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586Y1 -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 - Google Patents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586Y1
KR200369586Y1 KR20-2004-0013848U KR20040013848U KR200369586Y1 KR 200369586 Y1 KR200369586 Y1 KR 200369586Y1 KR 20040013848 U KR20040013848 U KR 20040013848U KR 200369586 Y1 KR200369586 Y1 KR 200369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pedestal
golf tee
coupled
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철 방
Original Assignee
상 철 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 철 방 filed Critical 상 철 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5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9Golf tees with direction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을 지시하는 수단을 갖는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 외연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소정의 비율로 함몰되어 골프공을 안착시키는 함몰부를 가지며 함몰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어 함몰부에 안착되는 골프공을 지지하는 몸체부, 그리고 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골프티; 및 골프티의 몸체부를 내장하며 탄성 결합되는 외장결합부, 외장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바, 지지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방향 인식부재로 구성되는 외장형 방향지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이다.

Description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Golf Tee with a Connect-type Pointing Member}
본 고안은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골퍼가 골프티에 놓인 골프공을 칠때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을 나타나는 방향지시구를 결합한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게임은 티 그라운드(tee ground)에서 골프공을 티샷(tee shot)함으로서 시작되는 데, 티 그라운드에서 티샷시 골프공을 올려 놓는 데 사용되는 것이 골프티(golf tee)이다.
골프티는 골프공을 올려 놓는 받침대, 그라운드에 꽂는 몸체핀으로 구성되는 데, 받침대는 보통 골프공을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을 이루고 있고, 몸통핀은 골프티가 그라운드에 쉽게 꽂힐 수 있도록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골프는 현재 비지니스나 친목 도모 등의 목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런데, 골퍼의 대부분은 아마추어로서 경기력이 높지 않다. 아마추어 골퍼에게 가장 나쁜 자세 중의 하나가 티샷시 헤드업(Head up)하는 것으로, 교과서적인 자세로 스윙을 하여도 티샷시 헤드업을 하면 목적지로 골프공을 보낼 수 없다. 따라서,티샷시 골프공을 주시하도록 요구되나, 아마추어 골퍼들은 목적지를 확인하고 싶은 충동에 이러한 자세가 교정되기 힘들다. 또한, 교과서적인 자세를 가진 골퍼들도 긴장하거나 큰스윙을 할 때 무의식적으로 헤드업을 하여 골프공을 목적지로 정확히 날려 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골퍼들이 골프티에 올려진 골프공을 티샷할 때 골프공만을 주시하여도 원하는 방향으로 골프공을 보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아마추어 골퍼들이 교습시 정확한 타격 자세를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도1a은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사시도,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분리 사시도,
도1c은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단면도,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삽입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사시도,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삽입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분리 사시도,
도2c은 본 고안에 따른 삽입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단면도, 그리고
도2d는 본 고안에 따른 삽입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골프티 11: 받침대
12: 고정핀 20: 방향지시부재
21: 지지바 22: 인식부재
23: 외장결합부 33: 결합홈
43: 삽입고정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받침대, 고정핀 등으로 구성되는 골프티의 받침대를 내장하면서 탄성 결합되는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를 제공한다. 방향지시부재는 우레탄, PVC 등의 탄성재질의 바 형태로 만들어지며, 일측 단부에 인식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a은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사시도이다. 도1a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장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이하, 외장형 골프티라 한다)는 골프티(10), 외장형 방향지시부재(20)로 구성된다.
골프티(10)는 골프공을 올려 놓는 받침대(11), 그라운드에 꽂는 고정핀(12), 배수를 위한 배수관(도1c의 13) 등으로 구성된다. 받침대(11)는 골프공을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부측이 깔때기 형상을 이루고 있고, 고정핀(12)은 골프티가 그라운드에 쉽게 꽂힐 수 있도록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장형 방향지시부재(20)는 지지바(21), 인식부재(22), 외장결합부(23) 등으로 구성된다. 지지바(21)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을 가지며, 골프공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변형을 회복하기 위하여 탄성(고무) 재질을 사용한다. 지지바(21)의 탄성 재료로는 우레탄, PVC 등을 사용한다. 지지바(21)의 일측 단부에는 골퍼들이 방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쉽도록 인식부재(22)가 결합되고, 지지바(21)의 타측 단부에는 골프티(10)의 받침대(11)를 내장하는 외장결합부(23)가 구비되어 있다. 인식부재(22)는 붉은색 등의 색깔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패드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또한, 인식부재(22)와 외장결합부(23) 사이의 지지바(21)의 상부면에 인식부재(22)와 외장결합부(23)를 연결하는 일자 형태의 방향 지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지시바는 붉은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결합부(23)는 받침대(11)를 내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도1b의 H)이 형성되고, 통공(도1b의 H)의 반경은 받침대(11)의 반경에 부합되게 형성된다. 예를들어, 받침대(11)가 종형을 이루는 경우, 반경이 작은 받침대(11) 하부와 결합되는 통공(도1b의 H)의 반경은 작게 형성되고, 반경이 큰 받침대(11)의 상부와 결합되는 통공(도1b의 H)의 반경은 크게 형성시킨다. 한편,외장결합부(23)는 고무, 우레탄, PVC 등의 탄성 재질을 사용하므로, 받침대(11)가 통공(도1b의 H)에 내장되면 외장결합부(23)의 내측면이 받침대(11)의 외부면과 탄성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외장결합부(23)의 통공(도1b의 H)의 상부측 내연에는 내향으로 돌출되는 단턱부(S)가 통공(H)의 내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단턱부(S)는 받침대(11)가 외장결합부(23)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받침대(11)의 외연 상부면과 탄성 밀착되어 받침대(11)가 외장결합부(23)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1b에는 골프티(10)가 외장결합부(23)의 통공(H)에 상부에서 결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외장결합부(23)가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골프티(10)를 외장결합부(23)의 통공(H)에 하부에서 결합시킬 수도 있다. 골프티(10)와 외장결합부(23)는 외장결합부(23)의 단턱부(S)가 받침대(11)의 상부면 외연에 결합되어 골프티(10)가 외장결합부(23)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고, 반경이 좁은 하부 통공의 내연면에 받침대(11)의 하부측이 탄성결합되어 골프티(10)가 외장결합부(23)의 하부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외장결합부(23)의 내면에 단턱부(S)가 탄성 결합되어 있으므로, 받침대(11)가 외장결합부(23)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이 저지된다.
도1c은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단면도이다. 도1c에서, 받침대(11)의 외연면과 외장결합부(23)의 내연면이 밀착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한편, 배수관(13)이 받침대(11)의 중앙부를 하방으로 소정의 깊이까지 관통한 후 받침대(11)의 하부 일측면으로 연결 관통되어 받침대(11)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삽입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사시도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이하, 삽입형 골프티라 한다)는 삽입형 골프티(30), 삽입형 방향지시부재(40) 등으로 구성된다.
삽입형 골프티(30)는 받침대(31), 받침판(32), 결합홈(33), 배수관(34), 고정핀(35) 등으로 구성된다. 받침대(31)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주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연의 표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받침판(32)은 받침대(31)의 상부에 결합되는 원형판 형상을 가지며, 외주연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받침대(31)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를 가져 골프공이 안착 고정되기 쉽도록 한다. 결합홈(33)은 받침대(31)의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 및 폭으로 형성되어, 받침대(31)의 타측으로 연장 관통되어 형성된다. 결합홈(33)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결합공간을 갖는다. 배수관(34)은 받침판(32)의 중앙부, 결합홈(33), 및 받침대(31)의 중앙부를 하방으로 소정의 깊이까지 관통한 후 받침대(31)의 일측면으로 연결 관통되어 받침대(31)의 외측으로 개방된다. 고정핀(35)은 받침대(31)의 하측에 결합되는 뾰족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골프티를 그라운드에 고정할 때 그라운드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삽입형 방향지시부재(40)는 지지바(41), 인식부재(42), 삽입고정구(43) 등으로 구성된다. 지지바(41)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을 가지며, 골프공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변형을 회복하기 위하여 탄성(고무) 재질을 사용한다. 지지바(41)의 탄성 재료로는 우레탄, PVC 등을 사용한다. 지지바(41)의 일측 단부에는 골퍼들이 방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쉽도록 인식부재(42)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삽입형 방향지시부재(40)를 받침대(31)의 결합홈(33)에 결합하기 위한 삽입고정구(43)가 결합된다. 인식부재(42)는 색깔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패드를 부착하여 이용한다. 또한, 인식부재(42)와 삽입고정구(43) 사이의 지지바(41)의 상부면에 인식부재(42)와 삽입고정구(43)를 연결하는 일자 형태의 방향 지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지시바는 붉은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고정구(43)는 결합홈(33)의 일측 개방부에 인식부재(42) 측을 삽입하여 타측 개방부로 인출시킬 때, 결합홈(33)의 내부 공간에 삽입고정구(43)의 외주면이 탄성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고정구(43)는 고무, 우레탄, PVC 등의 탄성 재질을 사용한다.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삽입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2b에는 받침대(31)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결합홈(33) 형태, 원통형 결합홈(33)에 탄성 결합되는 원주형 삽입고정구(43), 그리고 받침대(31)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 배수관(34)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2b에서, 삽입고정구(43)가 반경을 달리하는 2개의 원주가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삽입고정구(43)의 형태에 부합하여 결합홈(33)의 내부에도 반경을 달리하는단턱부(도2c의 3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삽입고정구(43)가 결합홈(33)에 삽입되면, 결합홈(33)의 개방부 측면과 지지바(41)의 일단이 접촉되어 좌우로 회전하지 않으며, 이러한 회전 저지는 삽입고정구(43)의 탄성 재질에 의하여 더욱 강해진다.
도2c은 본 고안에 따른 삽입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단면도이다. 도2c에서, 삽입고정구(43)가 단턱부(35)를 갖는 계단식 형태를 가지고 있고, 배수관(34)은 받침판(32), 삽입고정구(43) 및 받침대(31)의 내부를 관통하여 받침대(31)의 하부 외측면으로 관통되어 있다.
도2d는 본 고안에 따른 삽입형 방향지시부재가 결합된 골프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2d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핀(35)을 그라운드(G)에 삽입하여 골프티(30)를 고정시키고, 받침판(32)에 골프공(B)를 올려 놓은 후, 골퍼는 골프공(B)을 주시하면서 인접한 인식부재(42)의 방향으로 골프공(B)를 타구한다.
이상과 같은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를 사용하면, 골퍼들이 골프티에 올려진 골프공을 티샷할 때 골프공만을 주시하여 원하는 목적지의 방향으로 골프공을 쉽게 보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마추어 골퍼들이 교습시 정확한 타격 자세를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다. 또한, 후크형 방향지시부재는 종래의 골프티에도 쉽게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그 활용도가 높다.

Claims (7)

  1. 골프공을 올려 놓는 받침대(11), 그라운드에 삽입하는 고정핀(12), 배수를 위한 배수관(13)을 구비한 골프티(10)에 있어서,
    상기 골프티(10)의 받침대(11)를 내장하는 외장결합부(23)와, 상기 외장결합부(23)의 일측에 결합되며, 골프공을 타격할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지지바(21)와, 상기 지지바(21)의 단부에 결합되어 골프공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토록 방향을 지시해주는 인식부재(22)로 이루어진 방향지시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결합부(23)는,
    상기 받침대(11)의 외주연 상단에 탄성 결합되는 탄턱부(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1)는,
    우레탄, PVC로 구성되는 탄성재 중에서 하나의 탄성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
  4. 내부에 소정 크기의 결합홈(33)을 갖는 받침대(31), 상기 받침대(31)의 상부에 결합되는 받침판(32), 배수관(34), 그라운드(G)에 삽입되는 고정핀(35)으로 구성된 삽입형 골프티(30)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1)내의 결함홈(33)에 내장 결합되는 삽입고정구(43)와, 상기 삽입고정구(43)의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골프공을 타격할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지지바(41)와, 상기 지지바(41)의 단부에 결합되어 골프공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토록 방향을 지시해주는 인식부재(22)로 이루어진 삽입형 방향지시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41)는,
    우레탄, PVC 로 구성되는 탄성재 중에서 하나의 탄성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
  6. 삭제
  7. 삭제
KR20-2004-0013848U 2004-04-01 2004-05-19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 KR2003695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9062 2004-04-01
KR2020040009062 2004-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586Y1 true KR200369586Y1 (ko) 2004-12-09

Family

ID=4935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848U KR200369586Y1 (ko) 2004-04-01 2004-05-19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5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721B1 (ko) 2018-07-24 2019-11-19 오세훈 골프 연습용 골프 티
KR20220063951A (ko) * 2020-11-11 2022-05-18 김도수 스퀘어 골프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721B1 (ko) 2018-07-24 2019-11-19 오세훈 골프 연습용 골프 티
KR20220063951A (ko) * 2020-11-11 2022-05-18 김도수 스퀘어 골프티
KR102441386B1 (ko) * 2020-11-11 2022-09-06 김도수 스퀘어 골프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35278A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putting
US20060217217A1 (en) Golf tee recycler
US8936521B2 (en) Foldable golf tee
US20130053158A1 (en) Portable golf putting target
US20080096694A1 (en) Golf Tee
US20020193172A1 (en) Putting practice device
US20050009645A1 (en) Mass producable golf practice pointers
US4669725A (en) Directional device for golfers
KR200369586Y1 (ko) 결합형 방향지시부재를 갖는 골프티
TWI445565B (zh) 擊球輔助裝置
US9770638B2 (en) Swing training device
JP2007301267A (ja) ゴルフティー
US7384353B2 (en) High performance flexible golf ball tee apparatus
KR20130000321U (ko) 골프티
US20080161137A1 (en) Golf tee
US20180154228A1 (en) Golf accessory
KR102046721B1 (ko) 골프 연습용 골프 티
KR20050082995A (ko) 골프공용 가이드 라인 표시구
US20020173366A1 (en) Aiming device for improving golf putting and chipping
KR100925002B1 (ko) 휴대용 골프 티
US8858367B2 (en) Golf swing practice target device
KR200363343Y1 (ko) 골프공용 가이드 라인 표시구
KR101423621B1 (ko) 그린보수 겸용 접철식 골프 티
KR200440403Y1 (ko) 골프 티
KR102606393B1 (ko) 골프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