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130Y1 -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를 성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를 성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130Y1
KR200370130Y1 KR20-2004-0025881U KR20040025881U KR200370130Y1 KR 200370130 Y1 KR200370130 Y1 KR 200370130Y1 KR 20040025881 U KR20040025881 U KR 20040025881U KR 200370130 Y1 KR200370130 Y1 KR 200370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mold
label
spac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형철
Original Assignee
손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형철 filed Critical 손형철
Priority to KR20-2004-0025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1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Abstract

이 고안은 라벨삽입비누를 공장 또는 고객이 있는 현장에서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저렴한 가격으로 즉석 제조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에 따른 비누성형장치(460)는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하기 위한 예비성형체로이용되는 비누응고체(265)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장치는 내부에 액상의 비누(200)를 주입할 수 있는 성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외벽(461)의 전장에 걸쳐 개구가 형성된 주형(460)과, 상기 주형 속에 주입된 비누액이 응고되기 전에 상기 개구를 통해 비누액 속에 밀어넣을 수 있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46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를 성형하는 장치 {Apparatus for Moulding Soap with Label Insertion Groove}
이 고안은 라벨이 삽입된 비누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하는 방법과 그러한 제조과정에서 이용되는 주형 및 예비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비누에 라벨을 삽입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이용되던 것이고, 지금은 판촉용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라벨을 삽입한 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원시적인 것은 비누의 성형과정에서 라벨을 삽입하는 것이었다. 즉, 비누의 성형은 액상비누를 주형에 주입하여 응고시킨 후에 빼내는 몰딩 방식에 의한다. 원시적인 방법에서는 액상비누 속에 라벨을 배치한 후에 응고시킴으로써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런 방식은비교적 단순하고 제품의 품질도 만족스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액상의 비누를 취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누액화설비를 갖춘 대형 비누성형공장 내에서만 행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라벨삽입비누의 판로를 살펴보면, 소량의 라벨, 경우에 따라서는 스티커 사진 등과 같은 1장의 라벨이 삽입된 1개의 비누를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공장 또는 고객이 있는 현장에서 바로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었다. 그러한 현장성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개 소54-51948 (1979. 4. 10.)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비누액화설비를 갖춘 공장에서 원하는 형상 및 크기로 비누를 성형한 후에, 이를 둘로 나누고, 그 절단면에 라벨을 배치한 후에, 다시 접합함으로써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절단면에 라벨을 배치하고 분할된 비누를 다시 접합하는 과정만 행하는 후반부의 공정은 비누액화설비가 없는 현장에서 별도로 행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접합된 부분의 접합력이 약하여 보관이나 유통과정에서 다시 분리되어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출원 1996-33392호 (1996. 8. 12.)에서는 공장에서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즉, 완성품과 동일한 형상으로 하나씩 성형하여 둘로 분할하는 대신에, 길게 형성된 비누응고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라벨을 사이에 두고 두 조각을 접합하여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공장에서는 비누를 일정한 직경으로 길게 응고시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만 하면 되므로,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개 소54-51948호의 방법에 비해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접합된 부분의 접합력이 약하여 다시 분리되어버릴 우려는 여전하다. 접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후속 공정, 즉 라벨을 사이에 두고 두 조각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비누조각의 온도를 40 내지 50도로 상승시킨다고 하는데, 이렇게 가열장치를 갖춘 후속공정장치는 너무 크고 복잡하여 고객이 있는 판매현장에 배치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잘라진 비누조각의 형상이 완제품의 형상과는 판이하게 다르고, 단지 부피만 같기 때문에, 완제품의 윤곽을 갖는 형틀로 강하게 압박하여 변형시켜야 한다. 이러한 변형과정에서 비누조직 내에서의 분자결합구조가 흐트러지면서 비누의 투명도가 떨어지고 비누 속에 삽입된 라벨의 가시도가 현저히 열악해진다.
특허출원 2000-70256호 (2000. 11. 24.)에서는 후속공정에서의 가열과정이 없이도 접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비누의 성분을 변화시킴으로써, 즉 트리에탄올아민의 첨가량을 10 내지 20 중량%까지 증대시킴으로써 비누표면의 접착력을 증대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성분변화는 비누의 세척효능이나 감촉 등을 변화시키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더라도, 완제품의 윤곽을 갖는 형틀로 강하게 압박하여 비누조각의 형상을 변화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비누의 투명도가 떨어지는 문제는 여전하다.
이 고안은 라벨삽입비누를 공장 또는 고객이 있는 현장에서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저렴한 가격으로 즉석 제조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현장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장치는 완제품의윤곽을 갖는 형틀로 비누를 압박하는 기능요소만 요구되며, 가열장치 등과 같은 부가적인 수단이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간단하게 소형으로 제조되어 이동설치가 편리해야 한다.
도 1a는 이 고안에 따라 성형되는 라벨이 삽입된 비누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비누의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비누의 평면도이고,
도 2a는 이 고안에 따라 성형된 다른 예의 라벨이 삽입된 비누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비누의 사시도이고,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비누의 평면도이며,
도 3a는 이 고안에 따라 성형된 또다른 라벨이 삽입된 비누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비누의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비누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비누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간성형체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중간성형체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중간성형체의 평면도이며,
도 5a는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비누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간성형체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중간성형체의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중간성형체의 평면도이고,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중간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되는 주형의 횡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5a에 도시된 중간성형체에서 라벨삽입슬롯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페이서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도 5a에 도시된 중간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해 도 6b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도 6a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주형의 횡단면도이며,
도 6d는 도 6c에 도시된 상태의 주형의 평면도이고,
도 6e는 도 6c에 도시된 상태의 주형의 정면도이며,
도 7a는 다수의 중간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해 다수의 스페이서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주형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주형의 종단면도이며,
도 8a는 도 5a에 도시된 중간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되는 또다른 주형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측면 개구를 덮는 덮개의 내면을 도시한 입면도이며,
도 8c는 도 8b에 도시된 덮개로 측면 개구를 덮은 상태의 도 8a에 도시된 주형의 상면도이고,
도 8d는 도 8c에 도시된 주형의 종단면도이며,
도 9a는 중간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되는 또다른 주형의 상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주형의 횡단면도이며,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주형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비누응고체의 사시도이고,
도 9d는 도 9c에 도시된 비누응고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9e는 도 9c에 도시된 비누응고체를 일정한 길이만큼씩 절단하여 형성하는 예비성형체의 평면도이고,
도 9f는 도 9e에 도시된 예비성형체의 사시도이며,
도 10a는 중간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되는 또다른 주형의 상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주형의 횡단면도이며,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주형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비누응고체에 길고 깊숙한 홈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10d는 도 10c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횡단면도이며,
도 10e는 도 10a에 도시된 주형 속에 액상의 비누가 주입된 상태에서 도 10c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홈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형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10f는 도 10a에 도시된 주형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비누응고체의 사시도이며,
도 10g는 도 10f에 도시된 비누응고체의 횡단면도이고,
도 10h는 도 10f에 도시된 비누응고체를 일정한 길이만큼씩 절단하여 형성하는 예비성형체의 평면도이며,
도 10i는 도 10h에 도시된 예비성형체의 사시도이고,
도 11a는 도 10a에 도시된 주형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비누응고체에 길고 깊숙한 홈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며,
도 11b는 도 10a에 도시된 주형 속에 액상의 비누가 주입된 상태에서 도 11a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홈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형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11c는 도 10a에 도시된 주형을 이용하여 도 11a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배치된 상태로 성형된 비누응고체의 사시도이며,
도 11d는 도 11c에 도시된 비누응고체의 횡단면도이고,
도 11e는 도 11c에 도시된 비누응고체를 일정한 길이만큼씩 절단하여 형성하는 예비성형체의 평면도이며,
도 11f는 도 11e에 도시된 예비성형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중간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되는 또다른 주형의 횡단면도이다.
이 고안에 따르면, 양단부는 막혀 있고 외벽의 전장에 걸쳐 개구가 형성된 주형 속에 액상의 비누를 주입하고, 비누액이 응고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비누액 속에 밀어넣으며, 비누액이 응고된 후에 주형으로부터 응고체를 분리해 내고, 응고체로부터 스페이서를 뽑아냄으로써 형성된 라벨삽입홈 속에 라벨을 밀어넣고 응고체를 가압하여 라벨삽입홈의 입구를 밀착시킴으로써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주형의 비누성형공간 속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갖는 덮개로 주형의 외벽의 전장에 걸쳐 형성된 개구를 막고, 비누성형공간 속에 액상의 비누를 주입하며, 비누액이 응고된 후 주형으로부터 응고체를 분리해 내고, 응고체로부터 스페이서를 뽑아냄으로써 형성된 라벨삽입홈 속에 라벨을 밀어넣고 응고체를 가압하여 라벨삽입홈의 입구를 밀착시킴으로써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주형의 비누성형공간 속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갖는 덮개로 주형의 외벽의 전장에 걸쳐 형성된 개구를 막고, 비누성형공간 속에 액상의 비누를 주입하며, 비누액이 응고된 후 덮개를 열고 스페이서를 뽑아내고, 주형으로부터 비누응고체를 분리해 내며, 응고체로부터 스페이서를뽑아냄으로써 형성된 라벨삽입홈 속에 라벨을 밀어넣고 응고체를 가압하여 라벨삽입홈의 입구를 밀착시킴으로써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의 수가 주형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응고체를 분리한 후 상기 응고체를 가압하기 전 또는 상기 라벨을 삽입하기 전에 응고체를 적절한 길이만큼씩 절단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스페이서가 주형의 폭심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응고체를 분리한 후 상기 응고체를 가압하기 전 또는 상기 라벨을 삽입하기 전에 응고체를 적절한 길이만큼씩 절단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비누응고체를 성형하고, 상기 비누응고체에서 비누의 일부를 파내어 하나 이상의 라벨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라벨삽입홈 속에 라벨을 밀어넣고 응고체를 가압하여 라벨삽입홈의 입구를 밀착시킴으로써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라벨삽입홈을 두개 이상 형성하고, 상기 응고체를 가압하기 전 또는 상기 라벨을 삽입하기 전에 응고체를 적절한 길이만큼씩 절단할 수도 있다.
이 고안에 따르면, 라벨삽입비누제조용 예비성형체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양단부는 막혀 있고 외벽의 전장에 걸쳐 개구가 형성된 주형 속에 액상의 비누를 주입하고, 비누액이 응고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비누액 속에 밀어넣으며, 비누액이 응고된 후에 주형으로부터 응고체를 분리해냄으로써 비누응고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라벨삽입비누제조용 예비성형체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주형의 비누성형공간 속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갖는 덮개로 주형의 외벽의 전장에 걸쳐 형성된 개구를 막고, 비누성형공간 속에 액상의 비누를 주입하며, 비누액이 응고된 후 주형으로부터 응고체를 분리해냄으로써 비누응고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라벨삽입비누제조용 예비성형체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개구를 주형의 비누성형공간 속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갖는 덮개로 주형의 외벽의 전장에 걸쳐 형성된 막고, 비누성형공간 속에 액상의 비누를 주입하며, 비누액이 응고된 후 덮개를 열고 스페이서를 뽑아내고, 주형으로부터 응고체를 분리해냄으로써 비누응고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의 수가 주형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응고체를 분리한 후에 응고체를 적절한 길이만큼씩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의 수가 주형의 폭심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하나인경우에는, 상기 응고체를 분리한 후에 응고체를 적절한 길이만큼씩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라벨삽입비누제조용 예비성형체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비누를 완성품과 동일한 부피와 중량을 갖는 응고체로 성형하고, 성형된 응고체에서 비누의 일부를 파내어 하나 이상의 라벨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비누응고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고안에 따르면, 비누응고체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뽑아냄으로써 형성된 라벨삽입홈 속에 라벨을 밀어넣고, 비누응고체를 가압하여 라벨삽입홈의 입구를 밀착시킴으로써 손쉽게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또는 라벨삽입홈의 수를 비누응고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 이상으로 하고 상기 비누응고체를 적절한 길이만큼씩 절단할 수도 있다.
이 고안에 따른 비누성형장치는,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하기 위한 예비성형체로이용되는 비누응고체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액상의 비누를 주입할 수 있는 성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전장에 걸쳐 개구가 형성된 주형과, 상기 주형 속에 주입된 비누액이 응고되기 전에 상기 개구를 통해 비누액 속에 밀어넣을 수 있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이 고안에 따른 비누성형장치는,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하기 위한 예비성형체로이용되는 비누응고체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액상의 비누를 주입할 수 있는 성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성형공간 속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가지며, 상기 성형공간 속에 액상의 비누를 주입할 수 있는 비누주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전장에 걸쳐 형성된 주형의 개구 및, 상기 주형의 개구를 막기 위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는 상기 덮개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성형공간 속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3c에는 이 고안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라벨삽입비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성형된 도 1a에 도시된 형상의비누를 제조하기 위한 예비성형체(111)로 사용되는 비누응고체(2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명세서에서 예비성형체라고 함은, 달리 정의되거나 수식되어 있지 아니 하는 한, 완성품과 동일한 부피와 중량을 갖는 비누덩어리로서, 라벨을 삽입할 수 있는 길고 깊은 홈이 형성된 것을 지칭한다. 이 예비성형체(111)는 홈(212) 속에 라벨(112)을 삽입하고 완성품의 윤곽을 갖는 형틀 속에 넣어 압착함으로써 손쉽게 라벨삽입비누(110)로 완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비누응고체(210)는 외곽형상이 도 1a에 도시된 완성품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며, 길고 깊숙한 라벨삽입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라벨삽입홈(212)은, 비누를 완성품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소형 엑스커베이터(excavator)를 이용하여 비누(211)의 일부를 파냄으로써 형성하거나, 액상 비누를 주형에 주입하여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라벨삽입홈(212)과 동일한 형상의 스페이서(spacer)를 매립해 두었다가 응고된 후에 이 스페이서를 제거함으로써 형성한다. 이 명세서에서 스페이서라고 함은 라벨삽입홈의 윤곽을 갖고 비누의 내부에 삽입되어 라벨삽입홈으로 사용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부재를 지칭하며,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그 것이 플러그(plug)라고 지칭되든, 웨지(wedge)라고 지칭되든 마찬가지이다. 액상의 비누 속에 스페이서를 삽입해 두었다가 응고된 후에 스페이서를 잡아빼려고 하면 스페이서와 비누의 밀착력이 너무 강하여 잘 빠지지 않는다. 용이하게 빼내기 위해서는 스페이서의 외부에 비닐장갑을 씌워서 비누 속에 삽입했다가 스페이서를 먼저 뽑아내고 비닐장갑을 잡아빼면 용이하게 빠진다. 이러한 방법은 이 고안에서 사용하는 모든 스페이서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비누응고체(210)는 완성품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라벨삽입비누(110)로 제조되는 과정에서 거의 변형시킬 필요가 없어서 분자결합구조가 그대로 유지되어 투명도가 손상되지 아니 한다. 또한, 라벨삽입홈(212) 속에 라벨을 삽입한 후에 라벨삽입홈(212)의 입구 부분을 가볍게 눌러서 비누를 서로 접합시켜 입구를 막기만 하면 족하며, 종래와 같이 비누가 서로 접착되도록 예비성형체(111)를 강하게 압착할 필요가 없으며, 비누(211)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성분을 변화시킬 필요도 없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성형된 도 1a에 도시된 형상의 비누를 제조하기 위한 예비성형체(111)로 사용되는 비누응고체(2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비누응고체(220)는 도 6a에 도시된 주형(410)을 이용하여 성형된다.
주형(410)은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원통형 외벽(411)을 가지며, 이 외벽(411)으로 형성된 공간 속에 도 6b에 도시된 스페이서(310)를 배치한 후에, 측면의 개구를 통해 액상 비누를 주입하여 응고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도 6c에는 스페이서가 상태의 주형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d에는 도 6c에 도시된 상태의 주형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e에는 주형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310)는 용이하게 잡아뺄 수 있도록 손잡이(311)를 가지며, 비누 속에 삽입되는 본체(312)에는 비닐장갑이 씌워질 수도 있다. 이 스페이서(310)는 비누응고체(220)의 제조 직후에 비누(221)로부터 빼낼 수도 있고, 유통이나 보관과정에서 라벨삽입홈이 막혀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빼지 않고 그대로 유통시킨 후에, 라벨을 삽입하기 직전에 빼낼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비누응고체(220)는 도 7a에 도시된 주형(420)을 이용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이 주형(420)은 양단부(423, 424)가 막힌 긴 원통형 외벽(421)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스페이서(310)가 배치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a에 도시된 주형(410)과 동일하다.
이 주형(420)을 이용하면 다수의 비누응고체(220)를 한꺼번에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즉, 액상 비누 속에 다수의 스페이서(310)를 매립시켜 길쭉한 원주형 응고체를 형성한 후에, 이 응고체를 스페이서와 스페이서 사이에서 절단함으로써 각각의 비누응고체(220)를 만든다. 도 7b에는 도 7a에 도시된 상태의 주형과 스페이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의 비누응고체(210)와 달리, 이 실시예에 따른 비누응고체(220)는 생산성을 감안하여 외곽형상이 단순화 되어 있으므로, 완성품의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약간의 변형이 요구된다. 그러나, 앞서의 비누응고체(210)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 따른 비누응고체(220)를 예비성형체(111)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라벨을 삽입한 후에 라벨삽입홈의 입구를 막는 정도로 가볍게 누르면 족하며, 비누를 서로 접착시킬 정도로 강한 압착이나 접착력 강화를 위한 성분 변화가 요구되지는 않는다.
이 실시예에 따른 비누응고체(220)는 도 8a에 도시된 주형(430)을 이용해서도 성형될 수 있다. 앞서의 주형(420)과 마찬가지로, 이 주형(430)도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원통형 외벽(431)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앞서의 주형(420)이 원통의 양단부(423, 424)를 막고, 눕혀둔 상태에서 측면 개구를 통해 액상 비누를 성형공간(425) 속에 주입하게 구성된 반면에, 이 주형(430)은 한 단부(433)와 측면 개구를 막고,세워둔 상태에서 개방된 단부를 통해 액상의 비누를 성형공간(435) 속에 주입하게 구성된다. 측면 개구를 막기 위한 덮개(432)는, 도 8b에 보이듯이, 원통형 외벽(431)의 윤곽을 따라 호형으로 구부려져 있으며, 그 내면에는 스페이서 부재(436)가 부착되어 있다. 도 8c는 덮개(432)로 측면 개구가 막아진 상태의 주형(430)을 도시하고 있고, 도 8d는 그 상태에서의 주형(430)과 덮개(432)에 부착된 스페이서 부재(436)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c와 같이 조립된 주형(430)의 성형공간(435) 속에 액상 비누를 주입하여응고시킨 후에 덮개(432)와 함께 스페이서 부재(436)를 빼내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응고체를 얻을 수 있다. 이 응고체를 라벨삽입홈을 하나씩 갖게 절단하면, 스페이서(310)가 제거된 상태의 도 5a에 도시된 비누응고체(220)가 얻어진다.
도 9a에는 이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누응고체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되는 주형(45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주형(450)은 길쭉한 사각조의 형상을 갖는 외벽(451)으로 형성되며, 그 바닥에는 폭심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스페이서 부재(456)가 돌출되어 있다.
도 9b에 보이듯이, 이 주형(450)의 성형공간 속에 액상 비누를 주입하여 응고시킨 후에 빼내면, 도 9c에 도시된 형상의 응고체(250)가 얻어진다. 응고체(250)가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형(450)의 상부, 즉 개구부 쪽이 바닥보다 넓게 형성되고 스페이서 부재(456)는 팁 쪽이 근저부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에 따라,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가 넓은 라벨삽입홈(252)을갖는 응고체(250)가 얻어진다. 이 응고체(250)를 적절한 길이를 갖게 절단하면 도 9e 및 9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누응고체(255)가 얻어진다.
도 10a에는 이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누응고체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되는 주형(46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의 주형(450)과 마찬가지로, 이 주형(460)도 개구부 쪽이 바닥보다 넓게 형성된 길쭉한 사각조의 형상을 갖는 외벽(451)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앞서의 주형(450)에서 바닥에서 돌출되어 있던 스페이서 부재가 없다. 그 대신에, 도 10c 및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스페이서(465)를 준비해 두고, 도 10e에 보이듯이, 성형되는 비누액(200) 속에 이 스페이서(465)를 삽입해서 응고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응고체(260)는, 도 10g에 보이듯이, 라벨삽입홈(262)의 입구가 넓지만, 비누(261)의 두께는 전반적으로 거의 일정하다.
앞서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응고체(260)를 적절한 길이를 갖게 절단하면 도 10h 및 10i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누응고체(265)가 얻어진다.
도 11a에는 또다른 스페이서(3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c의 스페이서(465)는 반복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어지지만, 도 11a의 스페이서(320)는 일회용으로 제조된다. 앞서의 주형(460)과 동일한 형상의 주형(470)을 이용하며, 스페이서(465)를 비누액(200) 속에 삽입하여 응고시킨 후에, 빼내지 않고 그대로 둔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c 및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465)가 삽입된 상태의 길쭉한 응고체(270)가 얻어진다. 이 응고체(270)를 적절한 길이를 갖게 절단하면 도 11e 및 119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누응고체(275)가 얻어진다. 비누와 함께 절단되어 비누 속에 삽입된 채로 유지되는 스페이서(321)를 갖는 예비성형체가 얻어진다. 이스페이서(321)는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는 그대로 유지되어 라벨삽입홈의 변형을 방지하다가, 라벨을 삽입하기 직전에 제거될 수 있다.
도 12에는 이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비누응고체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되는 주형(47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주형(470)은 그 성형공간의 형상은 앞서의 주형(450, 460)과 유사하지만, 구성요소가 상이하다. 이 주형의 성형공간은 두개의 길쭉한 측벽 부재(471, 472)와 상벽 부재(476) 및 마개로 구성된 외벽에 의해 정해지며, 측벽 부재(471, 472)와 상벽 부재(476)는 그 외면이 원통의 내면의 윤곽에 맞게 형성되어 있다. 상벽 부재(476)의 내면에는 스페이서 부재가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 부재(471, 472)와 상벽 부재(476)를 길쭉한 원통(475) 속에 삽입하고 원통(475)의 한 쪽 단부를 막아서 성형공간을 형성한 후에, 막힌 단부를 하부로 하여 원통(475)을 세우고,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비누액(200)을 성형공간 속에 주입하여 응고시킨다. 비누가 응고되면, 비누응고체를 측벽 부재(471, 472) 및 상벽 부재(476)와 함께 원통(475)으로부터 빼내어 측벽부재(471, 472)를 떼어내고, 상벽 부재(476)와 함께 스페이서 부재를 뽑아낸다. 이렇게 얻어진 응고체를 적절한 길이만큼씩 절단하면 도 11e 및 11f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형상의 예비성형체가 얻어진다.
위에서는 몇몇 형상의 주형을 예시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 하며, 완성품의 형상에 따라, 이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주형을 이용하여 예비성형체를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라벨삽입비누(120)에서는 비누(121) 속에 삽입된 라벨(122)이 호형으로 구부려져 있는데, 이러한 라벨삽입비누(120)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예비성형체는 유사한 형상으로 구부려진 라벨삽입홈을 가져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스페이서의 형상이 유사하게 구부려져 있어야 한다. 즉, 호형으로 구부려진 스페이서를 이용한다는 것 외에, 주형의 형상이나, 예비성형체의 성형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종래처럼, 키작은 원주형으로 절단된 두조각의 비누 사이에 라벨을 배치하고 서로 압착시켜 라벨삽입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라벨이 호형으로 구부려져 있는 라벨삽입비누(120)를 만들 수 없다.
또한, 도 3b에 보이듯이, 키작은 팔각주형 라벨삽입비누(130)를 얻기 위해서는 원통형 외벽이 아닌 팔각주형 외벽을 갖는 주형을 이용한다는 것 외에, 예비성형체의 성형방법 및 비누(131) 속에 라벨(132)을 삽입하는 과정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위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들은 이 고안을 잘 이해시키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이 고안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예시된 것 외에도, 이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과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그러한 자명한 변형예와 조절예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

  1. 라벨삽입비누제조용 비누응고체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액상의 비누를 주입할 수 있는 성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전장에 걸쳐 개구가 형성된 주형과, 상기 주형 속에 주입된 비누액이 응고되기 전에 상기 개구를 통해 비누액 속에 밀어넣을 수 있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비누성형장치.
KR20-2004-0025881U 2004-09-09 2004-09-09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를 성형하는 장치 KR200370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81U KR200370130Y1 (ko) 2004-09-09 2004-09-09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를 성형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81U KR200370130Y1 (ko) 2004-09-09 2004-09-09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를 성형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511A Division KR20060022773A (ko) 2004-09-08 2004-09-08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와 그 성형장치 및 그 것을이용한 라벨삽입비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130Y1 true KR200370130Y1 (ko) 2004-12-13

Family

ID=4944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881U KR200370130Y1 (ko) 2004-09-09 2004-09-09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를 성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1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8290C (en) A toy brick,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y brick and a moulding tool for the manufacture of a toy brick
WO2002048753A3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jection molded thermoplastic ophthalmic lens having an encapsulated light polarizing element
US20110262583A1 (en) Mould with demoulding function
EP1174890A3 (en) Moulded coi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0370130Y1 (ko)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를 성형하는 장치
KR200370131Y1 (ko)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를 성형하는 장치
KR200370129Y1 (ko)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
KR101442529B1 (ko) 열경화성 수지 이중 사출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20060022773A (ko) 라벨삽입홈이 형성된 비누와 그 성형장치 및 그 것을이용한 라벨삽입비누 제조방법
CN101439572B (zh) 模内装饰的成型装置
CN201296015Y (zh) 模内装饰的成型装置
CN110561702A (zh) 注塑模具
CN101116936B (zh) 鞋底模具及其制法
JPS5944215B2 (ja) 射出成形用金型
CN212764568U (zh) 用于大平方电线橡胶防水件成型的硫化模
JP2678671B2 (ja) 射出成形型の製造方法
JP4164216B2 (ja) 落差調整ますの成形装置
KR200270866Y1 (ko) 초밥성형기
CN107157598B (zh) 正畸牵引装置模具的制作方法及正畸牵引装置的制作方法
JP2000000855A (ja) 射出成形型及び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WO2006021979A1 (en) Process and mould for producing poles and the like, as well as pole produced with said process and/or mould
KR200250561Y1 (ko) 광고용 라벨이 내장된 투명비누 성형용 금형
EP1996393A1 (en) Method of making a footwear by injection/casting of a mono-or multi-layered sole of synthetic material directing onto the upper
JPS61172716A (ja) 成形品のゲ−ト自動切断方法
JPH08182514A (ja) インサート成形バン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バンドに用いるインサート金属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