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756Y1 -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2756Y1 KR200372756Y1 KR20-2004-0030246U KR20040030246U KR200372756Y1 KR 200372756 Y1 KR200372756 Y1 KR 200372756Y1 KR 20040030246 U KR20040030246 U KR 20040030246U KR 200372756 Y1 KR200372756 Y1 KR 2003727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age
- vacuum
- negative electrode
- purification
- tailing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09C1/085—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electrochemically, e.g. by electrokinet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공급장치(2)와 토조(5)와 음극겸용배수재(4) 및 음극겸용배수재(4) 내부로 진공을 가할 수 있는 진공연결관(12)과 집수탱크(7)와 진공탱크(6) 및 진공펌프(1)로 구성된 정화와 탈수처리장치에 있어서,상기 음극겸용배수재(4)는 양측에 배수재를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8)와, 점토와 같은 미립자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9), 전기동력을 균일하게 시료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배수재 내부에 설치한 전선(10), 배수재 내부에서 유로 역할과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11)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며, 양극(+)에서 발생하는 H+이온의 영향으로 하상 퇴적토나 광미에 흡착되어 있는 중금속을 탈착시킬 수 있고, 탈착된 중금속을 전기이온이동과 전기삼투, 진공배수에 의한 이류로 음극(-)으로 취합하여 집수지에서 제거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준설토와 광미의 재활용과 매립 처리 시 중금속 함량과 부피 감소를 위해 진공배수 기법와 동전기 현상을 복합하여 정화 처리와 탈수를 동시에 촉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준설토 처리는 해상 재투기나 매립, 재활용하거나 오염이 심할 경우 폐쇄수계 처분장 및 폐쇄 처분장 처리를 통하여 오염물질을 정화한 후, 육상 매립장 및 폐기물 매립장에서 매립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오염된 지반에 대한 정화 기법들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오염된 준설토에 대해서는 유기 오염물에 대한 것만 일부 상용화되어 있고 중금속으로 오염된 준설토에 대해서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 준설토는 점토와 같은 세립자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고함수성이기 때문에 함수비를 저감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현재 준설토의 탈수 처리는 라군(lagoon)에서 응집제(coagulant, flocculant)를 이용하거나 압축 및 원심분리(presses or centrifuges)하고 있고, 정화 처리는 물리적인 분리(physical separation), 열처리(thermal processes) 및 생물학적 정화처리(biological decontamination)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응집제를 이용할 경우 이차적인 오염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압축 및 원심분리법은 대량의 준설토를 처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선광처리를 하여 유용한 금속을 회수한 후 부산물로 발생되는 광미는 중금속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유해물질이 잔존하고 있어 계곡과 계곡 사이에 댐 형태의 매립지를 만들어 퇴적하거나 별도의 매립지에 매립처리하고 있다. 현재 일부 매립지의 복토재나 콘크리트 블록 등에 재활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그대로 방치되고 있어 산성비나 눈에 의해 중금속이 용출되어 인근 지하수, 하천수 및 토양의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고, 고함수비 상태로 다량의 미립분을 함유하고 있어 부피감소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현재 중금속으로 오염된 대량의 준설토와 광미에 대한 정화와 탈수 처리를 위한 새로운 기법이 요구된다.
본 고안과 관련된 대표적인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다.
Deal이 1986년 등록한 특허(미국 특허: 4608179)는 '인산 슬라임의 탈수를 위한 연속적인 방법'이다. 이 고안은 제분 찌꺼기와 슬라임, 슬러리의 탈수를 위해 동전기 현상과 상층수의 적절한 연속 배수를 가지는 근접한 루프 시스템를 이용하는 것과 플랜트 개발에 관한 것으로 탈수 처리에 국한되어 있다. 주요 청구사항은 슬라임을 연속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플랜트 개발과 운영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Fremont 등이 1988년 등록한 특허(미국 특허: 4755305)는 '슬러지의 연속 탈수 기법'이다. 이는 오염된 토양에서 이용되는 동전기 정화 기법을 슬러지에 적용한 것으로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전극을 연직으로 삽입하고, 슬러지에 접하는 양극과 음극(-) 전극부에 의해 슬러지에서 탈수 처리와 장치에 관한 내용이다. 슬러지 내의 전하를 띤 입자들은 전기영동 현상에 의해 반대 전극부로 이동하여 압밀되고, 전극부에 있는 필터 재료는 슬러지로부터 물의 배수만 허용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인 탈수를 위해 직류 전기와 교류 전기, 반파 정류를 이용한다. 주요 청구사항으로는 이멀젼이나 슬러리와 같이 고상으로부터 액상을 분리하고, 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동전기적 방법과 적용 전류와 전압 경사, 전극배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Acar, et al.이 1992년 등록한 특허(미국 특허: 5137608)는 '흙 또는 슬러리에서의 전기화학적 오염정화'이다. 이 고안의 내용은 비활성 전극을 사용하여 흙이나 슬러리로부터 전기화학적으로 오염정화를 실시하며, 양극지역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사항으로는 비활성 탄소전극을 사용한 포괄적 정화처리 과정들이 포함되어 있다.
Brodsky와 Ho는 1995년 '오염된 흙의 원위치 정화'와 '불균질한 흙의 원위치 오염정화'의 제목으로 유사한 2개의 특허(미국 특허: 5398756, 5476992)를 등록하였다. 먼저 '오염된 흙의 원위치 정화'는 오염된 흙 사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액체 투수영역을 형성시켜 전기삼투에 의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주요 청구사항은 액체 투수영역의 형성과 다양한 첨가제의 주입이다. '불균질한 흙의 원위치 오염정화'는 이전의 것과 유사한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동수경사를 이방성 흙에 적용하여 동수흐름을 유발시킨다는 것에 차이를 두고있다. 또한 동수경사를 주기적으로 방향을 교환하여 적용하고, 전기삼투 흐름 방향을 역전시키는 기술도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청구사항에는 이방성 흙에 동수경사를 적용, 동수경사와 전기삼투흐름의 주기적 교환이 포함되어있으며, 국내에서도 '오염된 이성분 토양의 원지 구제'(등록번호: 10-0193917)란 제목으로 동일하게 특허 등록되어있다.
김효근 등이 1999년 '전기동력에 의한 슬러지에서 유해 중금속 제거방법'으로 국내 특허청에 출원(출원번호: 1019990014523)하였다. 이 고안의 내용은 하·폐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에 함유된 중금속들을 제거하여 기존에 소각이나 매립에 의해 폐기되어온 슬러지를 퇴비화하여 폐자원을 재활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요 청구사항은 양극(兩極) 저수조에 세척용액과 전해질 용액을 제공하여 슬러지로부터 유해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과 슬러지셀과 양극(+) 세척용액, 음극(-) 전해질 용액의 경계면에 투수성이 좋고 물리적인 강도가 높은 이질막 (Heterogeneous Membrane)을 이용하고, 공급된 전류는 직류 정류 또는 반파 정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동력, 양극(陽極) 세척용액으로 사용되는 산성용액은 0.001N-0.05N의 농도범위의 황산용액, 아세트산 용액, 염산용액 또는 질산용액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기존의 연구동향은 탈수 처리와 정화 처리를 별도로 다루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대량의 준설토와 광미를 처리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또한, 준설토와 광미를 현장 매립지의 매립재로 활용할 경우에도, 정화와 탈수 처리를 별도의 부지나 장치에서 처리한 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라군(lagoon)이나 폰드(pond)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준설토와 광미의 탈수와 정화 처리를 동시에 할 수 있으며, 현장 매립지의 매립재로 활용할 경우, 매립지에서 직접 정화와 탈수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물리적인 진공 배수와 전기화학적인 동전기 현상을 상호 보완시켜 배수와 정화를 동시에 구현하는데, 본 발의 주안점을 두었다.
하상 준설토와 광미 처리 시 가장 큰 문제점은 각종 화합물에 의한 오염과 미립분을 함유하고 있는 고함수비이다. 실제 하상 준설토와 광미를 육상에서 처리하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첫째는 하상의 준설토는 육상에서 배출되는 각종 화합물에 의해 수십년 이상으로 장기간 오염되어 있어 부영양화 등 2차적인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된다. Eric Stern(1994)은 도시나 고도로 공업화된 New York/New Jersey 항 내 하상 퇴적토가다이옥신, 퓨란, PCB, 중금속, PAN(Peroxyacetyl nitrate) 등으로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국내에서도 권영택(1997)은 마산수출 자유지역 및 창원기계공업단지 등 산업시설과 도시생활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의 영향으로 마산만의 퇴적토의 오염도가 극심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유기 오염물에 대한 정화 처리는 일부 상용화된 기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중금속에 대한 정화 처리는 전무한 실정이다. 광미는 중금속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유해물질이 잔존하고 있고, pH 완충능이 높아 산처리와 같은 전통적인 정화 처리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일부 매립지의 복토재나 콘크리트 블록 등에 일부 재활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계곡과 계곡사이에 댐 형태의 매립지를 만들어 퇴적하거나 매립처리하고 있어 산성비나 눈에 의해 중금속이 용출되어 인근 지하수, 하천수 및 토양의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둘째는 하상 준설토는 일반적으로 수 백% 이상의 고함수비를 가지고 있어 매립이나 폐기처리 시 큰 어려움이 있다. 기존의 탈수 처리기법은 준설 침강시킨 후, 수평배수재 공법이나 PTM(progressive trenching method)를 이용한 표층안정화 공법과 연직배수공법 등과 같은 심층 처리 공법을 이용하여 압밀을 가속화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수평배수재 공법이나 PTM은 시간적, 경제적으로 개선의 여지가 많고, 연직배수공법은 대규모 성토고를 요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광미는 원광을 선광하여 농축된 유효 금속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고함수비 상태로 광재댐이나 광미적치장으로 운반된다. 이러한 과정 후, 침전이나 압밀을 통해 체적을 감소시키는데, 광미의 미립분으로 인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며, 하상 퇴적토와 광미의 정화 처리와 원활한 탈수 처리를 동시에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원공급장치와 토조와 음극겸용배수재 및 음극겸용배수재 내부로 진공을 가할 수 있는 진공연결관과 집수탱크와 진공탱크 및 진공펌프로 구성된 정화와 탈수처리장치에 있어서,상기 음극겸용배수재는 양측에 배수재를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와, 점토와 같은 미립자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전기동력을 균일하게 시료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배수재 내부에 설치한 전선, 배수재 내부에서 유로 역할과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현장적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현장 다단계 투기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하기 위한 전극겸용 진공배수재와 연결 클램프의 모식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5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시료의 입도분포 그래프.
도 6은 실시예에서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에서 실험 중 진공연결관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침하량 분포 그래프.
도 7은 실시예에서 단순 중력 침전와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에서의 침하량 분포를 비교한 그래프.
도 8은 실시예에서 실험이 종료된 후, 진공연결관으로부터 30cm 떨어진 3등분 지점에서의 시료 내 함수비 분포를 비교한 그래프.
도 9는 실시예에서 실험이 종료된 후, 진공연결관으로부터 30cm 떨어진 3등분 지점에서의 시료 pH 분포를 비교한 그래프.
도 10은 실시예에서 실험이 종료된 후, 진공연결관으로부터 30cm 떨어진 3등분 지점에서의 시료 내 납농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11은 실시예에서 실험이 종료된 후, 진공연결관으로부터 30cm 떨어진 3등분 지점에서의 시료 내 카드뮴농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12는 실시예에서 실험이 종료된 후, 진공연결관으로부터 30cm 떨어진 3등분 지점에서의 시료 내 크롬농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13은 실시예에서 실험이 종료된 후, 단순 중력 침전과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에서의 각 중금속 제거효율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펌프 2 : 전원공급장치
3 : 양극 4 : 음극겸용배수재
5 : 토조 6 : 진공탱크
7 : 집수탱크 8 : 라군
9 : 집수지 10 : 전선
11 : 코어 12 : 진공연결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배수 기법과 동전기 현상을 복합시킨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고함수비의 하상 퇴적토와 광미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화 및 탈수 처리하는 방법으로 양극(+)에서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H+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전기이온이동과 전기삼투, 진공배수에 의한 이류 등으로 시료 내에 유입되어 토립자 표면에 흡착된 중금속을 탈착시키고, 탈착된 중금속 이온들을 정전기 인력에 의한 전기이온이동과 전기삼투, 진공배수에 의한 이류로 음극(-)겸용 배수재로중금속을 제거하는 동시에 진공배수와 전기삼투로 간극수를 원활하게 배수하여 탈수를 촉진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이용한 현장의 적용실시예를 도 1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진공배수 기법와 동전기 현상을 복합시킨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은 라군(lagoon)(8) 바닥에 양극(+)(3)을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 준설한 퇴적토와 광미를 투기하고, 투기가 종료된 후 시료 중앙부에 음극(-)겸용 배수재(4)의 설치와 상부에 양극(+)(3)을 설치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음극(-)겸용 배수재(4)의 설치는 수평진공배수 공법과 같이 투기가 종료된 후에 설치할 수 있고, 투기 중 음극(-)겸용 배수재(4)를 포설하여 설치할 수 있다. 라군(lagoon)(8) 외부에 있는 전원공급장치 (2)에서 양극(+)(3)과 음극(-)겸용 배수재(4)를 연결하고, 진공펌프 (1)에 음극(-)겸용 배수재(4)를 연결하여 전원과 진공을 동시에 가하여 라군 (lagoon)(8)에 있는 준설토와 광미의 정화 처리와 빠른 탈수를 이룬다. 또한, 본 고안은 라군(lagoon) (8) 외에 준설한 하상 퇴적토와 광미를 현장 매립지의 매립재로 활용할 경우, 매립지에서 직접 양극(+)(3)과 음극(-)겸용 배수재(4)를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즉,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방법에 있어서, 라군(lagoon)(8) 바닥에 양극(+)(3)을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 준설한 퇴적토와 광미를 투기하는 단계(S10)와, 라군(lagoon)(8) 외부에 있는 전원공급장치(2)에서 양극(+)(3)과 음극(-)겸용 배수재(4)를 연결하는 단계(S20)와, 진공펌프(1)에서 음극(-)겸용 배수재(4)를 연결하여 전원과 진공을 동시에 가하는 단계(S30)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라군 (lagoon)(8)에 있는 준설토와 광미의 정화 처리와 빠른 탈수를 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배수 기법와 동전기 현상을 복합시킨 본 고안의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도면 2에 제시한 다단계 투기 방법을 제안한다. 다단계 투기 방법은 실제 현장에서 시간차로 투기되는 준설토를 처리하기 위해 라군(lagoon)(8)의 바닥에 양극(+)(3)을 미리 설치하고, 준설한 퇴적토와 광미를 일부만 투기하고, 상부에 음극(-)겸용 배수재(4)를 설치한다, 라군(lagoon)(8) 외부에 있는 전원공급장치(2)에서 양극(+)(3)과 음극(-)겸용 배수재(4)를 연결하고, 진공펌프(1)에 음극(-)겸용 배수재 (4)를 연결한 후, 전원과 진공을 동시에 가하여 라군(lagoon)(8)에 있는 준설토와 광미의 정화와 탈수 처리한다. 정화와 탈수 목표치를 이룬 후, 추가적인 준설토와 광미를 투기하고, 전(前) 처리에서 음극(-)겸용 배수재(4)로 사용한 전극부를 양극(+)(3)으로 이용하고, 상부에 새로운 음극(-)겸용 배수재(4)를 타설한다. 목표한 정화 처리와 탈수를 이룬 후,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한다. 본 공법에서는 사용한 양극(+)(3)을 전기분해에 의한 부식으로 소멸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라군(lagoon) (8) 외에 준설한 하상 퇴적토와 광미를 현장 매립지의 매립재로 활용할 경우, 매립지에서 직접 양극(+)(3)과 음극(-)겸용 배수재(4)를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의 시간차 매립을 고려하여 라군(lagoon)이나 폰드(pond)에서 전극의 층별 교차로 다단계 투기를 수행하여 적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상 퇴적토와 광미를 라군(lagoon)이나 폰드(pond)에서 처리하는 것 외에 매립지의 현장 매립재료로 사용할 때, 현장에서 본 공법을 직접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음극(-)겸용 배수재에서 진공압에 의해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OH-이온의 시료 내 유입을 억제하여 수산화 침전을 방지하며, 슬러리 조건별 최적의 진공압과 전압을 조합하여 적용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개발한 음극겸용 배수재(4)는 도면 3에 제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전원공급장치(2)와 토조(5)와 음극겸용배수재(4) 및 음극겸용배수재(4) 내부로 진공을 가할 수 있는 진공연결관(12)과 집수탱크(7)와 진공탱크(6) 및 진공펌프(1)를 기본구조로 하며, 특히 상기 음극겸용배수재(4)는 양측에 배수재를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8)와, 점토와 같은 미립자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9), 전기동력을 균일하게 시료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배수재 내부에 설치한 전선(10), 배수재 내부에서 유로 역할과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11)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또한, 전기동력은 코어(11) 내부에 전선을 배치하는 것 외에 코어(11)를 전기가 통하는 금속류나 탄소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단순 중력 침전과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의 비교
실시예는 진공배수 기법과 동전기 현상을 이용한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의 효과와 적용성을 실내에서 검증하기 위해 도면 4와 같은 실내 장치를 이용하여 단순 중력 침전 실험과 비교하였다. 대상 시료는 남해안 진해지역의 해성 점성토를채취하여 실험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크기를 가진 자갈이나 조개껍데기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0.074mm 체를 이용하여 체가름하였다. 기본 물성치는 한국산업규격인 KS F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기본 물성치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시료의 입도 분포는 도면 4와 같이 나타났다.
분류 | 특성 | 분류 | 특성 |
흙의 분류 | CH | 소성한계(%) | 20.6 |
비중 | 2.67 | 소성지수(%) | 36.7 |
액성한계(%) | 56.3 | 초기 pH | 7.77 |
본 실시예에서는 준설토에서 검출되는 중금속 중 토양오염공정시험법과 폐기물공정시험법에서 유해 중금속으로 분류하고 있는 납, 카드뮴, 크롬 등을 실내에서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기 위해 일정한 양의 질산납과 질산카드뮴, 질산크롬을 염수에 녹여 약 10일간 실내에서 시료와 교반하였다. 초기 준설토는 라군(lagoon)에서 침강이 끝난 후의 함수비로 고려하여 300% 근처로 설정하였다.
실시예의 실험조건은 표 2에 나타나 있다.
초기함수비 | 초기계면고 | 진공압 | 오염물 및 오염 농도 | 가동시간 | 전압 | 시료 | |
단순 중력침전 | 290.3% | 34cm | 0kgf/cm2 | 납 1045.267mg/kg카드뮴 34.491mg/kg크롬 32.473mg/kg | 13.5 일 | 0V | 해성점토 |
진공-동전기배수정화 | 282.7% | 34cm | 0.3kgf/cm2 | 납 1031.255mg/kg카드뮴 36.485mg/kg크롬 30.453mg/kg | 8 일 | 7V | 해성점토 |
실험 중 진공연결관(12)에서 10, 20, 30, 40, 50cm 떨어진 각 지점의 침하계(10)로부터 침하량를 측정하였고, 집수탱크(7)에서 배수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이 완료된 후, 진공연결관(12)으로부터 시료를 5등분하여 시료 내부의 함수비, pH 변화 및 오염물 농도분포를 측정하였다.
도면 6은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에서 각 침하계(10)에서 측정한 침하량을 시간에 따라 도식화한 것이다. 초기에는 진공압을 가하는 영역 근처에서 더 빠른 침하를 보였지만, 약 100시간 이후에는 전 시료에 걸쳐 균일한 침하를 보였다. 압밀도는 약 160시간 이후 전 지점에서 90% 이상 보였다. 이와 같이 초기에는 진공압의 영향으로 부분 침하가 발생하였지만, 가동기간이 증가할수록 동전기 현상의 영향이 커져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침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면 7은 단순 중력 침전과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의 전 침하량을 시간에 따라 비교한 것이다. 단순 중력 침전에서는 약 324 시간 이후에서 압밀도 90% 이상을 보였지만,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에서는 약 160 시간에서 90% 이상의 압밀도를 보여 약 2 배 이상 압밀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압밀이 종료된 후, 침하량은 약 9.25, 11.5cm로 향상기법을 이용할 때, 약 1.24배 이상 더 침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면 8은 각 실험이 종료된 후, 진공연결관(12)으로부터 30cm 지점인 3등분 지점에서 시료 내 함수비 분포를 비교한 것이다. 최종 평균 함수비는 약 133.16, 100.99%로 약 1.33 배이상의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최종 침하량의 차이와 같이 전기영동현상에 의한 입자의 이동과 진공배수, 전기삼투 등에 의한 원활한 배수때문으로 판단된다.
도면 9는 각 실험이 종료된 후, 진공연결관(12)으로부터 30cm 지점인 3등분 지점에서 시료 내부 pH 분포를 비교한 것이다. 단순 중력 침전 실험이 종료된 후, 시료 내의 pH는 초기 pH 7.77에 비해 거의 변하지 않았지만,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에서는 양극(+) 근처에서는 산성화되었고, 음극(-)겸용 배수재 근처에서는 염기화되었다. 이는 양극(兩極)에서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H+, OH-이온의 영향 때문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동전기 정화 처리에서 음극(-) 근처에 보이는 강염기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음극(-)겸용 배수재에서 진공압에 의한 강제배수로, 음극(-)에서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OH-이온이 시료 내 유입되는 것을 억제했기 때문이다.
도면 10, 11과 12는 각 실험이 종료된 후, 진공연결관(12)으로부터 30cm 지점인 3등분 지점에서의 시료 내부 납, 카드뮴 및 크롬의 농도 분포를 비교한 것이다. 단순 중력 침전 실험에서는 초기 농도에 비해 큰 감소를 보이지 않은 반면,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에서는 초기 농도에 비해 전 시료에 걸쳐 낮은 농도 분포를 보였다. 또한, 음극(-)겸용 배수재(4) 근처에서 가장 큰 농도 감소를 보여 일반적인 동전기 정화 처리에서 음극부 근처에서 수산화 침전에 의한 정화 효율 감소 현장은 보이지 않았다.
도면 13은 실험에 종료된 후, 단순 중력 침전과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에서의 중금속 제거효율을 비교한 것이다. 단순 중력 침전 실험에서는 각 중금속별로 약 28.52, 20.38, 12.15%의 제거효율을 보였는데, 이는 토립자에 흡착되지 않고용액상에 용해된 중금속 이온들이 중력 침전 중 배수로 인해 상부로 배출되었기 때문이다. 진공-동전기 배수정화 기법에서는 각각 80.57, 77.47, 81.05%의 제거효율을 보여 단순 중력 침전보다 약 3배 이상의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이는 양극(+)에서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H+이온의 시료 유입으로 시료 내에 흡착된 중금속을 탈착시키고, 전기이온이동과 전기삼투, 진공배수 기법과 같은 이류로 음극(-)겸용 배수재를 통하여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중금속으로 오염된 고함수비인 하상 퇴적토와 광미의 처리 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었다.
즉, 첫째는 동전기 현상을 적용할 때, 양극(+)에서 발생하는 H+이온의 영향으로 하상 퇴적토나 광미에 흡착되어 있는 중금속을 탈착시킬 수 있고, 탈착된 중금속을 전기이온이동과 전기삼투, 진공배수에 의한 이류로 음극(-)으로 취합하여 집수지에서 제거 처리할 수 있으며, 둘째는 음극(-)전극과 배수재를 결합한 음극(-)겸용 배수재를 이용하여 동전기 현상의 전기삼투와 진공배수로 간극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어 탈수를 촉진할 수 있으며, 셋째는 침강단계에서 본 공법을 적용하면, 동전기 현상의 전기영동에 의해 빠른 침강을 이룰 수 있으며, 넷째는 음극(-)겸용 배수재에서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OH-이온을 진공배수 기법에 의해 시료 외부로 강제 배출하여 시료 내의 유입을 억제하기 때문에 음극(-) 전극부 근처에서의 수산화 침전에 의한 정화 효율 감소를 억제할 수 있으며, 다섯째는 하상 퇴적토와 광미의 다단계 투기와 양극(+)과 음극(-)의 층별 배치로 다량의 준설토와 광미를 처리할 수 있고,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
- 전원공급장치(2)와 토조(5)와 음극겸용배수재(4) 및 음극겸용배수재(4) 내부로 진공을 가할 수 있는 진공연결관(12)과 집수탱크(7)와 진공탱크(6) 및 진공펌프(1)로 구성된 정화와 탈수처리장치에 있어서,상기 음극겸용배수재(4)는 양측에 배수재를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8)와, 점토와 같은 미립자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9), 전기동력을 균일하게 시료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배수재 내부에 설치한 전선(10), 배수재 내부에서 유로 역할과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11)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0246U KR200372756Y1 (ko) | 2004-10-26 | 2004-10-26 |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0246U KR200372756Y1 (ko) | 2004-10-26 | 2004-10-26 |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5926A Division KR20060036813A (ko) | 2004-10-26 | 2004-10-26 |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공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2756Y1 true KR200372756Y1 (ko) | 2005-01-14 |
Family
ID=4944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30246U KR200372756Y1 (ko) | 2004-10-26 | 2004-10-26 |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2756Y1 (ko) |
-
2004
- 2004-10-26 KR KR20-2004-0030246U patent/KR20037275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475441B (zh) | 一种基于减量浓缩设计理念的土壤淋洗修复系统及其方法 | |
Puppala et al. | Enhanced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high sorption capacity soil | |
CA2741020C (en) | Clarification of tailing ponds using electrophoresis | |
KR100729863B1 (ko) |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 |
CN102240667B (zh) | 铬污染土壤及地下水电动修复及还原解毒方法 | |
CN204396456U (zh) | 一种基于减量浓缩设计理念的土壤淋洗修复系统 | |
JP2013220419A (ja) | 電気浸透修復法による汚染物質の無害化処理方法 | |
KR101995207B1 (ko) | 지중 원위치 고온 열주입 및 추출을 위한 현장 열탈착, 산화 및 유기산세척에 의한 복합오염토양정화시스템 | |
CN102644302A (zh) | 一种河道、湖泊淤泥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
CN107746163A (zh) | 一种基于孔隙水导排的河湖污染底泥原位减量除污装置 | |
WO2016086287A1 (en) | Electrokinetic soil remediation | |
CN110434166B (zh) | 一种双环立式自清洁型原位脱水减污电动修复装置及方法 | |
CN1684777A (zh) | 土壤恢复和工程的方法 | |
KR101272090B1 (ko) |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 |
KR200422043Y1 (ko) |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 |
KR20030062988A (ko) | 진공배수 기법과 동전기 현상의 복합 기법(진공-동전기배수정화 기법)에 의한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탈수처리 | |
KR20060036813A (ko) |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공법 및 장치 | |
KR20030066901A (ko) | 동전기 지반(토양) 정화 처리 효율 향상과 후처리 겸용전극부 개발 | |
US5240608A (en) | Apparatus for waste free dredging of waterways and the fabrication of building materials | |
KR200372756Y1 (ko) |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장치 | |
KR20060036961A (ko) | 유기오염물로 오염된 동전기 지반(토양) 정화 처리시스템 | |
US10308528B2 (en) | System and associated methodology to clean contaminants from a flowing stream | |
CN108395025B (zh) | 一种含铊废水的电絮凝深度处理方法及电絮凝装置 | |
CN214693620U (zh) | 一种透水混凝土处理酸性矿山废水的装置 | |
KR101270087B1 (ko) | 친환경 물 재이용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