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364Y1 - 반신욕 온욕기 - Google Patents

반신욕 온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364Y1
KR200366364Y1 KR20-2004-0021700U KR20040021700U KR200366364Y1 KR 200366364 Y1 KR200366364 Y1 KR 200366364Y1 KR 20040021700 U KR20040021700 U KR 20040021700U KR 200366364 Y1 KR200366364 Y1 KR 200366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bath
water supply
circulation
suppl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갑부
Original Assignee
노갑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갑부 filed Critical 노갑부
Priority to KR20-2004-0021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3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54Water heaters for bathtubs or pools; Water heaters for reheating the water in bathtubs or 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신욕 온욕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 내부로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수용부(11) 일측으로는 착좌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착좌부(12)의 하부와 타측 상부로는 순환구(13)과 급수구(14)가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배수구(15)가 구비되는 욕조(10)와;
상기 욕조(10)의 순환구(13)과 급수구(14) 및 배수구(15)를 상호 연계 및 분리시키는 배관부(20)와;
상기 급수구(14)와 순환구(13)를 연계시키는 배관부(20) 외측에서 히터부(31)를 포함하는 온수탱크(30)와;
욕조(10)의 타측으로 구성되면서, 히터부(31)의 온도설정 및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콘트롤부(40)로 구성되므로, 본 고안인 반신욕 온욕기는 반신욕을 목적으로 급수구(14)를 통해 욕조(10)의 수용부(11)로 채워지는 물을 배관부(2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히터부(31)를 포함하는 온수탱크(30)를 통해서 콘트롤부(40)의 셋팅된 온도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순환구(13)를 통해서 일정온도 유지를 위하여 순환펌프(50)가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셋팅된 온도를 반신욕 수행시간 동안 순환시키면서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반신욕 온욕기{Device of Hot Bath for the Lower Part of Body}
본 고안은 반신욕 온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반신욕을 목적으로 온욕기의 자체에 물 온도 설정 및 설정된 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건강을 증진시키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신욕은 체온보다 약간 높은 38 ~ 40℃ 정도 따듯한 물을 욕조에 준비한 후 가슴(명치부근) 아래까지만 입수하여 혈액순환을 돕고 피로회복과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목욕법이다.
또한, 반신욕은 혈류량과 혈류속도를 30% 증가시켜 말초혈관까지 산소와 영양을 활발하게 공급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반식욕은 산성화된 혈액을 이상적인 약알카리성 혈액으로 변화시켜 각종질병에 면역성을 강한 체질로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반신욕은 통상 30 ~ 40분 정도 임하는데 시작으로 부터 약 10분이정도 지나면 온몸에서 땀이나기 시작하여 마칠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땀의 한가지 특징적인 것은 운동이나 일을 할때 흘리는 땀과 그 성질이 다른데 체내의 염분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마른후에도 끈적거림이나 불쾌감이 전혀없이 개운하게 됨은 물론 상기와 같이 땀을 흘려주므로써 피로가 쉽게 풀리고 신경통, 근육통 등이 부드럽게 해소되고, 또, 체내의 노페물이 땀과 함께 배출되므로피부가 매우 건강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온욕기는 단순히 내부로 수용된 더운물을 이용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목적은 있지만 내부로 수용된 물을 특정 온도에서 설정 및 유지하며 순환시키는 기능이 없어 사용중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 각광받는 반신욕을 위하여 내부로 착좌를 위한 좌석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내부로 소정 용적을 갖는 공간부를 이용하는 형태를 갖으므로, 활용성이 극히 제한되는 폐단이 있었다.
즉, 사용자의 명치 아래부분까지 입수시켜 시행하는 반신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품들이 없으므로, 별도의 좌석이 필요하고, 내부의 물 온도를 유지 및 설정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부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사용에 큰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반신욕을 목적으로 온욕기의 자체에 물 온도 설정 및 설정된 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건강을 증진시키 수 있도록 반신욕 온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온욕기 자체에 물 순환장치를 통해서 늘 일정한 셋팅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반신욕 온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반신욕 온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인 반신욕 온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반신욕 온욕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인 반신욕 온욕기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욕조 11 - 수용부
12 - 착좌부 13 - 순환구
14 - 급수구 15 - 배수구
16 - 오버홀 17 - 안착부
18 - 등받이부 20 - 배관부
30 - 온수탱크 31 - 히터부
40 - 콘트롤부 41 - 손잡이
50 - 순환펌프 60 - 바퀴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 내부로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수용부(11) 일측으로는 착좌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착좌부(12)의 하부와 타측 상부로는 순환구(13)과 급수구(14)가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배수구(15)가 구비되는 욕조(10)와;
상기 욕조(10)의 순환구(13)과 급수구(14) 및 배수구(15)를 상호 연계 및 분리시키는 배관부(20)와;
상기 급수구(14)와 순환구(13)를 연계시키는 배관부(20) 외측에서 히터부(31)를 포함하는 온수탱크(30)와;
욕조(10)의 타측으로 구성되면서, 히터부(31)의 온도설정 및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콘트롤부(4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반신욕 온욕기는 반신욕을 목적으로 급수구(14)를 통해 욕조(10)의 수용부(11)로 채워지는 물을 배관부(2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히터부(31)를 포함하는 온수탱크(30)를 통해서 콘트롤부(40)의 셋팅된 온도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순환구(13)를 통해서 일정온도 유지를 위하여 순환펌프(50)가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셋팅된 온도를 반신욕 수행시간 동안 순환시키면서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인 반신욕 온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반신욕 온욕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반신욕 온욕기의 내부 형상을 요부확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반신욕 온욕기의 욕조(10)는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내측으로는 수용부(11)가 구비되고, 수용부(11) 일측으로는 착좌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욕조(10)의 수용부(11) 일측으로 구성되는 착좌부(12)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욕조(10) 내에서 반신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착부(17)와 등받이부(18)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욕조(10)의 수용부(11) 내부에서 앉은자세 즉 착좌자세에서 반신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착좌부(12)는 안착부(17)와 등받이부(18)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며, 이때 착좌부(12)의 설정높이는 대략 사용자의 명치부근으로 물이 근접되는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욕조(10)의 착좌부 하부와 타측 상부로는 순환구(13)과 급수구(14)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4)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욕조(10)의 수용부(11)로 물을 채워지게 하는 용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수도물을 급수구(14)를 통해 공급되면 후술되는 온수탱크(30)를 통해서 셋팅된 온도로 입수되는 물이 상승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착좌부(12)의 하부로는 급수구(14)와 연계되는 순환구(13)가 형성된다.
상기 순환구(13)는 급수구(14)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이 온수탱크(30)를 거친후 착좌부(12)의 하부에서 욕조(10)의 수용부(11) 내부로 이동되어 채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순환구(13)와 급수구(14)는 배관부(20)인 파이프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는것에 의해서 급수구(14)를 통해 유입된 물은 히터부(31)를 거친 후 욕조(10)의 수용부(11) 내부로 채워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욕조(10)의 수용부(11) 저면으로는 배수구(15)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구(15)는 반신욕을 행한 후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욕조(10)의 순환구(13)과 급수구(14) 및 배수구(15)를 상호 연계 및 분리시키는 배관부(20)가 형성된다.
상기 배관부(2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구(13)와 급수구(14)를 상호 연결시키는 역활을 하며 배수구(15)는 독립적으로 배관부(20)통해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욕조(10)의 타측 상부로는 반신욕 수행중 발생가능 한 외부로 넘치는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오버홀(16)이 형성된다.
상기 오버홀(16)은 욕조(10)의 상단부에 비교적 높게 설정되므로, 사용자가 일정수위로 채워진 욕조(10) 내부로 상황에 따른 물이 넘치는 현상이 발생되면 오버홀(16)을 통해 넘친 물이 유입되어 내측으로 배관부(20)를 통해서 후처리 가능한것이다.
또한, 오버홀(16)을 통해 유입된 물은 급수구(14)와 순환구(13)를 상호 연계시키는 배관부(20)로 다시 접속되면서 순환구(13)를 통해 욕조(10)의 수용부(11)로 다시 순환되면서 재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급수구(14)와 순환구(13)를 상호 연계시키는 배관부(20) 사이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순환펌프(50)를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급수구(14)를 통해서 유입되는 물이 순환구(13)를 통해서 욕조(10) 내부로 채워지는 과정에서 보다 빠른 이동성을 위해서 순환펌프(50)를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며, 오버홀(16)을 통해 유입되는 물역시 순환펌프(50)를 통해서 순환구(13)로 이동되면서 지속적인 순환이 가능하여 셋팅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급수구(14)와 순환구(13)를 연계시키는 배관부(20) 외측으로는 반신욕을 하기 용이한 온도로 물의 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한 히터부(31)를 포함하는 온수탱크(30)가 형성된다.
상기 온수탱크(3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구(14)와 순환구(13)를 상호 연계시키는 배관부(20) 외측으로 코일방식 등으로 구성되지만, 다양한 히팅 즉, 배관부(20)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통상의 히팅수단은 모두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또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히터부(31)를 통해 소정 셋팅된 온도로 상승되는 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순환펌프(50)를 통해 욕조(10) 내부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고, 내부의 온수탱크(30)를 통해서 일정온도로 상승시켜 욕조(10)로 유입시킬수 있다.
즉, 급수구(14)와 순환구(13)를 상호 연계시키는 배관부(20) 중간에 온수탱크(30)를 형성한 후 자체 히터부(31)를 구비한 온수탱크(30)를 통해서 셋팅온도로 상승된 물을 욕조(10)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급수구(14)를 통해서 유입되는 물의 온도 상승방식은 급수구(14)와 초입에서 연결되는 배관부(20)상에 순간가열방식의 히터부(31)를 통해서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식과 별도의 온수탱크(30)를 통해서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식 모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 또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그리고, 욕조(10)의 타측으로는, 히터부(31)의 온도설정 및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콘트롤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콘트롤부(40)는 욕조(10)의 내부 수용부(11)로 채워지는 물의 설정온도의 제어와 순환펌프(50)의 작동상태 등 반신욕에 필요한 물은 셋팅 및 순환, 유지 등을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콘트롤부(40)의 상부로는 사용자가 사용 편의성을 위한 손잡이(16)가 형성되고, 욕조(10)의 저면으로는 이동 편의성 향상을 위한 바퀴(6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부(40)는 반신욕을 하기 위한 물의 온도설정 및 타이머 기능 온수탱크(30)의 과열방지 기능 과부하 및 누전 방지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구성에서 가장 큰 특징은 반신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욕조(10)의 내부로 착좌부(12)를 구성하면서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물은 급수구(14)를 통해서 히터부(31)를 포함하는 온수탱크(30)를 통해 저장된 후 순환펌프(50)를 통해 욕조 내부로 유입되고, 콘트롤부(40)를 통해서 설정온도 및 물의 순환 그리고, 작동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 온욕기와는 욕조 내부로 착좌부가 구성되므로, 반신욕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입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히터부를 포함하는 온수탱크를 통해 일정온도로 상승된 후 콘트롤부를 통해서 온도 설정 및 유지가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몸체 내부로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수용부(11) 일측으로는 착좌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착좌부(12)의 하부와 타측 상부로는 순환구(13)과 급수구(14)가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배수구(15)가 구비되는 욕조(10)와;
    상기 욕조(10)의 순환구(13)과 급수구(14) 및 배수구(15)를 상호 연계 및 분리시키는 배관부(20)와;
    상기 급수구(14)와 순환구(13)를 연계시키는 배관부(20) 외측에서 히터부(31)를 포함하는 온수탱크(30)와;
    욕조(10)의 타측으로 구성되면서, 히터부(31)의 온도설정 및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콘트롤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신욕 온욕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10)의 일측 상부로는 오버홀(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신욕 온욕기.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14)와 순환구(13)를 연계시키는 배관부(20)에는 순환펌프(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신욕 온욕기.
KR20-2004-0021700U 2004-07-29 2004-07-29 반신욕 온욕기 KR200366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00U KR200366364Y1 (ko) 2004-07-29 2004-07-29 반신욕 온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00U KR200366364Y1 (ko) 2004-07-29 2004-07-29 반신욕 온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364Y1 true KR200366364Y1 (ko) 2004-11-08

Family

ID=4935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700U KR200366364Y1 (ko) 2004-07-29 2004-07-29 반신욕 온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3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058B1 (ko)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CN107496158B (zh) 手足浴装置
CN101237803A (zh) 沐浴系统及相应方法
KR200404317Y1 (ko) 족욕 및 좌욕이 가능한 다기능 스팀기
KR101292178B1 (ko) 고령자 및 장애인을 위한 자동 목욕장치
CN217429852U (zh) 沐浴器
JP2015025581A (ja) 風呂装置
KR200406632Y1 (ko) 족욕기
KR200366364Y1 (ko) 반신욕 온욕기
JP5938781B2 (ja) 温冷熱治療装置
KR200396928Y1 (ko) 수족온탕장치
KR200386311Y1 (ko) 저주파 치료 기능을 갖는 족탕기
CN108852095A (zh) 一种关于足浴桶的水循环系统
KR100997414B1 (ko) 좌욕 겸용 각탕기
CN208973609U (zh) 一种自动供水排水的泡洗脚装置
JP2000070169A (ja) シャワー装置と入浴装置
KR200406633Y1 (ko) 족욕기용 가열관
CN205073105U (zh) 一种基于天然石材的经络理疗装置
CN205758956U (zh) 一种多功能新型暖脚盆
CN210872951U (zh) 一种智能养身机
JP2013106628A (ja) 足浴器
CN208582297U (zh) 一种足浴坐浴两用热浴器
CN218186554U (zh) 坐式洗浴器
KR200352066Y1 (ko) 진공성형 반욕기
CN215583957U (zh) 一种自动洗澡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