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395Y1 - 함마드릴용 비트 - Google Patents

함마드릴용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395Y1
KR200373395Y1 KR20-2004-0030094U KR20040030094U KR200373395Y1 KR 200373395 Y1 KR200373395 Y1 KR 200373395Y1 KR 20040030094 U KR20040030094 U KR 20040030094U KR 200373395 Y1 KR200373395 Y1 KR 200373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head
detachable ring
bit bod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규
Original Assignee
김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규 filed Critical 김철규
Priority to KR20-2004-0030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08Roller bits
    • E21B10/16Roller bits characterised by tooth form or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08Roller bits
    • E21B10/20Roller bits characterised by detachable or adjustable parts, e.g. legs or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함마드릴용 비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선단면에 다수개의 버튼(22)이 구비되는 머리부(21)와 상기 머리부(21)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승강과 회전을 안내하는 승강안내부(27)를 구비하는 비트몸체(20)와, 선단면에 다수개의 버튼(22)이 구비되고 상기 비트몸체(20)의 머리부(21) 외주면 둘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21)의 선단면에는 다수개의 배기공(23)이 천공되고 상기 배기공(23)이 천공된 영역을 포함하여 머리부(21)의 중심에서 원심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출채널(24)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링(30)에는 적어도 상기 머리부(21)의 배출채널(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배출채널(35)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함마드릴용 비트는 그 교체작업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져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버튼의 마모정도에 따라 버튼의 교체시기를 달리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착탈링만 교체하면 다양한 직경의 홀을 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함마드릴용 비트{Bit for Hamma Drill}
본 고안은 함마드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함마드릴에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지반을 굴착하는 비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함마드릴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함마드릴(1)의 외관을 아웃터 슬리이브(3)가 형성한다. 상기 아웃터 슬리이브(3)는 원통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아웃터 슬리이브(3)의 내부에는 함마드릴(1)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함마드릴(1)의 상단에 해당되는 아웃터 슬리이브(3)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에어공급유로(5')가 형성된 탑서브(5)가 장착된다. 상기 탑서브(5)는 그 하단이 상기 아웃터 슬리이브(3)의 상단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탑서브(5)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아웃터 슬리이브(3)의 내부에는 밸브체(7)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체(7)의 내부에도 에어유로(7')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체(7)와 탑서브(5)의 사이에는 체크밸브(9)가 구비된다. 상기 체크밸브(9)는 스프링(9')에 의해 상기 탑서브(5)의 에어공급유로(5') 하단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탑서브(5)를 통해 밸브체(7)로 에어가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밸브체(7)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아웃터 슬리이브(3)의 내부에는 인너슬리이브(11)가 구비된다. 상기 인너슬리이브(1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피스톤(13)이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13)은 그 일부가 상기 인너슬리이브(11)의 내부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체크밸브(9)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승강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비트(17)를 타격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13)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도 에어유로(13')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피스톤(13)의 승강을 위한 에어의 유로는 상기 피스톤(13)과 인너슬리이브(11)의 사이에도 형성되고, 이들 유로는 상기 피스톤(13)의 승강에 의해 연통되거나 폐쇄되면서 피스톤(13)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아웃터 슬리이브(3)의 최하단에는 드라이브서브(15)가 설치된다. 상기 드라이브서브(15)는 비트(17)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비트(17)는 실제로 지반을 파서 천공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그 내부를 관통하여 에어가 배출되는 배출유로(17')가 형성된다. 상기 비트(17)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버튼(17b)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버튼(17b)은 지반을 보다 잘 파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트(17)가 상기 아웃터 슬리이브(3)에서 일정 이상 빠지지 않으면서 입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비트유지링(18)이 상기 아웃터 슬리이브(3)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비트유지링(18)은 상기 드라이브서브(15)의 상단에 해당하는 아웃터 슬리이브(3)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비트유지링(18)은 상기 비트(17)의 상단 일부 보다 그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비트(17)가 걸려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
상기 비트(17)의 배출유로(17') 상단에는 풋밸브(19)가 설치된다. 상기 풋밸브(19)는 상기 피스톤(13)이 상기 비트(17)의 상단을 타격할 때, 상기 피스톤(13)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유로(13')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체(7) 및 인너슬리이브(11)와 함께 피스톤(13)의 승강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함마드릴(1)은 그 전체가 회전하면서 지반을 굴착한다. 즉, 상기 함마드릴(1)이 회전하면 상기 비트(17)가 함께 회전하면서 지반을 파헤친다. 이때, 상기 버튼(17b)은 지반에 직접 접촉하면서 지반을 파헤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비트(17)는 상기 피스톤(13)이 가하는 충격력을 지반에 동시에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비트(17)가 회전하면서 충격을 가해 지반을 굴착함에 있어서 상기 비트(17)의 회전중심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버튼(17b)들은 더 많은 이동거리를 가지게 되면서, 지반으로부터 보다 큰 저항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비트(17)의 회전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버튼(17b)들이 빨리 마모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단, 버튼(17b)이 마모되면 굴착 성능이 크게 떨어지므로, 이를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버튼(17b)만을 교체할 수 없고는 비트(17)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함마드릴(1) 전체를 분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비트(17)를 교체하는 작업은 매우 시간이 많이 걸려, 공사진행속도가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17b)은 그 위치에 따라 마모상태가 달라진다. 즉, 회전중심에서 가까운 버튼(17b)은 상대적으로 마모속도가 늦고 회전중심에서 멀리 있는 버튼(17b)은 마모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일부의 버튼(17b)이 손상되더라도 비트(17)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므로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에는 하나의 비트(17)로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홀을 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지반에 천공되는 홀의 직경에 따라 많은 수의 비트(17)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상된 버튼의 교체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함마드릴용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튼의 마모상태에 따라 교체시기를 달리 할 수 있는 함마드릴용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의 교체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홀을 천공할 수 있는 함마드릴용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함마드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함마드릴용 비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비트몸체 21: 머리부
22: 버튼 23: 배기공
24: 배출채널 25: 결합나사부
26: 경사구간 27: 승강안내부
28: 스플라인 29: 링안착채널
29': 걸이리브 30: 착탈링
31: 관통공 32: 결합나사부
33: 경사구간 35: 배출채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선단면에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승강과 회전을 안내하는 승강안내부를 구비하는 비트몸체와, 선단면에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비트몸체의 머리부 외주면 둘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의 선단면에는 다수개의 배기공이 천공되고 상기 배기공이 천공된 영역을 포함하여 머리부의 중심에서 원심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링에는 적어도 상기 머리부의 배출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배출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비트몸체의 머리부 외주면을 둘러서는 결합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링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나사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나사부는 상기 비트몸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착탈링이 체결되고 비트몸체의 선단면쪽으로 착탈링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트몸체의 머리부와 착탈링의 관통공에 형성된 결합나사부를 벗어난 영역은 서로 대응되는 경사구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탈링이 상기 비트몸체의 머리부에 일정 이상의 체결력으로 체결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착탈링의 외경은 천공되는 홀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함마드릴용 비트는 그 교체작업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져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버튼의 마모정도에 따라 버튼의 교체시기를 달리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착탈링만 교체하면 다양한 직경의 홀을 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함마드릴용 비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함마드릴용 비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비트는 크게 비트몸체(20)와 착탈링(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트몸체(20)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머리부(21)를 구비한다. 상기 머리부(21)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21)의 선단면에는 다수개의 버튼(22)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22)은 상기 머리부(2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작업시 지반 표면을 파헤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버튼(22)은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부(21)의 선단면에는 또한 비트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기공(23)이 다수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배기공(23)은 비트를 타격하기 위한 피스톤의 승강에 사용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머리부(21)의 선단면에는 중심에서 원심방향으로 배출채널(24)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채널(24)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기공(23)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채널(24)을 통해서는 배기공(23)을 통해 나온 공기 뿐만 아니라 지반굴착시 발생하는 슬라임(Slime)이 배출된다.
상기 머리부(21)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결합나사부(25)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나사부(25)는 아래에서 설명될 착탈링(30)을 비트몸체(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나사부(25)의 나선방향은 비트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착탈링(30)이 상기 비트몸체(20)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머리부(21)중 상기 결합나사부(25)를 벗어난 영역에는 경사구간(26)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구간(26)은 결합나사부(25)에서 머리부(21)의 후단을향해 갈수록 머리부(21)의 직경이 커지도록 된다.
상기 머리부(21)의 후단 중심에서 연장되어 승강안내부(27)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안내부(27)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인데, 그 내부를 관통하여 배기공(23)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공(23)은 상기 승강안내부(27)의 끝부분으로 개구된다.
상기 승강안내부(27)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28)이 형성된다. 상기 스플라인(28)은 비트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플라인(28)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참고로 비트가 설치되는 드라이브서브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플라인(28)과 대응되는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안내부(27)의 끝부분에 인접하여서는 외주면을 둘러 링안착채널(29)이 형성된다. 상기 링안착채널(29)에는 상기 드라이브서브의 내부에서 비트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링(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링안착채널(29)의 폭은 상기 링의 폭에 비트의 승강행정거리를 더한 것이다. 상기 링안착채널(29)에 의해 상기 스플라인(28)의 일부가 나머지 부분과 분리되는데, 이 부분을 걸이리브(29')라고 한다. 상기 걸이리브(29')는 상기 링에 걸어져 실질적으로 비트가 드라이브서브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착탈링(3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의 관통공(31)의 내경이 상기 비트몸체(20)의 머리부(21) 외경과 같게 형성된다. 상기 착탈링(30) 내부의 관통공(31) 내면에는 결합나사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나사부(32)는상기 비트몸체(20)의 머리부(21)에 형성된 결합나사부(25)와 결합된다.
상기 착탈링(30)의 관통공(31) 내부에는 상기 비트몸체(20)의 머리부(21)에 형성된 경사구간(26)과 대응되는 경사구간(33)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구간(33)은 상기 관통공(31) 내경이 결합나사부(32)에서 착탈링(30)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사구간(26,33)에 의해 상기 비트몸체(20)에 상기 착탈링(30)이 지나치게 강한 힘으로 체결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나사부(25,32)는 상기 착탈링(30)이 상기 비트몸체(20)의 머리부(21) 선단면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착탈링(30)의 선단면에는 역시 다수개의 버튼(22)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22)이 구비되는 선단면은, 상기 착탈링(30)을 평면도로 볼 때, 반드시 평면일 필요는 없으며, 착탈링(30)의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일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사면에도 버튼(22)이 구비된다.
상기 착탈링(30)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출채널(35)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채널(35)의 일부는 상기 버튼몸체(20)의 배출채널(24)과 연결되도록 그 형성위치가 결정된다. 하지만, 상기 착탈링(30)에 형성되는 배출채널(35)은 그 갯수가 상기 버튼몸체(20)의 배출채널(24)보다는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라임을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상기 착탈링(30)은 다양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비트몸체(20)에 다른 직경을 가지는 착탈링(30)을 설치하여 천공되는 홀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링(30)이 비트몸체(20)에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비트몸체(20)의 머리부(21) 선단면은 상기 착탈링(30)의 선단면보다 더 돌출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함마드릴용 비트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비트몸체(20)에는 상기 착탈링(3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비트몸체(20)를 함마드릴, 보다 자세하게는 드라이브서브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착탈링(30)을 착탈할 수 있다.
일단 상기 착탈링(30)이 장착된 비트몸체(20)는 함마드릴의 드라이브서브에 링에 의해 장착된다. 즉, 2개가 합쳐서 환형상이 되는 링에 의해 드라이브서브에서 비트몸체(20)가 분리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상기 링에 의해 드라이브서브에 비트몸체(20)를 장착한 상태에서 피스톤 등의 구성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함마드릴이 동작되면, 상기 착탈링(30)과 비트몸체(20)로 이루어진 비트는 드라이브서브에 대해 승강됨과 동시에 함께 회전하면서 지반을 굴착하게 된다. 드라이브서브에 대해 승강되는 것은 피스톤의 타격에 의해 수행되고, 회전은 함마드릴 자체가 회전됨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비트가 회전되면서 승강됨에 의해 지반을 굴착하게 되는데, 상기 버튼(22)이 실제로 지반을 파헤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와 슬라임은 상기 배출채널(24)(35)을 통해 홀의 입구쪽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22)중 상기 비트의 회전중심에서 상대적으로 먼 곳에 있는 것은, 상대적으로 긴 이동궤적을 상대적으로 빨리 이동되므로,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비트의 회전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곳의 버튼(22)이 상대적으로 빨리 마모된다. 즉, 상기 착탈링(30)에 배치된 버튼(22)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된다.
이 경우, 상기 비트를 함마드릴에서 분리하지 않고, 상기 착탈링(30)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면 된다. 버튼(22)이 마모된 착탈링(30)을 제거하고, 새로운 버튼(22)이 구비된 착탈링(30)을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비트가 회전하는 방향은 상기 착탈링(30)이 상기 비트몸체(20)에 체결되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결합나사부(24)(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착탈링(30)의 장착시, 착탈링(30)을 어느 정도 비트몸체(20)에 체결시켜 두더라도 작업시에 착탈링(30)이 비트몸체(2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비트몸체(20)의 머리부(21)에 형성된 경사구간(26)과 착탈링(30)의 관통공(31)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구간(33)이 서로 안내됨에 의해 착탈링(30)이 비트몸체(20)에 지나치게 강하게 결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비트몸체(20)의 머리부(21)에 구비되는 버튼(22)들은 상대적으로 마모속도가 늦다. 따라서, 착탈링(30)을 수차례 교체한 후에 마모상태를 보아 교체한다. 이 경우에는 비트를 함마드릴에서 분리하여 교체하여야 한다.
한편, 천공되는 홀의 직경을 달리하기 위해서는, 단지 상기 착탈링(30)만을 교체하면 된다. 즉,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홀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착탈링(30)을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비트몸체(20)의 머리부(21)와 착탈링(30)이 결합나사부(25,32)에 의해 결합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볼트나 쐐기 구조를 사용하여 이들이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함마드릴용 비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상대적으로 빨리 마모되는 버튼이 구비되는 착탈링을 비트를 함마드릴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함마를 분해하여 비트를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없이 단지 착탈링의 교체시간만 소요되므로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함마드릴을 사용한 굴착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비트는 타격 및 회전운동시 외주면의 버튼이 중심부의 버튼보다 빨리 마모되어 그로 인한 천공속도저하 및 천공직경이 작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만큼 자주 비트 전체를 교체해야 하나, 본 고안에서는 착탈링의 2~3회 교체동안 비트본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전체 버튼의 상태를 상대적으로 고르게 유지하면서도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외경이 다른 착탈링을 장착함에 의해 함마드릴에 의해 천공되는 홀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착탈링 만을 교체함에 의해 다양한 직경의 홀을 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선단면에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승강과 회전을 안내하는 승강안내부를 구비하는 비트몸체와,
    선단면에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비트몸체의 머리부 외주면 둘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함마드릴용 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선단면에는 다수개의 배기공이 천공되고 상기 배기공이 천공된 영역을 포함하여 머리부의 중심에서 원심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링에는 적어도 상기 머리부의 배출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배출채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함마드릴용 비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몸체의 머리부 외주면을 둘러서는 결합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링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나사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나사부는 상기 비트몸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착탈링이 체결되고 비트몸체의 선단면쪽으로 착탈링이 분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함마드릴용 비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몸체의 머리부와 착탈링의 관통공에 형성된 결합나사부를 벗어난 영역은 서로 대응되는 경사구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탈링이 상기 비트몸체의 머리부에 일정 이상의 체결력으로 체결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함마드릴용 비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링의 외경은 천공되는 홀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함마드릴용 비트.
KR20-2004-0030094U 2004-10-25 2004-10-25 함마드릴용 비트 KR200373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094U KR200373395Y1 (ko) 2004-10-25 2004-10-25 함마드릴용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094U KR200373395Y1 (ko) 2004-10-25 2004-10-25 함마드릴용 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395Y1 true KR200373395Y1 (ko) 2005-01-15

Family

ID=4944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094U KR200373395Y1 (ko) 2004-10-25 2004-10-25 함마드릴용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395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857B1 (ko) * 2004-06-29 2006-09-20 백남진 천공 비트
KR100744582B1 (ko) 2007-04-09 2007-08-01 (주)수호산업개발 직진 가이드 어댑터를 구비한 암반천공비트
KR100758545B1 (ko) * 2007-06-25 2007-09-13 (주)수호산업개발 암반천공비트의 천공부
KR100858865B1 (ko) * 2008-02-29 2008-09-17 김명중 천공비트.
KR100912720B1 (ko) 2008-12-26 2009-08-19 이문수 직천공 비트
KR100967912B1 (ko) * 2008-04-23 2010-07-06 주식회사 씨엔엠 굴착장치
KR101804692B1 (ko) * 2016-07-29 2018-01-10 (주)동우기계 굴착장치용 비트
KR20180019496A (ko) * 2017-09-07 2018-02-26 (주)동우기계 굴착장치용 비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857B1 (ko) * 2004-06-29 2006-09-20 백남진 천공 비트
KR100744582B1 (ko) 2007-04-09 2007-08-01 (주)수호산업개발 직진 가이드 어댑터를 구비한 암반천공비트
KR100758545B1 (ko) * 2007-06-25 2007-09-13 (주)수호산업개발 암반천공비트의 천공부
KR100858865B1 (ko) * 2008-02-29 2008-09-17 김명중 천공비트.
KR100967912B1 (ko) * 2008-04-23 2010-07-06 주식회사 씨엔엠 굴착장치
KR100912720B1 (ko) 2008-12-26 2009-08-19 이문수 직천공 비트
KR101804692B1 (ko) * 2016-07-29 2018-01-10 (주)동우기계 굴착장치용 비트
KR20180019496A (ko) * 2017-09-07 2018-02-26 (주)동우기계 굴착장치용 비트
KR102055482B1 (ko) * 2017-09-07 2019-12-12 (주)동우기계 굴착장치용 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9334T3 (es) Conjunto de cabezal perforador para herramientas de perforacion por percusion accionadas mediante fluidos.
KR101192120B1 (ko) 조합 함마
US5025875A (en) Rock bit for a down-the-hole drill
EP1402146B1 (en) Earth drilling device
AU2011224885B2 (en) A rock drill bit, a drill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percussive rock drilling
KR200373395Y1 (ko) 함마드릴용 비트
KR20140005880A (ko) 충격식 착암용 착암 드릴 비트 및 드릴링 조립체
EA004567B1 (ru) Струйное режу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дефлектором
KR100715431B1 (ko) 조합함마
KR101145189B1 (ko) 굴착장치
US4299298A (en) Down-the-hole drilling
EP3899188B1 (en) Rock drill bit for percussive drilling
KR100967912B1 (ko) 굴착장치
SE516116C2 (sv) Sänkborrhammare och borrkrona
KR200425452Y1 (ko) 직천공 비트 장치
KR100642073B1 (ko) 굴착용 공압해머의 구조와 그 구동시스템
KR200393755Y1 (ko) 조합함마
EP3899189B1 (en) Down-the-hole hammer drill bit assembly
KR100585396B1 (ko) 조합 함마
KR200352591Y1 (ko) 조합 함마
KR200378163Y1 (ko) 굴착용 공압해머의 구조
WO2023128844A1 (en) Down-the-hole hammer
KR20080038309A (ko) 유체 작동식 충격 드릴 공구용 드릴 비트 어셈블리
EP0003103A2 (en) Down-the-hole drill
KR20010058361A (ko) 오거드릴머신용 해머의 버튼 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