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119Y1 - 마우스용 손목 밴드 - Google Patents

마우스용 손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119Y1
KR200369119Y1 KR20-2004-0026375U KR20040026375U KR200369119Y1 KR 200369119 Y1 KR200369119 Y1 KR 200369119Y1 KR 20040026375 U KR20040026375 U KR 20040026375U KR 200369119 Y1 KR200369119 Y1 KR 200369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band
mouse
detachable mean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김종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광 filed Critical 김종광
Priority to KR20-2004-0026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r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우스용 손목 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저부 외측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목부위를 받쳐주는 손목 받침부로 구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면서, 상기 밴드부는 신축력이 양호한 고무밴드를 링 형태로 형성하거나, 천이나 피혁 등을 이용하여 띠 형태로 형성시키되 이 경우 상기 밴드부의 양측부에 착탈수단을 부가 설치하고, 또 상기 손목 받침부는 밴드부에 직접 고정 설치하거나, 착탈수단을 통해 밴드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착탈수단은 벨크로 테이프나, 후크부재 또는 요/철부재로 구성되는 스냅 파스너, 버클 및 신축밴드 형태 등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하더라도 어깨나 신체에 편안함을 주어 마우스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던 각종 증후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자체의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우스용 손목 밴드 {A wrist band for mouse}
본 고안은 마우스용 손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 패드와 별도로 손목 받침부가 구비된 밴드를 형성시켜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때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손목 받침부는 사용자의 손목 형태에 부응하여 그의 설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밴드에 설치된 손목 받침부가 작업자의 손목부위를 인체 공학에 맞게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마우스의 사용중 손목부위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부하를 원활히 완화시켜 손목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컴퓨터 사용 증후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는 책상에 재치시킨 상태에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시키고자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써, 상기 키보드와 마우스의 높이와 위치는 작업능률 및 피로도의 경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학술적으로 보고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키보드나 마우스의 작업 위치가 너무 높거나 낮은 상태의 비-인체 공학적인 위치에서 장시간에 걸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능률이 저하되며, 그러한 환경에 지속적으로 방치하게 되면 작업자의 신체에 상당한 장애를 유발하는 어깨 결림 등 컴퓨터 증후군으로 발전하게 된다.
특히 마우스의 경우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마우스의 제어에 신경을 쓰게되어, 어깨에 힘이 들어가게 되고, 이어서 어깨와 팔과 허리 등에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들어서는 도 1과 같이 마우스 패드(5)의 전면부 상부에 손목 받침부(51)를 돌출 형성시켜 마우스(4)를 잡고 작업을 실행할 때 상기 손목 받침부(51)에 손목부위가 자연스럽게 올려질 수 있도록 하거나,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248293호에서와 같이 마우스 자체에 손목 지지대를 출입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서 손목 지지대를 원하는 길이 만큼 마우스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또는 등록실용신안 20-0279818호에서와 같이 마우스에서 손목 지지대를 분리시킨 것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에 있어서 첫번째의 경우는 마우스와 별개로 형성되는 마우스 패드상에 손목 받침부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마우스의 사용시 사용자의 손목부위를 인체 공학적으로 정확히 지지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두번째의 경우는 손목 지지대가 마우스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미 보급된 마우스에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손목 지지대 자체가 마우스와 같이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손목을 완벽하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세번째의 경우는 손목 지지대가 마우스와 별개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손목에 착용할 수도 없어 마우스를 움직이고자 손이 움직일때 손목 지지대가 사용자의 손목부위로부터 이격될 우려가 있어 손목에 가해지는 힘을 충분히 해소할 수 없음은 물론 보관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의 크기나 손목부위의 형태에 부응하여 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손목 받침부가 구비된 밴드를 마우스 사용자의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하더라도 어깨나 신체에 편안함을 주어 마우스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던 증후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자체의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저부 외측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목부위를 받쳐주는 손목 받침부로 구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면서, 상기 밴드부는 신축력이 양호한 고무밴드를 링 형태로 형성하거나, 천이나 피혁 등을 이용하여 띠 형태로 형성시키되 이 경우 상기 밴드부의 양측부에 착탈수단을 부가 설치하고, 또 상기 손목 받침부는 밴드부에 직접 고정 설치하거나, 착탈수단을 통해 밴드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착탈수단은 벨크로 테이프나, 후크부재 또는 요/철부재로 구성되는 스냅 파스너, 버클 및 신축밴드 형태 등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손목 보호기능을 구비한 종래 마우스용 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손목 밴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손목 밴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의 (a)-(e)는 본 고안 손목 밴드 중 착탈수단들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밴드부 2 : 손목 받침부
3 : 착탈수단 4 : 마우스
5 : 마우스 패드 21 : 호형 안치홈
22 : 반구형 볼록부 31 : 벨크로 테이프
32 : 후크부재 33 : 스냅 파스너
34 : 버클 35 : 신축밴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손목 밴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고안 손목 밴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a)-(e)는 본 고안 손목 밴드 중 착탈수단들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띠 형태를 갖고 사용자의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드부(1)와; 상기 밴드부(1)의 저부 외측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목부위를 받쳐주는 손목 받침부(2)로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밴드부(1)는 신축력이 양호한 고무밴드를 도 2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하거나, 천이나 피혁 등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양단부가 절단된 띠 형태로 형성시키되 이 경우 상기 밴드부(1)의 양측 단부에는 착탈수단(3)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손목 받침부(2)는 종래의 마우스 패드와 같이 그 내부에 부드러운 고무재질이 충진되어 손목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변화에 부응하여 그 형태가 약간씩 변화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사용자의 손목 저부 형상에 대응하는 호형의 안치홈(2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마우스(4)의 조작에 부응하여 손목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반구형의 볼록부(22)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손목 받침부(2)는 재봉이나 접착 등의 방법으로 밴드부(1)에 직접 고정 설치하거나, 착탈수단(3)을 통해 밴드부(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띠 형상을 갖는 밴드부(1)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시켜 주거나, 손목 받침부(2)를 밴드부(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상기 착탈수단(3)은 도 4의 (a)-(d)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31)를 사용하거나, 일측에 걸림편(321)이 설치되고 타측에 걸고리(322)가 설치되는 구성의 후크부재(32) 또는 암수를 이루는 요/철부재(331)(332)로 구성되는 스냅 파스너(33), 일측에 구멍(341)이 천공되고 타측에 결착부재(342)가 설치되는 형태의 버클(34) 및 서로 엊갈리는 형태를 갖는 밴드부(1)의 양단부에 각각 고무부재로 된 신축밴드(3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에 있어서 착탈수단(3)은 전술한 예시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밖에도 타이 밴드 형태 등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손목 밴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부(1)는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착용시 사용자의 손목에 압박감을 주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밴드부(1)는 사용자의 손목에 직접 착용할 수 있도록 신축력이 양호한 고무밴드를 도 2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하여도 되고, 천이나 피혁 등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양단부가 절단된 띠 형태로 형성하여도 되는데, 이와 같이 띠 형상으로 형성시켰을 때에는 상기 밴드부(1)의 양측 단부에는 착탈수단(3)을 부가 설치하여 밴드부(1)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손목 굵기에 따라 그 길이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면 된다.
한편, 상기 밴드부(1)의 저부 외측부에는 사용자의 손목부위를 자연스럽게 받쳐줄 수 있는 손목 받침부(2)를 직접 부착 또는 고정시키는 방식을 통해 설치하거나, 별도의 착탈수단(3)를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였다.
물론, 상기 손목 받침부(2)는 밴드부(1)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였을 때 손목부위와의 접촉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그 상면에 호형의 안치홈(21)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마우스(4)의 조작을 위해 손 및 손목을 움직일 때 손목 받침부(2)와 마우스 패드(5) 사이의 접촉 저항이 작으면서도 전후 좌우로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구형의 볼록부(22)를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착탈수단(3) 즉, 띠 형상을 갖는 밴드부(1)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시켜 주거나, 손목 받침부(2)를 밴드부(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상기 착탈수단(3)은 도 4의 (a) 내지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즉, 도 4의 (a)와 같이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벨크로 테이프(31)를 띠 형상을 갖는 밴드부(1)의 양단부 또는 밴드부(1)의 중간 저면과 손목 받침부(2)의 상면 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도 4의 (b)와 같이 일측부에는 다수개의 걸림편(321)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타측에 걸고리(322)를 설치한 구성의 후크부재(32)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c)와 같이 암수 한쌍을 이루는 요부재(331)와 철부재(332)로 구성되는 스냅 파스너(33)를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도 4의 (d)와 같이 일측에는 다수개의 구멍(341)을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하고 타측에는 결착부재(342)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 버클(34)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 도 4의 (e)와 같이 및 서로 엊갈겨 겹쳐진 형태를 갖는 밴드부(1)의 양단부에 각각 고무부재로 된 링형의 신축밴드(35)를 설치하여 신축밴드와 밴드부(1)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배드부가 링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밖에도 타이 밴드 등과 같은 형태의 착탈수단(3)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 있어서 띠 형상을 갖는 밴드부(1)에 설치되는 착탈수단(3)은 전술한 예시예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사용시 별 다른 문제가 없으나, 밴드부(1)에 손목 받침부(2)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착탈수단(3)은 밴드부(1)와 손목 받침부(2)의 형태 또는 착탈 작업을 감안하여 볼 때 벨크로 테이프(31)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목 받침부(2)를 밴드부(1)에 직접 고정 또는 부착하지 않고, 착탈수단(3)을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의 형상이나, 사용자가 마우스를 잡는 형태 및 취향 등에 따라 손목 받침부(2)의 부착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밴드부(1)의 저부에 손목 받침부(2)를 부착할 때 손부위에 가깝게 설치할 수도 있고, 손목부위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등 그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마우스(4)를 사용하여 컴퓨터 작업을 실시할 때 자신의 손목부위를 제일 자연스럽게 받쳐주는 위치를 찾아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하더라도 손목에 찬 밴드의 손목 받침기능에 의해 어깨나 신체에 편안함을 주게 되어 마우스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증후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손목 받침부 자체가 사용자가 손목에 차고 있는 밴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마우스의 사용이 완료되고 컴퓨터의 키보드만을 조작할 때에는 밴드부로부터 손목 받침부를 분리시킬 수 있어 마우스 밴드 자체가 걸리적 거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들의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용 손목 밴드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의 크기나 손목부위의 형태에 부응하여 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손목 받침부가 구비된 밴드를 마우스 사용자의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하더라도 어깨나 신체에 편안함을 주어 마우스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던 각종 증후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자체의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1)

  1. 띠 형태를 갖고 사용자의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저부 외측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목부위를 받쳐주는 손목 받침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신축력이 있는 고무밴드를 링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천이나 피혁을 이용하여 양단부가 절단된 띠 형태로 형성시키되, 절단된 양측 단부에는 밴드부의 길이 가변 및 손목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착탈수단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목 받침부는 사용자의 손목 저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에는 호형 안치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마우스의 조작에 부응하여 손목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반구형의 볼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목 받침부는 밴드부의 저면부에 직접 부착 또는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목 받침부는 착탈수단을 통해 밴드부의 저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일측에 걸림편이 설치되고 타측에 걸고리가 설치되는 구성의 후크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9.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암수를 이루는 요/철부재로 구성되는 스냅 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 결착부재가 설치되는 형태의 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서로 엊갈겨 겹쳐진 형태를 갖는 밴드부의 양단부에 각각 고무부재로 된 링형의 신축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손목 밴드.
KR20-2004-0026375U 2004-09-14 2004-09-14 마우스용 손목 밴드 KR200369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375U KR200369119Y1 (ko) 2004-09-14 2004-09-14 마우스용 손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375U KR200369119Y1 (ko) 2004-09-14 2004-09-14 마우스용 손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119Y1 true KR200369119Y1 (ko) 2004-12-03

Family

ID=4944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375U KR200369119Y1 (ko) 2004-09-14 2004-09-14 마우스용 손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1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288A (ko) 2019-09-18 2021-03-26 (주)레인그래픽 마우스 조작용 손목보호대
KR102260589B1 (ko) * 2020-11-10 2021-06-04 (주)레인그래픽 컴퓨터 입력장치 조작 시 착용하는 손목 보호용 밴드
KR102640961B1 (ko) 2023-09-18 2024-02-27 안창근 손바닥 냉각 성능을 갖는 손목받침 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288A (ko) 2019-09-18 2021-03-26 (주)레인그래픽 마우스 조작용 손목보호대
KR102260589B1 (ko) * 2020-11-10 2021-06-04 (주)레인그래픽 컴퓨터 입력장치 조작 시 착용하는 손목 보호용 밴드
KR102640961B1 (ko) 2023-09-18 2024-02-27 안창근 손바닥 냉각 성능을 갖는 손목받침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834B2 (en) Tool bag with multiple combinations of pockets
WO2007001346A3 (en) Tool belt
US6932304B1 (en) Wrist support device
JP4619070B2 (ja) ポインティング部材を備えたストラップ
US20230000659A1 (en) Wrist guard
KR200369119Y1 (ko) 마우스용 손목 밴드
US6698697B1 (en) Wrist support device
KR102260589B1 (ko) 컴퓨터 입력장치 조작 시 착용하는 손목 보호용 밴드
US7207539B1 (en) Leg-mounted mouse pad and method of use
KR20040053293A (ko) 체결수단을 홀딩하기 위한 아암밴드
KR200396273Y1 (ko) 물갈퀴를 갖는 손착용구
KR20210068661A (ko) 컴퓨터 작업용 손목 지지기구
US20080052800A1 (en) Wearable holder pad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KR100331974B1 (ko) 손가락 삽입형 링 마우스
KR20200000440U (ko) 장식을 바꿀 수 있는 장갑
CN210771517U (zh) 一种能够佩戴的手电筒
KR200293989Y1 (ko) 마우스용 손목보호대
US20210106079A1 (en) Knee Pad Assembly
CN219479311U (zh) 一种使用便捷的丁腈手套
KR200229142Y1 (ko) 하중 분산용 패드가 부착된 가방용 멜빵
JP3052453U (ja) マウスパッド
KR200195721Y1 (ko) 마우스 사용 보조 기구
CN213307653U (zh) 一种带有可调节安全袖结构的手套
KR200239258Y1 (ko) 컴퓨터 마우스 용 손목 받침 대
US20060226186A1 (en)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