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313Y1 - Device for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of wall tapestry - Google Patents

Device for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of wall tapest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313Y1
KR200373313Y1 KR20-2004-0028404U KR20040028404U KR200373313Y1 KR 200373313 Y1 KR200373313 Y1 KR 200373313Y1 KR 20040028404 U KR20040028404 U KR 20040028404U KR 200373313 Y1 KR200373313 Y1 KR 200373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ortion
reservoir
wall
landscap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4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용현
Original Assignee
조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현 filed Critical 조용현
Priority to KR20-2004-0028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31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313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실내조명장치는 질감과 입체감을 갖는 수석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의 전면부(10); 상기 전면부(10)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식재(20); 상기 전면부(10)의 횡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편평하거나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을 가지는 본체의 후면부(11); 외부의 고정수단과 함께 연결 고정될 수 있는 상기 후면부(11)의 상측에 위치한 걸이부재(1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all-mounted indoor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ront portion 10 of the body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made of a shape similar to the chief having a texture and three-dimensional impression; At least one planting material (20) located on the front portion (10); A rear part 11 of the main body having a shape which is bent vertically from the transverse of the front part 10 and is flat or inwardly recess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member 10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portion 11 that can be connected and fixed with an external fixing means.

또한, 상기 전면부(10)의 하부에 위치한 제 1저수부(30) 및; 상기 전면부(10)의 상부에 위치한 제 2저수부(40) 및 ; 상기 제 1 및 제 2저수부(30,40)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수로(50,60); 상기 제 1저수부(3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수로(6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모터(7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reservoir 30 is located below the front portion 10; A second reservoir portion 40 positioned above the front portion 10; First and second channels 50 and 60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30 and 40; And a motor 70 provided inside the first reservoir 30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water channel 60.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실내조경장치에 의하면 기존 실내조경시설물과 동일한 미감을 가지되 벽에 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공간 활용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무겁지 않은 재질로 제작되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ll-mounted indoor landsca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same aesthetic as the existing indoor landscaping facility, but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hung on the wall. can do.

Description

벽걸이 실내 조경 장치{DEVICE FOR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OF WALL TAPESTRY}Wall Mounted Indoor Landscaping Equipment {DEVICE FOR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OF WALL TAPESTRY}

본 고안은 벽걸이실내조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기존의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조경용 수반 또는 조경용 분재구조물이 주로 바닥면에 위치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던 단점을 탈피하기 위해 벽 등에 고정되면서도 디자인적인 측면에 손색이 없는 신개념의 조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indoor landscap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designed while being fixed to a wall to avoid the disadvantage that landscaping head or landscaping bonsai structure used for the existing interior decoration is mainly located on the floor and occupy a lot of space. It relates to a new concept landscaping device that is not inferior to the side.

조경(造景)이라 함은 주변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시설물이나 보조기구에 의하여 다양한 지역과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Landscaping refers to the beautiful decoration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is made in various areas and spaces by various facilities or assistive devices.

조경시설물은 실내외를 가릴 것 없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실외 조경물은 정원, 공원, 또는 마당, 도로 등에서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자, 파고라, 쉘타, 데크, 펜스, 화분대, 물레방아 등의 다양한 구조와 용도의 시설물들이 주를 이룬다고 말할 수 있는 반면, 실내 조경물은 주로 식물이나 조화, 분재와 결부되어 거실이나 실내 공간을 꾸미는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분재시설이나 화분, 수반 등이 존재하고 있다.Landscaping facilities are widely used indoors and outdoors, and outdoor landscapes play a role in decorating the landscape in gardens, parks, yards, roads, etc. Indoor landscapes are mainly associated with plants, plants, and bonsai to decorate the living room or interior space, and there are various design bonsai facilities, pots, and heads.

특히 실내조경의 특징은 디자인적인 측면에서의 차별성이 실외조경보다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에 식재를 위치하게 하여 자연친화적이고 공기 정화 등의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현재 웰빙(wellbeing) 문화의 유행으로 더욱 인기를 끌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 of indoor landscape is not only that the difference in design takes up a greater proportion than outdoor landscape, but also that the plant is placed in the indoor space to provide a pleasant indoor space such as nature-friendly and air purification. It is becoming more popular due to the trend of wellbeing culture.

그런데, 이러한 실내 조경시설은 거실 등의 바닥에 위치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공간상의 제약이 뒤따른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정 높이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공간에 분재 등의 식물이 수용된다하더라도 유아 등의 손에 쉽게 닿을 수 있어 안정상의 문제도 지적된다.However, since such indoor landscaping facilities are mostly located on the floor of a living room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space constraints that require a relatively large space are followed. In addition, even if plants such as bonsai are accommodated in a space made of a structure having a certain height, it is easy to reach the hands of infants and the like, and a stability problem is pointed out.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조경 블록이나 조경용 화분 걸이대 등을 통해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려는 내용이 국내 실용신안으로 다수 등록되어 있으나, 블록의 경우에는 디자인적인 미감이 뛰어나지 않아 실내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용도의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화분 걸이대 역시 별도의 걸이구조물을 필요로 하여 또 다른 별도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가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oint, there are many registered domestic utility models for overcoming space constraints through landscaping blocks and landscaping hangers for landscaping.Blocks, however, do not have excellent design aesthetics and are used for interior decoration. In addition, the flowerpot hanger also requires a separate hanger structure has the disadvantage of taking up another separate space.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조경물의 기본 요구사항인 디자인적인 측면에서의 뛰어난 미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실내 조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such a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landscap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space while providing an excellent aesthetic in terms of design, which is a basic requirement of indoor landscap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수분 공급수단의 도움 없이 수분이 장치 내에서 순환되도록 하여 실내 가습장치로서의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water to circulate in the device without the help of a separate water supply means to perform the function as an indoor humidifie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기능을 추가로 제공하여 디자인적인 측면을 강화함과 동시에 실내조명의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ditional lighting function to enhance the design aspect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the role of interior light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전면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mounted indoor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후면사시도.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mounted indoor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전면부분확대도.Figure 3 is an enlarged front view showing a wall-mounted indoor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전면부분확대도.Figure 4 is an enlarged front view showing a wall-mounted indoor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전면부 60: 제 2 수로10: main body front part 60: second channel

11: 본체 후면부 70: 모터11: body rear part 70: motor

15: 관통홀 80: 장식수단15: through hole 80: decorative means

20: 식재 90: 조명수단20: planting 90: lighting means

30: 제 1저수부 95: 도선30: first reservoir 95: lead wire

40: 제 2저수부 100: 걸이부재40: second water reservoir 100: hook member

50: 제 1 수로50: 1st chann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실내조명장치는 질감과 입체감을 갖는 수석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의 전면부(10); 상기 전면부(10)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식재(20); 상기 전면부(10)의 횡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편평하거나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을 가지는 본체의 후면부(11); 외부의 고정수단과 함께 연결 고정될 수 있는 상기 후면부(11)의 상측에 위치한 걸이부재(1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ll-mounted indoor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ront portion 10 of the body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made of a shape similar to the chief having texture and three-dimensional impression; At least one planting material (20) located on the front portion (10); A rear part 11 of the main body having a shape which is bent vertically from the transverse of the front part 10 and is flat or inwardly recess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member 10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portion 11 that can be connected and fixed with an external fixing means.

또한, 상기 전면부(10)의 하부에 위치한 제 1저수부(30) 및; 상기 전면부(10)의 상부에 위치한 제 2저수부(40) 및 ; 상기 제 1 및 제 2저수부(30,40)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수로(50,60); 상기 제 1저수부(3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수로(6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모터(7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reservoir 30 is located below the front portion 10; A second reservoir portion 40 positioned above the front portion 10; First and second channels 50 and 60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30 and 40; And a motor 70 provided inside the first reservoir 30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water channel 60.

더불어, 상기 제 1저수부(30)의 내측 내지 일측에는 장식수단(80) 내지 조명 수단(90)을 추가로 장착한다.In addition, the decoration means 80 to the illumination means 90 is further mounted on the inner side or one side of the first reservoir 3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해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전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mounted indoor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mounted indoor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실내장식장치의 전면부(10)에 대한 전체 형상은 일반 분재시설물이나 실내조경수단과 유사하게 이루어진 것을 알 수가 있다. 본체는 일반 수석이나 자연석등의 암석재질로 제작이 될 수도 있지만,그 무게 및 비용을 고려하여 암석의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제작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referring to Figure 1,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front portion 10 of the wall-mounted interior deco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similar to the general bonsai facilities or indoor landscaping means. The main body may be made of a rock material such as a general head or natural ston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manufactured to give a feeling of rock in consideration of its weight and cost.

더불어, 본체 전면부(10)의 형상 및 재질은 특별히 정해져 있는 규격으로 한정 제작되기 보다는 자연적인 미감이 느껴질 수 있도록 표면의 굴곡된 질감을 가지고 일반 수석 및 조경용 암석과 같은 입체적인 형상을 띠는 것이면 족하다.In addition,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main body front part 10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a general senior and landscape rock with a curved texture of the surface so that a natural aesthetic can be felt, rather than being manufactured in a limited standard. .

식재(20)는 분재, 화초 등과 같은 일반 식물로 이루어 질수도 있고, 조화로 제작되어 식물과 같은 느낌을 줄 수도 있다. 만일 일반 식물이 구비된다면 식물이 구비된 본체 내에 일정 토양을 함유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식재(20)역시 본체의 전면부(10)상에 자연스럽게 구성이 될 수 있으며 특별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lanting 20 may be made of a common plant, such as bonsai, flowers, or may be made in harmony to give a feeling like a plant. If a general plant is provided, it can be configured to contain a certain soil in the body provided with the plant. This planting 20 can also be naturally configured on the front portion 10 of the main body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hape.

도 2를 참조하면, 본체의 후면부(20)의 구성을 알 수가 있는데, 일반 조경장치와 달리 전면부(10)에 해당하는 본체 부위에만 식재가 형성되고 암석과 같은 재질의 느낌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제작이 되며 후면부(11)는 이러한 전면부와 같은 구성없이 전면부(10)의 횡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편평하거나 내부로의 함몰 공간을 가진 구조(다시 말해, 전면부의 굴곡형상에 상응하도록 내부로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후면부의 상단부위에 걸이부재(100)가 위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2, it can be seen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portion 20 of the main body, unlike the general landscaping device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only the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portion 10 and the feel of the material such as rock The rear portion 11 is bent vertically from the cross section of the front portion 10 withou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ront portion and has a flat or recessed space therein (that is, recessed inside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hape of the front portion). Structure), and the hook member 100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portion.

걸이부재(100)는 외부의 나사, 못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벽 등에 고정되는 것을 돕는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실내조경장치는 일반 실내조경수단과 동일한 느낌과 기능을 가지면서도 후면부(11)의 편평한 구조 내지 내부 함몰 구조로 인해 걸이부재(100)에 의하여 벽과 같은 공간에 걸 수 있는 것으로 공간 활용의 큰장점을 가지게 된다.The hook member 100 helps to be fixed to the wall by fixing means such as external screws, nails. After all, the indoor landsca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feeling and function as the general indoor landscaping means, but due to the flat structure or the internal recessed structure of the rear part 11, the indoor landscaping device can be hung in a space such as a wall by the hook member 100. It has a great advantage of space utiliza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실내조경장치의 전면부를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ortion of the wall-mounted indoor landsca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실내조경장치는 수분이 순환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전면부(10)의 하측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인 제 1저수부(30)가 내부로 함입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전면부(10)의 상측에는 제 2저수부(40)가 위치되어 있다.1 and 3, the wall-mounted indoor landsca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that the water is circulated, for this purpose,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ortion 10, the first reservoir portion (a space for storing water) 30 is formed inside the structure, and the second reservoir 40 is located above the front portion 10.

또한, 제 1저수부(30)의 내측에는 동력공급수단인 모터(70)가 위치되며, 제 1저수부(30)와 제 2저수부(40)는 본체에 함입되어 구성된 제 1수로(50)에 의하여 연결이 된다.In addition, a motor 70, which is a power supply means,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reservoir 30, and the first reservoir 30 and the second reservoir 40 are embedded in the main body 50. ) Is connected.

더불어, 제 1저수부(30)의 상측 부위에는 후면부로 관통되는 관통홀(15)이 위치하고 이를 통해 제 1저수부(30)로부터 후면부(11)를 따라 제 2저수부(40)로 연결되어 있는 제 2수로(60)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15 penetrating to the rear portion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servoir 3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servoir 40 along the rear portion 11 from the first reservoir 30 through this. The second channel 60 is provided.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저수부(30)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시킨 뒤에 모터(70)를 가동시키게 되면 모터(70)와 일단이 연결된 제 2수로(60)를 따라 제 1저수부(30)상의 물이 이동되어 제 2저수부(40)에 위치될 수 있으며 중력 및 낙차에 의하여 제 2저수부(40)에 저장된 물은 다시 제 1수로(50)를 따라 하강하여 제 1저수부(30)로 위치되는 순환 구조를 갖게 된다.When the motor 70 is operated after stor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in the first reservoir 30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reservoir 30 along the second channel 6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tor 70. The water in the upper portion may be moved and positioned in the second reservoir 40, and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reservoir 40 by gravity and a drop may be lowered along the first channel 50 again to lower the first reservoir 30. It has a circular structure located at).

이로서, 실내 미감을 상승시킬 뿐 아니라 가습효과까지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제 2수로(60)는 후면부(11)의 함입된 공간에 위치하여 벽에 본 고안에따른 실내조경장치를 고정시키는데 장애가 되지 않으며 또한 후면에 위치하여 미감발생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제 2수로(60)는 일반 고무 튜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t only increases the interior aesthetics but also has a humidification effect. The second channel 60 is located in the recessed space of the rear part 11 and does not hinder the fixing of the indoor landsca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all, and is also located on the rear side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esthetics. The second channel 60 is preferably made of a general rubber tube.

제 2저수부(40)에는 그 부위의 식재(20)와 수분이 유통될 수 있는 수로를 추가 형성하거나 제 2저수부(40) 상에 식재(20)를 위치시켜 조화가 아닌 생화의 수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second reservoir 40 has a water channel through which the planting 20 and water can be distributed, or places the plant 20 on the second reservoir 40 to prevent moisture from being artificial. It may also provide the ability to supply.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실내조경장치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wall-mounted indoor landsca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저수부(30)의 일부, 즉 제 1수로(50)에서 물이 낙하되는 부분에는 물레방아와 같은 장식수단(8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10)의 일측 또는 제 1저수부(30)의 외부 일측에는 조명 수단(90)이 내설되어 전면부(10)를 조명하여 장식적인 측면 및 일측 벽의 조명시설로서의 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 portion of the first reservoir 30, that is, a portion in which water is dropped from the first water channel 50, may further include a decoration means 80 such as a watermill. In addition,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10 or an outer side of the first reservoir 30 is provided with a lighting means 90 to illuminate the front portion 10 to function as a lighting facility of the decorative side and one wall. I can strengthen it.

모터(70) 및 조명수단(90)의 전원공급은 도선(95)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으나, 배터리 등을 후면부 일측에 내설하여 자체적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of the motor 70 and the lighting means 90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by the conductive wire 95, but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a battery or the like on its own side by itself.

또한, 제 1저수부(30)의 저수된 물을 이용하여 제 1저수부(30)부근에 안개발생장치(미도시)를 추가로 장착하여 안개발생을 할 수가 있으며, 이로서 보다 탁월한 디자인적인 상승효과를 가져줄 수가 있다. 안개발생장치는 공지의 수단과 동일한 방식을 취할 수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reservoir 30, a mist generating device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near the first reservoir 30 to generate fog, thereby providing a superior design rise. It can have an effect. The mist generating device can take the same manner as known means.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실내조경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mention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wall-mounted indoor landsca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실내조경장치에 의하면 기존 실내조경시설물과 동일한 미감을 가지되 벽에 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공간 활용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무겁지 않은 재질로 제작되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ll-mounted indoor landsca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aesthetic as the existing indoor landscaping facility, bu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hung on the wall,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heavy and secures stability. You can get the advantages.

더불어, 수분이 순환되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장식적 측면을 강화함과 동시에 실내 가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장식 수단 내지 조명 수단을 추가로 구성하여 세련된 미감을 제공하면서도 기능적인 측면을 부각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composition that circulates moisture, it can enhance the luxurious decorative aspect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humidification effect in the room, and also adds decorative means or lighting means to provide a refined aesthetic, while highlighting the functional aspect. It works.

Claims (5)

조경시설본체를 갖는 실내조경장치에 있어서,In the indoor landscaping device having a landscape facility body, 질감과 입체감을 갖는 수석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의 전면부(10);Front portion 10 of the main body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made of a shape similar to the chief having a texture and three-dimensional impression; 상기 전면부(10)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식재(20);At least one planting material (20) located on the front portion (10); 상기 전면부(10)의 횡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편평하거나 상기 전면부(1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을 가지는 본체의 후면부(11);A rear portion 11 of the main body having a shape which is bent vertically from a cross section of the front portion 10 and flat or recessed inwardly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ont portion 10; 외부의 고정수단과 함께 연결 고정될 수 있는 상기 후면부(11)의 상측에 위치한 걸이부재(1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실내조경장치.And a hook member (100) located above the rear portion (11) which can be connected and fixed together with an external fix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면부(10)의 하부에 위치한 제 1저수부(30) 및; 상기 전면부(10)의 상부에 위치한 제 2저수부(40) 및 ; 상기 제 1 및 제 2저수부(30,40)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수로(50,60); 상기 제 1저수부(3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수로(6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모터(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실내조경장치.A first reservoir 30 located below the front portion 10; A second reservoir portion 40 positioned above the front portion 10; First and second channels 50 and 60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30 and 40; And a motor (70) provided inside the first reservoir portion (30)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water channel (60).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수로(60)는 상기 제 1저수부(30)의 상측에 위치한 관통홀(15)을 통해 상기 후면부(11)를 따라 상기 제 2저수부(40)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실내조경장치.The second water channel 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torage part 40 along the rear part 11 through a through hole 15 located above the first water storage part 30. , Wall mounted interior landscaping system.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저수부(30)의 내측에는 장식수단(8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실내조경장치.The interior of the first reservoir 3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corative means (80), wall hangings indoor landscaping device.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몸체 전면부(10)의 일측에는 조명 수단(90)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실내조경장치.One side of the body front portion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means 90, wall-mounted indoor landscaping device.
KR20-2004-0028404U 2004-10-07 2004-10-07 Device for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of wall tapestry KR2003733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404U KR200373313Y1 (en) 2004-10-07 2004-10-07 Device for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of wall tapest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404U KR200373313Y1 (en) 2004-10-07 2004-10-07 Device for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of wall tapest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313Y1 true KR200373313Y1 (en) 2005-01-17

Family

ID=4935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404U KR200373313Y1 (en) 2004-10-07 2004-10-07 Device for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of wall tapest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31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933B1 (en) Decoration for landscape at indoor and outdoor
KR100888515B1 (en) A structure of landscape architecture
US9901036B2 (en) Versatile eco-friendly planting block
CN201613772U (en) Novel flowerpot
KR101070331B1 (en) Living room furniture for possible planting flower plants
CN202285685U (en) Stereo multilayer flower stand realizing free space distribution
KR200373313Y1 (en) Device for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of wall tapestry
CN201393431Y (en) Combined type advertisement landscape lamp flowerpot
KR101011377B1 (en) Ceiling adhesion type support tool for ornamental plant
CN210053967U (en) Novel plant cultivation flowerpot
JPH1142151A (en) Solar flower pole and solar planting wall
CN205623413U (en) Pergola is decorated in indoor intelligence decoration
KR20200086550A (en) Flower pot hanger
KR20150002601U (en) Device for vertical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KR20110101630A (en) Moveable flower bed
KR200227425Y1 (en) A fish basin equipped with a function of water culture and humidifier
CN2891644Y (en) Assembling flower pot
CN207820637U (en) A kind of assembled flower pot
KR200437492Y1 (en) The wall mounted type picture frame in which an aquarium and flowerpot are equipped
CN201216093Y (en) Hanging flowerpot capable automatically replenishing water
CN205250024U (en) Over -and -under type plant view device and view frame
JP2569671Y2 (en) fence
KR101011378B1 (en) Verticality type support tool for ornamental plant
KR200394798Y1 (en) upholster a room wall metrial wood
KR101333833B1 (en) Landscape moulding facility which has the aquarium with 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