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630Y1 -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 Google Patents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630Y1
KR200369630Y1 KR20-2004-0024721U KR20040024721U KR200369630Y1 KR 200369630 Y1 KR200369630 Y1 KR 200369630Y1 KR 20040024721 U KR20040024721 U KR 20040024721U KR 200369630 Y1 KR200369630 Y1 KR 200369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vibration
dumbbell
vibrating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요석
Original Assignee
최요석
정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요석, 정정구 filed Critical 최요석
Priority to KR20-2004-0024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6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2Fluids, e.g.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이 개시되어 있다.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은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하여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 아령부와; 그 주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주입구 덥개부; 및 일측이 액체 수용 아령부와 결합되며, 내부에 진동회로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운동 시에 미세하고 부드러운 진동 발생을 통한 근육수축을 통하여 운동 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진동 기능을 통한 근육의 긴장 완화, 근육 통증 완화 등의 다각적인 효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Vibration Dumbbell Containing Liquid}
본 고안은 진동 기능을 구비하여 운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신체적인 미를 추구하려는 경향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조깅, 요가 및 웨이트트레이닝 등과 같은 운동들이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들 중, 웨이트트레이닝은 근육 향상을 통하여 신체의 각 부위를 균형감 있고 세련된 형태로 가꾸기 위한 운동으로서, 이 웨이트트레이닝에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운동 기구가 바로 아령이다.
이 아령은, 통상 일정한 중량을 가지며 파지가 용이하도록 일측에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그 손잡이 부분을 파지하고 상하, 좌우 및 전후 등으로 움직임으로써 아령이 가지는 고유한 중량에 의하여 소정의 운동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익한 기구이다.
그러나, 이러한 아령은 자체가 가지는 무거운 중량 때문에 이동 및 휴대가 어려운 단점을 가졌기 때문에, 본 출원인은 액체를 충전하여 아령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액체 수용 용기(한국실용신안등록 제 20-150482)를 출원하였으며, 이를 개량하여 토르말린 물질을 수용부 또는 손잡이부에 포함하도록 하여 건강 증진 효과를 높인 액체 수용 아령(출원번호 제 20-2004011988)을 출원하였다.
그런데, 아령의 중량만을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것은 그 운동량 및 효과의 측면에서 단순하고 운동량의 극대화도 어렵기 때문에, 아령을 이용한 운동 수행 시에 아령의 중량에 의한 운동 효과와 더불어 복합적인 다른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더욱 이상적인 경우가 될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배경에서 창안된 것으로, 진동 모터가 구비된 진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아령을 이용한 운동 시에 진동을 통한 운동 효과의 극대화와 진동 기능을 통한 근육의 긴장 완화 등의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의 분해 형상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진동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액체 수용 아령부 110 : 상부 수용부
111 : 암나사결합부 112 : 주입구
120 : 하부 수용부 121 : 암나사결합부
130 : 손잡이부 140 : 방사시트
200 : 주입구 덥개부 210 : 암나사
211 : 패드 300 : 진동부
310 : 암나사 314 : 동작 스위치
315 : 배터리 삽입/인출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은,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하여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 아령부와; 그 주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주입구 덥개부; 및 일측이 액체 수용 아령부와 결합되며, 내부에 진동회로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액체 수용 아령부는, 일측에 주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상부 수용부와; 그 상부 수용부와 균등한 액체 수용 용량을 갖는 하부 수용부; 및 상부 수용부와 하부 수용부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며, 진동부는 상부 수용부 및 하부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 수용부의 상면 일측에는 주입구 덥개부와 결합가능 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단부에 주입구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암나사결합부가 연장 형성되고, 주입구 덥개부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암나사결합부에 치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때, 암나사의 단부에는 기밀성을 유지를 위한 패드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수용부의 하면 일측에는 진동부가 결합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원통형의 암나사결합부가 연장 형성되며, 진동부의 상면 일측에는 암나사결합부에 치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진동부 내에 설치되는 진동회로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로 구성되며, 진동부의 일측에는 진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동작 스위치가 설치되고, 진동부의 타측에는 상기 배터리를 내부로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배터리 삽입/인출부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도면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이해의 편의를 돕도록 하였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의 형상을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의 분해 형상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은 액체 수용 야령부(100), 주입구 덥개부(200) 및 진동부(300)로 구성된다.
액체 수용 아령부(100)는 균등한 액체 수용 용량을 갖는 거의 원통 형상의 한 쌍의 수용부(110, 120) 즉, 상부 수용부(110) 및 하부 수용부(120)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두 수용부(110, 120)는 파지가 가능하도록 비교적 작은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130)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때, 상부 수용부(110)의 상면 일측에는 주입구 덥개부(200)와 결합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원통형의 암나사결합부(111)가 연장 형성되며, 그 암나사결합부(111)의 단부에는 상부 수용부(110)의 내부로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1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부 수용부(120)의 하면 일측에는 진동부(300)와 연결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암나사결합부(121)가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부 수용부(110)에 형성된 암나사결합부(111) 및 하부 수용부(120)에 형성된 암나사결합부(121)는 주입구 덥개부(200) 및 진동부(300)와 상호 결합이 용이하도록, 도 2와 같이 상부 수용부(110)와 하부 수용부(120)의 중심부분에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손잡이부(130)는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부 수용부(110)의 하면 중심및 하부 수용부(120)의 상면 중심에 연결되며, 양측 수용부(110, 120)를 상호 연통시킴으로써 주입구(112)를 통하여 상부 수용부(110)로 주입되는 액체가 하부 수용부(120)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한 쌍의 수용부(110, 120) 및 손잡이부(130)로 구성되는 액체 수용 아령부는 경량의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하며, 인체에 유익한 토르말린 물질이 그 주재료로 첨가되어 일체로 성형되거나, 수용부(110, 120) 및 손잡이부(130)에 코팅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의 외주면에는 파지가 용이하고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방사시트(140)가 벨크로, 스탭 등을 통해서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 방사시트(140)의 재질에도 토르말린 물질이 함유된다.
한편, 진동부(300)는 상면이 평탄하고 하면은 구형을 이루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수용부(12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결합부(121)에 치합되도록 암나사(310)가 형성되어 하부 수용부(120)에 결합된다.
진동부(300)의 내부에는 진동을 일으키기 위한 진동회로가 설치된다. 도 3은 진동부(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로서, 진동회로(320)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21) 및 그 배터리(3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322)로 구성된다. 이때, 진동 모터(322)는 분당 약 3000번의 진동을 수행하는 모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진동부(300)의 일측에는 내부에 설치된 진동 모터(322)로 전달되는 직류 전원을 연결/차단시킴으로써 진동 모터(322)를 온(On)/오프(Off)시키는 동작 스위치(314)가 설치되며, 또한 내부에 배터리(321)를 삽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배터리 삽입/인출부(3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입구 덥개부(200)는 하부 수용부(120)에 결합되는 진동부(300)와의 균형을 위해서 진동부(300)와 동일한 형상 및 중량으로 형성된다. 즉, 하면이 평탄하고 상면은 구형을 이루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부 수용부(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결합부(111)에 치합되도록 암나사(210)가 형성되어 상부 수용부(110)와 결합된다. 이때, 암나사(210)의 단부에는 내부에 주입된 액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패드(211)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진동부(300) 및 주입구 덥개부(200)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310, 210)는 하부 수용부(120) 및 상부 수용부(110)의 암나사결합부(121, 11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진동부(300)와 주입구 덥개부(200)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액체 수용 아령부(100)의 상부 수용부(110)에 형성된 암나사결합부(111)에 주입구 덥개부(200)의 암나사(210)가 결합됨으로써 상부 수용부(110) 및 주입구 덥개부(200)가 상호 연결되며, 암나사(210)의 단부에 마련된 패드(211)에 의하여 내부 액체의 기밀성이 보장되고 있다.
또한, 하부 수용부(120)에 형성된 암나사결합부(121)에 진동부의(300) 암나사(310)가 결합됨으로써 하부 수용부(120) 및 진동부(300)가 상호 연결되며, 진동부(300)의 내부에는 진동 모터(322)와 배터리(32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진동 모터(322)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스위치(314)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부 수용부(110)와 주입구 덥개부(200)를 해체하여 상부 수용부(110)에 마련된 주입구(112)로 물 등의 액체를 주입한 뒤, 주입구 덥개부(200)를 결합하고, 진동부(300)의 동작 스위치(314)를 온(On)시키면 진동부(300)에서 진동이 발생하여 운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러한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을 통하여 진동이 발생시킨 뒤, 아령을 통한 운동을 수행하면 분당 약 3000번의 미세하고 부드러운 진동이 피부 속의 운동 근육 신경을 자극하여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고, 그에 따라 칼로리의 소모가 배가되어 사용자의 운동의 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이러한 진동 기능은 부드러운 바이브레이션 효과를 통하여 근육의 긴장 완화, 근육 통증 완화, 유포전달을 원활히 하여 피부 상태의 개선, 축적된 지방질 제거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이 각종 실험을 통하여 입증되었다.
따라서, 운동 시가 아니더라도 반구형으로 부드럽게 형성된 주입구 덥개부(200)의 상면 및 진동부(300)의 하면을 이용하여 신체의 각부에 진동 마사지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술한 액체 수용 아령부(100), 주입구 덥개부(200) 및 진동부(300)의형상과 결합 위치는 실시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주입구 덥개부(200)가 진동부(3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주입구 덥개부(200) 내부에도 진동 회로(320) 및 동작 스위치(314)를 설치하여 복수의 진동부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운동 시에 미세하고 부드러운 진동 발생을 통한 근육수축을 통하여 운동 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진동 기능을 통한 근육의 긴장 완화, 근육 통증 완화 등의 다각적인 효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하여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 아령부;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주입구 덥개부; 및
    일측이 상기 액체 수용 아령부와 결합되며, 내부에 진동회로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아령부는,
    일측에 상기 주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상부 수용부;
    상기 상부 수용부와 균등한 액체 수용 용량을 갖는 하부 수용부; 및
    상기 상부 수용부 및 상기 하부 수용부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상부 수용부 및 하부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용부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주입구 덥개부와 결합가능 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주입구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암나사결합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 덥개부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암나사결합부에 치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의 단부에는 기밀성을 유지를 위한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용부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진동부가 결합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원통형의 암나사결합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진동부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암나사결합부에 치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용부의 암나사결합부, 상기 하부 수용부의 암나사 결합부, 상기 주입구 덥개부의 암나사 및 상기 진동부의 암나사는, 각각 상기 상부 수용부, 하부 수용부, 주입구 덥개부 및 진동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7.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덥개부와 상기 진동부는 동일한 형상 및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용부와 하부 수용부 및 손잡이부는 경량의 재질을 주재료로 하며, 토르말린 물질이 상기 주재료로 첨가되어 일체로 성형되거나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방사시트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 내에 설치되는 진동회로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는 분당 대략 3000번의 진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진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동작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의 타측에는 상기 배터리를 내부로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배터리 삽입/인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14. 제 1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회로가 상기 주입구 덥개부에 더 삽입되어 상기 진동부와 상기 주입구 덥개부가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KR20-2004-0024721U 2004-08-30 2004-08-30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KR200369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721U KR200369630Y1 (ko) 2004-08-30 2004-08-30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721U KR200369630Y1 (ko) 2004-08-30 2004-08-30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630Y1 true KR200369630Y1 (ko) 2004-12-09

Family

ID=4944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721U KR200369630Y1 (ko) 2004-08-30 2004-08-30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6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55B1 (ko) * 2008-02-26 2009-11-23 백옥선 장애자용 손 의료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55B1 (ko) * 2008-02-26 2009-11-23 백옥선 장애자용 손 의료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3400B1 (en) Hand at rest grip
US20080125290A1 (en) Magnetized Exercise Mat
US7699796B2 (en) Ergonomic reflexology device
US20040259699A1 (en) Exercise cane
ZA200605984B (en) Massage device set
US20210137776A1 (en) Massage roller and hook apparatus
US5676622A (en) Wrist excerciser
KR200369630Y1 (ko) 진동형 액체 수용 아령
US3583394A (en) Exercising device and tension reliever
JPH09201429A (ja) ダンベル
KR101139271B1 (ko) 자력을 이용한 마사지 및 피부관리 기구
CN206577103U (zh) 手推式按摩器
CN210962980U (zh) 一种新型电动震动按摩健身棒
CN202154840U (zh) 一种带手柄的健身按摩球
CN216294647U (zh) 一种运动按摩器材
KR200369668Y1 (ko) 진동형 줄넘기 기구
KR200336068Y1 (ko) 목 지압기구
CN211584192U (zh) 一种可调节式背部按摩棒
CN201389161Y (zh) 保健理疗器
CN110124257B (zh) 便携式多功能健身器材
KR200384421Y1 (ko) 훌라후프
CN205924445U (zh) 一种健身器材
KR200236889Y1 (ko) 다용도 맛사지 지압기
JP3042208U (ja) 健康くるみ
RU2102057C1 (ru) Вибромассажный кистевой тренаж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