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731Y1 -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 Google Patents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731Y1
KR200370731Y1 KR20-2004-0028282U KR20040028282U KR200370731Y1 KR 200370731 Y1 KR200370731 Y1 KR 200370731Y1 KR 20040028282 U KR20040028282 U KR 20040028282U KR 200370731 Y1 KR200370731 Y1 KR 200370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binding
index portion
inlays
book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생
Original Assignee
김필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생 filed Critical 김필생
Priority to KR20-2004-0028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7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02Tabs integral with sheets, papers, cards, or suspension 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4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indexing means

Landscapes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여부에 따라 색인부를 제본물의 외측으로 출몰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색인부가 간지 상에 확고히 고정될 수 있어 색인부가 분리될 염려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는,
다수의 속지들이 제본되어 형성되는 제본물 내에서 속지들 사이에 위치되어 일체로 제본되며, 제본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색인부를 구비하여 제본물의 속지들을 분류하는 간지에 있어서,
색인부는, 간지의 소정부분 중 접철부를 제외하고 절개되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접철부를 중심으로 접철되어 제본물의 외측으로 출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색인부의 접철부의 일측에는, 색인부가 끼워져 제본물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슬릿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INNER-PAPER WITH INDEX PART}
본 고안은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間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속지들이 제본되어 형성되는 제본물 내에서 속지들 사이에 위치되어 일체로 제본되며, 제본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색인부를 구비하여 제본물의 속지들을 분류하는 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인더 또는 다이어리, 기타 제본물들은 다수의 속지 및 이 속지들 사이에 끼워져 속지들을 적절히 분류하는 간지들이 일체로 제본되어 형성되고, 간지는 제본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색인부를 구비한다.
색인부는 간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본물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색인부 자체가 간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관계로 색인부의 필요여부에 따라 간지 자체를 제본물로부터 분리하거나 다시 결합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색인부는 간지의 일측에 스티커형 견출지를 부착시켜 형성될 수도 있는데, 도 1은 간지(100)에 견출지(110)가 부착된 제본물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간지(100)의 일측에 견출지(110)를 부착하여 색인부를 형성할 경우에는, 간지(100) 자체를 속지와 동일하게 형성하면 되므로 간지(100)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사용에 따라 견출지(110)의 점착력이 약화되어 간지(100)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 색인기능을 제대로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여부에 따라 색인부를 제본물의 외측으로 출몰시켜 사용할 수 있는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색인부가 간지 상에 확고히 고정될 수 있어 색인부가 분리될 염려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간지에 견출지가 부착된 제본물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간지가 사용된 제본물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지에 있어서, 색인부의 형성공정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지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고안에 따른 간지
2 : 제본물
3 : 속지
10 : 색인부
11 : 접철부
20 : 슬릿
100 : 종래기술에 따른 간지
110 : 견출지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다수의 속지들이 제본되어 형성되는 제본물 내에서 속지들 사이에 위치되어 일체로 제본되며, 제본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색인부를 구비하여 제본물의 속지들을 분류하는 간지에 있어서,
전술한 색인부는, 간지의 소정부분 중 접철부를 제외하고 절개되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접철부를 중심으로 접철되어 제본물의 외측으로 출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전술한 색인부의 접철부의 일측에는, 전술한 색인부가 끼워져 제본물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슬릿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제본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술한 색인부의 일부분은, 상이한 색상을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간지(1)가 사용된 제본물(2)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지(1)에 있어서, 색인부(10)의 형성공정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지(1)는 다수의 속지들(3)이 제본되어 형성되는 제본물(2) 내에서 속지들(3) 사이에 위치되어 일체로 제본되며, 제본물(2)의 외측으로 출몰가능한 색인부(10)를 구비하여 제본물(2)의 속지들(3)을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색인부(1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간지(1)의 소정부분 중 접철부(11)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접철부(11)를 중심으로 전면측 또는 배면측으로 접철되어 제본물(2)의 외측으로 출몰가능하다.
색인부(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철부(11)는 색인부(10)의 가장자리 중 미절개된 부분으로서, 색인부(10)의 접철회동에 대한 중심선을 형성한다.
전술한 색인부(10)의 접철부(11)의 일측에는, 슬릿(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형성되는데, 이 슬릿(20)은 제본물(2)의 외측으로 돌출되기 위해 전면측 또는 배면측으로 접철된 색인부(10)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색인부(10)의 돌출상태를 고정하여 색인부(10)가 요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색인부(10)가 외력에 의해 찢겨져 간지(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제본물(2)의 외측으로 출몰되는 색인부(10)의 일부분은 다른 부분과 상이한 색상을 가짐으로써 제본물(2)의 속지들(3)을 명확히 분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간지(1)로부터 색인부(10)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철부(11)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들이 절개된 색인부(10)를 접철부(11)를 중심으로 회동시킨 후, 슬릿(20) 내로 끼워넣어 제본물(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접철고정시키면 된다.
색인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색인부(10)를 접철부(11)를 중심으로 배면측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지만, 사용태양에 따라서는 접철부(11)를 중심으로 배면측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간지(1) 상에 색인부(10)가 더 이상 필요없을 경우에는, 역으로 색인부(10)를 슬릿(20)으로부터 뽑아낸 후, 접철부(11)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동접철시켜 원위치시키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지(1)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간지(1)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속지들(2) 사이에 끼워져 일체로 제본됨으로써 바인더 또는 다이어리와 같은 제본물(2)을 형성되는데, 이 경우에는, 색인부(10)의 필요시, 간지(1) 상에 구비되는 색인부(10)를 접철부(11)를 중심으로 회동시킨 후, 슬릿(20)을 통해 고정함과 동시에 제본물(2)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사용하면 되므로, 견출지 등의 부착없이도 색인부(10)를 용이하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인부(10)가 필요없을 경우에는 역으로 원위치시킴으로써 색인부(10)가 제본물(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간지(1)는 색인부(10)의 위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사용목적에 따라 색인부(20)가 제본물(2)의 외측 상에 적절히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이어리와 같은 제본물(2)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간지(1) 상에 구비되는 색인부(10)의 위치조정을 통하여, 각가의 달을 나타내는 색인부(20)가 제본물(2)의 외측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그 사이의 속지들(3)을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에 의하면, 필요여부에 따라 간지 자체를 분리결합할 필요없이 색인부를 접철부를 중심으로 접철하여 제본물의 외측으로 출몰시킬 수 있으므로, 견출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견출지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철된 색인부가 슬릿 내로 끼워져 간지 상에 확고히 고정될 수 있어 색인부가 분리될 염려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다수의 속지들이 제본되어 형성되는 제본물 내에서 속지들 사이에 위치되어 일체로 제본되며, 제본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색인부를 구비하여 제본물의 속지들을 분류하는 간지에 있어서,
    상기 색인부는, 상기 간지의 소정부분 중 접철부를 제외하고 절개되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접철되어 제본물의 외측으로 출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부의 접철부의 일측에는, 상기 색인부가 끼워져 제본물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슬릿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본물의 외측으로 출몰가능한 상기 색인부의 일부분은,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KR20-2004-0028282U 2004-10-06 2004-10-06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KR200370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282U KR200370731Y1 (ko) 2004-10-06 2004-10-06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282U KR200370731Y1 (ko) 2004-10-06 2004-10-06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731Y1 true KR200370731Y1 (ko) 2004-12-16

Family

ID=4944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282U KR200370731Y1 (ko) 2004-10-06 2004-10-06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7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06B1 (ko) * 2012-02-23 2014-07-23 (주)엘지하우시스 폴드 가능한 색인부를 갖는 시트 및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06B1 (ko) * 2012-02-23 2014-07-23 (주)엘지하우시스 폴드 가능한 색인부를 갖는 시트 및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7334A (en) Tabbed file folder
US5683111A (en) Binder system and kit
EP1407898A3 (en) Sleeve with corner tabs
US20030042730A1 (en) Soft book
GB2218379A (en) Folded sheet for attachment to a ring binder
US5330281A (en) Device for mounting photographs and the like
US6390507B1 (en) Soft book
US5318324A (en) Pressure seal-eccentric Z-fold library envelope
US10787021B2 (en) Movable tab
KR200370731Y1 (ko)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US8308054B2 (en) Customizable folder
US20050047894A1 (en) Method for binding graphic products
US6129387A (en) Pressure sensitive library card holder
JP2011068029A (ja) 冊子状印刷物
US20070031180A1 (en) Extender strip
US20070085327A1 (en) Folder with removable bookmark
US7607247B2 (en) Envelope with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CA2727527C (en) Composition book
JP2000219244A (ja) 簡易保管用袋
US6206425B1 (en) Filing folder, in particular for lateral files
JP6543871B2 (ja) 起立支持具
KR102022335B1 (ko) 책등인식수단이 구비된 링제본 방식 책자
JP5095028B1 (ja) 冊子体
US11214090B1 (en) Bind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JP2012136007A (ja) 起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