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46Y1 - Ambulance - Google Patents

Ambul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46Y1
KR200368346Y1 KR20-2004-0024194U KR20040024194U KR200368346Y1 KR 200368346 Y1 KR200368346 Y1 KR 200368346Y1 KR 20040024194 U KR20040024194 U KR 20040024194U KR 200368346 Y1 KR200368346 Y1 KR 200368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room
ambulance
cab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1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to KR20-2004-0024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4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46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60Y2200/116Ambul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급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실과 환자실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환자가 위급할 시에 운전실에 있던 구급요원이 환자실로 이동하여 응급조치를 도울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내구성을 갖도록 구성한 구급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bulance vehicle, a passage connecting the cab and the patient room is formed, the emergency personnel in the cab can move to the patient room to assist emergency measures when the patient is in an emergency, and also configured to have excellent durabil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hic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에 운전실(110)이 위치하고, 운전실(110)의 후방에는 환자실(200)이 위치하며, 환자실(200)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형성된 구급차량에 있어서, 환자실(200)은 다수 개의 빔(310a, 320, 330, 340)들이 연결되어 직육면체 구조의 프레임(300)을 형성하고, 프레임(300)의 내측면에 내측판(303)이 고정되며, 프레임(300)의 외측면에 외측판(305)이 고정되고, 내측판(303)과 외측판(305)의 사이에 단열재(301)가 빔(310a, 320, 330, 340)에 지지되어 고정되며, 운전실(110)과 환자실(200)이 마주하는 격벽(111, 205)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어느 한 쪽 격벽의 관통공에 창(230)이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cab 110 is located in the front, the patient room 200 is located behind the cab 110, the patient room 200 in the ambulance vehicle is formed with one or more doors In the patient room 200, a plurality of beams 310a, 320, 330, and 340 are connected to form a frame 30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and the inner plate 303 is fixed to an inner side of the frame 300. The outer plate 305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frame 300,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1 is supported by the beams 310a, 320, 330, and 340 between the inner plate 303 and the outer plate 305. The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partitions 111 and 205 facing the cab 110 and the patient room 200, respectively, and the window 230 is formed in the through-hole of one of the partition wall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급차량은 환자실과 운전실의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 운전실에 탑승한 구급요원이 환자실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환자실이 프레임과 단열재 및 내외측판으로 구성되어 충격에 강하다.The ambul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isle formed between the patient room and the cab, so that the ambulance personnel in the cab can move quickly to the patient room. .

Description

구급차량{Ambulance}Ambulance {Ambulance}

본 고안은 구급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실과 환자실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환자가 위급할 시에 운전실에 있던 구급요원이 환자실로 이동하여 응급조치를 도울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내구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bulance vehicle, in particular, the passage between the cab and the patient room is formed, the emergency personnel in the cab can be moved to the patient room to help emergency measures when the patient is in emergency, and also to have excellent durability It is made up.

일반적인 구급차량의 경우에는 전방에 운전실이 위치하고, 후방에 환자실이 구분되어 위치한다. 상기 환자실은 6장의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여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환자실의 후면에 도어를 형성하여 환자 및 구급요원이 탑승할 수 있게 구성한다. 따라서 운전실과 환자실은 격벽에 의해 구분된다.In the case of a general ambulance, the cab is located in front and the patient room is located in the rear. The patient room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using six sandwich panels, and a door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patient room so that the patient and paramedics can board. Therefore, the cab and the patient room are separated by partitions.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구급차량 경우에, 운전실과 환자실이 분리되어 있어서, 환자를 이송하는 도중에 환자의 상태가 더욱 악화되어 응급조치가 필요로 할 경우에, 운전실에 있던 구급요원이 차량 밖을 통해 환자실로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급차량은 주행을 멈춰야 하며, 그로 인해 병원도착 시간이 지연되고, 또한 구급요원이 이동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mbulance having such a structure, the cab and the patient room are separated so that the patient's condition worsens while the patient is being transported, and emergency measures are required. Move to the patient room. Therefore, the ambulance must stop running, and thus, the arrival time of the hospital is delayed, and the ambulance takes time to move.

또한, 종래의 구급차량의 환자실은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여 환자실을 구성한다. 샌드위치 패널은 평행하게 마주하는 두 금속판의 사이에 단열재가 위치한 패널 구조로서,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구급차량의 충돌 시에 환자실에 탑승한 구급요원 및 환자가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atient room of the conventional ambulance uses a sandwich panel to constitute a patient room. The sandwich panel is a panel structure in which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wo metal plates facing in parallel,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weak to impact.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mbulance and the patient in the patient room is dangerous in the event of an ambulance crash.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운전실과 환자실에 통로를 형성하여 사람이 통행하거나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충돌 시에 탑승객의 안정을 보장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의 구급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passage in the cab and the patient room can pass a person or quickly transfer information,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 crash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mbulance with a durable structure.

도 1a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급차량의 사시도이고,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mbul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우측면도이며,FIG. 1B is a right side view of the ambulance shown in FIG. 1A,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배면도이다.FIG. 1C is a rear view of the ambulance shown in FIG. 1A.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mbulance shown in FIG. 1,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실의 프레임을 나타낸 좌측면도이고,Figure 3a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frame of the patient room shown in Figure 1,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실의 프레임을 나타낸 우측면도이고,3B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frame of the patient room shown in FIG. 1,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1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beam of a frame illustrated in FIG. 3;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2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4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beam of the frame illustrated in FIG. 3;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3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며,4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beam of the frame illustrated in FIG. 3.

도 4d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빔들이 조립된 상태의 환자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4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tient room in which the beams shown in FIGS. 4A to 4C are assembled.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운전실과 환자실 사이의 격벽을 나타낸 횡단면도이고,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ition wall between an cab and a patient room of the ambulance shown in FIG. 2;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격벽의 종단면도이다.FIG. 5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ition wall illustrated in FIG. 5A.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에어 카울을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ir cowl of the ambulance illustrated in FIG. 1.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구급차량 110 : 운전실100: ambulance 110: cab

111 : 후방 격벽 120 : 에어 카울111: rear bulkhead 120: air cowl

200 : 환자실 205 : 전방 격벽200: patient room 205: front bulkhead

210 : 도어 230 : 창210: Door 230: Window

240 : 쿠션부재 300 : 프레임240: cushion member 300: frame

310a, 310b : 제1 빔 320 : 제2 빔310a, 310b: first beam 320: second beam

330 : 제3 빔 340 : 사각 빔330: third beam 340: square beam

313, 323, 333 : 끼움판 335 : 걸림판313, 323, 333: mounting plate 335: locking pl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에 운전실이 위치하고, 상기 운전실의 후방에는 환자실이 위치하며, 상기 환자실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형성된 구급차량에 있어서, 상기 환자실은 다수 개의 빔들이 연결되어 직육면체 구조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내측판이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외측판이 고정되고, 상기 내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사이에 단열재가 상기 빔에 지지되어 고정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cab is located in the front, the patient room is located behind the cab, the patient room in the ambulance is formed with one or more doors, the patient room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eams To form a fram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an inner plate is fixed to an inner side of the frame, an outer plate is fixed to an outer side of the fram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supported by the beam and fixed between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It i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운전실과 상기 환자실이 마주하는 격벽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s facing the cab and the patient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상기 운전실과 상기 환자실이 마주하는 격벽 중에 어느 한 쪽 격벽의 관통공에 창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window is formed in a through hole of one of the partition walls facing the cab and the patient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창의 테두리를 따라 쿠션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쿠션부재는 다른 한 쪽 격벽으로 연장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운전실의 격벽과 상기 환자실의 격벽 사이에 통로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cushion member is fixed along the edge of the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member extends and fixed to the other partition, thereby forming a passage between the partition of the cab and the partition of the patient room.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빔은 상기 환자실의 지붕 모서리와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빔과, 상기 환자실의 바닥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빔과, 상기 환자실의 도어 또는 창의 틀을 형성하는 제3 빔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 및 상기 제3 빔이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형성하고, 사각 빔이 상기 제1, 제2, 제3 빔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보강한다.In addition, th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beam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roof edge and the vertical corner of the patient room, a second beam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bottom edge of the patient room, the door or window of the patient room It is divided into a third beam forming a frame, the first beam, the second beam and the third beam is connected to form the frame, the square beam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third beam Reinforce the frame.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 빔은, 직각삼각형의 두 직각면 바깥쪽 각각에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상기 직각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단면 구조의 빔이다.In addition, the first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am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fitting plates parallel to each of two right angled outer sides of a right triangle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right angled surface.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2 빔은, 상호 마주하는 두 측판을 폐쇄판이 연결하여 일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두 측판 중에서 어느 한 측판의 외측면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상기 측판에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의 빔이다.In addition, the secon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the closing plate is connected to open in one direction, a pair of fitting plates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two side plates are perpendicular to the side plate Beam of the formed structure.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3 빔은, 평판의 일면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형성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쪽 타면에는 걸림판이 상기 평판에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의 빔이다.The thir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a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fitting plates parallel to each oth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lat plate, and a locking plate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lat plate on the other side of the flat plate.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운전실의 지붕에는 상기 환자실에 연결된 에어 카울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카울의 내부에는 에어컨디셔너가 내장되며, 상기 에어컨디셔너는 상기 환자실의 전방 격벽을 관통해 위치한다.In addition, an air cowl connected to the patient room is formed on the roof of the cab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ir conditioner is built into the air cowl, and the air conditioner is located through the front partition wall of the patient room.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에어 카울에는 조명등이 상기 에어 카울을 관통하여 상기 에어 카울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air cow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rough the air cowl to protrude out of the air cowl through the air cowl.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구급차량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mbul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1a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급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우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실의 프레임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며,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실의 프레임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1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2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3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d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빔들이 조립된 상태의 환자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운전실과 환자실 사이의 격벽을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격벽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에어 카울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mbul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right side view of the ambulance shown in FIG. 1A, and FIG. 1C is a rear view of the ambulance shown in FIG. 1A.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mbulance shown in FIG. 1, FIG. 3A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frame of the patient room shown in FIG. 1, and FIG. 3B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frame of the patient room shown in FIG. 1. It is also.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beam of the frame shown in FIG. 3,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beam of the frame shown in FIG. 3, and FIG. 4C is a third beam of the frame shown in FIG. 3. 4D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tient room in which beams illustrated in FIGS. 4A to 4C are assembled. In addition, 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tion between the cab and the patient room of the ambulance shown in Figure 2, Figure 5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ition shown in Figure 5a, Figure 6 is the air of the ambulance shown in Figure 1 A cross section showing the cowl.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급차량(100)은 전방에 운전실(110)이 위치하고, 운전실(110)의 후방에 환자실(200)이 위치한다. 그리고 운전실(110)의 지붕에는 에어 카울(Air Cowl)(120)이 위치하여 환자실(200)에 연결되고, 환자실(200)의 양측면과 뒷면 외측에는 경광등(201), 각종 용도의 도어(210; 210a 내지 210e) 및 창(220), 그리고 환풍기(203) 등이 장착된다.As shown in FIGS. 1A to 1C, the ambulance 100 has a cab 110 located at the front and a patient room 200 at the rear of the cab 110. And an air cowle (120) is located on the roof of the cab 110 is connected to the patient room 200, the side of the patient room 200 and the outside of the back and side warning lights 201, doors of various uses ( 210, 210a to 210e, a window 220, a fan 203 and the like are mounted.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의 내부에는 운전실(110)과 환자실(200)을 연결하는 여닫이식 통로 창(230)이 형성되어 구조요원이 통행할 수 있게 구성되며, 환자실(200)의 내부에는 환자를 응급 처리할 수 있는 각종 기자재 및 기기들이 배치된다.And, as shown in Figure 2, the interior of the patient room 200, the opening and closing passage window 230 for connecting the cab 110 and the patient room 200 is formed so that rescue personnel can pass, Inside the patient room 200, various equipment and devices for emergency treatment of the patient are arranged.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구급차량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mbulan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은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빔(310a, 320, 330, 340)들이 연결되어 직육면체 구조의 프레임(300)을 형성하고, 빔(310a, 320, 330, 340)과 빔(310a, 320, 330, 340)이 연결되어 형성된 평면공간에는 단열재(도 4d의 301)가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프레임(300)의 내측과 외측에는 내측판(도 4d의 303)과 외측판(도 4d의 305)이 각각 고정되어 환자실(200)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patient room 200 is connected to aluminum alloy beams 310a, 320, 330, and 340 to form a frame 30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and beams 310a and 320. , 330, 340 and beams 310a, 320, 330, and 340 are connected to and fixed to a planar space form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301 of FIG. 4D). In addition, an inner plate 303 of FIG. 4D and an outer plate 305 of FIG. 4D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frame 300 to form a patient room 200.

빔(310a, 320, 330, 340)은 크게 4종류의 빔으로 구분되는데, 제1 빔(310a)은 환자실(200)의 지붕 모서리와 환자실(200)의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제2 빔(320)은 환자실(200)의 바닥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3 빔(330)은 환자실(200)의 도어(210) 또는 창(220)의 틀을 형성한다. 그리고 다른 한 종류의 빔은 사각 빔(340)으로서, 사각 빔(340)들을 연결하여 프레임(300)을 보강한다.The beams 310a, 320, 330, and 340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of beams. The first beams 310a ar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roof edge of the patient room 200 and the vertical edges of the patient room 200. The second beam 320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bottom edge of the patient room 200, and the third beam 330 forms a frame of the door 210 or the window 220 of the patient room 200. The other type of beam is a square beam 340, which connects the square beams 340 to reinforce the frame 300.

아래에서는 각 빔(310a, 320, 330, 340)에 대해 도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beam 310a, 320, 330, and 3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환자실(200)의 지붕 모서리 및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빔(310a)은 그 횡단면이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두 직각면(311) 바깥쪽 각각에는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31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빔(310a)들이 환자실(200)의 지붕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사각구조를 갖는 환자실(200)의 지붕 각 꼭지점에는 제1 빔(310a)이 수직하게 위치하여 환자실(200)의 수직 모서리를 형성한다.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한 제1 빔(310a)들 중에서 운전실(110) 쪽에 위치한 두 개의 제1 빔(310b)은 도 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빔(310a)에 비해 한 쪽 직각면(311)의 폭이 작아 한 쪽 끼움판(313)이 브라켓의 형상으로 직각면(311) 밖으로 나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지붕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빔(310a)과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두 종류의 제1 빔(310a, 310b)을 '제1 빔(310a)'이라 통칭하여 설명한다.The first beam 310a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roof edge and the vertical edge of the patient room 200 has a right triangle shape as shown in (a) of FIG. 4A, and two right surfaces 311. Each outer sid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parallel fitting plates 313 are formed. The first beams 310a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roof edge of the patient room 200. The first beam 310a is vertically positioned at each vertex of the roof of the patient room 200 having a quadrangular structure to form a vertical edge of the patient room 200. Among the first beams 310a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edges, the two first beams 310b located on the cab 110 side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beams 310a as shown in (b) of FIG. 4A. The width of the side right side surface 311 is small, and the one fitting plate 313 is the same as the first beam 310a positioned at the corner of the roof except that the one fitting plate 313 is formed out of the right side surface 311 in the shape of a bracket. Therefore, below, the two types of first beams 310a and 310b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as 'first beams 310a'.

이와 같이 제1 빔(310a)에 의해 지붕 모서리와 수직 모서리가 형성되면, 사각 빔(340)이 상호 마주하는 제1 빔(310a)을 연결하여 프레임(300)을 보강한다. 사각 빔(340)의 단부가 제1 빔(310a)의 끼움판(313)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 리벳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빔(310a)과 사각 빔(340) 또는 제1 빔(310a)과 제1 빔(310a)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평면 공간에는 단열재(301)가 위치하며 단열재(301)는 제1 빔(310a)의 끼움판(313) 사이에 끼워져 위치한다.When the roof edge and the vertical edge are formed by the first beam 310a as described above, the square beam 340 connects the first beam 310a facing each other to reinforce the frame 300. The end of the square beam 340 is riveted and fixed in a state sandwiched between the fitting plate 313 of the first beam (310a). Insulation material 301 is positioned in a planar space in which the first beam 310a and the square beam 340 or the first beam 310a and the first beam 310a are connected,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1 is the first beam.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fitting plates 313 of 310a.

한편, 도 4b에 보이듯이, 환자실(200)의 바닥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2 빔(320)은 일방향으로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는 폐쇄된 'ㄷ'형 빔으로서, 마주하는 두 측면(321)과 상기 두 측면(321)의 일측을 연결하는 폐쇄면(324)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런 제2 빔(320)이 바닥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함에 있어서, 개방부(325)가 환자실(200) 바닥면에서 안쪽을 향하고 폐쇄면(324)이 환자실(200)의 바닥 바깥쪽을 향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마주하는 두 측면(321)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측면의 바깥쪽에는 한 쌍의 끼움판(323)이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판(323)의 사이에는 제1 빔(310a) 또는 사각 빔(340)이 삽입되어 리벳팅되며, 단열재(301)가 끼워져 위치한다. 그리고 끼움판(323)이 형성된 측면의 반대쪽 측면에는 하부 프레임이 리벳팅되어 고정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B, the second beam 320 forming the bottom edge of the patient room 200 is a 'c' type beam that is open in one direction and cl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aces two side surfaces 321. And a closing surface 324 connecting one side of the two side surfaces 321. And when the second beam 320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bottom edge, the opening 325 is inward from the bottom of the patient room 200 and the closed surface 324 is outside the bottom of the patient room 200. To face up. In addition, a pair of fitting plates 323 are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side of the side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two opposite side surfaces 321. The first beam 310a or the square beam 340 is inserted and riveted between the fitting plates 323,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1 is inserted and positioned therebetween. And the lower frame is riveted and fix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on which the fitting plate 323 is formed.

또한 환자실(200)의 바닥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2 빔(320)의 개방부에는 바닥을 보강하는 사각 빔(340)이 상호 마주하여 위치한 제2 빔(320)에 체결되는데, 사각 빔(340)의 양단부가 제2 빔(320)의 개방부(325)에 삽입된 상태로 리벳팅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opening of the second beam 320 forming the bottom edge of the patient room 200 is fastened to the second beam 320, the square beam 340 reinforcing the floor facing each other, the square beam 340 Both ends of the) are riveted and fix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pening 325 of the second beam 320.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의 도어(210) 및 창(220)을 형성하는 제3 빔(330)은 도 3a 및 도 3b에 보이듯이, 프레임(300)에서 도어(210) 또는 창(220)이 위치할 지점에 설치되어 문틀 또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3 빔(330)은 평판(331)의 일면에 한 쌍의 끼움판(333)이 수직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평행하게 위치하고, 그 반대쪽인 타면에는 걸림판(335)이 평판(331)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3 빔(330)을 설치함에 있어서, 걸림판(335)이 도어(210) 또는 창(220)의 안쪽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제3 빔(330)의 양단은 제1 빔(310a) 또는 제2 빔(320)의 끼움판(313, 323) 사이에 삽입되어 리벳팅되어 고정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C, the third beam 330 forming the door 210 and the window 220 of the patient room 200 may have a door in the frame 300, as shown in FIGS. 3A and 3B. 210 or the window 220 is installed at a point to be positioned to serve as a door frame or a support. In the third beam 330, a pair of fitting plates 333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urface of the flat plate 331, and the locking plate 335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at plate 331. It is formed perpendicular to). In the installation of the third beam 330, both ends of the third beam 330 are positioned in the first beam (330) while the locking plate 335 is positioned to face the inside of the door 210 or the window 220. 310a or the insertion plate 313 and 323 of the second beam 320 is inserted and riveted and fixed.

한편 도 4d에 보이듯이, 설치 고정된 제3 빔(330)에 있어서, 걸림판(335)은 도어(210)의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면서 도어(210)가 환자실(200)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창(220)의 경우에는 창틀이 걸림판(335)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3 빔(330)의 끼움판(313, 313, 333)에는 단열재(301) 또는 다른 제1, 제2, 제3 빔(310a, 320, 330)이 끼워져 고정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D, in the installation-fixed third beam 330, the locking plate 335 serves as a stopper of the door 210 while blocking the door 210 from entering the patient room 200. do. In the case of the window 220, the window frame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locking plate 335. In addition, the insulating plates 301 or other first, second, and third beams 310a, 320, and 330 are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fitting plates 313, 313, and 333 of the third beam 330.

이와 같이 프레임(300)은 제1, 제2, 제3 빔(310a, 320, 330) 및 사각 빔(340)들이 연결되어 완성되고, 빔(310a, 320, 330, 340)의 사이에 단열재(301)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300)의 안쪽면에는 내측판(303)이 부착되어 리벳팅되어 고정되고, 프레임(300)의 바깥면에는 외측판(305)이 부착되어 고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rame 300 is completed by connec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s 310a, 320, and 330 and the square beams 340, and insulates between the beams 310a, 320, 330, and 340. In a state where the 301 is inserted and fixed, the inner side plate 303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300 to be riveted and fixed, and the outer side plate 305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300.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110)의 후방 격벽(111)과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은 상호 마주하여 위치하고, 운전실(110)의 후방 격벽(111)과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에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과 운전실(110)의 후방 격벽(111) 중에 어느 한 쪽 격벽의 구멍에 통로 창(230)이 형성되어 구급요원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통로 창(230)이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5A and 5B, the rear partition 111 of the cab 110 and the front partition 205 of the patient room 200 face each other, and the rear partition 111 of the cab 110 is located.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front partition 205 of the patient room 200 and the front partition 205 of the patient room 200 and the rear partition 111 of the cab 110. A passageway window 230 is formed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emergency personnel can move. In the view shown in FIGS. 5A and 5B, the passage window 230 is shown as formed in the front partition 205 of the patient room 200.

이와 같이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5a에 보이듯이, 전방 격벽(205)의 양측에 위치한 제1 빔(310a)의 끼움판(313)에 사각빔(34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사각 빔(340)의 안쪽에 쿠션부재(240)를 고정하는데, 쿠션부재(240)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운전실(110)의 후방 격벽(111)으로 연장되고, 후방 격벽(111)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측에 고정된다.Thus, in order to form a hole in the front partition 205 of the patient room 200, as shown in Figure 5a, the square beam on the fitting plate 313 of the first beam 310a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rtition 205. 340 is inserted and fixed to fix the cushion member 240 to the inside of the square beam 340, the cushion member 240 protrudes forward to extend to the rear partition 111 of the cab 110, It is fixed inside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rear partition 111.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에 형성된 구멍의 상하단에는 사각 빔(340)이 위치하며 운전실(110)의 후방 격벽(111)과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의 사이에는 쿠션부재(240)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에는 구멍 안쪽에 통로 창(230)을 설치 고정하고, 쿠션부재(240)가 통로 창(230)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면서, 통로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5B, a square beam 340 is position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holes formed in the front partition 205 of the patient room 200, and the rear partition 111 and the patient room 200 of the cab 110 are located. The cushion member 240 is fixed between the front partition wall 205 of the. In addition, the front partition wall 205 of the patient room 200 thus formed is fixed to the passage window 230 inside the hole, and the cushion member 240 is fix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ssage window 230 to form a passage. do.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110)의 지붕 위에는 에어 카울(120)이 설치된다. 에어 카울(120)의 내부에는 제1 공간(121)과 제2 공간(122)이 형성되며, 제1 공간(121)에는 환자실(200)로 배기하는 에어컨디셔너(141)가 위치하며, 제2 공간(122)에는 서치라이트(142)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air cowl 120 is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cab 110. The first space 121 and the second space 122 are formed in the air cowl 120, and the air conditioner 141 exhausting to the patient room 200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 121, and the second space 121 is located in the first chamber 121. The search light 142 is installed in the space 122.

내부에 두 공간을 갖는 에어 카울(120)의 구성은, 운전실(110)의 지붕에서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까지의 공간을 폐쇄하는 제1 캐빈(131)과, 제1 캐빈(131)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함몰된 공간(133)을 폐쇄하는 제2 캐빈(132)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 캐빈(131)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이 제1 공간(121)이고, 제1 캐빈(131)의 함몰된 공간(133)이 제2 공간(122)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wl 120 having two spaces therein includes a first cabin 131 and a first cabin that close the space from the roof of the cab 110 to the front partition 205 of the patient room 200. It consists of a second cabin 132 closing the space 133 recessed i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131). Here,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cabin 131 is the first space 121, and the recessed space 133 of the first cabin 131 is the second space 122.

또한 제1 캐빈(131)은 도 6에 보이듯이, 운전실(110)의 지붕에 리벳팅되어 고정되며, 환자실(200)의 지붕으로 연장된 제1 캐빈(131)의 단부는 환자실(200)의전방 격벽(205)의 제1 빔(310a)에 접하여 리벳팅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first cabin 131 is riveted to and fixed to the roof of the cab 110, and an end of the first cabin 131 extending to the roof of the patient room 200 is the patient room 200. The first beam 310a of the front partition wall 205 is riveted and fixed.

그리고 제2 캐빈(132)은 제1 캐빈(131)의 함몰된 공간(133)을 폐쇄하며 제1 캐빈(131)과 리벳팅되어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보이듯이, 제1 캐빈(131)에는 제2 캐빈(132)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게 홈(131h)이 형성되고, 상기 홈(131h)에 제2 캐빈(132)의 절곡부(132V)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 캐빈(132)에는 서치라이트(142)가 제2 캐빈(132)의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며, 환자실(200)에 설치된 에어컨디셔너(141)는 제1 캐빈(131)이 형성한 제1 공간(121) 내부에 위치한다.The second cabin 132 closes the recessed space 133 of the first cabin 131 and is fixed by being riveted with the first cabin 131.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 groove 131h is formed in the first cabin 131 so that the edge of the second cabin 132 can be inserted, and the groove 131h of the second cabin 132 is formed. The bent portion 132V is inserted and fixed. Meanwhile, a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cabin 132 so that the search light 142 may protrude outward of the second cabin 132, and the air conditioner 141 installed in the patient room 200 may include a first cabin ( It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 121 formed by 131.

이와 같이 구성된 구급차량에 있어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급차량(100)의 정면에서는 서치라이트(142)가 제2 캐빈(132)을 관통해 나온 운전실(110)의 상부에 위치한다.In the ambulan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illustrated in FIG. 1A, the search light 142 is located above the cab 110 passing through the second cabin 132 at the front of the ambulance 100.

그리고 구급차량(100)의 좌측에는 도 1a 및 도 3a에 도시된 프레임(300)의 형상과 같이, 접이형 들것 보관함 도어(210a)와 배전함 도어(210b)가 형성되며, 구급차량(100)의 우측에는 도 1b 및 도 3b에 도시된 프레임(300)의 형상에 따라 측면 도어(210c)와 분리형 들것 보관함 도어(210d) 및 측면 창(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의 후면에는 후면 도어(210e)가 설치된다.And the left side of the ambulance 100, as shown in the shape of the frame 300 shown in Figures 1a and 3a, the folding stretcher storage door 210a and the distribution box door 210b is formed, the ambulance 100 On the right side, the side door 210c, the detachable stretcher storage door 210d and the side window 220 are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rame 300 shown in FIGS. 1B and 3B. And as shown in Figure 1c, the rear door 210e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patient room 200.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의 내부에는 전방 격벽(205)에 형성된 통로 창(230)과 그 상부에 위치한 에어컨디셔너(141)를 포함하여, 각종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기기 및 장비들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2, an interior of the patient room 200 includes a passage window 230 formed in the front partition 205 and an air conditioner 141 located thereon, to cope with various emergencies. And equipments are installed.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급차량은 환자실과 운전실의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 운전실에 탑승한 구급요원이 환자실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위급할 시에 구급차량이 정차하지 않고서도 구급요원이 환자실로 이동하여 환자를 보살필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를 운전실로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ambulanc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patient room and the cab, so that an ambulance officer who boards the cab can quickly move to the patient room. Therefore, the emergency personnel can take care of the patient by moving to the patient room without stopping the ambulance when the patient is in an emergenc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quickly inform the patient's condition to the cab.

또한, 본 고안의 구급차량은 환자실이 프레임과 단열재 및 내외측판으로 구성되어 충격에 강하다. 따라서 구급차량이 충돌하였을 때에, 환자실에 탑승한 환자 및 구급요원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mbul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istant to impact because the patient room is composed of a frame, insulation and inner and outer plates. Therefore, when the ambulance collid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patient and paramedics in the patient room.

또한, 본 고안의 구급차량은 운전실의 지붕에 에어 카울을 설치하여 공기의 저항을 덜 받으며, 에어 카울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서치라이트 및 에어컨디셔너를 설치하여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mbul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air cowl is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cab to receive less resistance to air, and the search light and the air conditioner are installed using the space inside the air cowl to provide excellent space utilization.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급차량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ambul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전방에 운전실이 위치하고, 상기 운전실의 후방에는 환자실이 위치하며, 상기 환자실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형성된 구급차량에 있어서,In the ambulance vehicle is located in front, the patient room is located behind the cab, the patient room has one or more doors, 상기 환자실은 다수 개의 빔들이 연결되어 직육면체 구조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내측판이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외측판이 고정되고, 상기 내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사이에 단열재가 상기 빔에 지지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The patient room has a plurality of beams connected to form a fram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an inner plate is fixed to an inner side of the frame, an outer plate is fixed to an outer side of the fram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Ambul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fixed to the bea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운전실과 상기 환자실이 마주하는 격벽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The ambul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facing the cab and the patient room,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기 운전실과 상기 환자실이 마주하는 격벽 중에 어느 한 쪽 격벽의 관통공에 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An ambul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ndow is formed in a through hole of one of the partition walls facing the cab and the patient room.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창의 둘레를 따라 쿠션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쿠션부재는 다른 한 쪽 격벽으로 연장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운전실의 격벽과 상기 환자실의 격벽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And a cushion member is fix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ndow, and the cushion member is extended and fixed to the other partition wall to form a passage between the partition wall of the cab and the partition wall of the patient roo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빔은 상기 환자실의 지붕 모서리와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빔과, 상기 환자실의 바닥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빔과, 상기 환자실의 도어 또는 창의 틀을 형성하는 제3 빔으로 구분되며,The beam may include a first beam positioned corresponding to a roof edge and a vertical edge of the patient room, a second beam positioned corresponding to a bottom edge of the patient room, and a frame forming a door or window of the patient room. Are divided into 3 beams,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 및 상기 제3 빔이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형성하고, 사각 빔이 상기 제1, 제2, 제3 빔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An ambulance, wherein the first beam, the second beam, and the third beam are connected to form the frame, and a square beam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s to reinforce the frame. .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빔은, 직각삼각형의 두 직각면 바깥쪽 각각에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상기 직각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단면 구조의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And the first beam is a beam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fitting plates parallel to each of two right angled outer sides of a right triangle ar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right angled surfa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2 빔은, 상호 마주하는 두 측판을 폐쇄판이 연결하여 일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두 측판 중에서 어느 한 측판의 외측면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상기 측판에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의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The second beam is a bea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losing plate is connected to two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and is opened in one direction, and a pair of fitting plates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two side plates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ide plate. An ambulance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3 빔은, 평판의 일면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형성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쪽 타면에는 걸림판이 상기 평판에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의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The third beam is an ambulan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fitting plates parallel to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plate is formed, the other side of the surface is a bea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engaging plate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운전실의 지붕에는 상기 환자실에 연결된 에어 카울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카울의 내부에는 에어컨디셔너가 내장되며, 상기 에어컨디셔너는 상기 환자실의 전방 격벽을 관통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An air cowl connected to the patient room is formed on the roof of the cab, an air conditioner is built in the air cowl, and the air conditioner is located through the front partition of the patient room.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에어 카울에는 조명등이 상기 에어 카울을 관통하여 상기 에어 카울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The air cowl ambul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p is installed so as to project through the air cowl through the air cowl.
KR20-2004-0024194U 2004-08-24 2004-08-24 Ambulance KR20036834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194U KR200368346Y1 (en) 2004-08-24 2004-08-24 Ambul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194U KR200368346Y1 (en) 2004-08-24 2004-08-24 Ambul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46Y1 true KR200368346Y1 (en) 2004-11-20

Family

ID=4935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194U KR200368346Y1 (en) 2004-08-24 2004-08-24 Ambul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4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79B1 (en) 2016-09-07 2017-03-1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Roop structure of ambul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79B1 (en) 2016-09-07 2017-03-1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Roop structure of ambul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1186B1 (en) Combination luggage rack and air distribution duct
US10421641B2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US3730583A (en) Passenger compartment
ES2842111T3 (en) Elevator car
US20180208437A1 (en) Elevator car lining panel and method of assembling an elevator car
KR200368346Y1 (en) Ambulance
US9409632B2 (en) Cabin for a floating installation with lines which contribute to reinforcement
EP1031445A1 (en) Vehicle with air conditioning duct and lighting device
CN112389478B (en) Carriage cuts off, carriage and rail vehicle
EP3468869B1 (en) Ventilation louver
US4364203A (en) Modular sheet metal door structure
KR890004177B1 (en) Walls or partitions for a building
JP2001151108A (en) Interior trim structure of railway rolling stock
JP6713856B2 (en) Duct components and railway vehicles
EP3056462A1 (en) Elevator door arrangement
GB2081331A (en) Building or Vehicle Panelling Structure
US3033130A (en) Refrigerated car
SU1640094A1 (en) Leaf of lift sliding door
ES2744808T3 (en) Cutfire door
CN211998395U (en) Elevator door sleeve assembly with fireproof function
JP3541173B2 (en) Partition ventilation panel
WO2018132096A1 (en) Aircraft passenger cabin airflow metering
JPH1113178A (en) Variable structure of room
JP3466666B2 (en) Toilet hanging cabinet
ES2644170A1 (en) Habitacle with independent rest cabin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