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089Y1 - A saver fuel and constant voltage for a car - Google Patents

A saver fuel and constant voltage for a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089Y1
KR200367089Y1 KR20-2004-0024397U KR20040024397U KR200367089Y1 KR 200367089 Y1 KR200367089 Y1 KR 200367089Y1 KR 20040024397 U KR20040024397 U KR 20040024397U KR 200367089 Y1 KR200367089 Y1 KR 200367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switch
pulse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3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동준
Original Assignee
최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준 filed Critical 최동준
Priority to KR20-2004-0024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0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089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정격전압유지 및 연료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충전과정에 있어 약 13.2볼트 이상의 구형파 펄스가 수십킬로 헤르츠로서 배터리의 양극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정격전압유지장치를 구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ated voltage maintenance and fuel saving device, and has a rated voltage maintenance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square wave pulse of about 13.2 volts or more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in the charging process of the battery.

따라서, 본 고안은 배터리의 충전과정에 있어 약 13.2볼트 이상의 구형파 펄스가 수십킬로 헤르츠로서 배터리의 양극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정격전압유지장치를 구비하므로서, 점화코일을 통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은 점화플러그에서 강한 불꽃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연료의 완전연소를 통한 연소효율을 향상시켜 연료를 절감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ated voltage holding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as a few tens of kilohertz in the charging process of the square wave pulse of more than about 13.2 volts, the ignition coil powered by the ignition coil The fuel can be saved by improv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through the complete combustion of fuel by allowing strong sparks to be generated in the plug.

Description

차량 정격전압유지 및 연료절감장치{A saver fuel and constant voltage for a car}A saver fuel and constant voltage for a car}

본 고안은 차량 정격전압유지 및 연료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충전과정에 있어 약 13.2볼트 이상의 구형파 펄스가 수십킬로 헤르츠로서 배터리의 양극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정격전압유지장치를 구비하여서 점화코일을 통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은 점화플러그에서 강한 불꽃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연료의 완전연소를 통한 연소효율을 향상시켜 연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ated voltage maintenance and fuel sav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ted voltage maintenance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square wave pulse of about 13.2 volts or more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in the charging process of the batter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ve fuel by improving combustion efficiency through complete combustion of fuel by allowing strong sparks to be generated from spark plugs powered by batteries through the ignition coil.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전기를 생성시키는 발전기와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기의 소요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배터리에서 필요로하는 전원을 공급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In general, a motor vehicle is provided with a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ity and a battery for storing the generated electricity, and when the electric power is generated, it is configured to supply the power required by the battery.

상기한 바와 같은 발전기와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는 자동차는 초기 시동시 스타팅모터의 구동을 위하여 많은 양의 전원이 공급되게되는 것으로 이때, 충분한 전원의 공급이 이루지지 않게 되면 엔진의 시동이 원활하게 걸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 vehicle equipped with a generator and a battery as described above is to be supplied with a large amount of power to drive the starting motor during initial start-up, at this time, if sufficient power supply is not made, the engine does not start smoothly There was a problem.

또한, 엔진의 동작과정에 있어서도 발전기 또는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어서 기준전압이 낮아지게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압을 승압시키는 점화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낮아져 점화플러그에서 발생되는 불꽃이 약하게 발생되게 되며, 이는 연료의 완전점화를 저해시켜 불안전연소를 유발시키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erformance of the generator or the battery is degraded in the course of operation of the engine,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lowered,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ignition coil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and boosts the voltage is low, so that sparks generated in the spark plug are weakly generated. This can lead to unstable combustion by inhibiting complete ignition of the fuel.

특히, 이상과 같은 불안전연소는 석유자원이 고갈되는 시점에 있어 연료의 소비를 증가시켜 연비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above unstable combustion will increase fuel consumption at the point of exhaustion of petroleum resources, resulting in lower fuel efficiency.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의 동작에 있어서 중요한 전원을 저장하였다가 공급하는 배터리는 고유한 기능을 행하기 위해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어주는 방전과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주는 충전의 사이클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과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방전시 황산염(sulfate,SO 4 )이 극판과 결합함으로써 물이 생성되어 비중이 낮아지고, 다시 충전시에는 결합된 황산염이 전해액으로 돌아와 비중이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진한 황산 수용액에 담근 납(Pb)과 이산화납(PbO2)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that stores and supplies the important power in the operation of the engine has a discharge cycle of converting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charging cycle of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chemical energy to perform a unique function. As it is known, the process is commonly known that when the sulfate (SO 4) is combined with the electrode plate during discharge, water is generated and the specific gravity is lowered, and when charged again, the combined sulfate is returned to the electrolyte and the specific gravity is increased.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an electrode of lead (Pb) and lead dioxide (PbO 2 ) dipped in a concentrated aqueous sulfuric acid solution.

결국finally

양극: Pb(s) + HSO4- ------ PbSO4(s) + H+ + 2e-Anode: Pb (s) + HSO 4 ------- PbSO 4 (s) + H + + 2e-

음극: PbO2(s) + HSO4- + 3H+ + 2e- ------ PbSO4(s) + 2H2OCathode: PbO 2 (s) + HSO 4- + 3H + + 2e- ------ PbSO 4 (s) + 2H 2 O

배터액: Pb(s) + PbO2(s) + 2HSO4- + 2H+ ------ 2PbSO4(s) + 2H2O 와Batter solution: Pb (s) + PbO 2 (s) + 2HSO 4- + 2H + ------ 2PbSO 4 (s) + 2H 2 O and

같이 화학적 전지반응이 일어난다.Similarly, chemical cell reactions occur.

두 전극반응은 불용성인 PbSO4를 생성하며, 이 것은 두 전극에 부착된다.Two electrode reactions produce insoluble PbSO 4 , which is attached to both electrodes.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배터리는 오랜 기간동안의 충/방전 사이클을 거치는 동안 방전(자가방전 포함)시 달라 붙어있던 황산염(SO4)이 충전시에 이탈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달라붙어있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것이 바로 황산화(황산연화)현상이며, 이러한 황산화 현상은 배터리가 보다 많이 방전될 수록, 충/방전 사이클의 횟수가 많을 수록 심해지며 충전전압이 낮을 경우에도 심하게 발생되는 것으로서, 상기 황산염은 활물질층에서 극판과 결합 및 SO4끼리 결합을 형성하여 피막형태로 극판을 덮어싸고 있는 절연막으로서 이 절연막에 의해 화학,전기반응의 통로가 차단되고, 배터리의 전압,용량, 및 비중도가 떨어지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attery as described above is a sulfate (SO 4 ) that is stuck during the discharge (including self-discharge) during a long period of charge / discharge cycle occurs when it is stuck without being released during charging, This is the sulphation (sulphate softening) phenomenon, and the sulphation phenomenon is aggravated as the battery is discharged more and the number of charge / discharge cycles is higher, and the sulphate is generated even when the charge voltage is low. An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electrode plate in the form of a film by forming a bond with the electrode plate and SO 4 bond in the active material layer, which blocks the passage of chemical and electrical reactions and reduces the voltage, capac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battery. will be.

또한, 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일반적으로 14.2볼트 정도의 출력을 내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약 12볼트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4.1볼트의 전압이 공급되어야 한다.In addition, automotive charging systems are typically designed to produce 14.2 volts, and a voltage of at least 14.1 volts must be supplied to maintain a battery charge of about 12 volts.

그러나, 차량에 있어 배터리 최고의전압은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도 13.9볼트에 불과하고, 여기에 히터나 등화장치 등의 전기적 부하가 추가되었을 때 전압은 13.7볼트로 떨어진다. 이러한 저충전된 상태의 계속되면 배터리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However, the highest voltage of a battery in a vehicle is only 13.9 volts even when there is no load, and when an electrical load such as a heater or an equalizer is added, the voltage drops to 13.7 volts. If the charge state continu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is lowered.

이와 같이 배터리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점화플러그에서 발생되는 불꽃이 약하게 발생되어서 연료의 점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is lowered, the spark generated from the spark plug is weakly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uel is not ignited smoothly.

또한, 배터리의 사용자는, 배터리가 자신이 있는 위치에서 상당히 떨어져 통상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터리의 충전상태나 방전상태를 바로 쉽게 알지못하여, 초기에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는 상황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is normally installed far from its position, the user of the battery does not immediately know the state of charge or discharge of the battery,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a situation in which appropriate measures can be taken initially.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의 전압을 정격전압으로 유지하여서 점화코일에 의하여 승압된 전압이 정상전압을 유지하게 하여 점화플러그에서 불꽃의 발생이 강하게 이루어져 연료의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한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voltage of the battery at the rated voltage so that the voltage boosted by the ignition coil maintains the normal voltage so that sparks are strongly generated in the spark plug, so that fuel can be completely burned. It is for the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터리 정격전압유지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보유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제1,2전원단자사이에 인가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태 감시부와; 상기 상태 감시부의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직류 펄스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제1전원단자에 공급하는 펄스 발생부와, 상기 배터리의 제1,2전원단자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보유전압 레벨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rated voltage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tate that generates a drive signal by detecting when a voltage higher than the holding voltage of the battery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of the battery A monitoring unit; A voltage generation unit connected to a pul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DC pulse in response to a driving signal of the state monitoring unit and supplying it to the first power terminal of the battery, and the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of th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atus display for visual display.

이에 따라, 배터리 정격전압이 유지되어서 점화코일을 통하여 승압된 전압을 공급받는 점화플러그에서의 불꽃이 강하게 형성되어 연료의 완전연소가 완전연소가 촉진되며, 사용자는 배터리의 보유전압 레벨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부에 의해 장치의 효능과 배터리의 충전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park from the spark plug which receives the voltage boosted through the ignition coil is maintained to maintain the rated voltage of the battery, so that the complete combustion of the fuel is fully promoted, and the user visually displays the battery voltage level. By the status display unit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the device and the charging status of the batter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정격전압유지장치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ttery rated voltag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정격전압유지장치를2 is a battery rated voltage maintaining apparatus of FIG.

차량의 실내에 설치하기 쉽게 강구한 외관을 보인 도면The drawing shows the appearance that it is easy to install in the vehicle's interior

도 3은 도 1중 상태 표시부의 일 예를 보인 회로구성도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e display unit in FIG. 1;

도 4는 도 1중 상태 표시부의 다른 예를 보인 회로구성도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tate display unit of FIG. 1;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배터리 2 : 정격전압유지장치1: Battery 2: rated voltage holding device

10: 직류펄스 발생기 20 : 발진기10: DC pulse generator 20: oscillator

30: 상태 감시부 50 : 상태표시부30: status monitoring unit 50: status display unit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정격전압유지장치가 도시된다. 도면에서연결부(60)를 통해 배터리(1)에 연결되는 정격전압유지장치(100)는, 상태 표시부(50)와, 상태 감시부(30)와, 나머지의 구성인 펄스 발생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장치(100)는 한 케이스에 몰딩된 형상으로 도 2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a battery rated voltag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drawing, the rated voltage maintaining device 100 connected to the battery 1 via the connection unit 60 includes a state display unit 50, a state monitor unit 30, and a pulse generator that has the remaining configuration. The device 100 may be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2 in a shape molded into one case.

도 1에서, 상기 상태표시부(50)는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50)는 상기 배터리(1)의 제1,2전원단자(+,-)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보유전압 레벨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한다.In FIG. 1, the state display unit 50 may be configured with the circuit shown in FIG. 3 or 4. The status display unit 5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terminals (+,-) of the battery 1 to visually display the voltage level of the battery.

상기 상태 감시부(30)는 상기 배터리(1)의 보유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제1,2전원단자(+,-)사이에 인가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배터리의 제1,2전원단자사이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와, 상기 전압검출기의 출력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보유전압보다 소정레벨 이상 높은 경우에 동작되어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압검출기는, 상기 제1전원단자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32)와, 상기 다이오드에 일단이 연결된 저항(34)과, 상기 저항(34)의 타단과 접지간에 연결된 가변저항(36)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스위치(38)는 베이스가 상기 가변저항에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에 연결되며 콜렉터로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트랜지스터 "2SC945"로 되어 있다.The state monitor 30 detects when a voltage higher than the holding voltage of the battery 1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 of the battery, and generates a driving signal. A voltage detector that detects a volt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terminals of the battery, and a drive switch that is operated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detecto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by the battery's holding voltage and outputs the drive signal. . The voltage detector includes a diode 32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terminal in a forward direction, a resistor 34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ode, and a variable resistor 36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34 and the ground. The drive switch 38 is a transistor " 2SC945 " which has a base connected to the variable resistor, an emitter connected to ground, and providing the drive signal to a collector.

상기 펄스 발생부는, 상기 상태 감시부의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직류 펄스를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제1전원단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주파수로 발진하는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발진기(20)와, 상기발진기의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40)와, 상기 제1전원단자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코일의 역기전력에 의해 상기 직류 펄스를 발생하는 직류 펄스발생기(10)로 구성된다. 상기 발진기(20)는 10.1킬로헤르츠(KHz)대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발진용 집적회로"4584"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40)는 에미터가 접지되고 베이스가 상기 발진기의 출력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상기 직류펄스 발생기에 연결된 트랜지스터 "IRF540"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직류펄스 발생기(10)는, 상기 제1전원단자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사이에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12)와, 상기 다이오드(12)의 캐소드에 일단이 연결된 저항(14)과, 상기 저항(14)의 타단과 접지간에 연결된 캐패시터(16)와, 상기 저항(14)의 타단과 상기 스위치(40)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 코일(18)로 이루어진다. 저항(39)은 전류 차단용 저항이다.An oscillator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oscillating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drive signal to generate a direct current pulse in response to the drive signal of the state monitoring unit and to supply it to the first power terminal of the battery. 20, a switch 40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a clock signal of the oscillator, and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a coil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wer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It consists of a direct current pulse generator 10 for generating the direct current pulse. The oscillator 20 is an oscillator integrated circuit " 4584 " generating a frequency of 10.1 kHz (KHz). The switch 40 has an emitter grounded and a bas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oscillator. And a transistor " IRF540 " connected to the DC pulse generator. The DC pulse generator 10 includes a diode 12 connected in a reverse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wer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a resistor 1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cathode of the diode 12, and the resistor ( A capacitor 16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ircuit 14 and ground, and an inductor coil 18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14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40. The resistor 39 is a current blocking resistor.

상기 정격전압유지장치(100)가 적용되는 배터리(1)는 재 충전가능한 배터리로서 통상의 승용차, 화물차, 버스 등의 자동차용 배터리나 혹은 산업용 배터리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The battery 1 to which the rated voltage maintaining device 100 is applied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and may include both an automobile battery or an industrial battery, such as a conventional passenger car, a truck, a bus, and the like.

상기한 도 1의 배터리 정격전압유지장치를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연결부, 예컨대 시거 잭(Cigar jack)에 연결할 수 있게한 구성이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정격전압유지장치를 차량의 실내에 설치하기 쉽게 강구한 외관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서, 장치(100)의 케이스 외관에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1-L8)가일열로 배열된 것이 보여진다. 이러한 배열은, 통상적인 레벨메터처럼 배터리의 충전전압에 대응하는 개수 만큼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시각적으로 충전상태를 눈으로 확인시키기에 좋다.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ttery rated voltage maintaining apparatus of FIG. 1 can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unit installed in a vehicle, for example, a cigar jack.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the battery rated voltage maintaining device of FIG. 1 easily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FIG. In the figure, the casing exterior of the device 100 shows a number of light emitting diodes L1-L8 arranged in a row. This arrangement is useful for visually confirming the state of charge visually by the user by turning on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iodes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as in a conventional level meter.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의 충전상태를 알 수 있음은 물론, 본 정격전압유지장치를 장착한 후부터, 얼마나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를 점등된 발광다이오드의 개수를 카운트함에 의해 직접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서, 연결부(60)는 통상적으로 차량에 설치된 시거 잭에 연결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게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장치(100)의 케이스의 하부에는 접착층(65)을 마련하여 차량의 실내 어디라도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refore, the user can not only know the current state of charge, but also visually confirm how much the voltage of the battery is kept constant by counting the number of light-emitting diodes after mounting the rated voltage maintaining device. Will be. In Figure 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ortion 60 has a form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igar jack that is typic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adhesive layer 65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case of the device 100 to attach anywhere in the vehicle It is good to be able to.

도 3은 도 1중 상태 표시부(50)의 일 예를 보인 회로구성도로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54)와,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중의 일부를 상기 보유전압 레벨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5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52)는 제조회사인 내셔날 세미컨덕터의 "LM3914" 혹은 LM3915"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함은 물론이다.FIG.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tate display unit 50 of FIG. 1, wherei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54 and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re driven by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voltage level. It consists of a drive signal generation unit 52 for generating a drive signal for. Here,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52 may be configured using "LM3914" or LM3915 "of National Semiconductor Co., Ltd. Here,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iodes may be added or subtracted as needed.

도 4는 도 1중 상태 표시부(50)의 다른 예를 보인 회로도로서, 다수의 저항(R1-R10), 연산증폭기(OP), 비교기(C1-C3), 낸드 게이트(NA1-NA3), 및 발광다이오드( LE1-LE3)로 구성된 연결이 보여진다. 상기한 회로구성은, 입력되는 전압을 저항분압에 의한 기준전압으로 비교하여 그에 따른 논리로 발광다이드를 점등하는 동작원리를 갖는 것으로, 전압 레벨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용도에 통상적인 회로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약한다. 도 4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LE1-LE3)는 각기 칼라를 다르게 하여 구성할 경우, 사용자는 발광되어진 색깔을 보고서도 쉽게 충전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tate display unit 50 of FIG. 1,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R1-R10, an operational amplifier OP, a comparator C1-C3, a NAND gate NA1-NA3, and FIG. A connection consisting of light emitting diodes LE1-LE3 is shown. The circuit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has an operation principle of comparing the input voltage to a reference voltage by resistance voltage division and lighting the light emitting diodes according to the logic thereof, and is a circuit typical for use for visually displaying voltage levels. The above description is weak. In FIG. 4,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s LE1 to LE3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colors,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harging state even by looking at the color emitted.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배터리 정격전압유지장치(100)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ated voltage holding device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정격전압유지장치(100)를 통상적인승용차내의 시거 잭에 장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승용차의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의 보유전압은 통상적으로 대략 12.5볼트이하이다. 따라서, 도면 1내의 상기 상태 감시부(30)는 배터리(1)의 제1,2전원단자(+,-)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12.5볼트임을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전압검출기내의 다이오드(32) 및 저항(34)과 가변저항(36)에 의해, 구동스위치인 트랜지스터(38)의 턴온조건을 결정하는 기준전압이 설정된다. 따라서, 약 13.2볼트근방에서 상기 트랜지스터(38)가 턴온되도록 상기 가변저항(36)을 미리 조절해 두면, 상기와 같이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는 12.5볼트 이하이므로 상기 트랜지스터(38)는 턴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38)의 콜렉터 단자는 12.5볼트 이하의 전압이 걸려있으나, 전류는 에미터 단자로 흐르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는 전압의 논리 레벨로 "하이"가 되므로, 펄스 발생부내의 발진기(20)가 오프되어 발진동작이 행하여지지 않으며 그에 따라, 스위치인 트랜지스터(40)의 베이스에도 논리레벨 "로우"가 인가되어 턴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40)는 스위칭 동작을 행하지 못하므로 직류 펄스발생기(10)내의 코일(18)에는 역기전력이 생성되지않는다.따라서, 시동이 꺼져 있는 경우에 상기 정격전압유지장치(100)의 내부 동작은 모두 차단상태이므로 소모되는 전류는 거의 없다.An example in which the rated voltage holding device 100 is mounted on a cigar jack in a typical passenger car will be described. The holding voltage of the battery 1 is typically about 12.5 volts or less while the start of the passenger car is turned off. Accordingly, the state monitor 30 in FIG. 1 senses that the voltage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 of the battery 1 is 12.5 volts and does not generate a driving signal. In detail, the reference voltage for determining the turn-on condition of the transistor 38, which is the driving switch, is set by the diode 32, the resistor 34, and the variable resistor 36 in the voltage detector. Therefore, if the variable resistor 36 is adjusted in advance so that the transistor 38 is turned on near about 13.2 volts, the transistor 38 is turned off because it is 12.5 volts or less in the state that the starting is turned off as described above. Keep it. As a result,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38 has a voltage of 12.5 volts or less, but the current cannot flow to the emitter terminal. Since this becomes " high " at the logic level of the voltage, the oscillator 20 in the pulse generator is turned off so that the oscilla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Accordingly, the logic level " low " Is off. Therefore, since the transistor 40 does not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no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coil 18 in the DC pulse generator 10. Therefore, when the start is turned off, the inside of the rated voltage maintaining device 100 is turned off. Operation is all shut off, so little current is consumed.

승용차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승용차의 엔진룸 내의 발전기인 제너레이터(또는 얼터네이터)가 통상적으로 3상 교류발전을 행한다. 상기 교류발전을 직류전압으로 바꾸는 제너레이터 내부의 정류기가 정류작용을 행하여 직류로 변환을 하면 이를 수신하는 정전압기는 약 13.2 ~13.8볼트의 직류전압을 충전용 전압으로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도면 1내의 상기 상태 감시부(30)는 배터리(1)의 제1,2전원단자(+,-)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13.2볼트이상임을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약 13.2볼트근방에서 상기 트랜지스터(38)가 턴온되도록 상기 가변저항(36)이 조절되어 있으므로, 상기 트랜지스터(38)는 턴 온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38)의 콜렉터 단자에서 에미터 단자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콜렉터 단자의 전압은 접지레벨로 내려간다. 이는 전압의 논리 레벨로 "로우"가 되므로, 펄스 발생부내의 발진기(20)가 턴온되어 발진동작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상기 발진기(20)내의 인버터(22,24)는 등가회로적으로 표현된 것이며, 9~12킬로헤르츠(KHz)대의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설정된 발진용 집적회로"4584"이다. 그에 따라, 스위치인 트랜지스터(40)의 베이스에는 논리레벨 "하이"가 약 10킬로 헤르츠의 주기로 인가되어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40)는 턴온과 턴오프의 스위칭 동작을 약 10킬로 헤르츠의 주파수로 번갈아 행하게 된다. 그럼에 의해, 다이오드(12)-저항(14)-캐패시터(16)-인덕터 코일(18)-트랜지스터(40)의 콜렉터- 트랜지스터(40)의 에미터를 차례로 통하여 접지에 이르는 전류패스가 상기한 주파수로 형성되었다가 차단되었다가를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직류 펄스발생기(10)내의 코일(18)에는 역기전력이 그 때마다 생성되고 이는 직류 펄스로서 상기 배터리(1)의 제1전원 단자(+)에 공급되어진다. 이 경우에 직류펄스의 인가경로는 노드 N1에서 다이오드(12)를 통해 제1전원단자(+)에 이르는 경로가 된다. 따라서, 약 13.2볼트이상의 구형파 펄스가 수십킬로 헤르츠로서 상기 배터리의 양극을 통해 양극판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에 상기 구형파 펄스는 약 2A(암페어)의 전류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극판에 축적된 결정화된 황산염이 재활성화되어 활성 황분자로되며 이는 다시 배터리 용액인 전해질로 되돌아 간다.When the passenger car is started, a generator (or alternator) which is a generator in the engine room of the passenger car usually performs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generation. When the rectifier inside the generator that converts the AC power generation into a DC voltage performs rectification, and converts it into DC, the receiving rectifier outputs a DC voltage of about 13.2 to 13.8 volts as a charging voltage. Accordingly, the state monitor 30 in FIG. 1 detects that the voltage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 of the battery 1 is 13.2 volts or more and generates a driving signal. Specifically, since the variable resistor 36 is adjusted to turn on the transistor 38 near about 13.2 volts, the transistor 38 is turned on. As a result, current flows from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38 to the emitter terminal, and the voltage at the collector terminal is lowered to the ground level. This becomes " low " at the logic level of the voltage, so that the oscillator 20 in the pulse generator is turned on to perform the oscillation operation. Here, the inverters 22 and 24 in the oscillator 20 are expressed in an equivalent circuit, and are an oscillating integrated circuit " 4584 " set to generate frequencies of 9 to 12 kilohertz (KHz). As a result, a logic level " high "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switch 40, which is a switch, at a cycle of about 10 kilohertz and is turned on. Thus, the transistor 40 alternates between turning on and off the switching operation at a frequency of about 10 kilohertz. As a result, the current path to the ground through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12 of the diode 12-resistor 14-capacitor 16-inductor coil 18-transistor 40 in turn is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at a frequency and then cut off and then repeated. Accordingly,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coil 18 in the DC pulse generator 10 each time, and is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 of the battery 1 as a DC pulse.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path of the DC pulse is a path from the node N1 to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 through the diode 12. Therefore, a square wave pulse of about 13.2 volts or more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through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as several tens of kilohertz. In this case, the square wave pulse is a current of about 2 A (amps). As a result, the crystallized sulfate accumulated in the battery plate is reactivated to become active sulfur molecules, which are returned to the electrolyte, which is the battery solution.

한편, 산업용 배터리인 경우에는 강력한 4A 의 펄스를 방출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되는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펄스 발생시 순간적인 셀 전압(펄스발생동안)은 통상의 배터리 전압보다 급속히 상승되어 이러한 순간적이면서 연속적인 펄스전압은 황산연화를 제거하고 음극판의 형체를 그대로 유지하여 배터리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industrial battery, it is desirable to emit a powerful 4A pulse, it can be given a variety depending on the type of battery used. In addition, the instantaneous cell voltage (during pulse generation) during the pulse generation rises more rapidly than the normal battery voltage, and this instantaneous and continuous pulse voltage removes sulfate softening and maintains the shape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hereby making the battery optimal. .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회로의 작용에 의해 배터리의 성능 향상이 되면,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전압의 레벨을 차량의 보닛을 열지 아니하고서도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내부에서 바로 확인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정격전압유지장치의 효능도 쉽게 검증을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is improved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level of the battery charging voltage within the location where they are located without opening the bonnet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efficacy of the battery rated voltage maintenance device can be easily verified.

상기한 본 고안은 도면에 따라 설명되고 예를들어 한정되었지만 사안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승용차의 실내에 장착하여 발광다이오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한정하고 설명하였으나, 사안이 다를 경우에 음성으로 충전상태를 알려주거나, 다른 곳에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the drawings and defined by way of exampl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matter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display is mounted on a passenger car and displayed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However, when the case is different, the state of charge may be notified by voice or may be mounted elsewhere.

따라서, 본 고안은 배터리의 충전과정에 있어 약 13.2볼트 이상의 구형파 펄스가 수십킬로 헤르츠로서 배터리의 양극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정격전압유지장치를 구비하므로서, 점화코일을 통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은 점화플러그에서 강한 불꽃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연료의 완전연소를 통한 연소효율을 향상시켜 연료를 절감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ated voltage holding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as a few tens of kilohertz in the charging process of the square wave pulse of more than about 13.2 volts, the ignition coil powered by the ignition coil The fuel can be saved by improv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through the complete combustion of fuel by allowing strong sparks to be generated in the plug.

또한, 사용자가 배터리의 보유전압 레벨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부를 구비하므로서 장치의 효능과 배터리의 충전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In addition, the user is provided with a status display for visually displaying the voltage level of the battery, it is very useful to visually check the efficacy of the device and the charging status of the battery.

Claims (3)

상기 배터리의 보유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제1,2전원단자사이에 인가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태 감시부와;A state monitoring unit which detects when a voltage higher than the holding voltage of the battery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of the battery and generates a driving signal; 상기 상태 감시부의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직류 펄스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제1전원단자에 공급하는펄스 발생부와;A pul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DC pulse in response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state monitor and supplying the DC pulse to the first power terminal of the battery; 상기 배터리의 제1,2전원단자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보유전압 레벨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부로 이루어진 배터리 정겨전압유지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격전압유지 및 연료절감장치.And a battery tension voltage maintenance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terminals of the battery and including a state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 voltage level of th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태표시부는,The state display unit,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중의 일부를 상기 보유전압 레벨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로 구성하고,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 driving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voltage level; 상기 펄스 발생부는:The pulse generator is: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주파수로 발진하는 클럭신호를 생성시키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의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와; 상기 제1전원단자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코일의 역기전력에 의해 상기 직류 펄스를 발생시키는 직류 펄스발생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격전압유지 및 연료절감장치.An oscillator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oscillating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driving signal; A switch configured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a clock signal of the oscillator; Vehicle rated voltage maintenance and fuel sav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power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and a direct current pulse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direct current pulse by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coil genera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Devi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태 감시부는:The state monitoring unit: 상기 배터리의 제1,2전원단자사이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와;A voltage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of the battery; 상기 전압검출기의 출력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보유전압보다 소정레벨 이상 높은 경우에 동작되어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스위치로 구성하고,A drive switch which is operated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detecto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of the battery by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s the drive signal, 상기 직류펄스 발생기는,The DC pulse generator, 상기 제1전원단자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사이에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일단이 연결된 저항과; 상기 저항의 타단과 접지간에 연결된 캐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타단과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사이에 연결된 인덕터 코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격전압유지 및 연료절감장치.A diode connected in a reverse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wer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A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athode of the diode;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and a ground; And an inductor coil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and the output end of the switch.
KR20-2004-0024397U 2004-08-26 2004-08-26 A saver fuel and constant voltage for a car KR2003670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397U KR200367089Y1 (en) 2004-08-26 2004-08-26 A saver fuel and constant voltage for a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397U KR200367089Y1 (en) 2004-08-26 2004-08-26 A saver fuel and constant voltage for a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089Y1 true KR200367089Y1 (en) 2004-11-08

Family

ID=4935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397U KR200367089Y1 (en) 2004-08-26 2004-08-26 A saver fuel and constant voltage for a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08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5491B2 (en) Battery charge circuit with multi-charge stage and method thereof
US8384360B2 (en) Hybrid battery
KR100338897B1 (en) Lifr span lengthening device for efficient use of battery
JP2009230906A (en) Lead battery activation device
KR200408458Y1 (en) Device preserving the capacity of a battery for a car
KR200367089Y1 (en) A saver fuel and constant voltage for a car
KR200200734Y1 (en) Battery sitter with charging level display function
CN103283081B (en) A kind of lead sulfate attachment removal device and method
JP4937146B2 (en) Power supply for vehicle
KR101025589B1 (en) Battery sensor of Automobile
KR10120122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life shortening of battery
JP3143629U (en) Lead battery maintenance equipment
KR20170105672A (en) Lifr span lengthening device for efficient use ofbattery
KR200416157Y1 (en) Batttery care device for vehicle
JPH01278239A (en) Charge controller of auxiliary battery for fuel battery
KR100836408B1 (en) Notifying apparatus and predicting method for battery lifetime of vehicle
CN105429260B (en) A kind of electric power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the driving cruiser of fuel oil
KR20070084818A (en) Batttery care device for vehicle
KR200434218Y1 (en) battery
CN2850098Y (en) Life prolonging device for chargeable bell
KR100197139B1 (en) Charge apparatus and method of motor battery
JP2000236632A (en) Charger and luminaire with charger
KR200434299Y1 (en) The battery efficiency maintenance system which uses a pulse feed mechanism
KR20110112589A (en) Apparatus for recovery and charge of battery using pulse wave
WO2023065084A1 (en) Circuit structur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ower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