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434Y1 - 조명케이스 - Google Patents

조명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434Y1
KR200372434Y1 KR20-2004-0029217U KR20040029217U KR200372434Y1 KR 200372434 Y1 KR200372434 Y1 KR 200372434Y1 KR 20040029217 U KR20040029217 U KR 20040029217U KR 200372434 Y1 KR200372434 Y1 KR 200372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ase
frame
case body
ligh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배석
Original Assignee
광성전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전기산업(주) filed Critical 광성전기산업(주)
Priority to KR20-2004-0029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4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4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8Latch-type fastening, e.g. with rotary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조명틀의 개구부를 통해 음영을 연출하는 조명장치의 조명케이스에 있어서, 조명틀이 조명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램프의 교환시 편리함을 제공한 조명케이스가 제공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케이스본체(1)의 저부에 음영을 연출하기 위한 개구부(5)를 갖는 조명틀(2)이 설치되는 조명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1)의 저부에 조명틀(2)이 장착된 상태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케이스본체(1)와 조명틀(2)이 힌지부(10)를 매개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조명틀(2)과 케이스본체(1)에는 상기 힌지부(10)의 결합점과 연동되어 조명틀(2)이 케이스본체(1) 저부에 부착되게 부착구가 매개된 것을 이다.
여기서, 부착구는 일실시예로서, 힌지부(10)의 반대측 개방부인 케이스본체(1)에 걸림턱(12)이 부착되고, 이 위치에 대응되는 조명틀(2)에는 상기 걸림턱(12)과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탄착구(14)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에 자석이 장착되어 대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부착구는 상기 힌지부(10)의 힌지축(18)을 중심으로 조명틀(2)에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토션스프링(20)이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케이스{Case for Illumination Device}
본 고안은 조명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틀의 개구부를 통해 음영을 연출하는 조명장치의 조명케이스에 있어서, 조명틀이 조명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램프의 교환시 편리함을 제공한 조명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방식에 따라 다수의 조명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직접조명방식의 천장등은 천장(반자)에서의 케이스 노출에 따라 매입식 또는 노출으로 마련된다.
이를 위한 케이스 본체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나 배선 안정기(미도시)가 장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이러한 케이스 본체(1) 하부에 조명틀(2)이 일체 또는 별물로 형성되고, 조명틀(2)은 조명커버(3)를 보유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천장등 외부로의 체결수단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천장등 체결수단들은 외장품으로서 개발되며, 즉 천장등에서의 시야 노출부분은 조명틀(2)과 조명커버(3)의 저부이고, 조명커버 전체와 조명틀의 노출일부분이 주위를 환기시키는 시각적 요소를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명커버를 조명틀에 장착하기 위하여 체결수단의 노출을 회피하기 어렵고, 이에 의해 체결구(4)를 외장처리, 예를 들어 크롬도금 처리하고 그 형상 및 모양을 디자인 처리한 것이다.
한편, 조명틀(2) 역시 외장부분의 하나로서 외장처리되며, 조명커버(3)는 상기된 직접조명식의 것인 경우, 반투명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장치는 케이스 및 조명커버를 활용하여 다양한 조명을 연출하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직접조명방식의 천장등은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단순히 반투명 조명커버에 조사시킬 뿐이어서 동일한 조명케이스내에서는 획일적인 조명이 연출될 수 밖에 없고, 조명케이스나 조명커버를 활용하여 조명이나 외장의 다양한 변화를 연출시키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조명케이스 및 조명커버를 이용하여 동일 케이스 내에서 다양한 조명과 외장의 변화가 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제작이 간편하여 생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킨 조명장치(출원번호 20-1004-0023537)를 안출한바 있다.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케이스에서 조명커버(3)와 접촉되어 이를 지지하는 조명틀(2)이 외장품인 별물로 마련되고, 조명틀(2)의 개구부(5)에 그 상부에서 조사되는 조명을 차단하여 조명커버(3)에서 음영의 모양을 형성하는 음영연출부(6)가 형성됨과 더불어, 조명틀(2)의 저면은 외장면으로서 반사면이 형성되고, 이 반사면을 배경면으로 조명커버(3)의 반투명부 외측으로 2차 모양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케이스본체(1)에서 분리된 조명틀에 음영처리부를 두어 반투명의 조명커버에 조명에 따른 음영의 형성이 수행되고, 다양한 형상의 음영처리부가 마련됨에 따라 케이스본체가 교체되면 다양한 조명장치가 마련되는 효과를 얻을 수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틀(2)은 여기에 장착되는 램프의 교환을 위해서는 상기 음영을 연출하는 개구부(5)의 크기와 이에 따른 모양 배치에 한계가 있다.
즉, 예시도면 도 2 에서와 같이 음영을 연출하기 위한 개구부(5)의 크기가 작고 이것이 반복되는 경우, 개구부(5)는 케이스본체(1) 내부로의 램프(7) 장착을 위한 입구를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램프(7)의 교환시 조명커버(3)의 탈거와 조명틀(2)의 탈거 작업을 야기시키며, 조명틀(2)이 케이스본체(1)에 장착되지 못하므로, 조명틀의 장착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수단을 마련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의 불편함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결국 상품성 하락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명틀의 개구부를 통해 음영을 연출하는 조명장치의 조명케이스에 있어서, 조명틀이 조명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램프의 교환시 편리함을 제공한 조명틀 개폐장치가 포함되는 조명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조명케이스의 저부에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조명틀과 힌지결합시키고, 이 힌지결합과 연동되어 케이스의 폐쇄상태의 유지케하는 스톱퍼가 장착된 것이다.
도 1 은 종래 조명장치를 나타낸 외관 및 평면설명도,
도 2 는 종래 조명케이스의 문제점을 나타낸 외관설명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케이스 개폐장치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본체, 2 - 조명틀,
3 - 조명커버, 4 - 체결구,
5 - 개구부, 6 - 음영연출부,
7 - 램프, 10 - 힌지부,
12 - 걸림턱, 14 - 탄착구,
16 - 자석편, 18 - 힌지축,
20 - 토션스프링, 22,22' - 힌지파이프,
24, 26 - 브라켓,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한 것이며,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예시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케이스를 나타낸 외관 및 확대 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틀 개폐장치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및 확대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본체(1)의 저부에 음영을 연출하기 위한 개구부(5)를 갖는 조명틀(2)이 설치되는 조명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1)의 저부에 조명틀(2)이 장착된 상태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케이스본체(1)와 조명틀(2)이 힌지부(10)를 매개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조명틀(2)과 케이스본체(1)에는 상기 힌지부(10)의 결합점과 연동되어 조명틀(2)이 케이스본체(1) 저부에 부착되게 부착구가 매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케이스이다.
여기서, 부착구는 일실시예로서, 힌지부(10)의 반대측 개방부인 케이스본체(1)에 걸림턱(12)이 부착되고, 이 위치에 대응되는 조명틀(2)에는 상기 걸림턱(12)과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탄착구(1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착구는 다른 실시예로서, 힌지부(10)의 반대측 개방부인 케이스본체(1)에 철편 또는 자석편(16)이 부착되고, 이 위치에 대응되는 조명틀(2)에는 상기 철편 또는 자석편(16)과 자력으로 결합되는 자석편(16) 또는 철편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부착구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부(10)의 힌지축(18)을 중심으로 조명틀(2)에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토션스프링(2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명틀의 개구부를 통해 음영을 연출하는 조명장치의 조명케이스에 있어서, 조명틀이 조명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램프의 교환시 편리함을 제공하는 조명틀의 개폐장치가 포함되는 조명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개폐장치로서 먼저, 힌지부(10)가 케이스본체(1)와 조명틀(2)에 매개된다.
힌지부(10)는 힌지축(18)을 중심으로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조명케이스로부터 조명틀이 회동되어 조명틀 자체가 개폐도어의 작용을 하도록 배려되며, 이를 위한 힌지부(10)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케이스본체(1)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본체(1)의 측벽이 절개되고 절개된 부분의 일부가 벤딩되어 힌지축(18)이 삽입되는 힌지파이프(22)의 제공이 가능해지고, 절개된 구역은 회전점의 배치와 나머지 힌지부의 작용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조명틀(2)에도 힌지파이프(22')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축(18)을 동일축으로 공유하게 되며, 조명틀(2)은 음영을 연출하기 위하여 프레스 가공됨을 고려하여, 별물로서 별도의 브라켓(24)을 마련하여 힌지파이프(22')를 형성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힌지결합의 위치는 케이스본체(1)와 조명틀(2)의 접촉위치를 고려하여 배치될 것이고, 2점의 힌지결합이 적당할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힌지축(18)을 동일축으로 케이스본체(1)와 조명틀(2)이 힌지결합되며, 조명틀은 고정된 위치를 제공하는 케이스본체(1)로부터 자유로운 개폐가 가능해 진다.
따라서, 완성조립된 조명장치에서 램프(7)를 교체하기 위하여 체결구(4)를 해제시키고 조명커버(3)를 탈거하게 되면, 조명틀(2)이 개방된 상태로 위치되고 사용자는 용이하게 램프(7)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탈거의 순서와 재조립의 순서를 고려할 때, 힌지부(10)에 그 개방에 대한 제한수단이 없는 경우 조명커버(3)의 탈거와 동시에 조명틀(2)이 개방되고, 특히 재조립시에는 조명틀(2)을 손으로 붙잡아 조명커버(3)를 부착하고 체결구(4)를 조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상기 힌지부(10)와 연동되어 조명틀(2)을 케이스본체(1)에 가조립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즉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조명틀(2)을 케이스본체(1)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부착구가 설치된 것이다.
부착구는 조명틀(2)을 케이스본체(1) 접촉시키는 체결력을 지니면 충분하며, 따라서, 체결구와 같은 체결력을 요하지는 않으므로, 간단한 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구는 여러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며, 도 3a 는 화스너 형식의 부착구를 나타내고 있다.
즉, 힌지점의 반대측에 걸림턱(12)과 탄착구(14)가 설치되며, 걸림턱(12)은 케이스본체(1)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 설치되고, 이 걸림턱(12)과 탄성으로 맞물리는 탄착구(14)가 조명틀(2)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커버(3)가 탈거된 후에도 조명틀(2)은 케이스본체(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외력으로 조명틀(2)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그 결합이 해제되면서 조명틀(2)이 개방되고, 재조립시에도 조명틀(2)을 폐쇄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탄착구(14)가 걸림턱(12)에 맞물려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조명커버(3) 및 체결구(4)를 통해 완전조립이 용이해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b 는 자석식의 부착구를 나타내고 있으며, 힌지부의 반대측 개방부인 케이스본체(1)에 철편 또는 자석편(16)이 부착되고, 이 위치에 대응되는 조명틀(2)에는 상기 철편 또는 자석편과 자력으로 결합되는 자력편 또는 철편이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자석편이 부착되기 위하여 별도의 브라켓(26)이 필요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케이스본체(1)에 자석편(16)을 부착시키고, 철판인 조명틀(2) 자체를 철편과 공용시키는 것이 적당할 것이다.
그러나, 조명틀(2)이 수지재로 마련될 경우, 별도의 철편이 사용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러한 자석식에 의해 상기 화스너 형식과 마찬가지로, 조명커버(3)가 탈거된 후에도 조명틀(2)은 자력에 의해 케이스본체(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외력으로 조명틀(2)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그 자력결합이 해제되면서 조명틀이 개방되고, 재조립시에도 자력으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조명커버 및 체결구를 통해 완전조립이 용이해 진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c 는 토션스프링 형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18)을 중심으로 조명틀에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토션스프링(2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토션스프링(20)은 어느정도 조명틀(2)을 폐쇄하는 탄성이면 충분하며, 이에 의해 조명틀(2)은 상시 케이스본체(1)와 접촉된 상태 또는 어느 정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명틀(2)를 잡아 당겨 램프(7)를 교체하고 다시 조명커버를 재조립시에는 토션스프링(20)에 의해 복귀된 상태, 즉 조명틀(2)이 케이스본체(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간단하게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조명틀의 개구부를 통해 음영을 연출하는 조명장치의 조명케이스에 있어서, 조명틀이 케이스본체에 장착된 상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폐장치가 매개되어, 램프의 교환시 편리함과 아울러, 조명틀을 통한 음영연출부의 형성에 있어서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되어 궁극적으로는 조명장치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케이스본체(1)의 저부에 음영을 연출하기 위한 개구부(5)를 갖는 조명틀(2)이 설치되는 조명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1)의 저부에 조명틀(2)이 장착된 상태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케이스본체(1)와 조명틀(2)이 힌지부(10)를 매개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조명틀(2)과 케이스본체(1)에는 상기 힌지부(10)의 결합점과 연동되어 조명틀(2)이 케이스본체(1) 저부에 부착되게 부착구가 매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구는 힌지부(10)의 반대측 개방부인 케이스본체(1)에 걸림턱(12)이 부착되고, 이 위치에 대응되는 조명틀(2)에는 상기 걸림턱(12)과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탄착구(1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구는 힌지부(10)의 반대측 개방부인 케이스본체(1)에 철편 또는 자석편(16)이 부착되고, 이 위치에 대응되는 조명틀(2)에는 상기 철편 또는 자석편(16)과 자력으로 결합되는 자석편(16) 또는 철편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구는 힌지부(10)의 힌지축(18)을 중심으로 조명틀(2)에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토션스프링(2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케이스.
KR20-2004-0029217U 2004-10-15 2004-10-15 조명케이스 KR200372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217U KR200372434Y1 (ko) 2004-10-15 2004-10-15 조명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217U KR200372434Y1 (ko) 2004-10-15 2004-10-15 조명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434Y1 true KR200372434Y1 (ko) 2005-01-14

Family

ID=4935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217U KR200372434Y1 (ko) 2004-10-15 2004-10-15 조명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4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76B1 (ko) 2018-05-01 2018-11-06 박갑종 암부 발생이 최소화되게 한 커버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용 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76B1 (ko) 2018-05-01 2018-11-06 박갑종 암부 발생이 최소화되게 한 커버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용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368B2 (en) Device for fixing an interchangeable wrist-watch strap to a watch
KR100603953B1 (ko) 사용이 편리한 광고판넬 조립구조
TW200508536A (en) Coupling with latch mechanism
JP2006014980A (ja) 遊技機
ATE359422T1 (de) Möbelscharnier mit feder
KR200372434Y1 (ko) 조명케이스
MX2007007413A (es) Luminaria de estilo colgante de diseño dividido.
KR101883576B1 (ko) 천장 매입등
US6511212B2 (en) Luminaire latch
US2106144A (en) Dome light assembly
JP2002157916A (ja) 照明器具
KR200442382Y1 (ko) 형광등기구의 반사갓과 덮개의 체결구조
KR101181492B1 (ko) 빛 장식부가 연출되게 한 천정직착등
JPH11224508A (ja) スポットライト
KR20110111974A (ko) 실내 조명등의 커버판 개폐장치
WO2024048475A1 (ja) 発光玩具
US9506630B1 (en) Component housing band in luminaires
JP4389155B2 (ja) 照明器具
JP3102645U (ja) 宝飾品ケース
KR20080003625U (ko) 배전반용 조명등
KR200436910Y1 (ko) 벽체 매입등
KR200179638Y1 (ko) 외곽테를 제거한 형광등 설치구조
JPH0222901Y2 (ko)
JPH0716251Y2 (ja) 照明器具
JP2006167219A (ja) 装身具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