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069Y1 -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069Y1
KR200370069Y1 KR20-2004-0027841U KR20040027841U KR200370069Y1 KR 200370069 Y1 KR200370069 Y1 KR 200370069Y1 KR 20040027841 U KR20040027841 U KR 20040027841U KR 200370069 Y1 KR200370069 Y1 KR 200370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 front
lamp
pieces
guide rods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택
Original Assignee
오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택 filed Critical 오희택
Priority to KR20-2004-0027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0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천정이나 벽체 등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조명기구에 대하여 램프갓 전체를 전후방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키면서 램프의 조사범위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의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램프들을 지지하는 램프프레임과, 이 램프프레임을 전후방단에서 지지하면서 램프의 전후방측에 설치되는 반사갓을 함께 지지하는 램프짖대를 구비한 램프갓을 형성하고, 이 램프갓의 양 측단을 마감하면서 전후방 간으로 서로 대칭되는 원호상의 좌우측 회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좌우측 회동부재를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단에 전후방 안내봉들로 각각 일정 각도 회동 자유롭게 지지시켜서, 사용자가 전후방 어느 일측 하방으로 램프갓의 전후방단 어느 일측을 하향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의 선 고안들에 비하여 조명원을 다양한 종류의 램프들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 조명원의 사용 수량의 확장성과, 제작의 용이성, 저렴한 가격, 고 내구성과 조사 각도 범위의 조절과 작동 조작이 용이한 고 실용성의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A ceiling illuminator for adjustment-type of irradiation range}
본 고안은 주로 천정이나 벽체 등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사갓을 포함한 램프갓 전체를 전후방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키면서 램프의 조사범위(照射範圍)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구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서 조명원의 조사방향(방사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임의의 방향에 집중, 확산시키는 조절 기능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상품진열장소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는 상품의 진열상태에 따라서 일정한 곳으로 집중시켜 조사 할 필요성이 있고, 설치된 후에 진열 상품의 이동 배치나 다른 상품의 교체 배치에 따라서 그 조사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일 예 외에도 각종 실내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조명기구나 사무실 천장등용 형광등기구들도 사용시간이나 사용상태에 따라서 그 조사 방향을 임의 방향으로 전환, 조절할 필요성이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조사 범위 조절식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관한 선 고안으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 20-264815호, 20-255739호, 20-236572호를 비롯하여 많은 종류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선 고안들이 목적하는 것은 조명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불빛을 조명기구의 설치목적이나 사용자의 사용상태에 따라서 임의의 방향으로 조사방향을전환하거나, 또는 불빛을 집중시키거나 확산시키는 조사범위 조절을 위한 것인 바,
이러한 목적들은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부 선 고안들에서는 램프 자체를 회전시키거나 유동 가능한 구조로 등기구에 설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다른 선 고안들에서는 램프는 등기구와 고정되면서 전등 갓이나 보조 갓을 회동식으로 구비하여 램프에서 방사되는 불빛의 조사 방향과 범위를 조절하는 구성 및, 램프와 전등갓을 함께 회동시키는 구성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조사 범위 조절식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품화의 주요 포인트로는,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처와 조명원(램프의 종류)에 대한 범용성과 확장성이 있으며, 또한 제작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사용 중에 고장이 없고 고 내구성과 조사 범위 변환 조작이 용이한 점 등이 바람직한 조건으로 요구될 것이다.
그렇지만 종래에 제공된 선 고안의 구성들에서는 상기 상품화의 바람직한 조건들에서 일부 조건들 만을 만족시키는 구성이어서 상품의 판매성이 약하며, 사용자들도 사용상 조작의 불편함과 다양한 연출에의 제약성들이 있어서 실용성이 현저히 낮은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사 범위 조절식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제공되는 것으로서, 조명원으로서 일반 전구는 물론 전구식 형광램프 또는 직관 형광램프나 일명 피엘 램프(photoluminescence lamp; PL Lamp)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램프들을 조명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조명원의 사용수량에 대한 확장성이 용이하면서, 다양한 사용처에 대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고 내구성과 조사 각도 범위의 조절과 작동 조작이 용이한 고 실용성의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 외의 목적도 이 후에 기술되는 본 고안의 설명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저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요부 구성 분해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요부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고정식 램프갓 회동 안내봉의 일 실시예도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좌측 회동 작동부 측면도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경사위치 회동 좌측 작동상태도
도9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경사위치 회동 좌측 작동상태도
도10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경사위치 회동 좌측 작동상태도
도1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경사위치 회동 좌측 작동상태도
도12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피엘 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요부구성 분해사시도
도13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전구식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요구 구성 분해사시도
도14는 본 고안에 의한 램프 수량 확장형 다른 실시예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좌측 회동 작동부 측면도
도15는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각도 축소형 다른 실시예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좌측 회동 작동부 측면도
도16은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각도 증대형 다른 실시예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좌측 회동 작동부 측면도
도17는 본 고안의 회전식 램프갓 회동 안내봉의 일 실시예도
도18은 본 고안의 회전식 램프갓 회동 안내봉의 다른 실시예도
도19는 본 고안에 의한 회동부재 스토퍼형 다른 실시예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좌측 회동 작동부 측면도
도20~도22는 본 고안에 의한 회동부재 스토퍼형 다른 실시예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도
도23은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다른 실시예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좌측 회동 작동부 측면도
도24는 본 고안의 고정식 스텝제어형 램프갓 회동 안내봉의 일 실시예도
도25~도27은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다른 실시예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경사위치 회동 좌측 작동상태도
도28은 본 고안의 회전식 스텝제어형 램프갓 회동 안내봉의 일 실시예도
도29는 본 고안의 회전식 스텝제어형 램프갓 회동 안내봉의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30:고정프레임 31,32:좌우측 내측부재 33,34;전후방 내측부재
35:고정나사 35a:고정볼트 35d:고정볼트 36:고정너트
37:워셔 38:조임너트 39:스텝돌기
40,41,42,43:좌우측 전후방 안내봉 40a: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
40b: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 40c:좌측 전방 안내봉
40d:스텝제어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
40e:스텝제어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
44:스프링 시이트 45:코일스프링 46:탄력성 회전캡
46a:탄력성 회전캡 47,47a:스텝돌기
50,51,52,53:원호형의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
50a,51a,52a,53a:반 원호띠형의 좌우측 전후방 하단접속편
50b,51b,52b,53b:원호형의 좌우측 전후방 중간회동부
50c,51c,52c,53c:반 원호띠형의 좌우측 전후방 상단접속편
55,56:좌우측 회동안내판 60,61:전후방 램프지지대
70:램프프레임 71:고정띠 72:소켓고정띠 73:고정관
80,81:원호형의 전후방 반사갓 82,83:반 원호형의 전후방 조작대
100: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101:천정판 103:직관 형광램프 소켓 105:고정나사
107:형광램프 안정기 108:직관 형광램프
200:다른 실시예 피엘 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203:피엘 램프 소켓 208:피엘 램프 209:피엘 램프 클립
270:램프프레임
300:다른 실시예 전구식 형광등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303:전구소켓 308:전구식 형광등용 370:램프프레임
400:다른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450,451:다른 실시예 원호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
450a,451a:반 원호띠형 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
450b,451b:원호형의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
450c,451c:반 원호띠형의 좌측 전후방 상단접속편
430:고정프레임 440,441:좌우측 전후방 안내봉 470:램프프레임
500:다른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550,551;원호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
550a,551a:반 원호띠형의 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
550b,551b:원호형의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
550c,551c:반 원호띠형의 좌측 전후방 상단접속편
600:다른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650,651:원호형의 좌측 전후방 회동편
650a,651a:반 원호띠형 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
650b,651b:원호형의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
6450c,651c:반 원호띠형의 좌측 전후방 상단접속편
750,751:정위치 스토퍼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
750a,751a: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
750b,751b:원호형의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
750d,751d:좌측 전후방 스토퍼
850,851: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
850a,851a:반원호띠형의 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
850b,851b:원호형의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
850c,851c:좌측 전후방 상단접속편
855,856:스텝요홈 857:중간 스텝요홈
상기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구성은, 내측으로 절곡된 좌우측 전후방 내측부재를 갖고 설치 구조물에 고정되는 사각형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내측부재 각각에서 전후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 돌출형으로 설치되는 원주형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 각각의 하부 반 원주면에 긴밀하게 외접되는 반 원호띠형 좌우측 전후방 하단접속편을 가지며,
상기 반 원호띠형 좌우측 전후방 하단접속편들의 상단부들로부터 좌우측 각각에서 서로 대응되는 전후방 하단접속편에 내접하는 전후방 안내봉들의 중심에 대한 원주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반 원호띠형 좌우측 전후방 하단접속편들과 반대 형태의 반 원호띠형 좌우측 전후방 상단 접속편들을 구비하는 원호형의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과;
상기 원호형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을 좌우측 각각에서 전후방으로 지지하면서 램프지지대와 램프프레임과 반사갓의 좌우측단을 마감하는 좌우측 회동안내판들과;
상기 좌우측 회동안내판들에 의하여 좌우측단이 마감 고정되고, 단면상 외주면의 형태가 상기 원호형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전후방 램프지지대들과;
상기 좌우측 회동안내판들에 의하여 좌우측단이 마감 고정되고,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들과 전후방단이 고정되면서, 하단면에는 램프소켓 정착부가 확보되는 판재의 램프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회동안내판들에 의하여 좌우측단이 마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들과 내측으로 다소 돌출된 전후방 조작대를 개재하여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들의 중간부 또는 상기 램프프레임의 전후방 어느 일측과 고정되며, 단면상으로 상단부가 각각 내측으로 휘어지는 전후방 원호형 반사갓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에서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와 상기 램프프레임과 상기 원호형 전후방 반사갓은 바람직하게는 압출 성형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재의 단일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램프프레임은 특히, 조명원으로서 직관 형광램프를 사용하는 구성에서는 직관 형광램프 소켓을 좌우측단에 조립식으로 고정하기위한 구성으로서, 하단면에 하나 이상의 띠형 소켓조립구들을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내측단 각각에 구비되는 원주형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은, 보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회전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내측단 각각에 구비되는 원주형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은, 보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원호형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과의 긴밀한 접속을 위하여 축방향으로 탄력을 갖고 장착시키는 탄력장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내측단 각각에 구비되는 원주형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과 상기 원호형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은 그 접속 회동각을 일정 단위로 지정된 위치에 제어할 수 있는 회동각도 스텝제어수단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내측단 각각에 구비되는 원주형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의 외주면과 상기 원호형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내주면에는 각각 그 회동접속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윤활 코팅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여러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10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의 구성과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는 직관 형광램프(108)를 사용하는 천정 매입식 등기구로서, 부호 30은 천정판(101)에 고정 나사로 고정되는 사각형의 고정프레임이다.
상기 고정프레임(30)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좌우측 내측부재(31)(32) 각각의 내측단에서 전후방 내측부재(33)(34)과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돌출된 원주형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40)(41)(42)(43)들이 고정나사(35)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도3,4,6,7,8참조).
부호 50,51,52,53은 상기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40)(41)(42)(43)들에 각각 외접되는 원호형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을 표시한다.
상기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50)(51)(52)(53)들은 각각 상기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40)(41)(42)(43)들의 외주면과 긴밀하게 외접되는 반 원호띠형의 좌우측 전후방 하단접속편(50a)(51a)(52a)(53a)들을 각각 구비하며, 이 하단접속편(50a) (51a)(52a)(53a)들의 상단부들은 좌우측 각각에서 서로 대응되는 전후방 하단접속편에 내접하는 전후방 안내봉들의 중심에 대한 원주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원호형 좌우측 전후방 중간회동부(50b)(51b)(52b)(53b)와 반 원호띠형 좌우측 전후방 상단접속편(50c)(51c)(52c)(53c)들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좌측 전후방 회동편(50)(51)들의 하단접속편(50a)(51a)들 간의 중심 간격은 상기 좌측 전후방 안내봉(40)(41)들 간의 중심 간격과 동일하고,
상기 우측 전후방 회동편(52)(53)들의 하단접속편(52a)(53b)들 간의 중심 간격은 상기 우측 전후방 안내봉(42)(43)들 간의 중심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50)(51)(52)(53)들은 그 외변 형태가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50)(51)(52)(53)들의 외변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판형의 좌우측 회동안내판(55)(56)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부호 60, 61은 상기 좌우측 회동안내판(55)(56)들에 의하여 좌우측단이 마감 고정되고, 단면상 외변(외주면) 형태가 상기 좌우측 회동안내판(55)(56)의 외변(외주면) 형상과 동일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후방 램프지지대를 각각 표시한다.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60)(61)들의 상단부는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램프프레임(70)의 전후방과 일체로 연결된다.
램프프레임(70)은 상기 좌우측 회동안내판(55)(56)들에 의하여 좌우측단이 마감 고정되고, 전후방단이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60)(61)의 중간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압출 성형성 판형부재이다.
상기 램프프레임(70)의 상단면에는 형광램프 안정기(107)와 배선을 고정하기 위한 수 줄의 고정띠(71)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직관 형광램프 소켓(103)을 2열로 조립 장착하기 위한 수 개의 소켓고정띠(72)들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부호 80, 81은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60)(61)들의 하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원호형 전후방 반사갓을 표시한다.
상기 원호형 전후방 반사갓(80)(81)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다소 돌출된 반 원호형의 전후방 조작대(82)(83)들이 각각 일체로 구비되고, 상단부는 상기 램프프레임(70)의 전후방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일체의 구조물로 형성되는 전후방 램프지지대(60)(61)와 램프프레임(70)과 원호형 전후방 반사갓(80)(81)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재에 의하여 압출 성형되는 구성이다.
부호 73은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60)(61)와 램프프레임(70)과의 연결부에 형성된 원형의 고정관으로서, 상기 좌우측 회동안내판(55)(56)을 고정나사(105)로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의 작동상태 및 사용상태는 다음과 같다.
상기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의 작동상태는, 직관 형광램프(108)들이 각각의 좌우측 소켓(103)들에 장착한 상태에서, 직관 형광램프(108)들의 조사 방향을 직하방으로 반사시키는 정위치 반사상태와,
직관 형광램프(108)들의 조사 방향을 전 후방 어느 일측으로 소망되는 일정 각도로 회동시켜서 경사방향으로 반사되도록하는 경사 반사상태로 회동 제어된다.
상기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의 정위치 반사상태는, 고정프레임(30)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40)(41)(42) (43)들에 대하여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50)(51)(52)(53)들의 최하단부재인 하단접속편(50a)(51a)(52a)(53a)들이 각각 외접상태로 정열되어, 램프프레임(70)이 수평으로 위치되고 전후방 램프지지대(60)(61)들과 원호형 전후방 반사갓(80)(81)들은 전후방 어느 측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게 정위치로 수동제어 정열한 상태이다(도7, 도8 참조).
상기한 정위치 반사상태에서는 직관 형광램프(108)의 불빛이 원호형 전후방 반사갓(80)(81)들 간의 전후 하단폭 범위 이내에서 직하방향으로 조사되게 된다.
상기한 정위치 반사상태에서 경사 반사상태로의 제어 작동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원호형 전후방 반사갓(80)(81)들 각각의 하단부재인 전후방 조작대(82)(83)들 중에서 어느 한쪽을 하방으로 잡아 당기거나 또는 밀어 올려서, 램프갓 전체를 전후방 어느 일측으로 소망되는 일정 각도까지 경사 회동시키는 수동조작으로 실시된다.
도7, 도8과 같은 정위치 반사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방 조작대(82)를 하방으로 잡아 당기면, 도9와 같이 좌우측 후방 회동편(51)(53)들의 하단접속편(51a)(53a)들을 구속하고 있는 좌우측 후방 안내봉(41)(43)들을 회동 중심축으로 하여 램프갓 전체가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하향 회동된다.
이때 램프갓 전체의 회동각도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후방 회동편(51)(53)들의 상단접속편(51c)(53c)들이 좌우측 후방 안내봉(41)(43)들에 접속하는 위치까지, 좌우측 전방 회동편(50)(52)들의 원호 길이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방측 하강 수동 제어 조작에 의하여 램프갓 전체를 경사 반사상태로 제어 작동되면, 램프갓 전체는 고정프레임(30)에 대하여 전방 하단부측이 고정프레임(30)의 전단부 하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돌출하게 되어, 램프프레임(70)의 경사도에 따라서 직관 형광램프(108)의 불빛이 경사 위치된 원호형 전후방 반사갓(80)(81)들 간의 전후 하단폭 범위 이내에서 후방을 향하여 임의의 경사각도로 조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방측 하강 수동 제어 조작과는 반대인 후방측 하강 수동제어는, 도8,9와 같은 정위치 반사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방 조작대(83)를 하방으로 잡아 당기면, 도11과 같이 좌우측 전방 회동편(50)(52)들의 하단접속편(50a)(52a)들을구속하고 있는 좌우측 전방 안내봉(40)(42)들을 회동 중심축으로 하여 램프갓 전체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하향 회동되어서, 램프갓 전체는 고정프레임(30)에 대하여 후방 하단부측이 고정프레임(30)의 후단부 하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돌출하게 되어, 램프프레임(70)의 경사도에 따라서 직관 형광램프(108)의 불빛이 경사진 원호형 전후방 반사갓(80)(81)들 간의 전후 하단폭 범위 이내에서 전방을 향하여 임의의 경사각도로 조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후방 하강 수동 제어 조작에 의하여 램프갓 전체를 경사 반사상태로 제어 작동시킨 상태에서 다시 정위치 반사상태로의 환원 제어는, 고정프레임(30)의 전후단 어느 일측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호형 전후방 반사갓(80)(81)들 각각의 하단부재인 전후방 조작대(82)(83)들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수동 조작을 하게 되면, 경사 위치된 램프갓이 상술한 경사 반사상태로의 회동 작동상태와는 반대로 작동하여, 램프갓 전체가 고정프레임(30)의 상방 내부로 수용되는 정위치 반사상태로 환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후방 반사갓(80)(81)의 하단부재인 전후방 조작대(82)(83)의 어느 일 측을 하방으로 잡아 당기거나 또는 밀어 올리는 수동 조작에 따라서, 램프갓 전체를 고정프레임(30)에 대하여 전후방 어느 일측으로 소망되는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경사 반사상태로 위치제어하거나, 램프갓 전체를 고정프레임(30)의 상방 내부로 수용되는 정위치 반사상태로 위치제어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천정 매입식 직관 형광등 조명기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목적이나 사용상태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형광램프의 조사 방향을 전후방 어느 일측으로 원하는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여러 실시예들과 같이 실시할수 있는 본 고안은 보다 바람직한 일 방편으로서, 일부 구성요소들은 본 고안이 목적하는 바를 보다 충족시킬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변경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은 조명원으로서 직관 형광램프(108)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로 형성할 수 있지만, 조명원을 피엘 램프나 전구식 형광램프를 사용하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도12에는 조명원을 피엘 램프를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 피엘 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 피엘 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200)의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의 구성과 비교하여, 조명원을 직관 형광램프(108)에서 피엘 램프(208)를 사용하는 구성이면서, 램프 소켓도 피엘 램프 소켓(203)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서 램프프레임(270)의 구성은 전술한 램프프레임(70)의 하단면에 구비된 직관 형광램프 소켓(103)용의 수 개의 소켓고정띠(72)들이 제거된 구성으로 실시되는 점에서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동일하게 사용되는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209는 피엘 램프(208)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클립이다.
상기한 구성의 다른 실시예 피엘 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200)에 의한 작동상태와 사용상태는 상술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와 조명원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동일하게 작동, 작용되고 그 특징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13에는 조명원을 전구식 형광램프를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 전구식 형광등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3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또 다른 실시예 전구식 형광등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300)의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의 구성과 비교하여, 조명원을 직관 형광램프(108)에서 전구식 형광등용(308)를 사용하는 구성이면서, 램프 소켓도 일반적인 전구소켓(303)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서 램프프레임(370)의 구성은 전술한 램프프레임(70)의 하단면에 구비된 직관 형광램프 소켓(103)용의 수 개의 소켓고정띠(72)들이 제거된 구성으로 실시되는 점에서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동일하게 사용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의 다른 실시예 전구식 형광등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300)에 의한 작동상태와 사용상태는 상술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와 조명원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동일하게 작동, 작용되고 그 특징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피엘 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200)와 다른 실시예 전구식 형광등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300)의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은,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램프들을 사용할 수 있는 램프 호환성 특징을 갖는 것이다.
도14에는 본 고안이 목적하는 일 과제인 조명원의 사용 수량에 대한 확장 용이성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400)에 대한 일 요부 구조인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설명을 위한 좌측 전후방 회동편(450)(45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400)의 구성은 직관 형광램프(108)를 3개 사용하도록, 램프프레임(470)의 전후방 폭을 확장하며, 확장된 램프프레임(470)의 폭 변화에 따라서 좌측 전후방 회동편(450)(451)들 간의 전후방 폭도 확장 변경된다.
따라서 좌측 전후방 회동편(450)(451)들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반 원호띠형 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450a)(451a)들과 반 원호띠형의 좌측 전후방 상단접속편(450c)(451c)의 구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들을 연결하는 원호형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450b)(451b)들의 원주 규격은, 서로 대응하는 타측의 반 원호띠형 하단접속편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 보다 큰 반지름의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지만 상기 확장된 전후방간 폭으로 구성되는 좌측 전후방 회동편(450)(451)들과 동일한 규격으로 반대편인 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규격도 확장된 규격으로 실시되며,
고정프레임(430)의 전후방 폭과, 상기 좌측 전후방 회동편(450)(451)들과 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을 안내하는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440)(441)들 간의 전후방 간 설치 폭이 확장 실시되며,
전후방 램프지지대들의 외주면 곡률도 확장된 좌측 전후방 회동편450)(451)들의 원호에 맞추어 확장된 규격으로 실시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다른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400)의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의 구성과 비교하여 사용램프의 수량을 3개로 증설함에 따른 설계변경사항으로서,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사용목적이나 조도의 변화를 위하여 램프갓에 사용되는 램프의 수량을 임의의 수량으로 증설시켜야 되는 구성에 대하여 매우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15와 도16에는 본 고안이 목적하는 다른 일 과제인 조사 각도의 조절 용이성을 달성하기 위한 일 예를 제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에서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원호 길이 변경 설계에 의하여 램프갓의 경사 회동각도를 임의의 폭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구성들이 제시되어 있다.
도15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500)들에 대한 요부 구조인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설명을 위한 좌측 전후방 회동편(550)(55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좌측 전후방 회동편(550)(551)들의 원호형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550b)(551b)들의 원호 길이를 전술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에 실시한 원호형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50b)(51b)들의 원호 길이보다 짧게 형성한 구성이다.
이러한 짧은 원호 길이의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550b)(551b)들의 구성에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램프갓의 경사 회동각도의 제어조작에 있어서 전후방 어느 일측으로의 경사 반사상태 회동각도를 축소시킨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16에는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600)들에 대한 요부 구조인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설명을 위한 좌측 전후방 회동편(650)(65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좌측 전후방 회동편(650)(651)들의 원호형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650b)(651b)들의 원호 길이를 전술한 일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100)에 실시한 원호형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50b)(51b)들의 원호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 구성이다.
이러한 긴 원호 길이의 원호형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650b)(651b)들의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램프갓의 경사 회동각도의 제어조작에 있어서 전후방 어느 일측으로의 경사 반사상태 회동각도를 증대시킨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 직관 형광램프용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500)(600)의 구성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중간회동부들의 원호 길이를 임의 길이로 변경 설계 제작함에 따라서 램프갓의 경사 회동각도(범위)를 전후방이 동일한 범위로 또는 전후방이 서로 다른 임의의 폭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바, 본 고안이 목적하는 다른 일 과제인 조사 각도의 조절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17과 도29에는 본 고안이 목적하는 다른 일 과제인 램프갓의 회동 조작의 용이성을 달성하기 위한 일 예들을 제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에서램프갓의 회동 작동부재들인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과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의 구성을 개선하여, 정위치 반사상태에서의 램프갓 지지력의 향상과, 경사 반사상태로의 램프갓 회동 작동시에 회동 작동의 원활성, 조작의 용이성 및 경사 회동각도를 지정된 임의의 각도로 단계적으로 위치 제어할 수 있는 구성들이 제시되어 있다.
도17에는 본 고안의 구성 중에서 회전형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a)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a)의 구성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좌측 전방 안내봉(40)들의 구성을 개선하여 고정프레임(30)의 좌측 내측부재(31)에 회전식으로 장착한 구성이다.
상기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a)의 회전 장착 구성은, 고정프레임(30)의 좌측 내측프레임(31)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고정볼트(35a)를 고정너트(36)에 의하여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시켜 고정하고, 이 고정볼트(35a)의 내측단에 좌측 전방 안내봉(40a)을 양 측단부로 워셔(37)를 개재하여 조임너트(38)로 조여서 회전 자유롭게 축설한 구성이다.
상기한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a)의 구성은 나머지 좌측 후방과 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에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앞에 설명된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고정형인 일 실시예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40)(41)(42)(43)들을 대체하여 적용하면은, 램프갓의 회동 작동에 있어서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a)의 외주면이 좌측 전방 회동편(50)의 내주면과 활접을 하게되어 회동작동이 부드럽게 수행되며, 아울러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18에는 본 고안의 구성 중에서 또 다른 회전형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b)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b)의 구성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좌측 전방 안내봉(40)들의 구성을 개선하여 고정프레임(30)의 좌측 내측부재(31)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며, 탄력성 회전캡(46)을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b)의 회전 장착 구성은, 고정프레임(30)의 좌측 내측프레임(31)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고정나사(35)로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b)를 고정하되, 이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b)의 내측 선단부 측으로는 링홈형의 스프링시이트(44)를 형성하여 코일스프링(45)을 장치하여 회전캡(46)을 탄력있게 장착한 구성이다.
상기한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b)의 구성은 나머지 좌측 후방과 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에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앞에 설명된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고정형인 일 실시예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40)(41)(42)(43)들을 대체하여 적용하면은, 램프갓의 회동 작동에 있어서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a)에 코일스프링(45)에 의하여 탄력있게 설치된 회전캡(46)이 좌측 전방 회동편(50)의 내주면과 바닥면에 활접을 하게되어 회동작동이 부드럽게 수행되며, 아울러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프레임(30)에의 램프갓 전체의 파지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19에는 본 고안의 구성 중에서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다른 실시예의설명을 위한 정위치 스토퍼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750)(751)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정위치 스토퍼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750)(751)의 구성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좌측 전후방 회동편(50)(51)의 구성을 그대로 원용하면서, 상기 좌측 전후방 안내봉(40)(41)들의 외주면과 긴밀하게 외접되는 반 원호띠형의 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750a)(751a)과 원호형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750b)(751b)들 간의 접속부에 상기 좌측 전후방 안내봉(40)(41)들의 외주면 일부를 일정 탄력으로 구속하는 좌측 전후방 스토퍼(750d)(751d)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정위치 스토퍼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750)(751)의 구성은 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램프갓의 정위치 반사상태에서는 좌측 전후방 스토퍼(750d)(751d)들이 각각 좌측 전후방 안내봉(40)(41)들의 외주면 일부를 일정 탄력으로 구속하게 되어, 좌측 전후방 안내봉(40)(41)들의 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750a)(751a)에의 정위치 접속상태를 견실히 유지하게 된다.
또한 램프갓의 경사위치 반사상태로의 회동 조작을 위하여 스토퍼형 좌측 전방 회동편(750)이 하방으로 당겨질 때는 좌측 후방 회동편(751)을 좌측 후방 안내봉(41)을 회동 중심축으로 견고히 지지시키고, 반대로 스토퍼형 좌측 후방 회동편(751)이 하방으로 당겨질 때는 좌측 전방 회동편(750)을 좌측 전방 안내봉(40)을 회동 중심축으로 견고히 지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23~도27에는 본 고안의 구성 중에서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과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의 다른 실시예 설명을 위한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850)(851)의 구성과 좌측 전방 안내봉(40c)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850)(851)의 구성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좌측 전후방 회동편(50)(51)들의 구성을 그대로 원용하되,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하여, 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850a)(851a)의 중심부와 좌측 전후방 상단접속편(850c)(851c)의 중심부에 각각 일정 크기의 스텝요홈(855)(856)들을 형성하고, 원호형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850b)(851b)의 중간부에 중간 스텝요홈(857)들을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좌측 전방 안내봉(40c)의 구성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좌측 전방 안내봉(40)의 구성을 그대로 원용하되,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전방 안내봉(40c)의 내측 선단부 중심부에 상기 스텝요홈(855)(856)(857)에 접속되는 스텝돌기(47)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한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850)(851)의 구성과 좌측 전방 안내봉(40c)의 구성은, 우측 전후방 회동편들과 좌측 후방 안내봉과 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램프갓의 정위치 반사상태에서 좌측 전방 안내봉(40c)의 스텝돌기(47)와 좌측 후방 안내봉의 스텝돌기가 상기 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850a)(851a)의 중심부에 형성된 스텝요홈(855)(856)들에 접속되어 좌측 전방 안내봉(40c)의 좌측 전후방 하단접속편(750a)(751a)에의 정위치 접속상태를 견실히 유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램프갓의 경사위치 반사상태로의 회동 조작을 위하여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측 전방 회동편(850)이 하방으로 당겨질 때는, 스텝돌기를 갖는 좌측 후방안내봉을 회동 중심축으로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측 후방 회동편(851)을 견고히 지지시키고, 반대로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측 후방 회동편(851)이 하방으로 당겨질 때는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측 전방 회동편(850)을 스텝돌기를 갖는 좌측 후방 안내봉을 회동 중심축으로 견고히 지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구성의 상기한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측 전후방 회동편(850)(851)의 구성과 좌측 전방 안내봉(40c)의 구성은, 램프갓의 경사위치 반사상태로의 회동 조작에 있어서 원호형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850b)(851b)의 중간부에 형성한 중간 스텝요홈(857)들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항상 일정한 경사각도로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원호형 좌측 전후방 중간회동부(850b)(851b)의 중간부에 형성한 중간 스텝요홈(857)들의 구성은 소망되는 경사각도에 따라서 다른 경사각도에 해당하는 위치에 대하여 1개 이상으로 증설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28에는 상기한 구성의 다른 실시예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구성에 적용되는 또 다른 스텝제어 회전형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스텝제어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d)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스텝제어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d)의 구성은 앞에 설명한 일 실시예의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a)의 구성을 동일하게 원용하되, 고정볼트(35b)의 선단부에 스텝돌기(39)를 더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d)의 구성은 나머지 좌측 후방과 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에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앞에 설명된 고정형 스텝제어 좌측 전방 안내봉(40c)의 구성에 비하여 램프갓의 회동 작동에 있어서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d)의 외주면이 좌측 전방 회동편(50)의 내주면과 활접을 하게되어 회동작동이 부드럽게 수행되며, 아울러 회동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면서, 앞에 설명된 램프갓의 정위치 반사상태와 경사 반사상태에서의 지정위치 스텝제어 효과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29에는 전술한 다른 실시예 회동각도 스텝제어형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구성에 적용되는 또 다른 스텝제어 회전형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스텝제어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e)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스텝제어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e)의 구성은 앞에 설명한 일 실시예의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b)의 구성을 동일하게 원용하되, 탄력성 회전캡(46a)의 선단 중심부에 스텝돌기(47a)를 더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e)의 구성은 나머지 좌측 후방과 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에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앞에 설명된 고정형 스텝제어 좌측 전방 안내봉(40c)(40d)의 구성들에 비하여,
램프갓의 회동 작동에 있어서 회전형 좌측 전방 안내봉(40e)에 코일스프링(45)에 의하여 탄력있게 설치된 회전캡(46a)이 좌측 전방 회동편(50)의 내주면과 바닥면에 활접을 하게되어 회동작동이 부드럽게 수행되면서, 아울러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프레임(30)에의 램프갓 전체의 파지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지면서, 회전캡(46a)에 설치된 스텝돌기(47a)에 의하여 앞에 설명된 램프갓의 정위치 반사상태와 경사 반사상태에서의 지정위치 스텝제어 효과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에 의하면, 종래의 천정 매입형 형광등기구의 고정프레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설치상의 용이성과 호환성을 가지면서, 다량한 종류의 램프를 조명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램프이 설치 수량에 확장 용이성을 가지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특성을 가지며, 작동부재가 단순 구조물이어서 사용 중에 고장 발생율이 매우 적어서 내구성이 높으며, 제작시에 사용목적과 사용조건에 맞추어 해당 규격별로 조사 범위의 설정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조사 범위 회동조작이 매우 용이한 장점들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장점들을 갖는 본 고안의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는 궁극적으로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의 실용성을 충분히 만족시켜서 고품질화하는 것이므로,종래에 제공된 선 고안들에 비하여 상품 구매력을 높여 판매량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내측으로 절곡된 좌우측 전후방 내측부재를 갖고 설치 구조물에 고정되는 사각형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내측부재 각각에서 전후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 돌출형으로 설치되는 원주형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 각각의 하부 반 원주면에 긴밀하게 외접되는 반 원호띠형 좌우측 전후방 하단접속편을 가지며, 상기 반 원호띠형 좌우측 전후방 하단접속편들의 상단부들로부터 좌우측 각각에서 서로 대응되는 전후방 하단접속편에 내접하는 전후방 안내봉들의 중심에 대한 원주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반 원호띠형 좌우측 전후방 하단접속편들과 반대 형태의 반 원호띠형 좌우측 전후방 상단 접속편들을 구비하는 원호형의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과;
    상기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을 좌우측 각각에서 전후방으로 지지하면서 램프지지대와 램프프레임과 램프갓의 좌우측단을 마감하는 좌우측 회동안내판들과;
    상기 좌우측 회동안내판들에 의하여 좌우측단이 마감 고정되고, 단면상 외주면의 형태가 상기 원호형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전후방 램프지지대들과;
    상기 좌우측 회동안내판들에 의하여 좌우측단이 마감 고정되고,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들과 전후방단이 고정되면서, 하단면에는 램프소켓 정착부가 확보되는판재의 램프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회동안내판들에 의하여 좌우측단이 마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들과 내측으로 다소 돌출된 전후방 조작대를 개재하여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전후방 램프지지대들의 중간부 또는 상기 램프프레임의 전후방 어느 일측과 고정되며, 단면상으로 상단부가 각각 내측으로 휘어지는 전후방 원호형 반사갓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내측부재에 고정된 고정볼트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우측 내측부재에 대하여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탄력구조로 장착되면서 회전식으로 장치되는 회전캡을 구비한 회전형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의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에는, 상기 반 원호띠형의 좌우측 전후방 하단접속편들과 원호형 좌우측 전후방 중간회동부들 간의 접속부 어느 일측에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의 외주면 일부를 일정 탄력으로 구속하는좌우측 전후방 스토퍼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과 원호형의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에는, 회동각도 스텝제어수단으로서 원호형의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바닥면에 대하여 좌우측 전후방 하단접속편의 중심부와 좌우측 전후방 상단접속편들의 중심부에 각각 일정 크기의 스텝요홈들을 형성하고, 원호형 좌우측 전후방 중간회동부들의 중간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중간 스텝요홈들을 형성하며;
    상기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의 구성에는,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들의 내측 선단부 중심부에 상기 스텝요홈들에 접속되는 스텝돌기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회동각도 스텝제어수단의 일 구성요소인 상기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의 구성은, 고정프레임(30)의 좌우측 내측프레임(31)(32)들에 대하여 각각 고정나사(35)로 회전형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40e)들을 고정하고, 이 회전형 좌우측 전후방 안내봉(40e)들의 내측 선단부 측으로는 링홈형의 스프링시이트(44)를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시이트(44)에 코일스프링(45)을 장치하여 회전캡(46a)을 탄력있게 장착하며, 상기 회전캡(46a)의 선단 중심부에 상기 원호형의 좌우측 전후방 회동편들의 바닥면에 형성한 스텝요홈들에 접속하는 스텝돌기(47a)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KR20-2004-0027841U 2004-09-30 2004-09-30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KR200370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841U KR200370069Y1 (ko) 2004-09-30 2004-09-30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841U KR200370069Y1 (ko) 2004-09-30 2004-09-30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069Y1 true KR200370069Y1 (ko) 2004-12-10

Family

ID=4935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841U KR200370069Y1 (ko) 2004-09-30 2004-09-30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0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475B1 (ko) 2007-01-18 2008-10-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식 램프 장치
CN108105627A (zh) * 2018-01-18 2018-06-01 湖南粤港模科实业有限公司 可调节光照宽度和/或角度的led灯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475B1 (ko) 2007-01-18 2008-10-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식 램프 장치
CN108105627A (zh) * 2018-01-18 2018-06-01 湖南粤港模科实业有限公司 可调节光照宽度和/或角度的led灯具
CN108105627B (zh) * 2018-01-18 2024-04-09 湖南粤港模科实业有限公司 可调节光照宽度和/或角度的led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085B2 (en) Compact task ambient luminaire with twin tube lamp
JP2649423B2 (ja) 可変ビーム幅舞台灯
US6076943A (en) Luminaire
US6883935B2 (en) Quick connect reflector holder
US6206548B1 (en) Luminaire module having multiple rotatably adjustable reflectors
US4872098A (en) Variable beam floodlight
US20100149822A1 (en) Hot Aimable Lamp Assembly with Memory for Adjustable Recessed Light
JP4654166B2 (ja) 埋込型照明器具
CA2010524A1 (en) Adjustable reflector attachment
KR200370069Y1 (ko)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KR101831898B1 (ko) 조명위치조정이 가능한 실내용 엘이디등기구
KR20060029100A (ko)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CN107667246B (zh) 固态照明装置
JP5749863B1 (ja) フラップ式ledランプ
JPS5822841B2 (ja) 照明器具
EP3240970B1 (en) Lighting apparatus
JP2010218919A (ja) スポットライト用アーム,スポットライト,及び天井埋込型スポットライトユニット
US7682046B2 (en) Light fixture with lamp adjustment assembly
CN112483958A (zh) 用于线性灯具的反射器模组及线性灯具
JP2009266545A (ja) 照明器具
CN211976684U (zh) 一种象鼻灯
JPH10326516A (ja) 蛍光灯用反射板組立
JP3936637B2 (ja) 蛍光灯スポットライト
CN218672006U (zh) 一种可调角度的射灯
KR101909005B1 (ko) 각도 조절가능한 매입형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