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541Y1 -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 Google Patents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541Y1
KR200368541Y1 KR20-2004-0024372U KR20040024372U KR200368541Y1 KR 200368541 Y1 KR200368541 Y1 KR 200368541Y1 KR 20040024372 U KR20040024372 U KR 20040024372U KR 200368541 Y1 KR200368541 Y1 KR 200368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control
control module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3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현호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4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54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541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을 공개한다. 이 시스템은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입력부들, 및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 라인을 통하여 입력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하여 수신된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부하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들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배선을 간단하게 하고, 배선량을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 vehicle. The system transmits input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inputs outputting an input signal, and a communication line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operates a load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the inpu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And a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for outputting driving signals, wherein the control modules ar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Therefore, the wiring required for building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automobile can be simplified and the wiring amount can be reduced.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라인을 이용함으로써 전자 제어 시스템에 필요한 배선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배선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n automobile capable of simplifying wiring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wiring required for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by using a communication line.

최근 들어, 기존에는 미적용 되거나 고급 차종에 일부 옵션으로 장착되던 전자 시스템이 점차 기본 장착으로 바뀌고 있으며, 새로운 전자 시스템이 개발되어 고급 차종 위주로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를 설치하기 위한 배선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배선 역시 복잡해지고 있다.Recently, electronic systems that have not been applied or installed as some options on high-end vehicles are gradually being replaced by basic installations, and new electronic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mounted mainly on high-end vehicles. Therefore, the wiring amount for installing this is increasing, and the wiring is also complicated.

도 1은 종래의 자동자의 전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제1, 제2, 및 제3 입력부(12, 14, 16), 배터리(21), 제1 배선함(22), 제2 배선함(23), 제어유닛(24), 릴레이 박스(25), 및 제1, 제2 및 제3 부하들(32, 34, 36)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엔진룸 영역은 자동차의 엔진룸 및 그 주변 영역을, 계기판 영역은 계기판 주변 및 자동차의 실내 영역을, 트렁크 영역은 트렁크 및 그 주변 영역을 나타낸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 conventional automaker, and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input units 12, 14, and 16, a battery 21, a first junction box 22, and a second one. The junction box 23, the control unit 24, the relay box 2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loads 32, 34, and 36 are formed. In FIG. 1, the engine room region represents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and its surrounding area, the instrument panel region represents the periphery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interior area of the car, and the trunk region represents the trunk and the peripheral area thereof.

도 1에서 제1, 제2, 및 제3 부하들(32, 34, 36)은 각각 엔진룸 영역, 계기판 영역, 트렁크 영역에 장착된 전자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 예를 들면, 헤드 램프, 방향등, 계기판 등의 각종 램프, 및 파워 윈도우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엔진룸 영역에 있는 제1 부하(32)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하는 방향등, 차폭등 등의 램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계기판 영역에 있는 제2 부하(34)는 파워 윈도우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 계기판 등의 각종 램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트렁크 영역에 있는 제3 부하(36)는 자동차 후방의 미등 등의 램프, 방향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1, the first, second and third loads 32, 34, 36 are each an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nic system mounted in an engine compartment region, an instrument panel region, a trunk region, for example a headlamp, Means various lamps, such as a turn signal, a dashboard, and a motor for operating a power window. In other words, the first load 32 in the engine room region may be configured as a head lamp of a vehicle, a lamp such as a turn signal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a vehicle width lamp, or the like, and the second load 34 in the dashboard region. )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lamps such as a motor, an instrument panel for operating the power window, and the third load 36 in the trunk area may be configured with a lamp such as a tail light or the like at the rear of the vehicle.

도 1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 of each of the blocks shown in FIG. 1 is as follows.

제1, 제2, 및 제3 입력부들(12, 14, 16)은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며, 특정한 구성 부분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계기판 영역에 있는 제2 입력부(14)의 경우에는 실내외 조명등을 온, 오프 시키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 및 파워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스위치들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트렁크 영역에 있는 제3 입력부(16)의 경우에는 트렁크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연료 주입구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들은 트렁크 또는 연료 주입구의 개폐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출력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input units 12, 14, and 16 are configured by a sensor or a switch, and detect a state of a specific component or output an input signal in response to a user's manipul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cond input unit 14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the second input unit 14 may be configured of various switches for turning on and off the indoor and outdoor lighting, switch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window, and the like. Accordingly outputs an input signal. In the case of the third input unit 16 in the trunk region, the third input unit 16 may be configured a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trunk is opened or closed,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fuel inlet, and the sensors detect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trunk or the fuel inlet. Outputs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배터리(21)는 전원을 공급한다. 엔진룸 영역에 장착된 제1 배선함(22)은 배터리(21)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시스템의 각 부분(예를 들면, 제2 배선함(23), 릴레이 박스(25) 등)에 전달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1 입력부(12), 또는 제2 입력부(14)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한다. 계기판 영역에 장착된 제2 배선함(23)은 상기 제1 배선함(2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다시 제어 유닛(24)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제2 입력부(14)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한다.The battery 21 supplies power. The first junction box 22 mounted in the engine room area transfer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21 to each part of the system (for example, the second junction box 23, the relay box 25, etc.). At the same time, control signals for operating the loads are output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12 or the second input unit 14. The second junction box 23 mounted in the dashboard region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junction box 22 and transfers it to the control unit 24 again, or inputs it from the second input unit 14 using the supplied power. Output control signals for operating the loads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제어 유닛(24)은 제2 입력부(14) 또는 제3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들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유닛(24)은 동작시키고자 하는 부하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릴레이 박스(25)는 상기 제어 유닛(24)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들을 동작시킨다.The control unit 2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loads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input unit 14 or the third input unit 16. The control unit 24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of loads to be operated. The relay box 25 operates the load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4.

제1, 제2, 및 제3 부하들(32, 34, 36)은 제1 배선함(22), 제2 배선함(23), 제어유닛(24), 또는 릴레이 박스(25)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즉, 제1, 제2, 및 제3 부하들(32, 34, 36)은 부하의 종류, 필요한 구동 전류의 크기 등에 따라 제어 유닛(24)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것도 있고, 릴레이 박스(25)를 통하여 제어되는 것도 있으며, 제1 배선함(22) 또는 제2 배선함(23)에 의해 제어되는 것도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loads 32, 34, and 36 are control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junction box 22, the second junction box 23, the control unit 24, or the relay box 25. Operate in response to That is, the first, second, and third loads 32, 34, 36 may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4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the magnitude of the required driving current, and the like, and the relay box 25 may be used.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first junction box 22 or the second junction box 23.

종래의 자동차의 전자 시스템은 부하를 제어하는 장치들(예를 들면, 제1 배선함(22), 제2 배선함(23), 제어 유닛(24), 릴레이 박스(25) 등)은 기능별로 구분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자동차의 전자 시스템에서는, 엔진룸 영역에 장착된 제1 배선함(22)은 방향등을 제외한 자동차 외부의 각종 램프를 제어하고, 계기판 영역에 장착되는 제어 유닛(24)에서는 파워 윈도우, 계기판의 각종 표시등, 및 방향등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electronic system of a conventional vehicle, devices for controlling a load (for example, the first junction box 22, the second junction box 23, the control unit 24, and the relay box 25, etc.) are classified by function. there was. For example, in the electronic system of the conventional automobile shown in FIG. 1, the first junction box 22 mounted in the engine room region controls various lamps outside the vehicle except for a traffic light, and is mounted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 24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window, various indicators of the instrument cluster, and turn signals.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시스템이 구성될 경우에 배선이 복잡해지고, 따라서, 배선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when an electronic system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wiring becomes complicated, and therefore there exists a problem that wiring amount increases.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동차의 헤드 램프를 작동시키기 전에, 자동차의 미등 등을 온 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은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폭등 등의 램프, 후방에 위치하는 미등 등의 램프들이 온 시키고, 사용자가 계기판을 볼 수 있게 계기판의 백 라이트(back light)를 온 시키도록 전자 장치들을 제어한다. 전방에 위치하는 차폭등은 엔진룸 영역에 있는 제1 부하(32)에 속하고, 후방에 위치하는 미등은 트렁크 영역에 있는 제3 부하(36)에 속하며, 계기판의 백 라이트는 계기판 영역에 있는 제2 부하(34)에 속한다.For example, if a user operates a switch to turn on a taillight of a vehicle before operating the headlamp of a vehicle,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generally includes a rear lamp, a rear light lamp, and the like. Lamps, such as taillights, located at turn on, and control the electronics to turn on the back light of the instrument panel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strument panel. The front lamp lights belong to the first load 32 in the engine compartment area, the rear tail lights belong to the third load 36 in the trunk area, and the backlight of the instrument cluster is located in the instrument cluster area. Belongs to the second load 34.

종래의 자동차의 전자 시스템의 경우, 자동차의 차폭등, 및 미등 등을 동작시키는 장치는 제1 배선함(22)이고, 계기판을 동작시키는 장치는 제어 유닛(24)이며, 또한, 차폭등, 및 미등 등을 온 시키기 위한 스위치는 계기판 영역에 있는 제2 입력부(14)에 위치한다.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system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the apparatus for operating the vehicle's side light and the tail light is the first junction box 22, and the apparatus for operating the instrument panel is the control unit 24, and the vehicle's width light and the tail light. A switch for turning the back on is located at the second input 14 in the instrument cluster region.

따라서, 제2 입력부(14)로부터 출력된 입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제2 입력부(14)로부터 제1 배선함(22)에 이르는 배선이 필요하며, 또한, 제2 입력부(14)로부터 제어 유닛(24)에 이르는 배선도 필요하다. 또한,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해 차폭등, 미등, 및 계기판의 백 라이트를 온 시키기 위해서는 제1 배선함(22)으로부터 엔진룸 영역의 제1 부하(32)에 이르는 배선, 제1 배선함(22)으로부터 트렁크 영역(36)의 제3 부하(36)에 이르는 배선, 및 제어 유닛(24)으로부터 계기판 영역의 제2 부하(34)에 이르는 배선 등이 모두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transfer the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input unit 14, a wiring from the second input unit 14 to the first junction box 22 is required, and also from the second input unit 14 to the control unit 24. Wiring up to) is also required. In addition, the wiring from the first junction box 22 to the first load 32 in the engine room area, the first junction box to turn on the backlight of the vehicle headlight, the tail light, and the instrument panel by the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lamp. The wiring from 22 to the 3rd load 36 of the trunk area 36, the wiring from the control unit 24 to the 2nd load 34 of the instrument panel area, etc. are all needed.

마찬가지로, 방향등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방향등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24)은 계기판 영역에 있지만, 방향등은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 있으므로, 제어 유닛(24)으로부터 각 방향등까지 연결하는 배선들도 필요하게 된다. 다른 전자 시스템의 경우도 각각 별도의 배선이 요구된다.Similarly,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turn signals, the control unit 24 controlling the turn lights is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but since the turn lights are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he wiring connecting the control unit 24 to each turn light It is also necessary. In the case of other electronic systems, separate wiring is required.

따라서,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자 시스템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배선량도 증가하게 되고, 배선도 복잡해진다. 이는 자동차의 무게 및 생산시 필요한 작업량의 증가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생산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최근 들어,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자 장비들의 종류 및 수가 증가함에 따라 공간부족으로 인해 배선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Therefore, as the electronic system mounted on the vehicle increases, the wiring amount also increases, and the wiring becomes complicated.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the amount of work required for production, and consequently,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of the vehicle. Also, in recent years, as the type and number of electronic equipments mounted on automobiles increase, wiring is not possible due to lack of space.

본 고안의 목적은 배선량을 감소시키고 배선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reduce wiring amount and simplify wi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은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입력부들, 및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 라인을 통하여 입력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하여 수신된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부하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들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n auto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plurality of input units for outputting an input signal, and transmitting input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line. And a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for outputting driving signals for operating the loa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put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modules ar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의 상기 복수개의 제어 모듈들은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of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inpu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the input information And a driving unit for outputting the driv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의해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vercurrent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overcurrent flowing by the drive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의 상기 복수개의 입력부들은 엔진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입력부, 계기판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입력부, 및 트렁크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inputs of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input portion located in the engine room region, a second input portion located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and a third input portion located in the trunk reg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의 상기 복수개의 제어 모듈들은 상기 엔진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제어 모듈, 상기 계기판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제어 모듈, 및 상기 트렁크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of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control module located in the engine room area, a second control module located in the instrument panel area, and the trunk area And a third control modu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의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엔진룸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들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계기판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들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3 제어 모듈은 상기 제3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트렁크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들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control module of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drives loads located in the engine room region, and controls the second control. The module receives an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input unit, drives loads located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and the third control module receives an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input unit and is located in the trunk region. It is characterized by driving the loa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은 엔진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입력부 및 제1 제어 모듈, 계기판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입력부 및 제2 제어 모듈, 및 트렁크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입력부 및 제3 제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들은 통신 라인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각각 제1, 제2, 및 제3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하여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n auto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put unit and a first control module located in an engine room area, a second input unit and a second control module located in an instrument panel area, and a trunk area. And a third input unit and a third control module,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respectively, to input signals inpu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put units, respectively. In response, output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들은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of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n auto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utput the inpu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respond to the input signal and the input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nd a driving unit for outputting the driv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의해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vercurrent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overcurrent flowing by the drive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들은 각각 엔진룸 영역, 계기판 영역, 트렁크 영역의 부하들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of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re characterized in that to drive the loads of the engine room area, instrument panel area, trunk area, respectively.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 conventional vehicle.

도 2는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이 자동차에 장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1, 제2, 및 제3 입력부(12, 14, 16),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42, 44, 46), 배터리(21), 및 제1, 제2, 및 제3 부하들(32, 34, 36)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42, 44, 46)은 각각 제어부 및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put units 12, 14, 16,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2 are illustrated in FIG. , 44, 46, battery 21, and first, second, and third loads 32, 34, 36, and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2, 44. And 46 are each composed of a controller and a driver.

도 2에서 제1, 제2, 및 제3 부하들(32, 34, 36)은 각각 엔진룸 영역, 계기판 영역, 트렁크 영역에 위치한 전자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 예를 들면, 헤드 램프, 방향등 등의 램프, 및 파워 윈도우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을 의미하며, 점선은 통신 라인을 나타낸다. 상기 통신 라인은 하나의 라인(single wire), 또는 꼬여진 라인쌍(twisted pair wire), 또는 광 케이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FIG. 2, the first, second and third loads 32, 34, 36 are each a device for operating an electronic system located in the engine compartment area, the instrument panel area and the trunk area, for example a head lamp, a direction. Lamps and the like, motors for operating the power window, and the like, and dotted lines represent communication lines. The communication line may consist of a single wire, a twisted pair wire, an optical cable, or the like.

도 2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 of each of the blocks shown in FIG. 2 is as follows.

제1, 제2, 및 제3 입력부들(12, 14, 16)은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며, 특정한 구성 부분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각각 입력 신호들(IN1, IN2, IN3)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계기판 영역에 있는 제2 입력부(14)의 경우에는 실내외 조명등을 온, 오프 시키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 및 파워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스위치들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IN2)를 출력한다. 트렁크 영역에 있는 제3 입력부(16)의 경우에는 트렁크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연료 주입구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들은 트렁크 또는 연료 주입구의 개폐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입력신호(IN3)를 출력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input units 12, 14, and 16 are configured by a sensor or a switch, and the like, and input signals IN1 and IN2 respectively in response to a state of a specific component or in response to a user's manipulation. , IN3).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cond input unit 14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the second input unit 14 may be configured of various switches for turning on and off the indoor and outdoor lighting, switch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window, and the like. Therefore, the input signal IN2 is output. In the case of the third input unit 16 in the trunk area,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trunk is opened or closed, a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fuel inlet, and the like. Outputs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IN3.

제1 제어 모듈(42)은 배터리(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상기 전원을 제2 및 제3 제어 모듈(44, 46)로 다시 공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전원을 제2 및 제3 제어 모듈(44, 46)로 공급할 때 퓨즈 등을 이용하여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IN1) 및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엔진룸 영역에 위치한 제1 부하(32)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들(CON1)을 출력하며, 제1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IN1)에 응답하여 입력 정보를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제2 및/또는 제3 제어 모듈(44, 46)로 전송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제어 모듈(42)은 상기 구동 신호들(CON1)을 출력할 경우에, 과전류에 의해 제1 부하(32) 및/또는 구동 신호들(CON1)이 전송되는 배선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퓨즈 등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 방지 수단을 구비한다.The first control module 42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21, and supplies the power back to the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4 and 46. Although not shown, in general,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4 and 46, an overcurrent is prevented from being supplied by using a fuse or the like.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IN1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12 and the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the driving signals CON1 for operating the first load 32 located in the engine room area are output. And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second and / or third control modules 44 and 46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IN1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12.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general,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42 outputs the driving signals CON1, the first load 32 and / or the driving signals CON1 are transmitted by overcurrent. An overcurrent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an overcurrent, such as a fuse,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the wiring or the like.

제2 및 제3 제어 모듈(44, 46)은 각각 제2 또는 제3 입력부(14, 16)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IN2, IN3) 및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각각 계기판 영역에 있는 제2 부하(34) 또는, 트렁크 영역에 있는 제3 부하(36)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들(CON2, CON3)을 출력하며, 또한, 각각 제2 또는 제3 입력부(14, 16)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IN2, IN3)에 응답하여 입력 정보를 통신 라인을 통하여 다른 제어 모듈로 전송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제2 및 제3 제어 모듈(44, 46)은 상기 구동 신호들(CON2, CON3)을 출력할 경우에, 과전류에 의해 제2, 및 3 부하(34, 36) 및/또는 구동 신호들(CON2, CON3)이 출력되는 배선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퓨즈 등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 방지 수단을 구비한다.The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4 and 46 are respectively instrument panel regions in response to input signals IN2 and IN3 input from the second or third input units 14 and 16 and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respectively. Outputs drive signals CON2 and CON3 for operating the second load 34 in the vehicle, or the third load 36 in the trunk area, and also the second or third inputs 14 and 16, respectively. The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other control module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s IN2 and IN3 input from the communication line. Although not shown, in general, when the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4 and 46 output the driving signals CON2 and CON3, the second and third loads 34 and 36 may be caused by overcurrent. And / or overcurrent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overcurrent, such as a fus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a wiring or the like from which the driving signals CON2 and CON3 are output.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42, 44, 46)의 제어부는 각각 제1, 제2, 또는 제3 입력부(12, 14, 16)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IN1, IN2, IN3) 및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각각 제1, 제2, 또는 제3 입력부(12, 14, 16)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IN1, IN2, IN3)에 응답하여 통신 라인을 통하여 입력 정보를 다른 제어 모듈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2, 44, and 46 controls input signals IN1, IN2, and IN3 input from the first, second, or third input units 12, 14, and 16, respectively. And a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and input signals IN1, IN2, and IN3 input from the first, second, or third input units 12, 14, and 16, respectively. In response to), the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ther control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42, 44, 46)의 구동부는 각각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에 해당되는 부하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CON1, CON2, CON3)을 출력한다. 구동부는 릴레이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42)의 구동부는 제2 및 제3 제어 모듈(44, 46)의 구동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제어 모듈(42)의 구동부 내부에 퓨즈 등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제2 및 제3 제어 모듈(44, 46)의 구동부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42, 44, 46)내의 구동부는 상기 구동 신호들(CON1, CON2, CON3)을 출력할 경우에, 과전류에 의해 제1 부하(32) 및/또는 구동 신호들(CON1)이 출력되는 배선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퓨즈 등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 방지 수단을 구비한다.The driving uni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2, 44, and 46 respectively output driving signals CON1, CON2, and CON3 for driving the corresponding load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s. . The driving unit may be configured as a relay switch or the like.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2 serves to transfer power to the driving units of the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4 and 46. Although not shown, generally, a fuse or the like is provided inside the driving unit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2 to prevent an overcurrent from flowing to the driving units of the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4 and 46. Also, in general, when the driving unit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2, 44, and 46 outputs the driving signals CON1, CON2, and CON3, the first load may be caused by an overcurrent. 32) and / or overcurrent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overcurrent such as a fus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a wiring or the like from which the driving signals CON1 are output.

즉, 도 2에 나타낸 본 고안의 전자 제어 시스템은 엔진룸 영역의 제1 부하(32)는 엔진룸 영역에 배치된 제1 제어 모듈(42)이, 계기판 영역의 제2 부하(34)는 계기판 영역에 배치된 제2 제어 모듈(44)이, 트렁크 영역의 제3 부하(36)는 트렁크 영역에 배치된 제3 제어 모듈(46)이 각각 제어한다.That is, in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the first load 32 in the engine room area is the first control module 42 disposed in the engine room area, and the second load 34 in the dashboard area is the instrument panel. The second control module 44 arranged in the area is controlled by the third control module 46 arranged in the trunk area by the third load 36 of the trunk area.

또한, 엔진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입력부(12)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들(IN1)은 엔진룸 영역에 배치된 제1 제어 모듈(42)로 입력되고, 계기판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입력부(14)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들(IN2)은 계기판 영역에 배치된 제2 제어 모듈(44)로 입력되고, 트렁크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입력부(16)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들(IN3)은 트렁크 영역에 배치된 제3 제어 모듈로 입력된다. 또한, 각 제어 모듈들(42, 44, 46)은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제1, 제2, 및 제3 입력부(12, 14, 16)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IN1, IN2, IN3)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put signals IN1 out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12 located in the engine room area are input to the first control module 42 disposed in the engine room area, and the second input unit ( Input signals IN2 output from 14 are input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44 disposed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and input signals IN3 output from the third input unit 16 positioned in the trunk region are trunks. Input to the third control module disposed in the area. In addition, each of the control modules 42, 44, and 46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input signals IN1, IN2, and IN3 inpu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put units 12, 14, and 16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Will be shared.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이 자동차에 장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에서 IN1, IN2, 및 IN3은 각각 제1 입력부(12), 제2 입력부(14), 및 제3 입력부(16)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CON1, CON2, 및 CON3은 각각 제1 제어 모듈(42), 제2 제어 모듈(44), 및 제3 제어 모듈(46)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를, 21은 배터리를 각각 나타내며, 점선은 통신 라인을 나타낸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In FIG. 3, IN1, IN2, and IN3 are respectively a first input unit 12, a second input unit 14, and The drivin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2, the second control module 44, and the third control module 46 are input signals output from the third input unit 16 and CON1, CON2, and CON3, respectively. 21 represents a battery, and a dotted line represents a communication line.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3 when explaining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어 모듈(42)은 엔진룸 영역에, 제2 제어 모듈(44)은 계기판 영역에, 제3 제어 모듈(46)은 트렁크 영역에 각각 장착되고,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들(42, 44, 46)은 통신라인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rol module 42 is mounted in the engine compartment area, the second control module 44 is mounted in the instrument panel area, and the third control module 46 is mounted in the trunk area, respectively. And the third control modules 42, 44, 46 are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line.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이 동작하는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s as follows.

예를 들면, 자동차의 헤드 램프를 작동시키기 전에, 자동차의 미등 등을 온 시키기 위해 제2 입력부(14)의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이에 따라 제2 입력부(14)로부터 입력 신호(IN2)가 출력된다. 제2 제어 모듈(44)의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IN2)에 응답하여 통신 라인을 통하여 입력 정보를 제1 제어 모듈(42) 및 제3 제어 모듈(46)로 전송하고, 제2 제어 모듈(44)의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제어 모듈(42) 및 제3 제어 모듈(46)의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각각 제1 제어 모듈(42) 및 제3 제어 모듈(46)의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For example, if the switch of the second input unit 14 is operated to turn on the tail light of the vehicle before operating the head lamp of the vehicle, the input signal IN2 is output from the second input unit 14 accordingly. .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4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first control module 42 and the third control module 46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IN2,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 A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drive unit of 44).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2 and the third control module 46 outputs control signals to the driving units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2 and the third control module 46 in response to the input information.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들(42, 44, 46)의 구동부들은 각각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신호(CON1, CON2, CON3)를 출력한다. 즉, 제1 제어 모듈(42)의 구동부는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폭등 등을 온 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CON1)를, 제2 제어 모듈(44)의 구동부는 계기판의 백 라이트(back light) 등을 온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CON2)를, 제3 제어 모듈(46)의 구동부는 자동차의 후방에 위치하는 미등 등을 온 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CON3)를 각각 출력한다.The driving uni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42, 44, and 46 output driving signals CON1, CON2, and CON3 in response to input control signals, respectively. That is, the driving unit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2 generates a driving signal CON1 for turning on a vehicle headlight or the like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unit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4 includes a back light of the instrument panel. The driving signal CON2 for turning on the back is output, and the driving unit of the third control module 46 outputs the driving signal CON3 for turning on the taillight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전자 제어 시스템에서는 통신 라인, 각 입력부(12, 14, 16)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어 모듈(42, 44, 46)에 이르는 배선, 및, 각 제어 모듈(42, 44, 46)로부터 인접한 부하들 각각에 이르는 배선만이 필요하게 된다.As a result, in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line, the wiring from each input unit 12, 14, 16 to the closest control module 42, 44, 46, and each control module 42, 44, 46 Only the wiring from each to the adjacent loads is needed.

즉,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본 고안의 전자 제어 시스템은 종래의 시스템과 달리 부하들을 동작시키는 장치들을 기능이 아닌 동작시키고자 하는 부하들의 위치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부하들을 구동시키기 위해 설치되어야 하는 배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신 라인을 통하여 자동차의 각 부분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배선을 간단하게 하고, 배선량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 and 3 has to be installed to drive the loads by arranging the devices for operating the load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loads to be operated rather than the functions, unlike the conventional systems. The wiring amount can be reduced. By sharing information on the signal input from each part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the wiring can be simplified and the wiring amount can be reduced.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따라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은 부하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들을 부하들의 위치에 따라 배치하고, 통신 라인을 통하여 각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배선을 간단하게 하고, 배선량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the inventive vehicle simplifies wiring by arranging devices for operating the load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loads, and sharing information on the input signal input from each input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The wiring amount can be reduced.

Claims (12)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입력부들; 및A plurality of input units for outputting an input signal; And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 라인을 통하여 입력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하여 수신된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부하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들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어 모듈을 구비하고,A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for transmitting input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ting driving signals for operating a load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the inpu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The control module is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via the communication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어 모듈들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the inpu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 a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the input information; And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And a driving unit for outputting the driv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 신호에 의해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And an overcurrent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overcurrent from flowing by the driv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입력부들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엔진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입력부;A first input unit located in the engine room area; 계기판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입력부; 및A second input unit positioned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And 트렁크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And a third input unit positioned in the trunk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어 모듈들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상기 엔진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제어 모듈;A first control module located in the engine room area; 상기 계기판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제어 모듈; 및A second control module located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And 상기 트렁크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And a third control module located in the trunk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control module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엔진룸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들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And an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to drive loads located in the engine room reg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control module 상기 제2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계기판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들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And an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input unit to drive loads located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hird control module 상기 제3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트렁크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들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And an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input unit to drive loads located in the trunk area. 엔진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입력부 및 제1 제어 모듈;A first input unit and a first control module located in the engine room area; 계기판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입력부 및 제2 제어 모듈; 및A second input unit and a second control module positioned in the instrument panel region; And 트렁크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입력부 및 제3 제어 모듈을 구비하고,A third input unit and a third control module located in the trunk area;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들은 통신 라인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각각 제1, 제2, 및 제3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하여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and output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in response to input signals inpu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put units, respectively.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들은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are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the inpu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 a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nd the input information; And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And a driving unit for outputting the driv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 신호에 의해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And an overcurrent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overcurrent from flowing by the drive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 모듈들은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rol modules are 각각 엔진룸 영역, 계기판 영역, 트렁크 영역의 부하들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시스템.A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by driving loads in an engine compartment region, an instrument panel region and a trunk region, respectively.
KR20-2004-0024372U 2004-08-25 2004-08-25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KR2003685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372U KR200368541Y1 (en) 2004-08-25 2004-08-25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372U KR200368541Y1 (en) 2004-08-25 2004-08-25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916A Division KR100560121B1 (en) 2004-08-24 2004-08-24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and control method of th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541Y1 true KR200368541Y1 (en) 2004-11-26

Family

ID=4944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372U KR200368541Y1 (en) 2004-08-25 2004-08-25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54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52800B2 (en) Vehicle load control system
KR102370464B1 (en) Reinforcement of vehicle emergency system
US5491383A (en) Motor vehicle light controlling device
ES2219626T3 (en) LIGHTING LAMP OR SIGNALING FOR VEHICLE AND LIGHTING SYSTEM OR SIGNALING EQUIPPED WITH AT LEAST ONE OF THESE LIGHTS.
US8598735B2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as well as an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th such a control unit
EP3971037A1 (en) Vehicle-mounted network system
US7184871B2 (en) Distributed control unit
KR100560121B1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and control method of this
KR200368541Y1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US5760490A (en) Electronic unit for vehicle
US6327263B1 (en) On-vehicle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790455B2 (en) Wire harness module for routing the ceiling of the vehicle, and switch used for the wiring harness module for routing the ceiling
JP3952724B2 (en) VEHICLE LOAD DRIVE SYSTEM, SIGNAL OUTPUT DEVICE, AND LOAD DRIVE DEVICE
JPH04353045A (en) Control system of electrical equipment in automobile
US11130505B2 (en) System for illuminating a rail vehicle and rail vehicle
EP1884405B1 (en) An electronic control unit,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772544B2 (en) Light distribution control device having diffusion controller that selectively irradiates areas
KR100376688B1 (en) A wiring system of vehicle
US20220266799A1 (en) In-vehicle power supply system
JPH07257268A (en) Head lamp circuit
EP3998178A1 (en) In-vehicle power supply system
CN2867416Y (en) Car electric controlling system
KR20130019066A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U2016262723A1 (en)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JPH09318639A (en) Speed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