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256Y1 - 자동차용 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256Y1
KR200370256Y1 KR20-2004-0027120U KR20040027120U KR200370256Y1 KR 200370256 Y1 KR200370256 Y1 KR 200370256Y1 KR 20040027120 U KR20040027120 U KR 20040027120U KR 200370256 Y1 KR200370256 Y1 KR 200370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ttachment plate
sides
worm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김종찬
Original Assignee
김종호
김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김종찬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20-2004-0027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미러에 관한 것으로, 미러 부착판의 전·후면에 빛의 반사량이 각기 다른 미러를 설치하여 주야간 및 날씨에 따라 미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이 대폭 향상된 자동차용 미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회전 가능토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웜휠의 중심으로부터 전후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나사로 구성되는 미러 부착판과; 상기 전후 양측으로 형성된 회전나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회전나사를 따라 동시에 이동되어 미러 부착판의 전후 양측에 부착된 양측 미러의 배면 하단과 측단을 밀거나 당겨 양측 미러의 상하 좌우의 각도를 조절하는 밀대와; 상기 미러 케이스의 수용공간의 끼움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스프링이 탄지된 상태로 미러 부착판의 일측 회전축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축과; 상기 미러 부착판의 전후 양측으로 부착되어 운전자가 반사된 물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러와; 상기 미러 부착판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과 결합되어 미러 부착판이 일정 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미러{Mirror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미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용 미러의 전·후면에 빛의 반사량이 각기 다른 미러를 설치하여 주야간 및 날씨에 따라 미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이 대폭 개선된 자동차용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도중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 및 측방을 확인하기 위한 사이드 미러(side mirror)와, 후방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차 실내의 전방 상단에 설치되는 룸미러(room mirror)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미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미러 케이스(10)와; 상기 미러 케이스(10)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미러(40)의 배면 하부와 측면에 90°간격으로 설치되어 모우터(50)에 의해 작동되는 웜(32) 및 웜휠(33)로 이루어지는 웜기어(31)와, 상기 웜휠(33)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는 회전나사(22)와, 상기 회전나사(22)의 나사부를 따라 이동되어 양측 미러(40)의 배면에서 미러(40)의 하부 및 측면을 밀거나 당겨 미러(40)의 상하 좌우의 각도를 조절하는 밀대(21)로 구성되는 미러 부착판(20)과; 상기 미러 부착판(20)의 전방에 부착되어 운전자가 반사된 물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러(40)를;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이드 미러 및 백미러의 경우 야간 운행시 후방에서 조사되는 자동차의 라이트 불빛이 운전자의 시야(視野)에 들어오기 때문에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검은 색의 코팅필름을 미러에 부착하여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자동차용 미러는 스페어(spare) 미러가 없이 전방의 한 면에만 미러가 설치되기 때문에 검은 색 필름으로 미러를 코팅할 경우 야간에는 빛의 양을 줄여 운전자의 시야를 편안하게 하는 효과를 줄 수 있으나, 주간이나 우천시에는 검은 색 코팅 필름의 농도만큼 운전자의 시야가 어두워져 운전자의 판단력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한 면에만 미러가 설치되는데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삼각기둥 모양의 회전체에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거울을 설치하여 차량의 주행속도에 맞추어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차속에 따라 그에 적합한 곡률 반경을 갖는 거울이 세팅되도록 하여 운행에 따른 운행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도록 한 자동회전식 차량용 사이드 미러가 출원되어 등록된바 있다.(등록번호 제20-0322009호 참조)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측면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미러하우징(10); 세면을 갖는 삼각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져 상기 미러하우징의 개구부(11)를 통하여 어느 일 면이 노출되도록, 피봇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세면 중 제1면에는 소볼록거울(22), 제2면에는 대볼록거울(23), 제3면에는 평면거울(24)이 각각 설치된 회전체(20); 상기 미러하우징(10)의 상부나 하부에 상기 피봇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힌지축(3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미러(30); 상기 회전체(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40)와, 상기 보조거울(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50); 차속센서(61a), 조향각센서(61b) 및 방향지시등 스위치(61c)가 포함된 센서부(61)로부터 차량의 주행상태를 입력받아 상기 제1모터(5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이드 미러는 삼면의 거울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거울이 삼각기둥 모양의 회전체에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있어 거울 자체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측면 및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거울의 각도를 상하 좌우로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와 같은 사이드 미러는 구조적으로 거울 자체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 운전자의 시야 확보면에서 대단히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한 미러 부착판의 전·후면에 각기 다른 기능의 미러를 부착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야간 및 날씨에 따라 각기 다른 빛의 반사량을 가지는 미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미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 후면 양측으로 설치되는 미러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미러 부착판의 전·후면에 밀대를 이중으로 설치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가장 용이한 위치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미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2는 종래의 자동차용 미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부착판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자동차용 미러 10:미러 케이스 11:수용공간
20:미러 부착판 21:밀대 22:회전나사
24:결합축 25:스프링 26:회전축
30:동력전달장치 31:웜기어 32:웜
33:웜휠 34:동력전달 와이어 40:미러
50:모우터 60:래칫기어 70:핸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미러 케이스와; 상기 미러 케이스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미러의 배면 하부와 측면에 90°간격으로 설치되어 모우터에 의해 작동되는 웜 및 웜휠로 이루어지는 웜기어와, 상기 웜휠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는 회전나사와, 상기 회전나사의 나사부를 따라 이동되어 양측 미러의 배면에서 미러의 하부 및 측면을 밀거나 당겨 미러의 상하 좌우의 각도를 조절하는 밀대로 구성되는 미러 부착판과; 상기 미러 부착판의 전방에 부착되어 운전자가 반사된 물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자동차용 미러에 있어서,
회전 가능토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웜휠의 중심으로부터 전후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나사로 구성되는 미러 부착판과; 상기 전후 양측으로 형성된 회전나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회전나사를 따라 동시에 이동되어 미러 부착판의 전후 양측에 부착된 양측 미러의 배면 하단과 측단을 밀거나 당겨 양측 미러의 상하좌우의 각도를 조절하는 밀대와; 상기 미러 케이스의 수용공간의 끼움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스프링이 탄지된 상태로 미러 부착판의 일측 회전축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축과; 상기 미러 부착판의 전후 양측으로 부착되어 운전자가 반사된 물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러와; 상기 미러 부착판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과 결합되어 미러 부착판이 일정 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미러 부착판의 전 후면 중 일측면에는, 진하게 코팅된 미러가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코팅되지 않은 미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동력전달장치는,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웜 및 웜휠로 이루어지는 웜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동력전달장치는,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웜기어와, 미러 부착판의 일측 회전축과 연결되는 웜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웜기어와 일측 회전축과 연결되는 웜기어 사이에는 동력전달 와이어가 연결되어 미러 부착판이 회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동력전달장치는, 미러 부착판의 일측 회전축과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래칫기어와, 상기 래칫기어와 연결되는 핸들로 구성되어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의해 미러 부착판이 회전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부착판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미러(1)는, 내측으로 수용공간(11)이 형성된 미러 케이스(10)와; 상기 미러 케이스(10)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미러(40)의 배면 하부와 측면에 90°간격으로 설치되어 모우터(50)에 의해 작동되는 웜(32)및 웜휠(33)로 이루어지는 웜기어(31)와, 상기 웜휠(33)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는 회전나사(22)와, 상기 회전나사(22)의 나사부를 따라 이동되어 양측 미러(40)의 배면에서 미러(40)의 하부 및 측면을 밀거나 당겨 미러(40)의 상하 좌우의 각도를 조절하는 밀대(21)로 구성되는 미러 부착판(20)과; 상기 미러 부착판(20)의 전방에 부착되어 운전자가 반사된 물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자동차용 미러에 있어서, 미러 케이스(10) 내에서 회동되는 부착판(20)과, 상기 미러 부착판(20)의 전후 양측으로 부착되어 운전자가 반사된 물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러(40)와, 상기 미러 부착판(20)을 180°로 회동시키는 동력전달장치(3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러 부착판(20)은 미러 케이스(10) 내에 수용되어 전·후면에 설치된 미러(40)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있도록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미러 부착판(20)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26)과 모우터(50)에 의해 작동되는 웜기어(31)의 웜휠(33)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나사(22)로 구성된다.
상기 미러 부착판(2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26) 중 일측 회전축(26)은 미러 부착판(20)이 회동될 수 있도록 동력전달장치(30)와 결합되며, 타측 회전축(26)은 미러 케이스(10)의 수용공간(11)의 끼움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축(24)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축(24)은 내부에 스프링(25)이 탄지된 상태로 회전축(26)과 결합되기 때문에 견고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미러 케이스(10)의 수용공간(11)에 형성된 끼움홈에 결합시에는 결합축(24)의 상부를 눌러 길이를 작게 한 상태로 결합하면 쉽게 결합되나, 일단 끼움홈에 결합되고 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25)의 길이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결합축(24)을 밀기 때문에 미러 케이스(10)의 수용공간(11)에 형성된 끼움홈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견고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나사(22)는 종래의 미러 부착판(20)과 같이 하부와 측면에 90°간격으로 설치되는 웜휠(33)의 중심에 설치되는 것은 동일하나, 본 고안에서는 미러 부착판(20)의 전후 양측으로 미러(40)가 설치되기 때문에 양측 미러(40)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해야 하기 위해 전방뿐만 아니라 후방에도 동일한 회전나사(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나사(22)에는 밀대(21)가 결합되는데 상기 밀대(21)는 회전나사(22)의 나사부를 따라 전 후진을 하면서 미러 부착판(20)의 양측으로 설치된 양측 미러(40)의 배면 하단과 측단을 밀거나 당겨 양측 미러(40)의 각도를 동시에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러(40)는 미러 부착판(20)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미러 부착판(20)의 전후면 중 일측면에 설치되는 미러(40)는 진하게 코팅된 미러(40)가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코팅되지 않은 미러(4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간이나 야간 또는 날씨에 따라 사용자가 빛의 반사량을 달리하는 미러(4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코팅되지 않은 동일한 미러(40)를 미러 부착판(20)의 전후에 설치하여 만약 전면에 설치된 미러(40)가 파손될 경우 후면에 설치된 미러(40)를 스페어(spare) 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전달장치(30)는, 미러 부착판(20)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축(26) 즉, 결합축(24)이 결합되는 회전축(26)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축(26)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모우터(50)에 의해 구동되는 웜기어(31)로 구성되며 상기 웜기어(31)는 웜(32)과 웜휠(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웜기어(31)의 결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웜(32)은 모우터(32)의 축에 결합되며 웜(32)은 웜휠(33)과 맞물림 되고 상기 윔휠(33)은 미러 부착판(2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26)과 연결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미러(1)는 사이드 미러는 물론 룸미러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모우터(50)에 의해 구동되는 웜기어(31)와, 미러 부착판(20)의 일측 회전축(26)과 연결되는 웜기어(31) 사이를 동력전달 와이어(34)로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장치(30)이다.
따라서 모우터(50)가 작동되면 이와 연결된 웜기어(31)가 회전되고 이 회전력은 동력전달 와이어(34)에 전달되어 미러 부착판(20)의 회전축(26)과 연결된 웜기어(31)를 회전시킴으로써, 미러 부착판(20)이 회동되어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미러(40)를 주야간 또는 날씨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 와이어(34)는, 예초기에 사용되는 동력전달 와이어와 동일한 원리이며, 이와 같은 동력전달장치(30)는 주로 화물차나 대형트럭 등의 사이드 미러에 적용된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로서, 미러 부착판(20)의 일측면에 형성된 회전축(26)과 연결되는 래칫기어(60)와, 상기 래칫기어(60)와 연결 설치되는 핸들(70)로 동력전달장치(30)를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핸들(70)을 회전시키면 미러 부착판(2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미러(40)를 주야간 또는 날씨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장치(30)의 구성은 주로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룸미러에 적용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용 미러(1)는 미러 부착판(20)에 전후 양측으로 각기 다른 기능을 같은 미러(40)를 부착하여 운자자가 필요에 따라 미러(4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전 후면 양측으로 설치되는 미러(40)의 각도 또한 동시에 조절하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용 미러(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하면서 차량의 후방 및 측방을 확인하기 위한 사이드 미러(side mirror)와, 후방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차 실내의 전방 상단에 설치되는 룸미러(room mirror)에 모두 적용가능 하다.
우선 주간에는 주행하는 차량에서 라이트를 켜고 주행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코팅되지 않은 미러(40)를 보면서 주행해도 운전에 지장을 받지 않으나, 야간에는 주행하는 차량에서 라이트를 켠 상태로 주행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코팅되지않은 미러(40)를 보면서 주행할 경우 미러(40)에 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의 시각을 자극하기 때문에 운전에 지장을 주게 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미러(1)는 야간 운행시 미러 부착판(20)을 180°로 회전시켜 코팅되지 않은 미러(40)를 코팅된 미러(40)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것으로서, 미러(40)의 교체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웜기어(31)와 연결된 모우터(50)를 작동시키면 모우터(50)의 회전력이 웜기어(31)에 전달되고, 웜기어(31)는 미러 부착판(20)을 180°로 회전시켜 전방에 부착된 코팅되지 않은 미러(40)를 미러 케이스(10)의 수용공간(11) 후방에 위치시키고 코팅된 미러(40)는 전방에 위치되게 한다.
이처럼 불빛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코팅된 미러(40)로 교체한 후 코팅된 미러(40)를 보면서 운전자가 주행하면 미러(40)에 반사되는 불빛의 반사량이 적어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므로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러 부착판(20)의 일측면에는 스프링(25)이 탄지된 결합축(24)이 미러 케이스(10)에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미러(40)의 파손시 결합축(24)을 눌러 미러 케이스(10) 내부에서 미러 부착판(20) 전체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부착판(20)의 전후 양측으로 부착된 미러(40)의 상하 좌우의 각도 조절과정은 설명하기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미러(1)는 종래와 같이 미러(40)가 미러 부착판(20)의 전면에 하나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미러 부착판(20)의 전 후면의 양측으로 설치되므로 미러(40)의 상하 좌우 각도 조절을 위해 밀대(21)와 상기 밀대(21)를 작동시키는 회전나사(22)가 전 후면 양측으로 이중 설치된다.
따라서 모우터(50)에 전원 들어오면 모우터(50) 축에 결합된 웜(32)이 회전되고 웜(32)은 웜휠(33)과 맞물림 되어 있어 웜(32)과 웜휠(33)이 동시에 회전되고 이때 웜휠(33) 중앙의 전후 양측으로 형성된 회전나사(22) 또한 회전하게 되므로 밀대(21)가 상기 회전나사(22)를 따라 전후로 작동되면서 미러(40)의 상하 좌우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즉, 밀대(21)가 회전나사(22)의 나사부를 따라 미러(40)의 배면에서 전 후진 작동을 하므로 미러(40)의 배면 하단과 측단를 밀거나 당겨 운전자의 시야 확보하기 가장 용이한 위치에 미러(40)가 놓일 수 있도록 각도 조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밀대(21)가 미러 부착판(20)의 전 후면 양측으로 동시에 설치되기 때문에 미러 부착판(20)의 전 후면 양측으로 설치된 미러(40)는 항상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또한 미러(40)와 밀대(21)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밀대(21) 선단의 원형 부분이 미러(40) 배면에 밀착된 평판의 구형 결합부에 끼움되어 미러(40)의 각도 조절시에는 관절과 같이 작동되다가 미러(40) 부분만 교체가 필요할 경우 원형 결합에서 밀대(21) 선단의 원형 부분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미러(1)는 사이드 미러용으로도 적용가능 할뿐만 아니라 룸미러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모우터(50)에 연결되는 웜기어(31)와 회전축(26)에 연결되는 웜기어(31) 사이를 동력전달 와이어(34) 에 의해 연결되도록 동력전달장치(30)를 구성함으로써, 화물차나 대형트럭의 사이드 미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자동자와 연결되는 미러 케이스(10)의 연결부가 비교적 긴 경우에 적용되는 구조인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로서, 미러 부착판(20)의 일측 회전축(26)과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래칫기어(60)와, 상기 래칫기어(60)와 연결되는 핸들(70)로 동력전달장치(30)를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핸들(70)을 회전시켜 원하는 미러(40)가 운전자의 정면을 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룸미러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미러 부착판의 전·후면에 미러를 이중으로 부착하여 주야간 및 날씨에 따라 운전자가 미러를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일측면의 미러가 파손되더라도 타측면의 미러가 스페어(spare) 역할을 함으로 운전자가 운전에 지장을 받지 않고 계속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 자동차 운행시 미러에 성애가 발생할 경우 성애를 제거할 필요 없이 성애가 없는 타측면의 미러를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다양한 색채로 코팅된 미러나 기능성 미러 등을 미러 부착판의 전·후면에 부착하여 운행중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번갈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내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미러 케이스와; 상기 미러 케이스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미러의 배면 하부와 측면에 90°간격으로 설치되어 모우터에 의해 작동되는 웜 및 웜휠로 이루어지는 웜기어와, 상기 웜휠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는 회전나사와, 상기 회전나사의 나사부를 따라 이동되어 양측 미러의 배면에서 미러의 하부 및 측면을 밀거나 당겨 미러의 상하 좌우의 각도를 조절하는 밀대로 구성되는 미러 부착판과; 상기 미러 부착판의 전방에 부착되어 운전자가 반사된 물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자동차용 미러에 있어서,
    회전 가능토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웜휠의 중심으로부터 전후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나사로 구성되는 미러 부착판과;
    상기 전후 양측으로 형성된 회전나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회전나사를 따라 동시에 이동되어 미러 부착판의 전후 양측에 부착된 양측 미러의 배면 하단과 측단을 밀거나 당겨 양측 미러의 상하 좌우의 각도를 조절하는 밀대와;
    상기 미러 케이스의 수용공간의 끼움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스프링이 탄지된 상태로 미러 부착판의 일측 회전축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축과;
    상기 미러 부착판의 전후 양측으로 부착되어 운전자가 반사된 물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러와;
    상기 미러 부착판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과 결합되어 미러 부착판이 일정 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부착판의 전 후면 중 일측면에는, 진하게 코팅된 미러가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코팅되지 않은 미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웜 및 웜휠로 이루어지는 웜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웜기어와, 미러 부착판의 일측 회전축과 연결되는 웜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웜기어와 일측 회전축과 연결되는 웜기어 사이에는 동력전달 와이어가 연결되어 미러 부착판이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미러 부착판의 일측 회전축과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래칫기어와, 상기 래칫기어와 연결되는 핸들로 구성되어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의해 미러 부착판이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러.
KR20-2004-0027120U 2004-09-21 2004-09-21 자동차용 미러 KR200370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120U KR200370256Y1 (ko) 2004-09-21 2004-09-21 자동차용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120U KR200370256Y1 (ko) 2004-09-21 2004-09-21 자동차용 미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665 Division 2004-09-21 2004-09-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256Y1 true KR200370256Y1 (ko) 2004-12-13

Family

ID=4944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120U KR200370256Y1 (ko) 2004-09-21 2004-09-21 자동차용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2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8232B2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extendable and retractable mirror head
US11623568B2 (en)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20070047115A1 (en) Flip-up convex mirror attachment
US9242606B2 (en) Exterior mirror assembly with actuator
KR20010108476A (ko) 연장 가능하고 피봇 가능한 리어뷰 미러 조립체
US4466712A (en) Rear view mirror for motor-vehicles
KR100612704B1 (ko) 자동차용 미러유니트
WO2007034853A1 (ja)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EP0944496B1 (en) Mirror assembly with friction drive
US6932484B2 (en) Rear view mirror assembly
US7427141B2 (en) Mirror unit for automobile
US20080049343A1 (en) Vehicle mirror assembly with reduced mirror shaking
KR200370256Y1 (ko) 자동차용 미러
US6976761B2 (en) Exterior vehicle mirror with forward folding feature
EP1063128B1 (en) Exterior mirror for motor vehicle
US7360908B1 (en) Exterior mirror for motor vehicle
US6286967B1 (en) Outside mirror system
US4114986A (en) Reversible side mount mirror
KR100220339B1 (ko) 차량용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카메라
KR10051026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US20230009664A1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ctuator
EP0171906B1 (en) Exterior rearview mirrors for vehicles
RU16274U1 (ru) Наружное зеркало заднего вида
KR19990015529U (ko) 자동차용 룸 미러
KR0133147Y1 (ko) 전조등 스위치에 의해 야간 시야보호 기능이 작동되는 룸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