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541Y1 -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541Y1
KR200367541Y1 KR20-2004-0023448U KR20040023448U KR200367541Y1 KR 200367541 Y1 KR200367541 Y1 KR 200367541Y1 KR 20040023448 U KR20040023448 U KR 20040023448U KR 200367541 Y1 KR200367541 Y1 KR 200367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message
room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4-0023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8Electronically controlled emergency ex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와, 측정된 온도 값과 기 설정된 온도 값을 비교하여 실내의 화재 발생 여부에 따라 도어 오픈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 제어부와, 도어 오픈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를 오픈 시키는 도어 제어부와, 화재 발생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하는 메시지 발생부로 이루어진 도어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시에 도어를 자동으로 오픈 시킴과 동시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함으로써, 사용자는 화재 발생 시에 빠르게 대피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는 실내의 화재 발생에 따라 메시지 및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는 실내의 화재 발생에 따라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어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DOOR FOR INSPECTING A FIRE}
본 고안은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여부를 알 수 있는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제어 장치는 여러 가지 종류의 가입자 장치와 연동될 수있는데, 특히 가입자 장치의 종류에는 키 폰 전용 단말기인 전화기와 일반 전화기가 있다. 이외에도 방송을 위해서 설치되는 방송회로(Paging Circuit), 도어(Door)에 설치하는 도어폰(Door phone), 음악 청취를 위한 음악원(Music source) 및 도어를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 시켜주는 전자 도어락을 구비한다.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폰과 전자 도어락은 유선을 연결되는데, 도어폰의 도어 개폐 출력단을 유선으로 전자 도어락의 도어 열림 단자와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폰의 도어 개폐 스위치를 조작하면 도어폰은 개폐 스위칭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된 전자 도어락에 출력한다. 전자 도어락은 도어폰에서 전송된 개폐 스위칭 신호에 따라 도어 열림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도어 제어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자 도어락은 방문자가 방문할 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를 개폐시켜주는 역할만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전자 도어락은 촉각을 다투는 비상 상황 발생(예를 들면, 화재 발생) 시에 사용자가 임의의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오픈 시켜야 함으로 긴급 상황에 대해 빠르게 대처할 수 없어 사용자에게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어 제어 장치를 개발하는 개발자들은 기본적인 도어 개폐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도어락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며 감지된 실내 온도 값과 기 설정된 온도 값을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화재 발생 시에 도어를 오픈한 후에 화재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송출하는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측정된 온도 값과 기 설정된 온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실내의 화재 발생 여부에 따라 도어 오픈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 제어부와, 상기 도어 오픈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를 오픈 시키는 도어 제어부와, 상기 화재 발생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하는 메시지 발생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도어 100 : 전자 도어락
101 : 온도 감지부 102 : 도어 제어부
103 : 중앙 제어부 104 : 메시지 발생부
105 : 부저부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제어 시스템은 도어(50), 전자 도어락(100)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전자 도어락(100)은 온도 감지부(101), 도어 제어부(102), 중앙 제어부(103), 메시지 발생부(104), 부저부(105)로 구성된다.
온도 감지부(101)는 댁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로 이루어지며,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실내의 온도 값을 중앙 제어부(103)에 전송하고, 중앙 제어부(103)는 온도 감지부(101)에서 전송된 온도 값과 기 설정된 온도 값을 비교하여 실내의 화재 여부를 판단한다.
도어 제어부(102)는 도어(50)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특히 댁내의 화재 발생 시에 중앙 제어부(103)에서 발생된 도어(50) 오픈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50)를 오픈시키고, 도어(5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중앙 제어부(103)에 전송한다.
중앙 제어부(103)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 설정된 온도 값이 저장되고, 기 설정된 온도 값과 온도 감지부(101)에서 전송된 온도 값을 비교하여 실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중앙 제어부(103)는 판단 결과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기 설정된 온도 값이 기 설정된 온도 값보다 클 때) 도어 제어부(102)에 도어(50) 오픈 신호를 인가하며, 인가된 신호에 응답한 도어 제어부(102)는 도어(50)를 오픈시킨다.
중앙 제어부(103)는 실내의 화재 발생에 따라 메시지 발생부(104)에 화재를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함과 동시에 부저부(105)를 통해 소정의 화재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메시지 발생부(104)는 중앙 제어부(103)에서 전송 받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 또는 외부 사람들에게 화재 발생을 알리는 수단으로써, 그 예를 들면, 중앙 제어부(103)에서 전송 받은 메시지를 외부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LCD이거나 중앙 제어부(103)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음성 발생부 일 수 있다.
부저부(105)는 실내의 화재 발생에 따라 중앙 제어부(103)에서 발생된 경고음을 발생하여 외부 사람들이 화재 발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예를 들면, 스피커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어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부(103)는 온도 센서인 온도 감지부(101)로부터 실내의 온도 값을 전송 받아 기 설정된 온도 값과 비교하여 실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201, S202).
단계 202의 판단 결과, 중앙 제어부(103)는 실내의 온도 값이 기 설정된 온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단계 201로 돌아가 계속해서 온도 감지부(101)로부터 실내의 온도 값을 전송 받는다.
단계 202의 판단 결과, 중앙 제어부(103)는 실내의 온도 값이 기 설정된 온도 값보다 클 때 실내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 제어부(102)에 도어(50) 오픈 신호를 송출하며, 도어 제어부(102)는 중앙 제어부(103)의 도어(50) 오픈 신호에 따라 도어(50)를 오픈시킨다(S203).
도어(50)를 오픈 시킨 중앙 제어부(103)는 화재 발생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예를 들면,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를 메시지 발생부(104)를 통해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부저부(105)를 통해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고음을 송출한다(S204, S205).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중앙 제어부(103)는 화재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지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 도어락은 온도 센서인 온도 감지부로부터 전송 받은 온도 값을 기 설정된 온도 값과 비교하여 실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판단 결과 실내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도어를 오픈 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화재 발생 시에 빠르게 대피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는 실내의 화재 발생에 따라 메시지 및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는 초기에 화재 발생을 인식하여 이에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어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측정된 온도 값과 기 설정된 온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실내의 화재 발생 여부에 따라 도어 오픈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 제어부와,
    상기 도어 오픈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를 오픈 시키는 도어 제어부와,
    상기 화재 발생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하는 메시지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용 도어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발생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생부는, 상기 화재 발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시키거나, 상기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KR20-2004-0023448U 2004-08-17 2004-08-17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KR200367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48U KR200367541Y1 (ko) 2004-08-17 2004-08-17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48U KR200367541Y1 (ko) 2004-08-17 2004-08-17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686A Division KR20030065186A (ko) 2002-01-31 2002-01-31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541Y1 true KR200367541Y1 (ko) 2004-11-12

Family

ID=4944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448U KR200367541Y1 (ko) 2004-08-17 2004-08-17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5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869B1 (ko) 경보기 및 경보기 시스템
US7042349B2 (en) Testing and installing sensors in a security system
US4935952A (en) Alarm-responsive apparatus and method
US9824556B2 (en) Security sensor
KR200367541Y1 (ko)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KR20030065186A (ko)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JP2006285379A (ja) 防犯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防犯機能付インターホン装置
KR100841752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비상상황 알람 시스템
JPS61239762A (ja) 遠距離監視装置
JP3901059B2 (ja) 防犯装置及び防犯システム
JP2004171186A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474968B1 (ko) 전화식 가스안전 차단장치
KR19980053066A (ko) 전화기를 이용한 이상 상태 경보를 알리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04994251B (zh) 监控开门的方法及装置
KR20000074038A (ko) 무인경비 및 경보 시스템겸 전화기
KR950020350A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경보 상황 통보 제어방법
KR200364230Y1 (ko) 장애인용 경보 장치
KR20030094793A (ko) 무선 센서를 이용한 방범장치
KR102446611B1 (ko) 청각장애인과 난청인을 위한 센서 감지 정보 알림 시스템
JP4006963B2 (ja) 住宅情報盤親機、住宅情報盤副親機、集合住宅用ハンズフリー通話システム
WO2019034244A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PRIORITY ALLOCATION FUNCTION TO SOUNDS
KR200322239Y1 (ko) 비상 호출 시스템
JP2008258761A (ja) 音声監視通報システム
JP2004056437A (ja) 監視システム
JP2005100337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