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352A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2352A KR20190092352A KR1020190091769A KR20190091769A KR20190092352A KR 20190092352 A KR20190092352 A KR 20190092352A KR 1020190091769 A KR1020190091769 A KR 1020190091769A KR 20190091769 A KR20190091769 A KR 20190091769A KR 20190092352 A KR20190092352 A KR 201900923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block
- wall block
- strip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결합홀부를 구비하고, 상하로 잡석채움홀부가 관통형성되며, 복수개가 좌우로 연속되게 정렬되어 적층되어 후방에 뒤채움 토사가 복토되는 옹벽블록과, 결합홀부에 결합되어 옹벽블록을 뒤채움 토사에 지지되며, 뒤채움 토사의 침하에 따라 옹벽블록에서 하측으로 회전하는 블록 지지부와, 적층되는 옹벽블록을 지지하도록 옹벽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되는 적층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isclosed strip reinforcement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and the through-filled rubble filling hole is formed up and down, and the plurality of the retaining walls are covered with the rear-filled soil piled up in a row.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support the block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block to the backfilling soil, and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block stacked with the block support portion rotating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settlement of the backfilling soi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minated support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 보강재를 관통하는 결합파이프를 이용하여 스트립 보강재를 옹벽블록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뒤채움 토사의 침하시 스트립 보강재가 회전되어 블록 지지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옹벽블록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strip reinforcement can be easily and firmly connected to a retaining wall block using a coupling pipe passing through the strip reinforcement. Block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to secure the retaining wall block while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block support by rotating the strip reinforcement during the settlement of the filled soi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옹벽은 성토지나 절개지의 흙이 토압으로 인하여 무너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체를 일컫는 것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 보다 가파른 경사도로 하였을 경우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축조되는 구조물이다.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refers to a wall which is made so that the soil of the land or incision is not collapsed or flowed due to the earth pressure. The retaining wall is a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to prevent ground collapse when a stable slope of the ground surface is steeper than that.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은 성토지나 절개지에 옹벽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근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엮어 설치한 후 이들을 거푸집으로 감싼 다음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하고 벽체의 배면을 토사, 쇄석, 잡석 등을 포함하는 보강토를 채우는 방식으로 축조하였다.Such conventional retaining wall is formed by weaving and installing reinforcing bars in the land or incision in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rranged states, and then wrapping them with formwork, then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and curing to form walls and walls. The back of was constructed by filling reinforcement soil including soil, crushed stone, rubbl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철근 콘트리트 옹벽은 뒤채움 토사가 침하하면 보강띠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However, such a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of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reinforcing band is broken when the backfilling soil is settl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한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85266호(등록일:2013.07.05)에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개시되어 있다.
Meanwhi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85266 (Registration Date: 2013.07.05) discloses a "block 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옹벽블록에 블록 지지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block 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ing a strip reinforcemen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block support.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 보강재를 관통하는 결합파이프를 이용하여 스트립 보강재를 옹벽블록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옹벽블록의 후방에 채워지는 뒤채움 토사가 침하되면 스트립 보강재가 회전되어 블록 지지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옹벽블록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strip reinforcemen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using a coupling pipe penetrating the strip reinforcement, when the backfill soil filled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s settled, the strip reinforcement is rotated to prevent breakage of the block support portion.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material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은, 결합홀부를 구비하고, 상하로 잡석채움홀부가 관통형성되며, 복수개가 좌우로 연속되게 정렬되어 적층되어 후방에 뒤채움 토사가 복토되는 옹벽블록과, 상기 결합홀부에 결합되어 상기 옹벽블록을 뒤채움 토사에 지지되며, 상기 뒤채움 토사의 침하에 따라 상기 옹벽블록에서 하측으로 회전하는 블록 지지부와,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록을 지지하도록 상기 옹벽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되는 적층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has a coupling hole portion, and the rubble fill hole portion is formed up and down, the plurality is continuously aligned left and right A retaining wall block on which the backfilled soil is covered in the rear; and a block support unit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block in the backfilled soil, and rotating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settlement of the backfilled soi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minated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block to be stacked.
또한, 상기 결합홀부는, 상기 옹벽블록의 후면에서 내부로 형성되는 장홈부와, 상기 장홈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옹벽블록에 형성되며, 깊이가 상기 장홈부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hole part may include a long groov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a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 groove, and having a depth lower than that of the long groov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부와 연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뒤채움 토사에 매립되어 지지되는 스트립 보강재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어 걸리는 결합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ck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at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long groove, the strip reinforcement is embedded and supported in the backfilling soil,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Coupled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스트립 보강재는, 하면이 상기 장홈부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상기 뒤채움 토사의 침하에 따라 함께 침하되면서 상기 옹벽블록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rip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 groove portion is settled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settlement of the backfilling soil, and rotates in the retaining wall block.
또한, 상기 스트립 보강재는, 인발저항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뒤채움 토사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도록 양면에 지지리브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rip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ibs are formed on both sides spaced apart to increase the pull resistance and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backfilling soil.
또한,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은, 상기 옹벽블록의 장착면에 결합되는 장식패널과, 상기 장착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옹벽블록에 인서트되며, 스크루에 의해 상기 장식패널이 고정되도록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패널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the decorative panel is coupled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he retaining wall block is inserted to be exposed to the mounting surface, the screw is fixed to the synthetic resin to fix the decorative pane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nel fixture formed by.
또한, 상기 장식패널은, 상기 장착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 측면이 상기 장착면에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corative panel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ounting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exposed from the mounting surface.
또한,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은,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록 중 가장 상측에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록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옹벽블록을 커버하며, 곡선배열이 가능하도록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마감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be laminated to cover the retaining wall block, the finish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to enable a curved arrangemen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은, 옹벽블록의 시공을 위한 도로의 경사면을 부분 절토하여 상기 옹벽블록이 시공되는 절토부를 형성하는 절토단계와, 상기 절토부의 바닥면에 상기 옹벽블록의 적층을 위한 콘크리트 기초부를 타설하는 기초부 형성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에 상기 옹벽블록을 1열로 배치하고, 상기 옹벽블록과 상기 절토부의 거리에 맞게 스트립 보강재를 절단한 후, 상기 스트립 보강재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결합파이프를 상기 결합공에 삽입하여 상기 옹벽블록에 상기 스트립 보강재를 결합하는 보강재 설치단계와,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에 뒤채움 토사를 복토하여 상기 스트립 보강재를 지지시키고, 상기 절토부의 높이에 맞게 상기 보강재 설치단계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옹벽블록 적층단계와, 최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록에 마감블록을 적층하고, 상기 옹벽블록의 전면에 장식패널을 결합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block-typ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artially cu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a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form a cut portion in which the retaining wall block is constructed. A cutting step, a foundation forming step of placing a concrete foundation for stacking the retaining wall block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t portion, and arranging the retaining wall blocks in one row on the concrete founda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ut section After cutting the strip reinforcement to fit, forming a coupling hole in the strip reinforcement and inserting the coupling pipe into the coupling hole reinforcement installation step of coupling the strip reinforcement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back fill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Covering the soil to support the strip reinforcement, and to adjust the beam to the height of the cut And a retaining wall block laminating step to proceed the re-installation step continuously, depositing a finishing block in the retaining wall blocks are stacked on top,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nishing step to combine the decorative panel on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또한, 상기 보강재 설치단계는, 상기 스트립 보강재를 절단하고, 상기 스트립 보강재의 양 끝단부를 접어서 내구성을 보강한 후, 상기 스트립 보강재의 접힌 부위에 상기 결합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reinforc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utting the strip reinforcement, folding both ends of the strip reinforcement to reinforce durability, and forming the coupling hole in the folded portion of the strip reinforcem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옹벽블록에 블록 지지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unlike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 보강재를 관통하는 결합파이프를 이용하여 스트립 보강재를 옹벽블록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옹벽블록의 후방에 채워지는 뒤채움 토사가 침하함에 따라 스트립 보강재가 옹벽블록에서 회전하게 되어 블록 지지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옹벽블록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strip reinforcemen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using a coupling pipe passing through the strip reinforcement, the strip reinforcement is rotat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as the backfill soil filled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ettles. It has the effect of stably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block while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block support.
또한, 본 발명은 옹벽블록의 전면에 장식패널을 결합하여 옹벽블록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패널의 파손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 및 유지보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y combining the decorative panel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ut also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when the decorative panel is damaged, and can be changed and maintained in various designs. H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패널과 패널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패널과 패널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마감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블록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block 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block 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nding state of the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ve panel and a panel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decorative panel and the panel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FIG. 3.
8 is a side view showing a laminated state of the block 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8.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nish state of the block 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inish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state of the finish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block 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decomposition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main part of a block 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패널과 패널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패널과 패널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ve panel and a panel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ecorative panel and the panel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7은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요부확대도이다.In addition, Figure 7 is a plan view of Figure 3,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a laminated state of the 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마감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블록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In addi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nish state of the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inish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state of the finish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구조물(100)은, 절토부나 성토부의 경사면에 축조되어 토사가 무너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블록식 보강토 옹벽구조물(100)은 옹벽블록(110)과, 블록 지지부(120)와, 적층지지부(130)와, 장식패널(140)과, 패널고정구(150)와, 마감블록(160)을 포함한다.1 to 12, the block type reinforced soil
옹벽블록(110)은, 경사면의 절토부를 따라 좌우, 상하로 연속되게 배열되어 적층되며, 전면에 장식패널(140)이 부착되고 후방부에 블록 지지부(120)가 결합된다. 이때, 옹벽블록(110)의 전면에는 장식패널(140)을 긴밀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장착면(113)이 평탄하게 형성된다.The
이러한, 옹벽블록(110)은 콘크리트에 의해 양생되며, 블록식 보강토 옹벽구조물(100)이 설치되는 지형이나 높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옹벽블록(110)은 블록 지지부(1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부(111)와, 빗물의 투과를 위한 잡석채움홀부(115)를 구비한다.Such, the
결합홀부(111)는, 옹벽블록(110)의 후면에서 내부로 형성되는 장홈부(111a)와, 장홈부(111a)에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안착홈부(111b)를 구비한다. 이때, 장홈부(111a)는 블록 지지부(120)를 가이드하고, 안착홈부(111b)는 블록 지지부(120)를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또한, 결합홀부(111)는 장홈부(111a)의 깊이(D1)가 안착홈부(111b)의 깊이(D2)보다 깊게 형성되는데, 이는 뒤채움 토사의 침하에 따라 블록 지지부(120)가 침하될 때 옹벽블록(110)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옹벽블록(110)은 시공부지의 바닥에 좌우로 일렬로 배열된 다음, 블록 지지부(120)가 결합되고, 후방에 뒤채움 토사가 복토된 후,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된다. 또한, 옹벽블록(110)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될 때 적층지지부(130)에 의해 상하로 안정되게 지지된다.As such, the
적층지지부(130)는 옹벽블록(110)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131)와, 옹벽블록(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지지홈부(13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층지지부(130)는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110)의 지지돌부(131)가 적층되는 다른 옹벽블록(110)의 지지홈부(133)에 삽입된다.The stacked
블록 지지부(120)는 뒤채움 토사에 매립되도록 장홈부(111a)에 삽입되는 스트립 보강재(121)와, 스트립 보강재(121)를 옹벽블록(110)에 고정하도록 스트립 보강재(121)를 관통하여 안착홈부(111b)에 결합되는 결합파이프(123)를 포함한다.The
스트립 보강재(121)는 양 끝단이 장홈부(111a)에 각각 삽입되며, 결합파이프(123)가 삽입되는 결합공(12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트립 보강재(121)는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되며, 결합파이프(123)를 기준으로 하여 장홈부(111a)에서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스트립 보강재(121)는 그 넓이(W1)가 장홈부(111a)의 깊이(D1)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면이 장홈부(111a)의 바닥면에서 이격된다.Both ends of the
즉 스트립 보강재(121)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구조물(100)이 시공된 상태에서 또는 옹벽블록(110)을 적층하기 위하여 뒤채움 토사를 복토하는 과정에서 뒤채움 토사의 침하가 발생하면 뒤채움 토사와 함께 침하되면서 옹벽블록(110)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뒤채움 토사의 침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또한, 스트립 보강재(121)는 옹벽블록(110)이 설치되는 지형이나 뒤채움 토사의 복토 넓이에 따라 옹벽블록(110)의 시공 현장에서 절단되어 사용되며, 결합공(121a) 또한 시공 현장의 조건에 따라 현장에서 천공된다.In addition, the
더하여, 스트립 보강재(121)는 뒤채움 토사와의 마찰력이 증가됨은 물론 인발저항력이 향상되도록 지지리브(121b)가 이격되게 구비된다. 지지리브(121b)는 스트립 보강재(121)의 양면에서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스트립 보강재(121)의 결합공(121a)은 스트립 보강재(121)의 끝단부가 겹쳐지도록 접힌 상태에서 천공된다. 이처럼, 스트립 보강재(121)를 접어서 결합공(121a)을 형성하는 것은 결합공(121a)이 형성되는 스트립 보강재(121)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결합공(121a)에는 결합파이프(123)가 삽입된다.The
결합파이프(123)는 스트립 보강재(121)의 결합공(121a)에 삽입되어 안착홈부(111b)에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파이프(123)를 통해 스트립 보강재(121)를 옹벽블록(1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블록 지지부(120)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파이프(123)가 중공 상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결합파이프(123)를 환봉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부(120)는 스트립 보강재(121)를 뒤채움 토사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스트립 고정부재(125)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스트립 고정부재(125)는 스트립 보강재(12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홈부(125a)를 구비하도록 "∩"형태로 형성되며, 타격봉이나 해머 등의 타격을 통해 뒷채움 토사에 박히게 된다. 또한, 스트립 고정부재(125)는 토사에 용이하게 박히도록 쐐기부(125b)가 형성되고, 측면에 지지판(125c)이 돌출 형성된다. 지지판(125c)은 스트립 고정부재(125)가 뒤채움 토사에서 침하 및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고정부재(125)는 뒤채움 토사에 지지되도록 세워지는 스트립 보강재(121)가 뒤채움 토사의 복토작업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110)의 전면에는 장식패널(140)이 결합된다. 장식패널(140)은 옹벽블록(110)의 전면을 장식할 수 있도록 패널고정구(150)에 의해 옹벽블록(110)의 장착면(113)에 결합된다.The
장식패널(140)은 역석, 목재패널, 합성수지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스크루나 볼트를 통해 패널고정구(150)에 결합된다. 특히, 장식패널(140)은 그 폭이 장착면(113)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장착면(113)에서 돌출된다.The
패널고정구(150)는 옹벽블록(110)의 장착면(113)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스크루나 볼트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된다. 특히, 패널고정구(150)는 옹벽블록(1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옹벽블록(110)에 인서트된다. 예를 들어 옹벽블록(110)은 콘크리트에 의해 양생될 때 패널고정구(150)가 매입된 상태로 양생된다. 이를 통해 패널고정구(150)가 옹벽블록(110)의 외면으로 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옹벽블록(110)을 운반하거나 적층할 때 패널고정구(1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고정구(150)는 "Γ"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면이 옹벽블록(110)의 전면으로 노출된다.The
한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Meanwhile, using the strip reinforcement
블록식Block type
보강토Reinforcement soil
옹벽구조물(100)은 상하로 적층되는 옹벽블록(110) 사이에 The retaining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식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굴토지나 경사지의 절개면과 같은 시공부지에 옹벽블록(110)을 좌우 일렬로 배치하고, 옹벽블록(110)에 블록 지지부(120)를 결합한 후, 옹벽블록(110)의 높이 만큼 뒤채움 토사를 복토하여 블록 지지부(120)의 스트립 보강재(121)를 매립한다.First, the retaining wall blocks 110 are arranged in a line on a construction site such as a cut surface of a pit land or a slope, and the
특히, 시공부지의 조건에 맞게 스트립 보강재(121)의 길이를 조절하여 절단하고, 양 끝단부에 결합파이프(123)의 삽입을 위한 결합공(121a)을 천공한다. 이후 결합공(121a)에 결합파이프(123)를 삽입하고, 스트립 보강재(121)가 장홈부(111a)에 삽입되도록 결합파이프(123)를 안착홈부(111b)에 결합한다.In particular, the length of the
이때, 장홈부(111a)의 깊이(D1)가 스트립 보강재(121)의 넓이(W1)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스트립 보강재(121)이 옹벽블록(110)에서 회전가능하여 뒤채움 토사의 침하에 의해 스트립 보강재(121)가 옹벽블록(110)에 접촉되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epth (D1) of the
이후, 제1 옹벽블록(110) 열의 상면에 다른 하나의 옹벽블록(110)을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하여 제2 옹벽블록(110)을 위치시킨 후, 스트립 보강재(121)를 결합한다. 이때, 지지돌부(131)가 지지홈부(133)에 삽입되면서 상하로 적층되는 옹벽블록(110)을 지지하게 된다.Thereafter, another retaining
또한, 옹벽블록(110)의 적층이 완료되면, 옹벽블록(110)의 전면에 장식패널(140)을 결합하여 옹벽블록(110)을 다양한 형상으로 장식한다. 이때, 패널고정구(150)가 옹벽블록(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옹벽블록(110)에 일체로 인서트되므로, 옹벽블록(110)의 보관이나 이동 적층시 패널고정구(15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식패널(14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더하여, 장식패널(140)의 교체가 용이하여 디자인 변경은 물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acking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을 설명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은 절토단계(S10)와, 기초부 형성단계(S20)와, 보강재 설치단계(S30)와, 옹벽블록 적층단계(S40)와, 마감단계(S50)를 포함한다.1 to 13,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t step (S10), the foundation portion forming step (S20), the reinforcing material installation step (S30),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stacking step (S40), and finishing step (S50).
절토단계(S10)는 옹벽블록(110)을 시공하기 위한 도로나 절개지의 경사면을 부분 절토하여 절토부를 형성한다. 이때, 절토부의 바닥면은 기초부 형성단계(S20)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로나 절개지를 특정 깊이로 굴토한다.Cutting step (S10) forms a cut by partially cutt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ad or incis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기초부 형성단계(S20)는 절토부의 바닥 굴토부에 옹벽블록(110)의 적층하기 위한 콘크리트 기초부를 타설한다. 이러한 기초부 형성단계(S20)에서는 콘트리트 기초부의 양생을 통해 적층되는 옹벽블록(110)의 침하를 방지한다.Foundation part forming step (S20) pours the concrete foundation for the lamination of the
콘크리트 기초부의 양생이 완료되면 콘크리트 기초부에 옹벽블록(110)을 1열로 배치하고 스트립 보강재(121)를 시공하여 옹벽블록(110)을 지지하는 보강재 설치단계(S30)를 진행한다.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foundation is completed, the retaining
보강재 설치단계(S30)는 콘크리트 기초부에 1열로 배치되는 옹벽블록(110)과 절토부의 거리에 맞게 스트립 보강재(121)를 절단하고, 스트립 보강재(121)에 결합공(121a)을 형성하고, 결합공(121a)에 결합파이프(123)를 삽입하여 옹벽블록(110)의 결합홀부(111)에 결합한다. 이러한 보강재 설치단계(S30)는 차례대로 배열 및 적층되는 모든 옹벽블록(110)에 스트립 보강재(121)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진행된다.Reinforcement installation step (S30) is to cut the
특히, 보강재 설치단계(S30)는, 결합공(121a)을 형성하는 스트립 보강재(121)의 양 끝단부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스트립 보강재(121)의 양 끝단부를 접은 상태에서 접힌 부위에 결합공(121a)을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스트립 보강재(121)에 결합공(121a)을 형성하더라도 그 부위의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material installation step (S30), the coupling hole in the folded portion in the folded state of both ends of the
또한, 스트립 보강재(121)에 결합공(121a)을 형성할 때 히팅봉 등을 이용하여 스트립 보강재(121)에 열을 가하여 천공한다. 이를 통해 결합공(121a)의 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공(121a)의 내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옹벽블록 적층단계(S40)는 스트립 보강재(121)를 시공한 후, 옹벽블록(110)의 후방에 뒤채움 토사를 복토하여 스트립 보강재(121)를 지지시키고, 잡석채움홀부(115)에 잡석을 채운다. 또한, 옹벽블록 적층단계(S40)에서는 옹벽블록(110)을 적층할 때 마다 보강재 설치단계(S30)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면서 절토부의 높이에 맞게 옹벽블록(110)을 적층한다.Retaining wall block stacking step (S40)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마감단계(S50)는 최상부에 적층되는 옹벽블록(110)에 마감블록(160)을 적층하고, 옹벽블록(110)의 장착면(113)에 장식패널(140)을 결합한다.Finishing step (S50) is laminated to the finishing block 160 o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블록식 보강토 옹벽 110 : 옹벽블록
111 : 결합홀부 111a : 장홈부
111b : 안착홈부 113 : 핀결합홀
120 : 블록 지지부 121 : 스트립 보강재
121a : 결합공 121b : 지지리브
123 : 결합파이프 125 : 스트립 고정부재
125a : 고정홈부 130 : 적층지지부
140 : 장식패널 150 : 패널고정구
160 : 마감블록100: 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110: retaining wall block
111:
111b: mounting groove 113: pin coupling hole
120: block support 121: strip reinforcement
121a:
123: coupling pipe 125: strip fixing member
125a: fixing groove 130: laminated support
140: decorative panel 150: panel fixture
160: finishing block
Claims (4)
상기 결합홀부는, 상기 옹벽블록의 후면에서 내부로 형성되는 장홈부; 및 상기 장홈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옹벽블록에 형성되며, 깊이가 상기 장홈부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부와 연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뒤채움 토사에 매립되어 지지되는 스트립 보강재;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어 걸리는 결합파이프; 및 상기 스트립 보강재를 상기 뒤채움 토사에 지지하는 스트립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 보강재는, 하면이 상기 장홈부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상기 뒤채움 토사의 침하에 따라 함께 침하되면서 상기 옹벽블록에서 회전하며, 인발저항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뒤채움 토사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도록 양면에 지지리브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Retaining wall block having a coupling hole portion, the rubble filling hole port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the left and right are aligned in succession to the left and right to cover the backfill soil; A block support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block to the backfilling soil, and rotate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settlement of the backfilling soil; And a laminated support part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block being stacked.
The coupling hole portion, the elongated groove portion formed in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 groove, and having a depth lower than that of the long groove.
The block support unit, a strip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ating groov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ng groove, embedded in the backfill soil and supported; A coupling pip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seated on the seating groove; And a strip fix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trip reinforcement on the backfill soil.
The strip reinforcing member is rotat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while the low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 groove portion and settled together with the settlement of the backfilled soil, and both sides to increase the pull resistance and to improve friction with the backfilled soil. Block-typ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ibs are spaced apart.
상기 옹벽블록의 장착면에 결합되는 장식패널; 및
상기 장착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옹벽블록에 인서트되며, 스크루에 의해 상기 장식패널이 고정되도록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패널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패널은, 상기 장착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 측면이 상기 장착면에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A decorative panel coupled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And a panel fixing tool insert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so as to be exposed to the mounting surface, and formed by a synthetic resin to fix the decorative panel by screws.
The decorative panel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ounting surface block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strip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exposed from the mounting surface.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록 중 가장 상측에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록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옹벽블록을 커버하며, 곡선배열이 가능하도록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마감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s laminated to cover the retaining wall block, using a strip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nishing block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to enable a curved arrangement 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옹벽블록의 시공을 위한 경사면을 부분 절토하여 상기 옹벽블록이 시공되는 절토부를 형성하는 절토단계; 상기 절토부의 바닥면에 상기 옹벽블록의 적층을 위한 콘크리트 기초부를 타설하는 기초부 형성단계;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에 상기 옹벽블록을 1열로 배치하고, 상기 옹벽블록과 상기 절토부의 거리에 맞게 스트립 보강재를 절단한 후, 상기 스트립 보강재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결합파이프를 상기 결합공에 삽입하여 상기 옹벽블록에 상기 스트립 보강재를 결합하는 보강재 설치단계;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에 뒤채움 토사를 복토하여 상기 스트립 보강재를 지지시키고, 상기 절토부의 높이에 맞게 상기 보강재 설치단계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옹벽블록 적층단계; 및 최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록에 마감블록을 적층하고, 상기 옹벽블록의 전면에 장식패널을 결합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 설치단계는, 상기 스트립 보강재를 절단하고, 상기 스트립 보강재의 양 끝단부를 접어서 내구성을 보강한 후, 상기 스트립 보강재의 접힌 부위에 상기 결합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of any one of claims 1 to 3,
A cutting step of partially cutting the inclined surface for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form a cut portion in which the retaining wall block is constructed; A foundation portion forming step of placing a concrete foundation portion for laminating the retaining wall block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t portion; After arranging the retaining wall blocks in one row on the concrete foundation, cutting the strip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ut portion, forming a joining hole in the strip reinforcing material and inserting a joining pipe into the joining hole. Reinforcing material installation step of coupling the strip reinforcement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 retaining wall block stacking step of supporting the strip reinforcement by covering the backfilled soil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continuing the reinforcement installation step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ut portion; And a finishing step of stacking a finishing block on the retaining wall block stacked on the top and coupling a decorative pan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he reinforcing member installation step, cutting the strip reinforcement, folding both ends of the strip reinforcement to reinforce the durability, the block type using the strip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the coupling hole in the folded portion of the strip reinforcement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769A KR102099041B1 (en) | 2019-07-29 | 2019-07-29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769A KR102099041B1 (en) | 2019-07-29 | 2019-07-29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4744A Division KR20180129150A (en) | 2017-05-25 | 2017-05-25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2352A true KR20190092352A (en) | 2019-08-07 |
KR102099041B1 KR102099041B1 (en) | 2020-04-08 |
Family
ID=6762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1769A Active KR102099041B1 (en) | 2019-07-29 | 2019-07-29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904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332549A1 (en) * | 2020-04-23 | 2021-10-28 | The Taylor IP Group | Soil reinforcing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KR102344810B1 (en) * | 2021-09-01 | 2021-12-28 | 박광일 | Front panel replaceable concrete block retaining wall |
KR20230167475A (en) * | 2022-06-02 | 2023-12-11 | 공학봉 | 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5462B1 (en) * | 2011-01-05 | 2011-05-18 | 강선욱 | Decorative plate mounting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
KR20140089735A (en) * | 2013-01-07 | 2014-07-16 | 주식회사 한포스 | Reinforcing metal strip for retaining wall |
KR20150086052A (en) * | 2014-01-17 | 2015-07-27 | 이해원 | Block unit for vertical retaining wall |
KR101552065B1 (en) * | 2014-09-30 | 2015-09-09 | 황의준 | Apparatus for connecting block with stiffener in retaining wall |
KR101694527B1 (en) * | 2016-08-29 | 2017-01-10 |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 Retaining wall using block |
KR20170040061A (en) * | 2015-10-02 | 2017-04-12 |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 Composite front block and Cut section and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embankment retaining wall section using composite front block |
-
2019
- 2019-07-29 KR KR1020190091769A patent/KR10209904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5462B1 (en) * | 2011-01-05 | 2011-05-18 | 강선욱 | Decorative plate mounting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
KR20140089735A (en) * | 2013-01-07 | 2014-07-16 | 주식회사 한포스 | Reinforcing metal strip for retaining wall |
KR20150086052A (en) * | 2014-01-17 | 2015-07-27 | 이해원 | Block unit for vertical retaining wall |
KR101552065B1 (en) * | 2014-09-30 | 2015-09-09 | 황의준 | Apparatus for connecting block with stiffener in retaining wall |
KR20170040061A (en) * | 2015-10-02 | 2017-04-12 |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 Composite front block and Cut section and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embankment retaining wall section using composite front block |
KR101694527B1 (en) * | 2016-08-29 | 2017-01-10 |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 Retaining wall using block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332549A1 (en) * | 2020-04-23 | 2021-10-28 | The Taylor IP Group | Soil reinforcing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KR102344810B1 (en) * | 2021-09-01 | 2021-12-28 | 박광일 | Front panel replaceable concrete block retaining wall |
KR20230167475A (en) * | 2022-06-02 | 2023-12-11 | 공학봉 | 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9041B1 (en) | 2020-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509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this precast retaining wall panel using precast retaining wall panel and semi-dry backfill | |
KR102099041B1 (en)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405088B1 (en) | Assembled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159755B1 (en) | Finishing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1149895B1 (en) | Reinforcement block for pillar of tunnel | |
JP6186267B2 (en) | How to build an underground tunnel | |
KR20080077721A (en) | Block building method for retaining wall | |
KR101285266B1 (en)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 |
KR20120039439A (en) | Synthetic pile wall using the h-ste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80129150A (en)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90109890A (en) | Composite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 |
KR101912324B1 (en) | screw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g wall | |
KR101088477B1 (en) | Multi retaining wall block to which various reinforcements can be applied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072286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 |
KR100998502B1 (en) |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with shear key and steel pipe | |
KR101720213B1 (en) | C.i.p. method using pile assembly | |
KR102066731B1 (en) | Method for building retaining wall | |
KR102490872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sile force of steel rod piles | |
KR102652914B1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block fixing device | |
KR200440047Y1 (en) | Retaining wall blocks | |
KR100846094B1 (en) | Shift Structure for Construction of Mountain Region with Superelevation Inclin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334749B1 (en) | Vegetation block in tiers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JP2011157719A (en) | Earth retaining method | |
KR101065726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 |
KR101032408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Using Line Reinforcement Column and Concrete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70525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06474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