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200Y1 - 주방가구용 수납장 - Google Patents

주방가구용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200Y1
KR200368200Y1 KR20-2004-0023699U KR20040023699U KR200368200Y1 KR 200368200 Y1 KR200368200 Y1 KR 200368200Y1 KR 20040023699 U KR20040023699 U KR 20040023699U KR 200368200 Y1 KR200368200 Y1 KR 200368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horizontal frame
kitchen furniture
frame
slid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우
Original Assignee
미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3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2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Vertically-oriented drawers, i.e. drawers where the height exceeds the wid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94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trays or insert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가구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양 단부가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과, 이 수직프레임(10)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 수평프레임(20)과, 상기 수평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재(31) 및 이 레일부재(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32)로 이루어져 수납장(1)을 인출 및 수납시키는 슬라이드수단(30)과, 상기 수평프레임(20)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조립된 와이어바구니(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일정 두께의 얇은 철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수단(30)을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수납장(1)을 주방가구(2)의 수납공간(3)에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설치하는 슬라이드수단(30)이 브라케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평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납장(1)의 조립 및 설치에 따른 편의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숙련된 기술자 뿐 아니라 초보자도 쉽게 수납장(1)을 주방가구(2)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품질 향상에 의한 신뢰도가 높아져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주방가구용 수납장{Kitchen Cabinet}
본 고안은 주방가구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병이나캔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수납장을 주방가구에 보다 간편한 구조로 제작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주방에는 물을 흘려보내 음식물을 씻을 수 있도록 만든 싱크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싱크대 주변에는 각종 병이나 캔, 용기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수납장들이 주방가구로써 설치된다.
그리고, 이 주방가구 중에 주어진 작은 공간을 이용하여 바구니 형태로 된 작은 수납장을 마련하는 것이 최근 추세이다.
이 수납장은 와이어 망체로 다단으로 제작하고, 그 전면은 주로 주방가구와 셋트를 이루기 위한 전면장식판이 부착된다.
이러한 수납장에는 주로 병이나 캔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고 있다.
그리고, 수납장의 측면에는 주방가구로부터 실내 주방공간으로 꺼내기 위한 인출 및 수납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레일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납장을 잡아당기거나 미는 동작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이 작동하여 수납장을 수납하거나 인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수납장 전면에는 손잡이가 달린 장식판이 결합되어 있어 수납장의 인출 및 수납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상기 도어를 통해서는 주방가구와 수납장의 전체적인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주방가구용 수납장을 통하여 각종 병이나 캔 등을 간편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주방가구용 수납장은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수단을 통하여 주방가구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 및 수납되어 각종 병이나 캔을 수납하여 보관하고 있었으나, 이 슬라이드수단을 수납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브라케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수단을 수납장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는 것도 제안되고 있으나, 장기간 동작으로 인한 파손에 의해 슬라이드수단을 교체할 경우 불편함 및 수납장의 파손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수납장을 보다 쉽게 인출 및 수납하기 위하여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초보자는 물론 숙련된 기술자도 수납장의 설치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각종 병이나 캔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수납장을 주방가구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브라케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납장을 주방가구로부터 인출 및 수납하는 슬라이드수단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에 따른 편의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주방가구용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숙련된 기술자 뿐 아니라 초보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방가구용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주방가구용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주방가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직프레임 20 - 수평프레임
21 - 체결공 30 - 슬라이드수단
31 - 레일부재 32 - 이동부재
40 - 와이어바구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 단부가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재 및 이 레일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져 수납장을 인출 및 수납시키는 슬라이드수단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조립된 와이어바구니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일정 두께의 얇은 철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수단 내지 전면장식판을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수납장을 주방가구의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 및 수납하는 슬라이드수단 내지 전면장식판과 별도의 브라케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수평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장기간 사용 등에 의해 슬라이드수단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이를 고정하고 분리하는데 따른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파손된 레일부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수직프레임에 불필요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숙련된 기술자 뿐 아니라 초보자도 쉽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에 의한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설치 상태를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각종 병이나 캔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와이어바구니가 구비된 수납장이 수평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수단을 통하여 주방가구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수직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며, 일정 두께의 얇은 철편으로 다수의 체결공을 갖는 수평프레임의 바깥에 슬라이드수단이 볼트 체결되고, 안쪽에는 각종 병이나 캔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와이어바구니가 용접의 방법으로 고정 조립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이 주방가구에 설치된 상태를 설치 상태도로 나타낸 것으로, 슬라이드수단을 통하여 주방가구의 수납공간에 수납장이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주방가구의 수납공간에 설치된 수납장을 인출하여 와이어바구니에 각종 병이나 캔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인 주방가구용 수납장은각종 병이나 캔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수납장(1)을 주방가구(2)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주방가구(2)에 형성된 수납공간(3)에 수용되어 본 고안인 수납장(1)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0)은 환봉의 형태를 갖고 양 단부가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수직프레임(10)에는 후술될 슬라이드수단(30)과 전면장식판(42)가 결합되는 수평프레임(20)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데, 이 수평프레임(20)은 일정 두께의 얇은 철편으로 수직프레임(10)의 좌우 측면과 전후를 감싸는 사각틀 형태로 제작되며, 일측 및 전면에는 다수의 체결공(21)이 뚫어지게 된다.
상기 구성의 수평프레임(20)에는 본 고안인 수납장(1)을 주방가구(2)의 수납공간(3)으로부터 인출 및 수납시키는 슬라이드수단(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슬라이드수단(30)은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수평프레임(20)에 결합되는 레일부재(31)와 이 레일부재(31)를 따라 슬라이드 되는 이동부재(32)로 구성되는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수평프레임(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수납장(1)을 수납공간(3)으로부터 인출 및 수납시킬 수 있는 구성은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슬라이드수단(30)의 결합은 레일부재(31)를 수평프레임(20)의 바깥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공(21)에 볼트(22)를 체결하여 결합하고, 이 레일부재(31)를 따라 슬라이드 되는 이동부재(32)는 주방가구(2)의 수납공간(3)에 비스(미도시)등으로 고정하는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어 이를 통해 수납공간(3)으로부터 수납장(1)을 원활하게 인출 및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레일부재(31)를 수평프레임(20)에 볼트(22)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은 장기간 사용 등에 의해 슬라이드수단(30)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이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부재(31)를 수평프레임(20)에 고정하고 분리하는데 따른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파손된 레일부재(31)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수직프레임(10)에 불필요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일부재(31)와 이동부재(32)를 각각 수평프레임(20)과 수납공간(3)에 고정 조립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호 조립하는 것으로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주방가구(2)에 형성된 수납공간(3)에 본 고안인 수납장(1)이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슬라이드수단(30)이 바깥에 결합된 수평프레임(20)의 안쪽에는 음료수가 담긴 각종 병이나 상온에서 쉽게 부패되지 않는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캔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와이어바구니(40)가 길이 방향으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조립된다.
이러한 와이어바구니(40)의 조립방법으로 용접 외에도 상기 와이어바구니(40)를 고정 조립하기 위하여 걸림편(미도시)을 프레스 가공을 통해 수평프레임(20)의 안쪽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절곡 형성한 후 이 걸림편에 와이어바구니(40)를 끼움 고정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방법 등을 통하여 와이어바구니(40)를 수평프레임(20)에 고정 조립한 후 슬라이드수단(30)을 통하여 인출하게 되면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각종 음료수가 담긴 병이나 상온에서 쉽게 부패되지 않는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캔을 와이어바구니(40)를 통하여 간편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와이어바구니(40)는 수납되는 병이나 캔의 종류에 따라 수직프레임(10)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간격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단으로 설치되는 와이어바구니(40)를 통하여 서로 다른 종류 및 높이를 갖는 각종 병이나 캔 등을 그 종류 및 높이에 따라 분리하여 수납한 후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본 고안인 수납장(1)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주방가구(2)의 수납공간(3)에 수납장(1)이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설치될 경우 전면에 위치되는 수평프레임(20)에는 손잡이(41)가 구비된 전면장식판(42)이 레일부재(31)와 마찬가지로 체결공(21)에 볼트(22)로 체결하여 결합시켜 본 고안인 수납장(1)을 보다 쉽게 인출 및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주방가구용 수납장을 통하여 상온에서 쉽게 부패되지 않은 음료수 내지는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병이나 캔 등을 간편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수납장을 주방가구의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 및 수납하는 슬라이드수단 내지 전면장식판이 브라케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평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납장의 조립 및 설치에 따른 편의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숙련된 기술자 뿐 아니라 초보자도 쉽게 수납장을 주방가구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품질 향상에 의한 신뢰도가 높아져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양 단부가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과;
    이 수직프레임(10)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 수평프레임(20)과;
    상기 수평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재(31) 및 이 레일부재(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32)로 이루어진 슬라이드수단(30)과;
    상기 수평프레임(20)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조립된 와이어바구니(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일정 두께의 얇은 철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수단(30) 내지 전면장식판(42)을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용 수납장.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10)의 좌우 측면과 전후를 감싸는 사각틀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용 수납장.
KR20-2004-0023699U 2004-08-19 2004-08-19 주방가구용 수납장 KR200368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99U KR200368200Y1 (ko) 2004-08-19 2004-08-19 주방가구용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99U KR200368200Y1 (ko) 2004-08-19 2004-08-19 주방가구용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200Y1 true KR200368200Y1 (ko) 2004-11-17

Family

ID=4935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699U KR200368200Y1 (ko) 2004-08-19 2004-08-19 주방가구용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2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58Y1 (ko) 2010-04-13 2013-08-29 이건무 측면개폐용 욕실수납장
KR101838135B1 (ko) * 2017-04-25 2018-03-13 에스알 주식회사 주방용 수납 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58Y1 (ko) 2010-04-13 2013-08-29 이건무 측면개폐용 욕실수납장
KR101838135B1 (ko) * 2017-04-25 2018-03-13 에스알 주식회사 주방용 수납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8355B1 (en) Vertical structure for column cabinets
KR100921379B1 (ko) 서랍식 냉장고
US8499942B1 (en) Reinforcement system for an extra-wide display shelf
US10557663B2 (en) Refrigerator
US20080265734A1 (en) Refrigerator Unit and/or a Freezer Unit
CN101614463B (zh) 用于冷藏设备的搁物架
KR200368200Y1 (ko) 주방가구용 수납장
JP5071116B2 (ja) 引出し構造および収納家具
KR20050096344A (ko) 냉장고
KR200371650Y1 (ko) 싱크대용 수납장
CN101234207B (zh) 前面板组件及带有该前面板组件的消毒柜
KR200385893Y1 (ko) 세로형 수납장
US11779191B2 (en) Wheel shelf for a dish washing appliance
CN214855280U (zh) 一种便于安装的定制衣柜
KR100767842B1 (ko) 냉장고의 데코어셈블리
CN215386192U (zh) 一种消毒柜可提取层架结构
KR200214589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KR20060015148A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수납구조
KR200406061Y1 (ko) 물품 수납용 래크장치
EP2160122B1 (en) Refrigerating sales furniture
KR200277002Y1 (ko) 다용도 진열대
CN218164641U (zh) 酒架组件及酒柜
CN215125995U (zh) 一种橱柜拉篮
US11852399B2 (en) Upper plinth or top panel cover for domestic appliance
KR20080004926U (ko)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