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309Y1 -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309Y1
KR200370309Y1 KR20-2004-0027653U KR20040027653U KR200370309Y1 KR 200370309 Y1 KR200370309 Y1 KR 200370309Y1 KR 20040027653 U KR20040027653 U KR 20040027653U KR 200370309 Y1 KR200370309 Y1 KR 200370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panel
vehicle
opening
dv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주)현대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테크노 filed Critical (주)현대테크노
Priority to KR20-2004-0027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3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A/V장치의 탑재를 위한 장착공간을 가지며, 차량내의 일정 장소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접하는 철회위치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시청위치간을 회동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A/V시스템이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패널만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A/V장치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누구라도 간편하게 A/V장치를 장착 및 탈착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A/V전문샵에 의뢰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A/V시스템의 장착후 케이블 등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미관을 손상이 방지하며, 오히려 차량 내부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A/V SYSTEM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용 A/V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A/V장치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 및 탈착이 간편하며, 차량 내부의 미관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A/V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이 발달하고, 여기에 좀 더 편안하고 쾌적한 상태에서 운행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부합되면서, 자동차 자체의 성능뿐만 아니라, 내부 사양이 고급화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고급화의 일원으로서 각종 A/V장치가 자동차에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A/V장치로는, 초창기부터 탑재되던 방송국에서 송신되는 각종 정보나 음악 등을 청취하기 위한 라디오 및,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을 위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와, 이제는 많이 보급화된 CD의 재생을 위한 CD플레이어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인터넷 등에서 다운받은 MP3파일 타입의 음악을 재생시킬수 있는 MP3 플레이어를 차량에 설치함으로써, 700MB의 CD타이틀 1장에 약 150곡에서 200여곡의 음악을 저장하여 컴퓨터 등에서 듣던 음악을 자동차에서도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영상을 즐기기 위해 TV의 시청을 위한 TV세트, 레이저 디스크 등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LD플레이어, 고화질의 영상과 돌비서라운드 입체 음향으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DVD 타이틀을 재생할 수 있는 DVD플레이어, 차량의 위치와 목표 위치간의 길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설치하는 차량도 증가되고 있다.
여기서, DVD는 Digital Video Disk, 혹은 Digital Versatile Disk의 약자로서 1996년에 비디오용 전용 매체로 개발되었다가 후에 데이터 저장 능력을 인정받아 공식적으로 명칭이 인정된 매체이다. DVD는 디지털기록이 가능한 모든 데이터인 컴퓨터 데이터와 오디오뿐만 아니라 영상 데이터까지도 저장이 가능하며, 크기는 일반 컴팩트 디스크(CD)와 동일하지만 기억용량에 있어서는 컴팩트 디스크보다 매우 크다.
따라서, 이러한 대용량성이 큰 장점이 되어 음악과 영화 등의 홈 엔터테인먼트(Home entertainment)와 컴퓨터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차량에 장착되는 A/V시스템 중 하나인 카시어터 시스템으로서 차량에 장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카시어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 DVD 플레이어 및 앰프로 구성되며, 차량내의 장착위치에 따라, 자동차의 대시보드(dashboard) 상에 설치하는 거치형과, 기존의 오디오시스템을 제거하고 설치하는 인대시형과, 천정에 부착하는 천정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형은 대시보드 상에 설치되므로 연결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으나 인대시형에 비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반면, 인대시형은 미관상 보기는 좋으나 값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거치형이나 인대시형 모두 액정 모니터가 대시보드에 설치되므로 착석자의 전방 시야각 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앞좌석에서는 잘 보이나 뒷좌석에서는 가려져서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천장형은 전체적으로 시야가 확보되어 잘 보이나 수동방식이므로 그때그때 잘 보이는 각도로 일일이 조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런데, 이렇게 차량 내부에 별도의 카시어터 시스템을 설치함에 따라, 대시보드 등 차량 내부를 훼손할 수 있으며, 인대시형 이외의 경우에는 각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차량 내부가 어수선해지고 미관이 감소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카시어터 시스템의 설치시, 디스플레이 패널, DVD 플레이어 및 앰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케이블이 사용되며, 디스플레이 패널과 DVD를 연결하는 영상케이블에는 컴포지트단자, S단자, 컴포넌트단자 등이 있고, DVD플레이어와 리시버를 연결하는 단자는 일반적으로 디지털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서, 카시어터를 설치하려면 많은 배선작업 및 설치작업이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제품 하나를 추가하고자 할 때에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별도의 설치비용을 지불해가며 A/V전문샵에 장착을 의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에 카시어터 시스템을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운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카시어터 시스템을 차량에서 즐기려는 사람들이 더욱 늘어나고 있으므로, 카시어터 시스템의 장착시나 새로운 제품의 추가시 보다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설치가 가능한 차량용 A/V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착 후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A/V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A/V시스템을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A/V시스템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차량용 A/V시스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전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DVD 플레이어를 장착한 상태의 A/V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A/V시스템 10 : 디스플레이 패널
13 : 조작버튼 20 : 하우징
23 : 커버(23) 27 : 통기공
28 : 패널축 31 : 하우징 고정용 부시
33 : A/V고정용 부시 40 : 단자함(40)
50 : DVD 플레이어 51 : 브래킷(51)
55 : 표시패널 56 : 독출부
57 : A/V제어부 58 : 신호처리부
59 : 증폭부 60 : 스피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A/V장치의 탑재를 위한 장착공간을 가지며, 차량내의 일정 장소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접하는 철회위치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시청위치간을 회동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V장치는, DV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DVD플레이어, 위성과의 송수신을 통해 길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C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CD플레이어, TV시청을 위한 셋톱박스, 인터넷과의 연결을 위한 무선랜장치,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A/V장치의 일측부에는 상기 A/V장치를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이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V장치는, DV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DVD 플레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VD 플레이어는, DVD 타이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재생 및 저장하는 독출부와, 입력된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독출부를 통해 기록매체에 저장된음향 데이터나 영상용 데이터를 인출하여 재생하는 A/V제어부와, 상기 A/V 제어부의 작동상태와 DVD의 재생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A/V 제어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나 영상용 데이터의 압축을 풀고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멀티채널의 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는 상기 A/V장치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에는 상기 개구의 개폐를 위한 판상의 커버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에는 상기 하우징의 판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판면에서 개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리브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리브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경사진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개구의 연부에 걸림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을 차량 내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나사가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판면으로부터 기립된 복수의 하우징 고정용 부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A/V장치의 장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판면으로부터 기립된 복수의 A/V고정용 부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내에는 상기 A/V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장착을 위한 단자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하단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패널축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상기 패널축과 동일 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동시키는 축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축에는 상기 축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회동축에 의해 상기 축에 의한 회동방향에 직각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DV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DVD플레이어, 위성과의 송수신을 통해 길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C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CD플레이어, TV시청을 위한 셋톱박스, 인터넷과의 연결을 위한 무선랜장치,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A/V장치와; 상기 A/V장치의 탑재를 위한 장착공간을 가지며, 차량내의 일정 장소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접하는 철회위치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시청위치간을 회동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DV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DVD플레이어와; 상기 DVD플레이어의 탑재를 위한 장착공간을 가지며, 차량내의 일정 장소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접하는 철회위치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시청위치간을 회동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할 실시예에서는 본 차량용 A/V시스템(Audio-Visual System)을 천정에 장착되는 천정형으로 제작한 경우를 예로 들어 그 구성을 설명하나, 천정형 제품을 뒤집어서 장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반전시키는 간단한 변형만으로 A/V시스템을 대시보드에 장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차량용 A/V시스템은 천정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대시보드에 장착될 수도 있고, 소정의 변형을 가해 다른 위치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A/V시스템을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A/V시스템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차량용 A/V시스템은, A/V장치의 탑재를 위한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일측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상측이 개방된 사각통상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A/V장치를 장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높이와 크기로 제작된다. 하우징(20)의 일측벽에는 하우징(20)내에 장착된 A/V장치의 노출을 위해 개방된 개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21)의 크기는 A/V장치의 장착시 A/V장치에 기록매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21)는 하우징(20)의 판면으로부터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리브(22)의 내측 단부 영역에 형성되며, 개구(21)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 리브(22)는 개구(21)에접근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비스듬한 경사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A/V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개구(21)에는 커버(23)가 장착되어 하우징(20) 내부를 차단하며, 커버(23)는 개구(21)보다 소정 크게 형성되어 커버(23)의 장착시 하우징(20)과 동일 판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커버(23)의 양측 단부에는 개구(21)의 리브(22)에 형상맞춤되어 후방으로 비스듬히 돌출한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편의 단부에는 개구(21) 연부에 걸림결합되는 후크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20)은 후방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패널축(28)이 하우징(20)의 가로방향을 따라 양측에 하향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패널축(28)의 중앙영역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축(11)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패널축(28)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축(11)의 결합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철회위치와, 도 3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으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20)과 90°이상의 각을 형성하는 시청위치간을 회동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축(11)에는, 축(11)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연결하는 도시않은 별도의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내에서 보는 사람의 각도나 빛의 각도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상하 좌우로 틸팅하여 보다 선명한 화면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감상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0)의 측부를 따라 안내레일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양단부에 안내레일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안내돌기를 마련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하우징(2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구미에 맞게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보다 가까이 또는 멀리서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의 전방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하우징(20)에 평행한 철회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모서리가 하우징(2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각종 조작버튼이 형성된 하우징조작부(2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0)의 바닥면에는 하우징(20) 내에 장착되는 A/V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통기공(2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20)은 일반 플라스틱 수지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사출성형시 하우징(20)의 강도를 보강하고 우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리브가 바닥면과 측벽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21)가 형성된 전방 영역을 제외한 측벽에 인접한 영역에는 하우징(20)을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의 장착을 위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하우징 고정용 부시(31)가 기립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 고정용 부시(31)의 중앙영역에는 하우징(2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 내에 장착되는 A/V장치의 고정을 위해, 하우징 고정용 부시(31)와 소정 이격된 하우징(20)의 내측영역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하우징(20)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A/V고정용 부시(31)가 기립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A/V고정용 부시(31)에 고정되기 위해, A/V장치의 양측부에는 'ㄱ'자 형상의 브래킷(51)이 장착되며, 브래킷(51)에는 A/V고정용 부시(31)에 결합되는 나사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관통공(5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20)의 하부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TFT-LCD로 제작되며,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은 7인치 내외이나 차량의 크기나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방면에는 그 상부 또는 하부에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조절하거나 하우징(20)내에 장착된 A/V장치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조작버튼이 마련된 패널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조작버튼의 조작을 통해 재생할 음향 데이터 리스트나 영상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0)내에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인접한 일측,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하우징(20)내에 장착된 A/V장치와 디스플레이 패널(10)간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단자함(40)이 장착되어 있다. 단자함(40)은 케이블 또는 온보드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하우징조작부(25)와 신호의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하우징(20) 전방을 향한 일측면에 하우징(20)내에 장착될 각종 A/V장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0)과 A/V장치를 케이블로 연결하지 아니하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단자함(40)이 필요치 아니하며, 그 대신 디스플레이 패널(10)과 A/V장치에 각각 무선수신부와 무선송신부를 마련하게 된다. 그러면, A/V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음향데이터를 무선송신부에서 RF신호로 송신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무선수신부에서 RF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신호 중 영상데이터는 복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디스플레이되고, 음향데이터는 튜너의 FM주파수로 출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차량용 A/V시스템의 하우징(20)내에 장착되는 A/V장치로는, 오디오와 영상을 재생하는 여타의 A/V장치를 모두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재생 혹은 기록을 위한 DVD플레이어, 위성과의 송수신을 통해 길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비디오 CD(Compact Disc) 재생 혹은 기록을 위한 CD플레이어, TV시청을 위한 셋톱박스, 인터넷과의 연결을 위한 무선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등의 A/V장치는 일반적으로 대시보드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장착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장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A/V시스템을 카시어터로 사용할 경우, A/V장치 중 DVD 플레이어가 장착되며, DVD 플레이어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DVD 플레이어(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부(56), 표시패널(55), 신호처리부(58), 증폭부(59), 스피커(60), A/V제어부(57)를 포함한다.
독출부(56)는, DVD 타이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재생 및 저장하며, 이 때,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레이저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CD 타이틀도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 및 저장하고 있으나, CD 타이틀의 재생에 사용되는 레이저의 파장과 DVD의 재생에 사용되는 레이저의 파장이 다르다. 이는 CD와 DVD의 트랙 피치가 상이하기 때문으로, 일반적으로 CD는 780nm의 적외선을 사용하지만DVD는 635nm 파장의 붉은 빛 가시광선을 이용한다.
A/V 제어부(57)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패널조작부(13) 또는 하우징(20)의 하우징조작부(25)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A/V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독출부(56)를 통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입력된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음향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를 인출하여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처리부(58)는 A/V 제어부(57)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의 압축을 풀고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킨다. 이러한 신호처리부(58)에는 다양한 파일 타입의 음향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와, 멀티채널로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음향신호를 주파수별로 분리하여 각 채널로 출력하는 프리앰프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처리부(58)에서 처리된 음향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중, 음향 데이터는 증폭부(59)로 제공되며,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패널(1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증폭부(59)는, 신호처리부(58)를 통하여 출력되는 멀티채널의 음향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부(59)에서 증폭된 음향신호는 다수개의 스피커(60)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A/V장치의 전방에는, A/V 제어부(57)의 작동상태와, DVD 타이틀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 리스트나 영상용 데이터의 트랙에 대한 정보 등 DVD의 재생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55)이 마련되어 있으며, 표시패널(55)은 A/V장치가 하우징(20)에 장착되면, 하우징(20)의 개구(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DVD 플레이어(50)를 차량용 A/V시스템에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다음과 같다.
먼저, DVD 플레이어(50)의 측부에 브래킷(51)을 부착하며, 이 때, 브래킷(51)은 DVD 플레이어(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브래킷(51)이 부착된 DVD 플레이어(50)를 하우징(20)내에 안착시키며, 이 때, DVD 플레이어(50)의 표시패널(55)이 하우징(20)의 개구(21)를 통해 노출되도록 표시패널(55)의 위치를 하우징(20)의 개구(21)에 맞춘다. 그런 다음, 브래킷(51)의 관통공(53)과 하우징(20)에 형성된 A/V고정용 부시(31)를 관통하여 나사를 체결하여 하우징(20)내에 DVD 플레이어(50)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DVD 플레이어(50)와 단자함(40)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만약 DVD 플레이어(50)와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각각 무선송수신부를 마련한 경우에는 각 무선송수신부의 채널만을 맞추면 된다. 이렇게 DVD 플레이어(50)의 장착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시청위치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하우징(20)을 천정이나 대시보드에 대고 나사가 하우징 고정용 부시(31)를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하우징(20)이 천정이나 대시보드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A/V시스템의 장착이 완료되면, 일반적인 카시어터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이나 하우징조작부(25)를 이용하여 DVD 플레이어(50)를 제어하여 음향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감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차량용 A/V시스템은, A/V장치를 A/V시스템내에 일체로 제작하지 아니하고, 하우징(20)과 디스플레이 패널(1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A/V장치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A/V장치의 장착시, 단지 A/V장치를 안착시켜 나사조립하고, 하우징(20)내에 장착된 단자함(40)을 이용하여 A/V장치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누구라도 간편하게 A/V장치를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복잡한 작업과정으로 인해 A/V전문샵에 의뢰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A/V장치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하우징(20)내에서 결합되어 하우징(20)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A/V시스템의 장착후에도 차량 내부의 미관을 손상하는 일이 발생하지 아니하며, 오히려 A/V시스템의 장착으로 차량 내부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다.
한편, 본 차량용 A/V시스템은, DVD 플레이어(50)에 무선송신부를 마련할 경우, 별도의 스피커(60)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TV 주파수(61.25MHz 내지 61.75 MHz)와 FM주파수(88.3MHz/106.0MHz)를 이용하여 DVD 플레이어(50)의 음향을 카오디오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내에 DVD 플레이어(50)를 장착시킬 때, 하우징(20)을 천정이나 대시보드에 장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장착작업을 실시하였으나, 하우징(20)의 개구(21)를 충분히 크게 형성하고, A/V장치를 개구(21)를 통해 하우징(20)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A/V장치를 장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하우징(20)내에는, A/V장치의 슬라이딩을 위한 가이드와, A/V장치가 과도히 하우징(20)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A/V장치의 후단부가 위치하는 영역에이동제한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A/V장치 중 DVD 플레이어(50) 하나만을 장착시킨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A/V장치를 함께 장착시킬 수도 있고, A/V장치 중 공간을 별로 차지하지 않는 라디오나 TV의 수신을 위한 수신안테나를 장착시켜 기존의 대시보드에 장착된 차량용 오디오의 기능을 대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A/V시스템이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패널만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A/V장치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누구라도 간편하게 A/V장치를 장착 및 탈착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A/V전문샵에 의뢰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A/V시스템의 장착후 케이블 등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미관을 손상이 방지하며, 오히려 차량 내부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24)

  1. A/V장치의 탑재를 위한 장착공간을 가지며, 차량내의 일정 장소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접하는 철회위치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시청위치간을 회동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V장치는,
    DV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DVD플레이어, 위성과의 송수신을 통해 길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C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CD플레이어, TV시청을 위한 셋톱박스, 인터넷과의 연결을 위한 무선랜장치,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V장치의 일측부에는 상기 A/V장치를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V장치는, DV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DVD 플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VD 플레이어는,
    DVD 타이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재생 및 저장하는 독출부와,
    입력된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독출부를 통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나 영상용 데이터를 인출하여 재생하는 A/V제어부와,
    상기 A/V 제어부의 작동상태와 DVD의 재생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A/V 제어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나 영상용 데이터의 압축을 풀고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멀티채널의 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는 상기 A/V장치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에는 상기 개구의 개폐를 위한 판상의 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는 상기 하우징의 판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판면에서 개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리브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경사진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개구의 연부에 걸림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을 차량 내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나사가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판면으로부터 기립된 복수의 하우징 고정용 부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A/V장치의 장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판면으로부터 기립된 복수의 A/V고정용 부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상기 A/V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장착을 위한 단자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단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패널축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상기 패널축과 동일 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동시키는 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축에는 상기 축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회동축에 의해 상기 축에 의한 회동방향에 직각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14. DV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DVD플레이어, 위성과의 송수신을 통해 길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C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CD플레이어, TV시청을 위한 셋톱박스, 인터넷과의 연결을 위한 무선랜장치,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A/V장치와;
    상기 A/V장치의 탑재를 위한 장착공간을 가지며, 차량내의 일정 장소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접하는 철회위치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시청위치간을 회동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15. DVD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한 DVD플레이어와;
    상기 DVD플레이어의 탑재를 위한 장착공간을 가지며, 차량내의 일정 장소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접하는 철회위치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시청위치간을 회동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DVD 플레이어는,
    DVD 타이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재생 및 저장하는 독출부와,
    입력된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독출부를 통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나 영상용 데이터를 인출하여 재생하는 A/V제어부와,
    상기 A/V 제어부의 작동상태와 DVD의 재생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A/V 제어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나 영상용 데이터의 압축을 풀고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멀티채널의 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는 상기 A/V장치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에는 상기 개구의 개폐를 위한 판상의 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는 상기 하우징의 판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판면에서 개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리브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경사진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개구의 연부에 걸림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을 차량 내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나사가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판면으로부터 기립된복수의 하우징 고정용 부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A/V장치의 장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판면으로부터 기립된 복수의 A/V고정용 부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상기 A/V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장착을 위한 단자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단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패널축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상기 패널축과 동일 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동시키는 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축에는 상기 축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회동축에 의해 상기 축에 의한 회동방향에 직각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
KR20-2004-0027653U 2004-09-24 2004-09-24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KR200370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653U KR200370309Y1 (ko) 2004-09-24 2004-09-24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653U KR200370309Y1 (ko) 2004-09-24 2004-09-24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386A Division KR20060028289A (ko) 2004-09-24 2004-09-24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309Y1 true KR200370309Y1 (ko) 2004-12-10

Family

ID=4935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653U KR200370309Y1 (ko) 2004-09-24 2004-09-24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3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252B1 (ko) 2008-11-14 2010-06-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252B1 (ko) 2008-11-14 2010-06-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55068A1 (en) Multi-media player
US7699229B2 (en) Laptop based television remote control
US6952576B2 (en) Entertainment device having a content library and adaptive content selection
US20030206711A1 (en) Dual deck multimedia device
US20080089548A1 (en) All-in-one home theater system
US20080266067A1 (en) In-vehicle audio/visual apparatus
US7757258B2 (en)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and operation of simultaneous transmissions of at least two media
US20070055396A1 (en) Portable media player
US20110055876A1 (en) Universal Entertainment Unification System
US20130273832A1 (en) Portable Automobile Stereo and Radio Recorder
KR200370309Y1 (ko)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US6570495B1 (en) Voice confi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KR20060028289A (ko)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JP4497540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20090170375A1 (en) Connector apparatus for video and audio signal transfer among multiple devic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KR100595536B1 (ko)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US20060184699A1 (en) Expansion apparatus for a vehicle display device
WO2001096983A2 (en) Dual deck multimedia device
JP3782488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6249642B1 (en) Extended play radio vision cassette record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1585376A1 (en) Combination system including two recording/reproducing units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202103751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Telecommunication Networks to Control Media and Entertainment Devices
KR200305474Y1 (ko) 무선 디브이디플레이어
KR100256536B1 (ko) 자동차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KR20060086043A (ko) 탈부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차량용a/v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