지 확인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신 운반 및 보관 백은
먼저, 본체(10)에 형성된 덮개(18)를 열어 본체(10)를 개방시키고 시신을 본체(10)의 내부에 안치시킨 후 덮개(18)를 닫아 본체(10)의 양쪽에서 운반손잡이(20)를 잡아 본체(10)를 들어 이송시킨다.
이때, 시신의 사고경위나 사고의 인적사항을 메모지에 적어 본체(10)에 형성된 표찰포켓부(19)에 넣어 이송시키면 보관장소에서 본체(10)를 개방하지 않고도 시신의 신원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내부바닥면과 내부단턱부는 방수처리부재(13)에 방수처리 되어있으므로 이동 중 본체(10) 내부에 고인 혈액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백(30)을 이용하여 시신을 운반할 경우에는 내부백(30)에 형성된 개폐수단(15), 즉 작크와 개봉부(31)를 개방하여 시신을 내부백(30) 내부에 안치시키고 작크와 개봉부(31)를 닫은 후 개봉부(31) 일측에 형성된 밀봉끈(32)로 개봉부(31)를 묶어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개봉부(31)부분에 별도의 솜이나 천을 덧대어 개봉부(31)를 두껍게 형성시킨다면 악취를 더욱 원활하게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신이 안치된 내부백(30)을 본체(10)에 넣어 병원과 같은 보관장소로 이동한 후 본체(10)로부터 내부백(30)을 빼내어 시신이 안치된 내부백(30)만을 보관하게 된다.
이로인해 내부백(30) 내부의 시신으로부터 나온 혈액이나 분비물이 내부백(30) 외부로 새지 않기 때문에 본체(10)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백(30)에도 투명창(16)과 표찰포켓부(1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백(30)을 직접 개방시키지 않고서도 시신의 신원을 확인하기가 수월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백(30)에도 운반손잡이(2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유사시에는 시신이 안치된 내부백(30)만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시신 운반 및 보관 백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본체에 별도의 투명창, 표찰포켓부, 운반손잡이가 구비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신 운반 및 보관 백은
첫째, 본체 내부의 바닥면과 단턱부만 방수처리부재로 방수처리함으로서, 시신의 혈액이나 분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본체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별도의 운반손잡이를 통해 시신을 이송시킴으로서, 시신의 훼손을 방지하고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별도의 투명창과 표찰포켓부를 통해 본체를 직접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시신의 신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체에 별도의 내부백을 더 구비하여 시신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더욱 차단 할 수 있고 본체를 다시 재사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사방이 천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진 시신운반 및 보관용 백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공간부는,
    본체의 바닥면과,
    일정높이를 가지며 상기 바닥면의 둘레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된 덮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과 단턱부는 방수처리부재에 의해 방수처리 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는 운반손잡이가 상호 대향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운반 및 보관용 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 중, 시신의 얼굴이 위치되는 부분에는 투명창이 형성되고 상면 소정위치에 표찰포켓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 운반 및 보관 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외부로 넣었다 뺄 수 있는 별도의 내부백이 더 구비되되, 상기 내부백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개폐수단에 의해 내부백의 일부가 개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 운반 및 보관 백.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백의 상면 중, 시신의 얼굴이 위치되는 부분에는 투명창이 형성되고 상면 소정위치에 표찰포켓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 운반 및 보관 백.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백 내부의 내부바닥면과 측면은 방수처리부재에 의해 방수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 운반 및 보관 백.
KR20040029437U 2004-10-18 2004-10-18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 KR200373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9437U KR200373755Y1 (ko) 2004-10-18 2004-10-18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9437U KR200373755Y1 (ko) 2004-10-18 2004-10-18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755Y1 true KR200373755Y1 (ko) 2005-01-26

Family

ID=4113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9437U KR200373755Y1 (ko) 2004-10-18 2004-10-18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75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32B1 (ko) 2006-01-06 2007-05-02 양원동 항 살균성을 가진 사체 케이스
WO2009042690A2 (en) * 2007-09-24 2009-04-02 Isovac Products Llc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containment bag
KR101289816B1 (ko) * 2011-07-28 2013-07-26 장동수 시신용 지퍼백
KR101803241B1 (ko) * 2017-07-05 2017-12-01 한경주 시신보관 및 운구용 백
KR20190140166A (ko) * 2018-06-11 2019-12-19 김종원 시신 운반 및 보관용 기능성 백
KR20220004361A (ko) * 2020-07-03 2022-01-11 김종원 기능성 시신 보관이송백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32B1 (ko) 2006-01-06 2007-05-02 양원동 항 살균성을 가진 사체 케이스
WO2009042690A2 (en) * 2007-09-24 2009-04-02 Isovac Products Llc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containment bag
WO2009042690A3 (en) * 2007-09-24 2009-06-11 Isovac Products Llc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containment bag
US9290305B2 (en) 2007-09-24 2016-03-22 Isovac Products Llc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containment bag
KR101289816B1 (ko) * 2011-07-28 2013-07-26 장동수 시신용 지퍼백
KR101803241B1 (ko) * 2017-07-05 2017-12-01 한경주 시신보관 및 운구용 백
KR20190140166A (ko) * 2018-06-11 2019-12-19 김종원 시신 운반 및 보관용 기능성 백
KR102171698B1 (ko) 2018-06-11 2020-10-29 김종원 시신 운반 및 보관용 기능성 백
KR20220004361A (ko) * 2020-07-03 2022-01-11 김종원 기능성 시신 보관이송백
KR102425158B1 (ko) 2020-07-03 2022-07-29 김종원 기능성 시신 보관이송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2986B2 (en) Self enclosed disposable carry handle
US20100089779A1 (en) Transparent Carry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424757B2 (en) Disposable sleeping bag
US7510080B2 (en) Smart evidence and baggage system
WO2010129938A2 (en) Protective cover for use with handbags and a method for its use
KR200373755Y1 (ko) 시신 운반 및 보관용 백
US20100298797A1 (en) Concealable waste disposal wrap
EP1877327B1 (en) Fibre web adapted for transporting sheet material
US9693924B2 (en) Enhanced body bag
EP1670701B1 (en) Sleeve
CN102089222A (zh) 保护装置
CN207943343U (zh) 一种安全、追踪、共享快递袋
JP4621760B2 (ja) 遺体収納搬送袋
KR20060093944A (ko) 시신 운반 및 보관 백
KR20070096499A (ko) 노트북 컴퓨터용 가방
KR20110007437U (ko) 들것 운반용 배낭
CN208799464U (zh) 多层式大体装运袋
KR102425158B1 (ko) 기능성 시신 보관이송백
CN218908248U (zh) 一种密封性好的纸塑复合袋
CN216333993U (zh) 箱体
CN211381803U (zh) 一次性可压缩回收手术敷料包
CN210726927U (zh) 一种智能设备分置式旅行箱
JP2009178445A (ja) 保護カバー、及び小動物運搬バッグ
CN218737603U (zh) 一种耐冲击防水效果好的箱包
CN210593343U (zh) 充气式包装外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