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221Y1 - 용기의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221Y1
KR200371221Y1 KR20-2004-0026042U KR20040026042U KR200371221Y1 KR 200371221 Y1 KR200371221 Y1 KR 200371221Y1 KR 20040026042 U KR20040026042 U KR 20040026042U KR 200371221 Y1 KR200371221 Y1 KR 200371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present
straw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정
Original Assignee
김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정 filed Critical 김문정
Priority to KR20-2004-0026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2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요자의 눈에 가장 많이 띄는 용기의 뚜껑에 간단한 방법으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광고지 고정 수단과, 상기 광고지 고정 수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광고지를 포함하는 용기의 뚜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의 뚜껑{Cap of a 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지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탄산 음료, 과즙 음료, 또는 커피와 같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음료수는 종래에는 금속제 캔이나, 유리 병 등에 담겨 유통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테이크 아웃(take-out) 커피 전문점 등이 늘어나면서 소비자가 간단하게 들고 다니며 음용할 수 있도록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용기는 음료수 뿐만 아니라, 셀러드나 죽과 같은 다양한 음식물의 포장용기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용기는 대개,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의 용기 측면 표면에 소정의 광고 도안을 인쇄하거나, 별도의 광고지를 그 측면에 접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상, 용기 담긴 음식물을 먹는 수요자는 용기를 손으로 파지한 채 운반하고, 음료수의 경우에는 빨대 등의 도구를 이용해서 음료를 마시게 되는 데, 이 때, 음료를 마시는 수요자의 시선에 가장 많이 띄는 곳이 음료 용기의 뚜껑에 해당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뚜껑에는 아무런 광고표시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용기의 뚜껑은 대개 그 굴곡이 심하여, 여기에 광고를 프린팅하기 힘들고, 별도의 광고지를 부착할 경우에도 매우 번거롭고 작업 공수가 많이 들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요자의 눈에 가장 많이 띄는 용기의 뚜껑에 간단한 방법으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이 용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뚜껑이 용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뚜껑이 용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Ⅰ-Ⅰ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뚜껑이 용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9실시예에 따른 뚜껑이 용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용기 11: 밀폐용 덮개
20: 뚜껑 21: 뚜껑 본체
22: 인입부 22a: 측벽
23: 광고지 고정수단 24: 제1돌출부
25: 제2돌출부 26: 빨대 꽂이
27: 광고지 28: 결합공
29: 빨대 꽂이용 구멍 30: 결합홈
31: 빨대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광고지 고정 수단; 및
상기 광고지 고정 수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광고지;를 포함하는 용기의 뚜껑을 제공한다.
상기 광고지 고정 수단은 상기 뚜껑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돌출부이고, 상기 광고지에는 상기 제1돌출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에는 빨대를 꽂을 수 있도록 빨대 꽂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본체는 상기 용기의 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광고지가 안착되는 인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고지 고정 수단은 상기 인입부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2돌출부일 수 있다.
상기 광고지에는 그 가장자리에 상기 제2돌출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뚜껑을 용기에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용기용 뚜껑(20)은 용기(10)에 결합된다.
용기(10)는 합성수지재 또는 종이재로 만들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이나 목재도 가능하다. 또한, 이 용기(10)는 투명하게 구비되어 그 내부의 음식물이 들여다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소정의 색상이가미되어 외관의 미려함을 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이 결합될 용기(10)는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에 해당하며, 이는 이하 설명될 본 고안의 모든 실시예에도 동일하다.
용기(10)의 상단 개구부에는 밀폐용 덮개(11)가 부착될 수 있다. 이 밀폐용 덮개(11)는 용기(10)의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용기(10) 내부의 음료수가 보관 중이나 운반중에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밀폐용 덮개(11)는 반드시 이를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밀폐용 덮개(11)없이 뚜껑(20)을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뚜껑(20)은 용기(10)의 개구부를 덮도록 용기(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역시, 합성수지재나 종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도 역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및 목재 등 어떠한 재질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투명하게 구비되어, 자체 소정의 색채를 지닐 수도 있다.
용기(10)에 결합되는 뚜껑(20)은 그 가장자리에 소정의 체결부(20a)를 갖추고 있는 데, 이는 용기(10)에 뚜껑 본체(21)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20a)의 형태는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체결부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부(20a)는 이하, 설명될 본 고안의 모든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그 상면에 광고지 고정 수단(23)이 형성되어, 광고지(27)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뚜껑(20)의 상면은 내측, 즉, 용기(10)의 방향으로 인입된 인입부(22)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이 인입부(22)의 중앙부에 광고지 고정수단(23)으로서 제1돌출부(24)가 형성된다. 이 제1돌출부(24)는 뚜껑(20)의 상면으로 결합되는 광고지(27)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기둥과 같은 다각 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출부(24)에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광고지(27)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광고지(27)에는 그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게재되어 있으며, 종이,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다.
광고지(27)에는 제1돌출부(24)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공(28)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공(28)이 제1돌출부(24)에 끼워짐으로써, 뚜껑(20)에는 별도 접착 수단 없이도 광고지(27)가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부(24)에는 빨대(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칼집 형태의 빨대 꽂이(2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요자는 빨대(31)를 결합공(28)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제1돌출부(24)의 빨대 꽂이(26)에 꽂아 쉽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이 때, 밀폐덮개(11)는 빨대(31)에 의해 쉽게 뚫릴 수 있도록 얇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빨대 꽂이(26)가 도 1의 제1실시예와는 달리,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수요자는 빨대를 꽂기가 더욱 용이해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돌출부(24)가 뚜껑 본체(21)의 상면에 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따른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돌출부(24)가 인입부(22)에 빨대 꽂이(26)를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돌출부(24)는 사각기둥의 형상을 갖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기둥, 원뿔, 다각기둥, 및 다각뿔 등 돌출된 형태의 다양한 형상이 적용 가능하다.
이 제1돌출부(24)에 대응되어 광고지(27)에도 결합공(28)이 두 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별도의 빨대 꽂이용 구멍(29)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뚜껑(20)을 도시한 것으로, 제1돌출부(24)를 빨대꽂이(26)를 중심으로 하여 3개를 삼각형상으로 배치하고, 빨대 꽂이(26)도 도 3의 칼집 형상이 아닌 구멍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1돌출부(24)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숫자가 적용될 수 있으며, 빨대 꽂이(26)도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빨대 꽂이(26)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뚜껑(20)을 도시한 것으로, 인입부(22)의 측벽(22a)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25)를 광고지 고정수단(23)으로 구비한 것이다.
이 제2돌출부(25)는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인입부(22)의 측벽(22a)으로부터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데, 인입부(22) 상면에는 돌출되어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돌출부(25)에 의해 지지되는 광고지(27)에는 아무런 가공을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2돌출부(25)는 빨대 꽂이(26)를 중심으로 두 개가 서로 대칭되도록 배설될 수 있다.
물론, 도 5에서는 빨대(31)를 꽂기 위한 빨대꽂이(26)가 뚜껑(20)에 형성되어 있고, 빨대 꽂이용 구멍(29)이 광고지(27)에 형성되어 있으나, 빨대를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빨대 꽂이(26) 및 빨대 꽂이용 구멍(29)은 없어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뚜껑(20)을 도시한 것으로, 제2돌출부(25)를 빨대꽂이(26)를 중심으로 하여 3개를 삼각형상으로 배치하고, 빨대 꽂이(26)도 도 5의 칼집 형상이 아닌 구멍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2돌출부(25)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숫자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뚜껑(20)을 도시한 것으로, 제2돌출부(25)의 형상이 쐐기 형상이 아닌 기둥형상이 된다. 즉, 제2돌출부(25)는 측벽(22a)을 따라 연장되어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광고지(27)의 가장자리에 제2돌출부(25)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25)에 결합홈(30)이 끼워짐으로 인해 광고지(27)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돌출부(25)는 빨대 꽂이(26)를 중심으로 두 개가 서로 대칭되도록 배설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빨대를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빨대 꽂이(26) 및 빨대 꽂이용 구멍(29)은 없어도 무방하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8실시예에 따른 뚜껑(20)을 도시한 것으로, 제2돌출부(25)를 빨대꽂이(26)를 중심으로 하여 3개를 삼각형상으로 배치하고, 빨대 꽂이(26)도 도 8의 칼집 형상이 아닌 구멍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2돌출부(25)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숫자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2돌출부(25)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삼각기둥형상으로 돌출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10 및 도 11의 제9실시예 및 제10실시예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광고지(27)의 결합홈(30)의 형상을 제2돌출부(25)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한다. 나머지, 제9실시예 및 제10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이처럼 다양한 형상의 광고지 고정 수단을 뚜껑의 상면에 형성함으로써, 광고지를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광고지 고정을 위한 공수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의 광고지 고정 수단의 실시예들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광고지 고정 수단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공산품으로서 시중에 유통되는 용기 외에도, 테이크 아웃(take-out) 전문점 등에서 사용되는 용기 등 모든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반드시 음료수 용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죽이나 국과 같이, 빨대로 먹을 수도 있는 음식물 또는 셀러드 등의 음식물을 담는 용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셀러드용 용기에 사용될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 빨대 꽂이 등은 필요없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뚜껑은 간단한 방법에 의해 광고지를 용기의 뚜껑에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광고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일부 구성요소의 부가,삭감,변경,수정 등이 있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된다.

Claims (5)

  1.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광고지 고정 수단; 및
    상기 광고지 고정 수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광고지;를 포함하는 용기의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지 고정 수단은 상기 뚜껑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돌출부이고, 상기 광고지에는 상기 제1돌출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에는 빨대를 꽂을 수 있도록 빨대 꽂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는 상기 용기의 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광고지가 안착되는 인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고지 고정 수단은 상기 인입부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2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지에는 그 가장자리에 상기 제2돌출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KR20-2004-0026042U 2004-09-10 2004-09-10 용기의 뚜껑 KR200371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042U KR200371221Y1 (ko) 2004-09-10 2004-09-10 용기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042U KR200371221Y1 (ko) 2004-09-10 2004-09-10 용기의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221Y1 true KR200371221Y1 (ko) 2005-01-05

Family

ID=4944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042U KR200371221Y1 (ko) 2004-09-10 2004-09-10 용기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2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84Y1 (ko) * 2012-06-27 2014-02-21 이동철 음료 태그를 갖는 테이크아웃용 음료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84Y1 (ko) * 2012-06-27 2014-02-21 이동철 음료 태그를 갖는 테이크아웃용 음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512B2 (en) Beverage bottle with storage compartment
US5888565A (en) Food package including a tray with cover member having a raised top surface
US20090223999A1 (en) Dual sided container
US5992073A (en) Contents identification device for a container
US20110162996A1 (en) Consumer product with secondary item storage compartment
GB2127376A (en) Can for effervescent beverages
US20150047999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Indicia
KR10142409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KR200371221Y1 (ko) 용기의 뚜껑
US9981777B1 (en) Beverage accessory hanger
US20030115781A1 (en) Bottle with label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US20040121047A1 (en) Packaging container
US20020020686A1 (en) Double walled see through cap
JP7123114B2 (ja) 飲料製品
EP4273061A1 (en) Glass container for food liquids
RU221041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гры
KR200399966Y1 (ko) 화장품 용기
KR200286116Y1 (ko) 음료용기의 포장용 박스
KR200311205Y1 (ko) 스탠드형 오프너
JP2008522904A (ja) 使い捨て商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ング
KR200260848Y1 (ko) 음료 용기의 뚜껑
KR200285716Y1 (ko) 음료용기의 포장용 상자
KR200351306Y1 (ko) 광고문이 있는 플라스틱통
KR200326267Y1 (ko)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