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384Y1 - Top f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 Google Patents

Top f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384Y1
KR200369384Y1 KR20-2004-0022116U KR20040022116U KR200369384Y1 KR 200369384 Y1 KR200369384 Y1 KR 200369384Y1 KR 20040022116 U KR20040022116 U KR 20040022116U KR 200369384 Y1 KR200369384 Y1 KR 200369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reinforcing bar
file
plastic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1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상배
Original Assignee
정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배 filed Critical 정상배
Priority to KR20-2004-0022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38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384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p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의 경사면과 파일 본체부와 파일 선단부를 가진 플라스틱(재활용 폐 비닐수지 등)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팽이형 파일(A)에 있어서,More specifically, in the top-shaped pile A produced by molding from a plastic (such as recycled waste plastic resin) havi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pile, a pile body and a pile tip,

팽이형 파일(A)의 내부 경사면 상단에 가로ㆍ세로방향의 철근(22)을 용접에 의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게 하고, 그 철근(22)의 중앙부에 용접으로 철근 연결고리(21)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구성하므로서, 팽이형 파일(A)의 내부에 철근연결부(21과 22)를 삽입시켜, 파일 내부의 경사면 상단에 설치되게 하므로서 파일의 중심부에 철근연결고리가 위치되도록 설치되게 하였으며,Rebars 22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join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by welding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slope of the top pile A, and the reinforcing bar links 21 are integrally welded to the center of the rebar 22 by welding. By manufacturing and constructing,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s (21 and 22) into the top of the pile file (A), so that the reinforcing bar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ile by being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lope of the inside of the file,

플라스틱성형 팽이파일(A1)의 중간부(경사면과 본체부)에 가로ㆍ세로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철근연결 관통구(C)를 구성하므로서, 플라스틱 팽이파일의 내부에 자갈 등의 골재로서 구성된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공간을 메우고 곧바로 건축물의 기초지반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Concrete formed as aggregate such as gravel inside the plastic top file by constructing a reinforcing bar through hole C to pass through the middle part (inclined surface and main body part) of the plastic molding top file A1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t is to provide a top-shaped p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to fill the space and immediately use it as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Description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omitted}Top f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omitted}

본 고안은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의 경사면과 파일 본체부와 파일 선단부를 가진 플라스틱(PVC)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팽이형 파일(A)에 있어서, 가로ㆍ세로방향의 철근을 서로 결합되게 하고 중앙부에 용접으로 철근 연결고리를 구성하므로서, 팽이형 파일(A)의 내부에 철근연결부를 삽입시켜 설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을 제공하여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shaped pile having a reinforcing bar, and more particularly, in a top-shaped pile (A) manufactured by molding from a plastic (PVC) having an inclined surface of a pile, a pile main body part, and a pile end part, ㆍ Top type pile with reinforcing bar lin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reinforcing bar is constructed by welding in the center, so that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into the inside of the top file (A). Provided to make it easier to use.

일반적으로, 팽이파일의 사용은 구조물의 기초지반 평면에 팽이형 모양의 콘크리트 블럭을 주로 연약지반에 설치하여 지반에 대한 분산효과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하중(荷重)을 분산시켜 지반에 부드럽게 전달하므로서, 기초부분과 그 부근지반을 개량하는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어 연약지반의 지반보강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e use of the top pile is to install a top-shaped concrete block mainly in the soft ground in the foundation ground plane of the structure to have a dispersion effect on the ground and to distribute the load to the ground smoothly, It has the effect similar to the case of improving the foundation part and the surrounding ground, and plays the role of reinforcing the ground of the soft ground.

종래 연약한 지반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팽이파일은 그 형태가 팽이와 같이 형성되어 이를 시공시에 기계적인 방법으로 파일부를 땅속에 타입하는 방식과 달리 다수의 팽이파일을 지면에 평면상으로 배열하여 자갈 등의 골재로서 공간을 메우고 곧바로 건축물의 기초지반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초공사의 능률성과 경제성을 도모하게 되는 바,The top pile used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conventional soft ground is formed like a top, and in the case of construction, the top pile is arranged in the plane in the ground, unlike the way the pile part is typed in the ground by a mechanical method. By filling the space with aggregates such as gravel and immediately using it as the foundation ground of the building, the efficiency and economics of the foundation construction are promoted.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파일(P)은 단일체로 형성된 일체형의 팽이파일을 시공하기 위하여, 먼저 성형된 팽이형 파일(P)의 내부에 ∩자형의 철근고리를 성형하여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 파일 내부로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된 파일의 상면(1)에 철근의 연결고리(6)가 외부로 도출되어 몸체부와 중심파일부가 한 몸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운반시 중기를 이용하여 철근의 연결고리(6)에 중기의 운반체(걸고리)를 통하여 운반되어진다.Conventional concrete top pile (P) in order to construct an integral top pile formed in a single body, first to form a U-shaped reinforcement ring in the interior of the molded top pile (P) to be located in the center, then inside the pile It is to use the cured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upper surface (1) of the pile made of concrete, the connecting ring of the reinforcing bar (6) is drawn to the outside, the body and the central pile is formed as one body, It is conveyed through the carrier (hook) of the heavy machinery to the connecting ring (6) of the reinforcing bar using.

따라서, 종래의 팽이파일은 매우 무거운 콘크리트로 제작되어져 비교적 부피가 크고 중량체인 관계로 운반시 파손률이 높고, 보관상의 비능률성과 비경제성이 따르고 시공면에 있어서도 불편한 점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어 능률성이 매우 저조하였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top pile is made of very heavy concrete, which is relatively bulky and heavy chain, so the damage rate is high when transporting, and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in terms of storage efficiency and inefficiency in the construction surface. This was very poor.

그리고, 팽이파일은 건축물의 하중을 받는 평면상의 몸체부와 지반에 매설시 중심을 잡아주는 지주파일부로 구성되는 바, 이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시에는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고, 운반 및 보관상에도 부피가 커서 어려움이 있으며, 시공시에 지주파일부를 정확한 위치에 정열하는 정확도를 기하기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nd, the top pile is composed of a flat body portion subjected to the load of the building and the holding pile portion to hold the center when buried in the ground bar, when forming it integrally, it takes a lot of manufacturing cost, volume even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be larg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the alignment of the holding pile portion in the correct position during construction.

팽이파일(P)의 종래 기술방법에 의한 작업으로 도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철망(11)과 삽치구(12)의 용접시 많은 시간을 소요케 하며, 운반도중과 시공중에 용접부위가 탈락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철근의 용접부위가 많아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by the prior art method of the top pile P, a large amount of time is required during welding of the wire mesh 11 and the insertion tool 12, and the welding part is dropped during transport and construction. The phenomenon may occur,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delay in working time due to a large number of welding sites of the rebar.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팽이파일자체를 플라스틱(재활용 폐 비닐수지 등)으로 먼저 성형한 후, 가로ㆍ세로방향의 철근(22)을 서로 결합되게 하고, 중앙부에 용접으로 철근 연결고리(21)를 만들어, 팽이 파일 내부의 경사면 상단에 철근연결부(21, 22)를 설치하여 파일의 중심부에 철근연결고리가 위치되도록 하였으며, 파일(A1)의 중간부에 가로ㆍ세로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철근연결 구멍(C)을 구성하므로서, 플라스틱 팽이파일이 가로세로ㆍ방향으로, 고정ㆍ일체화가 됨으로서 강성의 구조체를 형성하여 연약지반의 지반보강의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기존 위치 철근의 용접, 운반, 시공 등의 번거로움과 시공, 제작 및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시공비의 절감과 시공의 간편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되어져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top pile itself is first formed of plastic (recycled vinyl resin, etc.), and then the reinforcing bars 22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by welding in the center. By making the ring 21,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s 21 and 22 wer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inclined surface inside the top pile so that the reinforcing bar wa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ile, and pass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the middle of the file A1. By constructing the reinforcing bar (C) so that it can be made, the plastic top pile is fixed and integra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o as to form a rigid structure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ground of the soft ground, It saves the construction cost and simplicity of construction because of the hassle of weld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of existing location reinforcing bars and costly construction,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It has been configured to allow.

또한, 플라스틱 팽이파일의 내부에 자갈 등의 골재로서 구성된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공간을 메우고 곧바로 건축물의 기초지반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초공사의 능률성과 경제성을 도모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되는 것이다.In addition, by pouring concrete composed of aggregates such as gravel inside the plastic top pile to fill the space and immediately available as the foundation ground of the building will have the advantage of promoting the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of the foundation constructio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팽이파일 성형자체를 플라스틱(재활용 폐 비닐수지 등)으로 성형하여 제작 및 개량함으로써 구조물의 기초지반 평면에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다수의 팽이파일을 지면에 평면상으로 배열하여, 플라스틱 팽이형 파일(A)의 내부 경사면 상단에 가로ㆍ세로방향의 철근(22)을 용접에 의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게 하고, 그 철근(22)의 중앙부에 용접으로 철근 연결고리(21)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구성하므로서, 팽이형 파일(A)의 내부에 철근연결부(21과 22)를 삽입시켜, 파일 내부의 경사면 상단에 설치되게 하므로서 파일의 중심부에 철근연결고리가 위치되도록 설치되게 하였으며,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nd improving the shape of the top pile molding of plastic (recycling waste vinyl resin, etc.), a plurality of plastics produced on the basic ground plane of the structure The top pile is arranged in the plane on the ground so that the rebars 22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join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by welding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inclined surface of the plastic top pile A,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s 22. Reinforcing bar linkage 21 is manufactured and constructed by wel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pile-shaped pile A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s 21 and 22 into the top of the inclined surface inside the pile while being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pile. Rebar linkage is to be located,

플라스틱성형 팽이파일(A1)의 중간부(경사면과 본체부)에 가로ㆍ세로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철근연결 관통구(C)를 구성하므로서, 플라스틱 팽이파일의 내부에 자갈 등의 골재로서 구성된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공간을 메우고 곧바로 건축물의 기초지반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Concrete formed as aggregate such as gravel inside the plastic top file by constructing a reinforcing bar through hole C to pass through the middle part (inclined surface and main body part) of the plastic molding top file A1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t is to provide a top-shaped p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to fill the space and immediately use it as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도 1은 종래 기술인 팽이형 파일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inning top pile of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의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의 분해도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spinning top pile having a reinforcing bar lin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고안의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의 결합도3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spinning top pile having a reinforcing bar lin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B)는 종래기술인 팽이형 파일의 설치 작업도Figure 4 (A, B) is a working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top-type pile of the prior art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B,C)은 도 5의 팽이형 파일(A)의 설치 작업도Fig. 6 (A, B, C) is an installation operation diagram of the top pile A of Fig. 5.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P : 콘크리트용 팽이 파일P: Top pile for concrete

a : 파일 상면 b : 철근 연결고리a: top of file b: reinforcing bar

c : 파일 원추형상의 저면 d : 팽이파일의 축c: bottom of pile cone d: axis of top pile

11 : 삽치구가 마련된 철망 12 : 삽치구 13 : 상방 철근11: wire mesh with shovel provided 12: shovel 13: upper rebar

1 : 파일 상면 2 : 파일 경사면 3 : 파일 본체부1: File upper surface 2: File slope 3: File body

4 : 파일선단부 5 : 철근심 6 : 철근고리4: pile tip 5: rebar core 6: reinforcing ring

21 : 철근 연결 고리 22 : 가로세로방향의 철근21: Reinforcing bar 22: Reba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 : 플라스틱 팽이형 파일A: plastic top file

A1 : 철근 연결 관통구를 가진 플라스틱 팽이형 파일A1: plastic top file with rebar connection through hole

B : 플라스틱 팽이형 파일 내부B: Inside plastic top file

C : 철근 연결 관통구 D : 철근C: Rebar connection through hole D: Reba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은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에 관한 것으로, 파일의 경사면(2)과 파일 본체부(3)와 파일 선단부(4)를 가진 플라스틱(재활용 폐 비닐수지 등)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팽이형 파일(A)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shaped pile having a reinforcing bar linkage, which is made by forming a plastic (recycling waste vinyl resin, etc.) having an inclined surface (2), a pile main body portion (3) and a pile tip portion (4) of a pile. In the type file (A),

가로ㆍ세로방향의 철근을 서로 결합되게 하고 중앙부에 용접으로 철근 연결고리를 구성하므로서, 팽이형 파일(A)의 내부에 철근연결부를 삽입시켜 설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에 관한 것이다.Reinforcing bars with reinforcing bar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the reinforcing bar is formed by welding in the center, there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s into the inside of the top file (A). It's about files.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인 팽이형 파일의 분해 사시도로, 팽이형 파일(P)의 내부에 ∩자형의 철근고리를 성형하여 콘크리트로 제작한 것으로 파일의 내부에는 철근파일의 상면(1)에 철근의 고리 일부(6)가 외부로 도출되어진 것을 나타내며.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p-shaped pile of the prior art, which is made of concrete by forming a U-shaped reinforcing ring in the top of the pile-shaped pile P, and has a ring of reinforcing steel on the upper surface 1 of the steel pile in the pile. It shows that part 6 is drawn outward.

도 2는 본 고안의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의 분해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의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의 결합도를 나타내는 것으로,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a top pile with a reinforcing bar lin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oupling of the top-shaped pile with a reinforcing bar lin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To explain this in detail,

플라스틱 팽이형 파일(A)의 내부(B) 경사면(2) 상단에 가로ㆍ세로방향의 철근(22)을 용접에 의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게 하고, 그 철근(22)의 중앙부에 용접으로 철근 연결고리(21)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구성하므로서,Reinforcing bars 22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join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by welding on the top of the inclined surface 2 of the inner (B) plastic top-shaped pile A, and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to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bars 22 by welding. By making the ring 21 integrally manufactured,

이 철근 연결부(21과 22)가 팽이형 파일(A)의 내경(내부의 원지름)에 들어가도록 제작하여, 팽이형 파일(A)의 내부에 철근연결부(21과 22)를 삽입시켜, 파일 내부의 경사면 상단에 설치되게 하므로서 파일의 중심부에 철근연결고리가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에 관한 것이다.The reinforcing bar portions 21 and 22 are made to enter the inner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top pile A, and the reinforcing bar portions 21 and 22 are inserted into the top pile A so that the pile It relates to a top-shaped pile with a reinforc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ile by being installed on the top of the inclined surface inside.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4와 도5,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 and 5, 6,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To explain this in detail,

도 4는 종래기술인 팽이형 파일(P)의 설치작업을 나타낸 분해도이며,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prior art top pile (P),

도 4(A,B)에서 보는 바와같이 팽이형상으로 된 콘크리트 파일(P)을 다수개 땅에 박고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P)의 상하를 연결철근으로 서로 연결토록하여 지반을 보강하게 된다. 즉, 연약지반 위에 팽이형상의 콘크리트 파일의 축(d)을 삽치할 수 있게 삽치구(12)가 마련된 철망(11)을 포설한 다음 삽치구(12)에 팽이형 파일의 축(d)을 끼워 박은 다음 팽이형 파일(P)의 상면(a)의 고리(b)를 가로 세로의상방철근(13)으로 연결하며,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P) 사이에 잡석을 채워넣어 연약지반을 보강토록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As shown in Figure 4 (A, B),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in the shape of the top is embedded in a plurality of ground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top-shaped concrete pile (P)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bars to reinforce the ground. That is, after installing the wire mesh 11 provided with the insertion tool 12 so as to insert the axis d of the top-shaped concrete pile on the soft ground, the axis d of the top-shaped pile is placed in the insertion tool 12. After being inserted, the ring (b) of the upper surface (a) of the top pile (P) is connected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inforcing bars (13), and the rubble is filled between the top concrete piles (P) to reinforce the soft ground. To do that,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플라스틱 팽이형 파일(A1)의 경사면(2) 하단과 파일 본체부(3) 상단이 교차되는 위치에 철근(D)을 가로ㆍ세로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4개의 철근연결관통구(C)를 구성하므로서, 플라스틱 팽이형 파일의 설치 시에는 철근의 연결을 위해 용접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방법이 간편하고, 시공이 편리한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도 4의 종래 기술방법에 의한 작업으로 철망(11)과 삽치구(12)의 용접시 많은 시간을 소요케 하며, 운반도중과 시공중에 용접부위가 탈락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철근의 용접부위가 많아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작되어진 것이다.Four reinforcing bar connection holes (C) are provided to allow the reinforcing bars (D) to pas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2) of the plastic top-shaped pile (A1) and the upper end of the pile body part (3) cross each other. In the construction, since the welding is not necessary for the conn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when installing the plastic top-type pile, the work method is simple, and construction is convenient. This is a work according to the prior art method of Figure 4 takes a lot of time during the welding of the wire mesh 11 and the insertion slot 12, the phenomenon that the welded part during the transport and construction may occur, the reinforcement of Many welded parts are manufactured to solve the problem of delayed working time.

도 6(A,B,C)은 도 5의 팽이형 파일(A1)의 설치 작업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철망(11)과 삽치구(12)를 제작하는 것 대신으로, 가로ㆍ세로방향으로 철근(D)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4개의 철근연결관통구(C)를 팽이형 파일(A1)에 형성케하여 철근(D)을 삽입시켜 설치되게 함으로서 철근의 연결을 위해 용접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방법이 간편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에 관한 것이며,Fig. 6 (A, B, C) shows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top-shaped pile A1 of Fig. 5, and instead of producing the wire mesh 11 and the insertion tool 12 of Fig. 4, the width and length are shown. Four reinforcing bar connection holes (C) are formed in the top pile (A1)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D) can be passed in the direction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D) are inserted and installed so that welding is not necessary for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Therefore, the method relates to a spinning top file having a reinforc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ing method is simple.

도 6의 (A)는 플라스틱 팽이형 파일(A1)에 철근연결관통구(C)를 관통하여 철근(D)이 일직선상으로 제작되어 진 것을 나타낸 것이고,6 (A) shows that the reinforcing bar (D) is made in a straight line through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hole (C) to the plastic top pile (A1),

도 6의 (B)와 (C)는 플라스틱 팽이형 파일(A1)에 철근연결관통구(C)를 관통하여 가로ㆍ세로방향으로 철근(D)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에 관한 것이다.Figure 6 (B) and (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is made so as to pass the reinforcing bars (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hole (C) to the plastic top pile (A1) It is about a top file with a link.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한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n detail as follows.

철근연결부(21과 22)를 삽입시켜, 파일 내부의 경사면 상단에 설치되게 하므로서 파일의 중심부에 철근연결고리가 위치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게 하였고, 콘크리트 팽이파일의 설치용 위해 철망(11)과 삽치구(12)를 제작하는 것 대신으로, 가로ㆍ세로방향으로 철근(D)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철근연결관통구(C)를 플라스틱 팽이형 파일(A1)에 형성케하여 철근(D)을 삽입시켜 설치되게 함으로, 운반도중과 시공중에 용접부위가 탈락하는 현상과 철근의 용접부위가 많아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21 and 22), so that the reinforcing bar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ile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lope of the inside of the pi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ork, the wire mesh 11 and Instead of fabricating the spacing tool 12, the reinforcing bar C is formed in the plastic top file A1 so that the rebar D can be pass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o that the reinforcing bar D can be formed. By inserting and installing, it provides useful effects such as eliminating the problem of the welding part dropping out dur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nd the welding part of the rebar, which delays the working time.

Claims (2)

파일의 경사면(2)과 파일 본체부(3)와 파일 선단부(4)를 가진 플라스틱(재활용 폐 비닐수지 등)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팽이형 파일(A)에 있어서,In the top-shaped pile A produced by molding from plastic (recycling waste plastic resin, etc.) having an inclined surface 2 of a pile, a pile main body portion 3, and a pile tip portion 4, 가로ㆍ세로방향의 철근(22)를 용접으로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게 하고,Rebar 22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weld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중앙부에 용접으로 철근 연결고리(21)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구성하므로서, 팽이형 파일(A)의 내부에 철근연결부(21,22)를 삽입시켜, 파일 내부의 경사면 상단에 설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The reinforcing bar linkage 21 is manufactured and constructed integrally by welding to the center, thereby inserting the bar connecting parts 21 and 22 into the inside of the top-shaped pile A,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inside the pile is installed. Top file with rebar link ma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플라스틱(재활용 폐 비닐수지 등)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팽이형 파일(A1)의 경사면(2) 하단과 파일 본체부(3) 상단이 교차되는 위치에 철근(D)을 가로ㆍ세로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4개의 철근연결관통구(C)를 구성하므로서,Rebar D is pass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2 and the upper end of the pile main body 3 of the top-shaped pile A1 formed by molding into plastic (recycled waste plastic resin, etc.) intersect. By constructing four reinforcing bar through holes (C), 팽이형 파일(A1)에 형성된 철근연결관통구(C)로 철근(D)을 삽입시켜 설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A retracted pile having a reinforcing bar lin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C)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hole (C) formed in the top file (A1).
KR20-2004-0022116U 2004-07-30 2004-07-30 Top f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KR2003693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116U KR200369384Y1 (en) 2004-07-30 2004-07-30 Top f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116U KR200369384Y1 (en) 2004-07-30 2004-07-30 Top f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384Y1 true KR200369384Y1 (en) 2004-12-04

Family

ID=4944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116U KR200369384Y1 (en) 2004-07-30 2004-07-30 Top f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38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848B1 (en) * 2006-11-06 2008-01-31 에스트건설 주식회사 In place assembling top type block
KR200454905Y1 (en) 2009-11-04 2011-08-03 한국팽이건설 주식회사 Top p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848B1 (en) * 2006-11-06 2008-01-31 에스트건설 주식회사 In place assembling top type block
KR200454905Y1 (en) 2009-11-04 2011-08-03 한국팽이건설 주식회사 Top p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80B1 (en) Wall using precast concrete building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200374652Y1 (en) Top file with jammed connection to file
KR200369384Y1 (en) Top file with reinforcing bar links
KR100996728B1 (en) Easily-assemblable top pile for production in field
KR20190092352A (en)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39;s construction method
KR100799848B1 (en) In place assembling top type block
KR100991341B1 (en) Precast Foundation and Pil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Foundation and Pile
KR100891013B1 (en) Precast concrete unit bonding method by making error
KR100998502B1 (en) Gravity type precast retaining wall for having shear key and steel pile
KR101314080B1 (en) Constructing method of cast-in-place concrete pile using mold case tremi
KR200440047Y1 (en) Block for reinforcing wall
KR101943967B1 (en) Prefabricated culvert
KR200490066Y1 (en) Floating pile-plate
KR102059470B1 (en) assembling unit for reinforcement of foundation and structrue using it
KR102120849B1 (en) Instal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precast concrete culvert
KR100626718B1 (en) Reinforced retaina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39946Y1 (en) UnderCap of Top base concrete
KR100947591B1 (en) Pile cap
JP3120941U (en) Box culvert
KR100483437B1 (en) A concrete pile in the shape of atop
KR200366899Y1 (en) A mould for concrete pile in the shape of atop
KR20130068527A (en) Top pile having connecting piece
KR100760298B1 (en) Reinforcement unit for supporting lateral load in Cast-In-placed pile and Cast-In-placed pile equipped with the reinforcement unit
KR20190117920A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177765B1 (en) PHC Pile with Reinforced Upper Par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