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28Y1 -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 Google Patents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28Y1
KR200368328Y1 KR20-2004-0023526U KR20040023526U KR200368328Y1 KR 200368328 Y1 KR200368328 Y1 KR 200368328Y1 KR 20040023526 U KR20040023526 U KR 20040023526U KR 200368328 Y1 KR200368328 Y1 KR 200368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check
water leve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부석
Original Assignee
구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부석 filed Critical 구부석
Priority to KR20-2004-0023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의 수위에 따라서 승,하강되는 플로트의 위치를 측정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수봉밸브의 작동상태 및 수위확인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작업자에게 수봉밸브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 및 청각적인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손쉽게 설비의 조작 및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 및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플로트의 상,하 작동상태에 따라서 수위상태를 측정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수위확인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작업자가 직접 수봉밸브의 근접된 위치에 다가와 수위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없으며, 특히 작업자의 주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중인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되므로 매우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되며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A gas blockade water sealing valve which the water level authentication is easily}
본 고안은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봉밸브 내의 수위를 정밀하게 측정이 가능토록 하여 작업자가 외부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봉밸브의 작동 및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는 제철소의 생산설비 중 코크스,고로,전로가스의 이송 배관에 발생되는 응축수 및 불순물 제거하기 위한 실포트(Seal port)의 배관라인에 설치되여 외부로 유출되는 대량의 유독가스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장치(체크밸브)이다.
이러한 종래의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1)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5230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며 밸브 시트부를 가지는 시트부재(30)와, 상기 내부 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에 채워지는 유체에 의해 플로팅 되거나 상기 밸브 시트부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플로트(20)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부와 내측 공간부를 연결하는 바이패스부(4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봉밸브의 내부 수위(水位)를 확인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수단도 형성되어 있지 못하므로 작업자가 수봉밸브 내의 수위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감지장비를 이용하여 확인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게 되었으며, 또한 작업자가 수봉밸브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직접 수봉밸브의 근접한 위치까지 접근한 뒤 밸브의 작동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의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1)의 작동상태 및 수위확인이 불가능하므로 따라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확인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결국 정확하고 정밀한 수위확인 작업 및 가스유출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주요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수봉밸브의 내부 수위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하여 수봉밸브의 작동상태 및 개폐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수봉밸브의 사용효율 및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가 어느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종래의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여 유체의 수위에 따라서 승, 하강되는 플로트의 위치를 측정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수봉밸브의 작동상태 및 수위 확인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작업자에게 수봉밸브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 및 청각적인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손쉽게 설비의 조작 및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 및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 종래의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의 분리사시도.
도 2 - 종래의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의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본 고안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의 분리사시도.
도 5 - 본 고안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의 사시도.
도 6 -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10: 몸체 20: 플로트(Float)
30: 시트부재 40: 바이패스부
100: 본 고안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110, 120: 수위확인부재
111, 121: 감지봉 1 112, 122: 본체
113, 123: 발광부
A: 유체(流體)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며 밸브 시트부를 가지는 시트부재(30)와, 상기 내부 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에 채워지는 유체에 의해 플로팅 되거나 상기 밸브 시트부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플로트(20)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부와 내측 공간부를 연결하는 바이패스부(40)로 이루어지는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부일측에 나사결합되는 본체(112)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몸체에 내삽되도록 하여 상기 플로트(20)의 상승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봉(111)으로 구성되는 수위확인부재(110)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부재(3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본체(122)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시트부재에 내삽되도록 하여 상기 플로트(20)의 하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봉(121)으로 구성되는 수위확인부재(120)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감지봉(111,121)은 상기 몸체(10)와 시트부재(30) 내부의 유체의 높이를 따라서 유동되는 플로트(20)와 밀착되도록 하여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플로트(2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감지봉의 위치가 변화되므로써 밸부내의 수위를 직접적이고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12,122)는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10)와 시트부재(30)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이때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본체와 시트부재와의 결합시 별도의 밀봉처리(패킹,실리콘)가 되어짐을 당연할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12,122)에는 상기 감지봉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광부(113,123)와 경고부저(미도시됨)가 각각 형성되여, 상기 플로트(2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서 발광부(경광등) 또는 경고부저가 작동하여 원거리에 있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주의력을 이끌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일반적인 외부전력(전선)을 통해 동작될 수도 있으며, 또한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밧데리(전지)를 통해 동작될 수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감지봉(111,121)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A)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플로트(20)의 상승하게 되고 이때 감지봉의 위치 또한 변화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 또는 경고부저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광부(113,123)는 LED와 같은 경고등과 같은 공지의 발광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중에 직접 수봉밸브의 수위상태를 확인할 필요없이 경고음을 통해 수위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원거리 위치에서도 발광부를 통해서 수위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번거롭게 상기 수봉밸브의 수위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주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로인해 작업능률의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포함된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플로트의 상,하 작동상태에 따라서 수위상태를 측정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수위확인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작업자가 직접 수봉밸브의 근접된 위치에 다가와 수위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없으며, 특히 작업자의 주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중인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되므로 매우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되며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물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며 밸브 시트부를 가지는 시트부재와, 상기 내부 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에 채워지는 유체에 의해 플로팅 되거나 상기 밸브 시트부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플로트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부와 내측 공간부를 연결하는 바이패스부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일측에는 나사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몸체에 내삽되도록 하여 상기 플로트의 상승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봉으로 구성되는 수위확인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부재의 일측에는 나사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시트부재에 내삽되도록 하여 상기 플로트의 하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봉이 구비된 수위확인부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감지봉의 측정상태에 따라서 작업자에게 시각적 주의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광부 또는 및 청각적 주의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부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KR20-2004-0023526U 2004-08-13 2004-08-13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KR200368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526U KR200368328Y1 (ko) 2004-08-13 2004-08-13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526U KR200368328Y1 (ko) 2004-08-13 2004-08-13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28Y1 true KR200368328Y1 (ko) 2004-11-20

Family

ID=4944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526U KR200368328Y1 (ko) 2004-08-13 2004-08-13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691B1 (ko) 2020-04-01 2020-10-12 비피시 주식회사 가스배관의 수봉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691B1 (ko) 2020-04-01 2020-10-12 비피시 주식회사 가스배관의 수봉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RU201510311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состояния клапанов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указ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102563358A (zh) 一种自闭式煤气排水器及其使用方法
KR200368328Y1 (ko)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KR101056147B1 (ko) 송수관의 부압 방지장치
KR200368327Y1 (ko) 수위 확인창이 구비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KR102392031B1 (ko) 가스기구용 중간밸브
US202000964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Monitoring A Fluid Within A Pressurized Pipe
KR20040104093A (ko)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CN112032374B (zh) 一种液压调平用回流型双头阀门
CN2924211Y (zh) 防煤气泄漏安全装置
CN101270852B (zh) 管道检漏器
KR20130076224A (ko) 제수변 원격제어장치
CN212107153U (zh) 一种用于燃气管的阀门装置
CN102109096A (zh) 狗窝式海底石油管道泄漏收集器
CN202708158U (zh) 双球阀板阀及应用双球阀板阀的检测气路
KR20070109969A (ko) 가스누출식별기
US20130247292A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a Toilet Overflow
CN211082961U (zh) 一种带有开度指示的止回阀
CN217605224U (zh) 一种阀门气密性检测工装
CN107606274A (zh) 一种用于检查侧漏的阀门装置
CN219673300U (zh) 一种阀杆上预留水压检测口的阀门装置
CN202769276U (zh) 一种带有安全高位水箱的燃气半球形水封阀装置
CN208503620U (zh) 一种新型气动阀门
CN213684063U (zh) 一种油井自动泄压防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