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298Y1 -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298Y1
KR200367298Y1 KR20-2004-0022473U KR20040022473U KR200367298Y1 KR 200367298 Y1 KR200367298 Y1 KR 200367298Y1 KR 20040022473 U KR20040022473 U KR 20040022473U KR 200367298 Y1 KR200367298 Y1 KR 200367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iver
embankment
dike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평
성수복
Original Assignee
김길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평 filed Critical 김길평
Priority to KR20-2004-0022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2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2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옹벽과 제방블록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제방블록의 상부 전면에는 조경을 식재하도록 구성시켜 친환경적인 시설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천의 제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는, 하천의 양측에 옹벽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제방블록을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부로 체결 적층하며, 상기 제방블록의 상부 전면에는 토사를 채우고 조경을 식재하도록 구성하여 친환경적인 시설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옹벽은, 역T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방블록을 체결할 앙카볼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방블록은, 하부는 굴절형태로 형성되고, 굴절형태 중간부에는 ㄱ-자형태의 수직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제방블록을 형성하며, 하부와 상부에는 체결홀을 형성시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부로 제방블록을 적층하도록 구성하고, 측면에는 체결홀을 형성시켜 체결핀을 이용하여 측면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토록 구성하며, 상기 제방블록의 상부 전면에는 토사를 채우고 조경을 식재토록 구성하여 친환경적인 하천시설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AN INCLINE PROTECTION BLOCK FOR RIVER}
본 고안은,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옹벽과 제방블록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제방블록의 상부 전면에는 조경을 식재하도록 구성시켜 친환경적인 시설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10)에는 도 1과 같이 제방(20)을 보호하기 위하여 옹벽(30)을 설치한다.
그러나 기존의 옹벽(30)은 설치시 물의 유도가 어렵고, 또한 우기시에는 구조물의 품질관리가 어려워 시공상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시공후에는 자연과 일체성이 확보되지 않아 자연생태계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하천에 설치되는 제방시설물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제방블록의 상부 전면에는 조경을 식재토록 하여 자연과 일체성을 확보하고, 생태계의 이동통로를 제공하여 자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기존에 설치된 하천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하천의 제방블록의 제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천 200: 제방
300: 옹벽 310: 앙카볼트
400: 제방블록 410: 굴절형태
420: ㄱ-자형태 430: 체결홀
440: 체결볼트 450: 체결핀
460: 토사 470: 조경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하천의 제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는, 하천의 양측에 옹벽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제방블록을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부로 체결 적층하며, 상기 제방블록의 상부 전면에는 토사를 채우고 조경을 식재하도록 구성하여 친환경적인 시설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옹벽은, 역T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방블록을 체결할 앙카볼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방블록은, 하부는 굴절형태로 형성되고, 굴절형태 중간부에는 ㄱ-자형태의 수직부가 결합되는구조로 상기 제방블록을 형성하며, 하부와 상부에는 체결홀을 형성시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부로 제방블록을 적층하도록 구성하고, 측면에는 체결홀을 형성시켜 체결핀을 이용하여 측면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토록 구성하며, 상기 제방블록의 상부 전면에는 토사를 채우고 조경을 식재토록 구성하여 친환경적인 하천시설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하천의 제방블록의 제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하천(100)에 제방(200)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초인 옹벽(300)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제방블록(400)을 순차적 체결하는 방식으로 경사면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옹벽(300)은, 역T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방블록(400)을 체결할 앙카볼트(310)를 형성하며,
상기 제방블록(400)은, 하부는 굴절형태(410)로 형성되고, 굴절형태(410) 중간부에는 ㄱ-자형태(420)의 수직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제방블록(400)을 형성하며, 하부와 상부에는 체결홀(430)을 형성시켜 체결볼트(440)를 이용하여 상부로 제방블록(400)을 적층하도록 구성하고, 측면에는 체결홀(430)을 형성시켜 체결핀(450)을 이용하여 측면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토록 구성하며, 상기 제방블록(400)의 상부 전면에는 토사(460)를 채우고 조경(470)을 식재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는,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시설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토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자연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시설물 전면에 조경을 식재토록 하여 자연과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는, 시설물의 구성을 간단하게 형성시켜 시공성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시설물의 전면에는 조경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시켜 자연과 일체성을 이루는 효과를 갖도록 한다.

Claims (1)

  1. 하천의 제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는, 하천(100)의 양측에 옹벽(300)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제방블록(400)을 체결볼트(440)를 이용하여 상부로 체결 적층하며, 상기 제방블록(400)의 상부 전면에는 토사(460)를 채우고 조경(470)을 식재하도록 구성하여 친환경적인 시설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옹벽(300)은, 역T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방블록(400)을 체결할 앙카볼트(310)를 형성하며,
    상기 제방블록(400)은, 하부는 굴절형태(410)로 형성되고, 굴절형태(410) 중간부에는 ㄱ-자형태(420)의 수직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제방블록(400)을 형성하며, 하부와 상부에는 체결홀(430)을 형성시켜 체결볼트(440)를 이용하여 상부로 제방블록(400)을 적층하도록 구성하고, 측면에는 체결홀(430)을 형성시켜 체결핀(450)을 이용하여 측면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토록 구성하며, 상기 제방블록(400)의 상부 전면에는 토사(460)를 채우고 조경(470)을 식재토록 구성하여 친환경적인 하천시설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제방블록 설치구조.
KR20-2004-0022473U 2004-08-06 2004-08-06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KR200367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473U KR200367298Y1 (ko) 2004-08-06 2004-08-06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473U KR200367298Y1 (ko) 2004-08-06 2004-08-06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973A Division KR20040075816A (ko) 2004-08-06 2004-08-06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298Y1 true KR200367298Y1 (ko) 2004-11-09

Family

ID=4944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473U KR200367298Y1 (ko) 2004-08-06 2004-08-06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2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815B1 (ko) * 2007-02-07 2007-04-06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질개선을 위한 하천 제방시설
KR101183539B1 (ko) 2010-10-25 2012-09-24 임철식 친환경 생태옹벽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815B1 (ko) * 2007-02-07 2007-04-06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질개선을 위한 하천 제방시설
KR101183539B1 (ko) 2010-10-25 2012-09-24 임철식 친환경 생태옹벽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849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 power foundation
US20090110484A1 (en) Storm surge breaker system, barrier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6666619B2 (en) Protective wall assembly
KR20040075816A (ko)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KR100657182B1 (ko) 소하천 계곡 토사유실 방지시설
KR200367298Y1 (ko)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KR100866073B1 (ko) 식생 호안 블록
KR100950248B1 (ko) 사면 또는 제방용 게비온 및 시공방법
KR100566667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매트 블록
KR200367295Y1 (ko)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28974Y1 (ko) 호안블록
KR20040070474A (ko) 하천법면블록 설치구조
KR100467288B1 (ko) 하천제방 시공구조
KR200367286Y1 (ko)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KR20040075814A (ko)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KR200410826Y1 (ko) 하천 제방의 사면용 보호블록 설치구조
KR20040096830A (ko) 친환경적인 하천호안블록 설치구조
KR200370033Y1 (ko) 친환경적인 하천호안블록 설치구조
KR200408158Y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20040075813A (ko) 하천의 제방블록 설치구조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100509271B1 (ko) 친환경적인 건축용 옹벽시설물
KR200338821Y1 (ko) 친환경적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
KR100604674B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