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806Y1 -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 Google Patents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806Y1
KR200369806Y1 KR20-2004-0025472U KR20040025472U KR200369806Y1 KR 200369806 Y1 KR200369806 Y1 KR 200369806Y1 KR 20040025472 U KR20040025472 U KR 20040025472U KR 200369806 Y1 KR200369806 Y1 KR 200369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haft
loft angle
neck
golf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쉐신이
Original Assignee
쉐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신이 filed Critical 쉐신이
Priority to KR20-2004-0025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6Head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클럽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와 헤드의 결합 부위에 조정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조정기구는 대략 헤드 넥에 장형의 조정구를 형성하고 샤프트를 핀으로 장형의 조정구 내에 축결합하여 고정하여, 샤프트를 좌우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샤프트는 그 위에 결합되는 고정링과 헤드 넥 간의 요철 결합형태로 장형 조정구 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클럽헤드의 페이스의 로프트각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스윙동작 중에 장애물을 재빠르게 피하여 필요한 고저 비행포물선로를 순조롭게 쳐낼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Golf club of which the head loft angle is adjustable}
본 고안은 골프클럽헤드의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와 헤드의 결합부위에 조정기구를 설치하여 클럽 헤드 페이스의 로프트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스윙동작 중에 장애물을 신속히 피하여 필요한 고저 비행포물선로를 순조롭게 쳐낼 수 있게 하는 골프클럽에 관한 것이다.
도1, 2는 종래의 골프클럽의 구조 설명도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프클럽 구조는 대략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헤드(10)의 형태가 만들어 질 때 근단 직각방향으로 하나의 넥(11)이 연장되는데, 각 헤드(10)는 그 해당 번호에 따라 페이스(12)와 넥(11) 사이에 각기 다른 로프트각(R)을 갖는다. 넥(11)에는 나사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14)의 말단은 호젤(15)을 통하여 넥(11)의 나사홀(13)에 삽입 결합된다. 샤프트(14)가 직접 헤드(10)의 넥(11)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다른 번호의 클럽은 샤프트 길이와 무게 중심이 다를 뿐 아니라, 헤드(10)의 페이스(12)와 샤프트(14) 사이에 모두 다른 로프트각을 갖는다. 간단히 말해, 헤드(10)의 페이스(12)와 샤프트(14) 사이의 로프트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은 공을 상대적으로 낮은 비행포물선로로 쳐내고, 헤드(10)의 페이스(12)와 샤프트(14) 사이의 로프트각이 상대적으로 큰 것은 공을 상대적으로 높은 비행포물선로로 쳐낸다. 일반 골퍼들의 골프백에는 3, 4, 5, 6, 7, 8, 9, P, S번 9개의 아이언과 1, 3, 5번 3개의 우드를 수납하고 있어 각 클럽의 특성에 따라 다른 비행포물선과 거리를 쳐낼 수 있다. 가장 작은 번호의 클럽으로 공을 정확히 그린에 보낼 수 있는데, 사실상 골퍼들이 바쁘게 18개의 홀에 퍼팅하는 과정 중, 어떤 때는 공의 낙하점 파악이 나빠 공이 장애물(일반적으로 큰 나무) 후방에 떨어져 공과 그린 사이를 막게 될 때, 숙련된 타격기술을 가진 플레이어는 자세를 바꾸고 긴(번호가 비교적 작은) 아이언의 페이스 타격 각도를 크게하여 높은 포물선로를 쳐내어 공이 쉽게 장애물 위를 날아 곤경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다. 혹은, 자세를 바꾸고 짧은(번호가 큰) 아이언의 페이스 타격 각도를 작게 바꿔 낮은 포물선로를 쳐내 공이 쉽게 장애물 아래로 지나가도록 하여 곤경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이 바라던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게끔 한다. 여기까지의 서술로 알 수 있는 것은 헤드(10)의 페이스(12)와 샤프트(14) 간의 로프트각의 대소는 공이 퍼팅된 후의 고저 비행포물선로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클럽의 헤드(10)와 샤프트(14) 사이에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기능을 구비하면, 타격기술이 비교적 숙련되지 않은 플레이어에게 곤경에서 벗어날 수 있는 타격의 재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골프클럽 헤드의 페이스와 샤프트 간의 로프트각은 형태가 형성되어 조립될 때에 이미 결정되기 때문에 기술이 비교적 덜 숙련된 플레이어가 사용하기가 어렵고, 곤경에 처했을 때, 공을 쳐서 곤경을 뛰어넘거나 통과하려 할 때 요구되는 고저 비행포물선로를 하나의 길이(번호)의 클럽으로는 수행할 수 없다. 본 고안자는 이런 요구를 감안하여 수년간 골프클럽 제작에 종사하여 축적된 경험과 다각도의 관찰을 통한 시험 작업과 개선을 통해 마침내 본 고안 골프클럽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탄생시킬 수 있게 되었다.
도1은 종래의 골프클럽의 분해 외관도이다.
도2는 종래의 골프클럽의 조합 외관도이다.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의 분해 외관도이다.
도3b와 도3c는 고정관(30)의 상세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조립도로서, 상대적으로 작은 로프트각의 조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5는 도4의 1-1 방향 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조립도로서, 상대적으로 큰 로프트각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7은 도6의 2-2 방향 단면도이다.
<도면번호의 설명>
10헤드 11넥 12페이스 13나사홀 14샤프트 15호젤 20헤드 21넥 22페이스 23장형 조정구 24제어홈 25이음홀 26핀 30고정관 31포지션링 32돌기 40고정링 41나사이음홀 50샤프트 51그립 52이음홀 53나사부
본 고안의 요지는, 헤드의 넥에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뒤집어 놓은 원뿔모양의 장형 조정구를 설치하고, 샤프트 말단에는 고정링과 포지션링을 나사이음으로 연결 및 결합하여 장형 조정구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핀을 이용해 샤프트를 헤드 넥 내부에 축결합하여 고정한다. 샤프트를 장형 조정구 내에서 핀을 중심으로 좌우 움직임으로써 헤드의 페이스와 샤프트 간의 로프트각 변이를 조정할 수 있다. 로프트각 변이를 조정한 후에는 포지션링과 고정링을 통해 샤프트가 헤드의 넥 내부에 포지션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본 고안의 기술내용, 특징 및 기능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시예를 들고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3a는 본 고안의 분해 외관도이다. 본 고안의 골프클럽헤드의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는 크게 하나의 헤드(20), 고정관(30), 고정링(40) 및 샤프트(50)로 구성된다.
그 중, 헤드(20)는 종래의 기술과 같이 형태가 형성될 때 직각방향으로 넥(21)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각 헤드(20)는 해당 번호에 따라 그 페이스(22)와 넥(21) 간에 각각 미리 설정된 로프트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는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뒤집어 놓은 원뿔대 형상이며 그 횡단면은 장원 형상을 하고 있는 장형 조정구(23)가 설치되고(도4 및 도6의 "23" 참조), 이 장형 조정구(23)의 상부 입구 가장자리의 내벽에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수 개의 제어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제어홈(24)은 장형 조정구의 좌측을 이루는 원 및 우측을 이루는 원 각각에 대칭적으로 2세트가 형성된다. 도5와 도7을 참조하면 이 2세트의 제어홈(24)이 각각 일측 원의 주위에 세 개씩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넥(21)에는 장형 조정구(23)의 바닥 부근에 위치하여 넥을 관통하는 이음홀(25)이 형성되어있다. 핀(26)을 이용해 샤프트(50)를 장형 조정구(23) 내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고정관(30)은 상기 장형 조정구(23)의 상부와 샤프트(50) 및 고정링(40)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3의 예에서, 하부는 장형 조정구(23)의 입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부는 고정링(40)의 하단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고정관(30)의 내부에는 종방향으로 포지션링(31)이 삽입된다(도3b 참조). 포지션링(31)의 내경은 샤프트(50) 말단의 외경과 동일하다. 고정관(30)의 바닥 단면형태는 헤드(20)의 넥(21)의 상면 형태(즉 장형 조정구(23)의 형상)와 동일한 형태로 설계하였다. 고정관(30)의 바닥 단면은 포지션링(3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데 포지션링의 하단에는 세 개의 돌기(32)가 앞서 설명한 제어홈(24)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고정링(40)은 그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 나사이음홀(41)을 포함한다.샤프트(50)는 종래의 기술과 같이 꼭대기에 그립(51)이 연결되고, 아래단에는 이음홀(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음홀(52) 위쪽의 소정 높이에는 소정 폭의 나사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조립 및 로프트각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인 도4와 도6을 참조하면, 먼저 고정링(40)을 나사이음홀(41)로 샤프트(50)의 나사부(53) 위에 나사이음하고, 고정관(30)은 포지션링(31)으로 샤프트(50) 말단에 연결해 고정링(40)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둔다. 샤프트(50)는 말단을 헤드(20)의 넥(21)의 장형 조정구(23) 내에 삽입하고,핀(26)을 이용하여 헤드(20)의 넥(21)에 형성된 이음홀(25)을 관통 및 샤프트(50)의 이음홀(52)을 통과시켜 샤프트(50)와 헤드(20)를 상호 고정해 축결합한다. 이에 따라 샤프트(50)는 핀(26)을 축 삼아 넥(21)의 장형 조정구(23) 내에서 좌우 움직이게 되므로 헤드(20)의 페이스(22)와 샤프트(50) 간의 로프트각(R)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4와 도5의 상태는 샤프트(50)는 헤드(20)의 넥(21)의 장형 조정구(23)의 좌측에 위치하여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샤프트(50)와 헤드(20) 페이스(22) 간의 로프트각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고정관(30)의 바닥면을 헤드(20)의 넥(21)의 상부면에 접촉시키고, 포지션링(31)의 하면 주변에 배치된 돌기(32)를 장형 조정구(23) 입구의 가장자리 좌반부에 형성된 제어홈(24) 내에 삽입한다(도5 참조). 그리고나서 고정링(40)을 샤프트(50) 나사부(53)의 아래쪽으로 죄어 고정관(30)의 상단부를 눌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샤프트(50)를 고정하여 장형 조정구(23) 내의 좌측 위치에 영구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도6과 도7은 헤드(20)의 페이스(22)와 샤프트(50) 간에 상대적으로 큰 로프트각이 형성되도록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먼저 샤프트(50) 나사부(53) 위에서 고정링(40)을 위쪽으로 돌려서 고정관(30)이 위쪽으로 공간을 미끄러져 이동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정관(30)의 아랫면에 배치된 돌기(32)를 장형 조정구(23)의 제어홈(24)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샤프트(50)를 핀(26)을 축삼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고정관(30)을 다시 아랫면으로 눌러 헤드(20)의 넥(21) 상단에 결합시킨다. 포지션링(31)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돌기(32)를 장형 조정구(23)의 우반부에 형성된 제어홈(24) 내에 삽입하고(도7 참조), 고정링(40)을 샤프트(50)의 나사부(53)의 아래쪽으로 죄어 고정관(30)의 상단면을 눌러 고정한다. 이로써 샤프트(50)를 고정하여 장형 조정구(23)의 우측 위치에 영구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는, 간편하게 클럽헤드의 페이스의 로프트각을 크거나 작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길거나 짧은 클럽 모두 장애물을 재빠르게 피하는데 필요한 고저의 비행포물선로로 순조롭게 쳐낼 수 있게 한다.위에서 제시한 도면과 설명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고안 정신의 범주에서 수식하거나 등가의 변화에 의거하여(예를 들어, 장형 조정구의 형태변화 혹은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어홈 수량의 다소, 혹은 제어홈과 고정관 돌기 사이의 결합형태의 변화 등), 본 고안에 제한을 가하지 않고 그대로 본안의청구범위에 포함된다. 가령, 샤프트가 장형 조정구 내에 위치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서 헤드의 넥과 고정관의 결합을 제어홈과 돌기 형태 이외의 임의의 요철 결합형태로 할 수도 있고, 헤드의 넥에 형성된 장형 조정구의 형태를 장원형이 아닌 긴 활모양으로 형성하여 샤프트가 움직이는 범위를 넓힘으로써 헤드의 페이스와 샤프트 사이의 로프트각의 변이 범위를 크게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클럽 헤드의 로프트각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골퍼가 원하는 로프트각을 선택하여 조절가능하므로, 숙련되지 않은 플레이어라 하더라도 곤경에 처하여 공을 쳐서 곤경을 뛰어넘거나 통과하려 할 때 요구되는 고저 비행포물선로를 하나의 클럽으로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헤드(10), 고정관(30), 고정링(40), 샤프트(14)를 포함하는,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10)는, 직각방향으로 하나의 넥(11)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넥(11)의 내부에 형성되며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뒤집어 놓은 원뿔대 형상을 이루며 그 횡단면은 장원 형상을 하고 있는 장형 조정구(23)와, 상기 장형 조정구(23) 입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으로서, 장형 조정구(23)의 좌측 원부 및 우측 원부의 각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어홈(24)과, 상기 장형 조정구(23)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넥(11)을 관통하는 이음홀(25)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30)은, 아랫면 형태는 상기 헤드(10)의 넥(11) 상부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갖고 내부에는 종방향으로 포지션링(31)이 삽입되는데, 이 포지션링(31)의 하부에는 상기 헤드(10)의 장형 조정구(23)에 형성된 제어홈(24)과 대응하는 위치와 개수로 돌기(32)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40)은,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 나사이음홀(41)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14)는 아랫단에 이음홀(25)이 형성되어 있고, 이음홀(25) 위쪽의 소정 높이에 나사부(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링(40)은 나사이음홀(41)로 상기 샤프트(14)의 나사부(53)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관(30)의 포지션링(31)은 샤프트(14) 아랫단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하여 고정링(4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14)의 말단을 상기 헤드(10)의 넥(11)의 장형 조정구(23) 내에 삽입하고 핀으로 상기 이음홀(52)을 관통하게 하여 회전가능하게 축결합함으로써, 샤프트(14)를 핀을 중심으로 좌우로 움직여 헤드(10)와 이루는 로프트각을 변환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관(30)을 샤프트(14) 위에서 아랫면으로 돌려 포지션링(31) 하단면에 형성된 돌기(32)를 장형 조정구(23)의 제어홈(24)에 대응 결합하고, 고정링(40)을 통해 고정관(30) 위쪽을 눌러 고정하고 상기 고정관(30)으로 샤프트(14)와 헤드(10)를 고정하여 로프트각 조정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30)의 아랫면 형상은 상기 헤드(10)의 넥(11)의 상부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샤프트(14)를 움직여 헤드(10)와의 로프트각 조정을 완료하였을 때, 고정관(30)을 샤프트(14) 위에서 아래쪽으로 돌려 헤드(10) 넥(11)에 형성된 장형 조정구(23) 전체를 덮어서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 조정구(23)의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어홈(24)의 형태와 상기 고정관(30)에 형성된 돌기(32)의 형태는 상호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관(30)이 확실하게 샤프트(14)와 헤드(10)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0)의 넥(11)과 고정관(30)은 요철 결합형태로서 샤프트(14)가 장형 조정구(23) 내에 위치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0)의 넥(11)에 형성된 장형 조정구(23)의 형태는 긴 활모양으로 형성되어 헤드(10)의 페이스와 샤프트(14) 사이의 로프트각의 조정 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KR20-2004-0025472U 2004-09-06 2004-09-06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KR200369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72U KR200369806Y1 (ko) 2004-09-06 2004-09-06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72U KR200369806Y1 (ko) 2004-09-06 2004-09-06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806Y1 true KR200369806Y1 (ko) 2004-12-14

Family

ID=4944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472U KR200369806Y1 (ko) 2004-09-06 2004-09-06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80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43B1 (ko) 2005-02-14 2006-09-25 주식회사 나인앤나인 로프트 각도가 조절되는 골프채 헤드
KR101644404B1 (ko) * 2015-05-14 2016-08-01 주식회사 먼셀 로프트각과 샤프트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골프 클럽
KR20200037966A (ko)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히로마쓰모토 퍼팅시 골프공이 클럽헤드의 무게중심에 자연스럽게 맞도록 설계된 골프 클럽
KR20220050413A (ko) 2020-10-16 2022-04-25 (주)히로마쓰모토 퍼팅시 골프공이 클럽헤드의 무게중심에 자연스럽게 맞도록 설계된 골프 클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43B1 (ko) 2005-02-14 2006-09-25 주식회사 나인앤나인 로프트 각도가 조절되는 골프채 헤드
KR101644404B1 (ko) * 2015-05-14 2016-08-01 주식회사 먼셀 로프트각과 샤프트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골프 클럽
KR20200037966A (ko)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히로마쓰모토 퍼팅시 골프공이 클럽헤드의 무게중심에 자연스럽게 맞도록 설계된 골프 클럽
KR20220050413A (ko) 2020-10-16 2022-04-25 (주)히로마쓰모토 퍼팅시 골프공이 클럽헤드의 무게중심에 자연스럽게 맞도록 설계된 골프 클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3622B1 (en)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tilt mechanism
US9079077B2 (en) Adjustable putter head assembly
KR101097565B1 (ko) 골프 클럽 헤드 및 샤프트를 위한 해제 가능하고 상호 교환 가능한 연결부
US7291073B2 (en) Golf club head having a variable loft angle
US5839973A (en) Golf club head with enlarged hosel
US7608003B1 (en) Game ball
JP3109501U (ja) 重量調整が可能な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1120958A (ja) 一体化されたパターシステム
KR20100021668A (ko) 골프 클럽 헤드 및 샤프트를 위한 해제 가능하고 상호 교환 가능한 연결부
KR20100020024A (ko) 클럽 헤드와 샤프트를 위한 분리 및 교체 가능 연결구
KR20140001772A (ko) 골프 클럽
KR200369806Y1 (ko) 헤드 로프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클럽
EP1894607B1 (en) Golf tee set
US6942583B2 (en) Golf tee
US7431659B2 (en) Golf club head
US20090137337A1 (en) Golf putter with an adjustable handle and a shaft that rotats about the handl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TWI693956B (zh) 可調整擊球面角度之高爾夫球桿
US7104898B1 (en) Golf putter training device and method
JP7069035B2 (ja) ゴルフパッティング器具
JP2008518654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角度調節器
US20170197131A1 (en) Sports training device
KR102113916B1 (ko) 야구 배트
TWI677368B (zh) 高爾夫球桿
TWM555237U (zh) 高爾夫球桿的桿頭
TWM588561U (zh) 可調整擊球面角度之高爾夫球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