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978Y1 -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 Google Patents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978Y1
KR200369978Y1 KR20-2004-0026204U KR20040026204U KR200369978Y1 KR 200369978 Y1 KR200369978 Y1 KR 200369978Y1 KR 20040026204 U KR20040026204 U KR 20040026204U KR 200369978 Y1 KR200369978 Y1 KR 200369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house
paper
plastic
equal interv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영
박용렬
Original Assignee
박용렬
전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렬, 전기영 filed Critical 박용렬
Priority to KR20-2004-0026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978Y1/ko
Priority to PCT/KR2005/002975 priority patent/WO2006031033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비닐지(10)의 중간을 접어 상기 접힌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분리선(42)을 실링 처리하여 양측면에 다수의 분수공(4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관삽입부(40)를 형성하고 상기 분리선(42)으로부터 다시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접착선(52)을 실링 처리하여 측면에 다수의 지지공(5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합지부(50)로 이루어진 살수부(30)를 구성하여 상기 비닐지(10)를 비닐하우스의 프레임(70)에 덮어 상기 관삽입부(40)의 안쪽에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상의 지하수 공급용 농수관(20) 삽입 설치하되, 합지부(50)의 지지공(51)에 비닐지(10)의 고정을 위한 밴드끈(60)을 삽입하여 상기 밴드끈(60)의 양단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여 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하절기 비닐하우스 내부에서의 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농작물의 광합성작용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도록 일광이 충분히 투과됨은 물론이며, 동절기 쌓인 눈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여 나아가 농작물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Vinyl resin for vinyl house to formative layering waterproof}
본 고안은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부에서의 원활한 활동은 물론 비닐하우스용 비닐지에 파종된 농작물의 원활한 성장을 위한 수막 형성수단을 마련함으로서 계절에 관계없이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하절기에는 어느 정도의 양호한 보온력을 지니기 때문에 농가의 농작물 재배에 주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비닐하우스 경우 하절기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 내부에 열기가 축적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 내에서의 낮에는 농작물의 제반 관리에 신체적인 고통이 수반될 뿐 아니라 지속적인 작업이 어려움이 있다.
또한 흙먼지 등이 비닐하우스 표면에 쌓이게 되면 비닐하우스에 파종된 각종 농작물의 원활한 광합성작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농작물의 성장을 지연시키게 되며 병충해 발생이나 농작물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된다.
한편, 동절기의 경우에 있어서도 눈이 많이 내리게 되면 제거에 따르는 번거로움은 물론 상기 눈의 하중에 의해 비닐하우스가 변형되기도 하며 흙먼지와 같이비닐하우스의 표면에 쌓인 눈에 의해 농작물이 충분한 일광을 받지 못해 하절기보다 더욱 열악한 조건하에서 농작물이 재배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부에서의 원활한 활동은 물론 비닐하우스용 비닐지에 파종된 농작물의 원활한 성장을 위한 수막 형성수단을 마련함으로서 계절에 관계없이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비닐지의 중간을 접어 상기 접힌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분리선을 실링 처리하여 양측면에 다수의 분수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관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리선으로부터 다시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접착선을 실링 처리하여 측면에 다수의 지지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합지부로 이루어진 살수부를 구성하여 상기 비닐지를 비닐하우스의 프레임에 덮어 상기 관삽입부의 안쪽에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상의 지하수 공급용 농수관 삽입 설치하되, 합지부의 지지공에 비닐지의 고정을 위한 밴드끈을 삽입하여 상기 밴드끈의 양단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여 된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실시예로서, 상기 관삽입부를 이음매가 없는 원형의 관형태로 분리 형성하여 상기 이를 비닐지의 표면 중간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관삽입부의 양쪽에 합지선을 등간격으로 실링 처리하여 상기 실링 처리되지 아니한 부위에 비닐지 고정용 밴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살수부를 구성하되, 상기 비닐지를 비닐하우스의 프레임에 덮어 상기 관삽입부의 안쪽에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상의 지하수 공급용 농수관을 삽입 설치하는 한편, 관삽입부에 등간격으로 마련된 관통홀의 내측에 비닐지의 고정을 위한 밴드끈을 삽입하여 상기 밴드끈의 양단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여 된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정단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측면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요부 확대 발췌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이 이중구조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닐지 20 : 농수관
21 : 배출공 30 : 살수부
40 : 관삽입부 41 : 분수공
42 : 분리선 43 : 합지선
44 : 관통홀 50 : 합지부
51 : 지지공 52 : 접착선
60 : 밴드끈 70 : 프레임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비닐지(10)의 중간을 접어 상기 접힌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분리선(42)을 실링 처리하여 양측면에 다수의 분수공(4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관삽입부(40)를 형성하고 상기 분리선(42)으로부터 다시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접착선(52)을 실링 처리하여 측면에 다수의 지지공(5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합지부(50)로 이루어진 살수부(30)를 구성하여 상기 비닐지(10)를 비닐하우스의 프레임(70)에 덮어 상기 관삽입부(40)의 안쪽에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상의 지하수 공급용 농수관(20) 삽입 설치하되, 합지부(50)의 지지공(51)에 비닐지(10)의 고정을 위한 밴드끈(60)을 삽입하여 상기 밴드끈(60)의 양단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여 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상기 관삽입부(40)를 이음매가 없는 원형의 관형태로 분리 형성하여 상기 이를 비닐지(10)의 표면 중간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관삽입부(40)의 양쪽에 합지선(43)을 등간격으로 실링 처리하여 상기 실링 처리되지 아니한 부위에 비닐지(10) 고정용 밴드끈(60)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44)이 등간격으로형성된 살수부(30)를 구성하되, 상기 비닐지(10)를 비닐하우스의 프레임(70)에 덮어 상기 관삽입부(40)의 안쪽에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상의 지하수 공급용 농수관(20)을 삽입 설치하는 한편, 관삽입부(40)에 등간격으로 마련된 관통홀(44)의 내측에 비닐지(10)의 고정을 위한 밴드끈(60)을 삽입하여 상기 밴드끈(60)의 양단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여 된 다른실시예의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10)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부에서의 원활한 활동은 물론 비닐하우스용 비닐지(10)에 파종된 농작물의 원활한 생육조건을 충족시켜 주기 위한 수막 형성수단을 마련함으로서 계절에 관계없이 전천후 농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비닐지(10)의 중간을 접어 접힌부위의 바깥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분리선(42)과 접착선(52)을 실링 처리하여 각각의 관삽입부(40)와 합지부(50)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관삽입부(40)는 그 양측면에 농수관(20)의 배출공(21)을 통해 유출되는 지하수가 관삽입부(40)의 외측으로 분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직경의 분수공(41)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고 합지부(50)에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프레임(70)에 덮힌 상태로 설치되는 본 고안의 밴드끈(60)으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지지공(5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살수부(30)가 마련된 본 고안을 비닐하우스 프레임(70)의 중간에 살수부(30)가 위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비닐지(10)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비닐지(10)의 관삽입부(40)에 펌프(도시않됨)와 연결된 지하수 공급용 농수관(20)을 삽입한 후 합지부(5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각 지지공(51)에 밴드끈(60)을 삽입하여 상기 밴드끈(60)의 양단을 지면에 말목 등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펌프를 가동하여 농수관(20)으로 지하수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지하수가 농수관(20)에 형성된 배출공(21)을 통해 유출되면서 관삽입부(4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분수공(41)을 통해 지하수가 비닐지(10)의 양쪽 표면으로 분사되어 하절기시 비닐하우스 내부의 축적된 열기를 자연스럽게 냉각시켜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기를 낮추어 줌에 따라 쾌적한 상태에서 비닐하우스 내부의 제반 관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원활한 광합성작용에 저해가 되는 흙먼지 등도 상기 살수작용과 함께 비닐지(10)의 양측으로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낙하함으로써 일광의 투과을 양호히 하게 되어 농작물의 생육을 활발히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절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쌓인 눈에 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는 상온의 지하수를 공급하게 되면 비닐하우스에 쌓인 눈 또한 별도의 제거작업 없이 살수와 동시에 자연스럽게 녹아 내림에 따라 일광의 공급을 짭은 동절기에도 하절기와 같이 농작물의 생육을 활발히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서와 같은 살수부(30) 구조는 본 고안에서와 같이 비닐지(10)에 일체로 실링 처리하지 아니하고 이를 분리 구성하여 그 양측을 합지선(43)에 의해 등간격으로 실링 처리하여 고정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비닐지(10)는 관삽입부(40)의 내측에 지하수 공급용 농수관(20)이 삽입되는 것을 본 고안에서와 같은나 밴드끈(60)을 이용한 고정방식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합지선(43) 사이사이에 마련된 관통홀(44)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다르다.
이역시 전술한 본 고안에서와 같이 관삽입부(40)에 삽입된 농수관(20)을 통해 공급된 지하수가 관삽입부(4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수공(41)을 통해 비닐하우스의 외부로 분출되어 얇은 수막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살수구에 의한 작용은 전술한 본 고안에 서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경우에 따라서 살수부(30) 구조를 갖춘 비닐지(10)를 도 9에서와 같이 2중구조로 설치하여 비닐하우스에 파종된 농작물 생육환경을 단계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절기 비닐하우스 내부에서의 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농작물의 광합성작용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도록 일광이 충분히 투과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며 동절기 쌓인 눈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여 나아가 농작물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하절기 비닐하우스 내부에서의 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농작물의 광합성작용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도록 일광이 충분히 투과됨은 물론이며, 동절기 쌓인 눈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여 나아가 농작물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비닐하우스용 비닐지(10)의 중간을 접어 상기 접힌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분리선(42)을 실링 처리하여 양측면에 다수의 분수공(4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관삽입부(40)를 형성하고 상기 분리선(42)으로부터 다시 일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접착선(52)을 실링 처리하여 측면에 다수의 지지공(5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합지부(50)로 이루어진 살수부(30)를 구성하여 상기 비닐지(10)를 비닐하우스의 프레임(70)에 덮어 상기 관삽입부(40)의 안쪽에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상의 지하수 공급용 농수관(20) 삽입 설치하되, 합지부(50)의 지지공(51)에 비닐지(10)의 고정을 위한 밴드끈(60)을 삽입하여 상기 밴드끈(60)의 양단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30)는 관삽입부(40)를 이음매가 없는 원형의 관형태로 분리 형성하여 상기 이를 비닐지(10)의 표면 중간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관삽입부(40)의 양쪽에 합지선(43)을 등간격으로 실링 처리하여 상기 실링 처리되지 아니한 부위에 비닐지(10) 고정용 밴드끈(60)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44)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살수부(30) 구조를 갖춘 비닐지(10)를 2중구조로 설치하여 비닐하우스에 파종된 농작물 생육환경을 단계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KR20-2004-0026204U 2004-09-13 2004-09-13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KR200369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204U KR200369978Y1 (ko) 2004-09-13 2004-09-13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PCT/KR2005/002975 WO2006031033A1 (en) 2004-09-13 2005-09-08 Vinyl resin for vinyl house to formative layering waterpro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204U KR200369978Y1 (ko) 2004-09-13 2004-09-13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930A Division KR100577350B1 (ko) 2004-09-13 2004-09-13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978Y1 true KR200369978Y1 (ko) 2004-12-09

Family

ID=3606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204U KR200369978Y1 (ko) 2004-09-13 2004-09-13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69978Y1 (ko)
WO (1) WO20060310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382B1 (ko) * 2014-05-09 2014-10-10 강형원 비닐하우스의 서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3457B (zh) * 2012-08-21 2013-08-14 河南科技大学 一种仿河蚌耐压型低矮温室骨架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850U (ja) * 1983-08-17 1985-03-08 誠和化学株式会社 温室の冷却構造
US5001859A (en) * 1986-12-30 1991-03-26 Sprung Philip D Method and structure for environmental control of plant growth
JP2000245267A (ja) * 1999-03-03 2000-09-12 Yamamoto Co Ltd 連棟型温室・ハウスにおける融雪用の散水装置
KR100367648B1 (ko) * 2000-10-16 2003-01-10 윤건모 환기 및 단열수단을 구비한 농작물 재배사
KR20020096091A (ko) * 2001-06-16 2002-12-31 김창헌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003926A (ko) * 2002-07-04 2004-01-13 반채연 공기와 물 겸용 온실 필름
KR200324538Y1 (ko) * 2003-05-06 2003-08-25 정인선 온실용 물 확산날개를 갖는 분사호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382B1 (ko) * 2014-05-09 2014-10-10 강형원 비닐하우스의 서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1033A1 (en)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07878B (zh) 农业大棚及大棚种植方法
US7392614B2 (en) Reinforced unitized mat to facilitate growing plants
KR101099503B1 (ko) 농업용 멀칭필름
US8726565B2 (en) Sheet mulch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drip irrigation system
KR101672044B1 (ko) 탄성 보강부재가 구비된 경작용 멀칭필름 및 시공방법
KR200392496Y1 (ko) 비닐하우스용 살수호스 설치구조
KR200369978Y1 (ko)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KR100577350B1 (ko) 수막 형성을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지
JP2009261337A (ja) 栽培用ハウス
US20110299928A1 (en) Irrigation System using Plastic Film Applied to Cultivated Furrows to Capture Rain Water or Water from Irrigation Systems that Simulate Rain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0525679B1 (ko) 비닐하우스용 살수관 및 살수관 설치방법
JP2006254847A (ja) 農業用被覆シート
KR101522248B1 (ko) 농업용 펼침 날개형 멀칭시트
JP2004166571A (ja) 高畝隔離ベッド
JP3121897U (ja) 作物育成枠
KR20130002962U (ko) 통수구가 구비된 농업용 멀칭 필름
KR940001707Y1 (ko) 잔디 재배상자를 이용한 잔디밭 구조
KR102256646B1 (ko) 잡초 생장 억제 구조물
KR102576067B1 (ko) 다용도 농사틀
JP2005245264A (ja) 養液土耕栽培用プランター
KR20080003531U (ko) 배수멀칭필름
KR20110004991A (ko) 비닐하우스용 살수 호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43220Y1 (ko) 급수장치가 설치된 식물재배용 조립식 덮개
JP3043685U (ja) プランター畑
JP4480629B2 (ja) 植栽シート及び植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