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290Y1 - The lit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 - Google Patents

The lit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290Y1
KR200366290Y1 KR20-2004-0022183U KR20040022183U KR200366290Y1 KR 200366290 Y1 KR200366290 Y1 KR 200366290Y1 KR 20040022183 U KR20040022183 U KR 20040022183U KR 200366290 Y1 KR200366290 Y1 KR 200366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arm
little finger
corr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1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수연
Original Assignee
최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연 filed Critical 최수연
Priority to KR20-2004-0022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29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290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6Devices for exercising or strengthening fingers or arms; Devices for holding fingers or arms in a proper position for pl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손등 측에서 새끼손가락을 향해 연장되어 첫째 마디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차단하며 새끼손가락이 손등측과 손바닥측을 오가는 손등에 대한 상하방향과 손등 또는 손바닥에 대해 평행한 좌우방향 중 적어도 일측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교정부와; 상기 손등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서 손에 고정되며, 상기 교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교정부를 지지하는 손고정부와; 상기 손고정부를 팔에 고정하도록 팔목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박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상기 손고정부와 상호 좌우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팔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건반악기의 교습시 새끼손가락이 과도하게 상향 이동하거나, 새끼손가락을 펴거나, 새끼손가락을 옆으로 기울이거나 하는 바람직하지 아니한 자세를 취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손자세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배울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held teach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which extends from the back of the hand toward the little finger to block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first node, and the up-and-down direction of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back of the hand where the little finger moves between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palm of the hand. Or a correction unit for limiting movement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arallel to the palm; A hand fixing part surrounding at least one area of the back of the hand and fixed to the hand and coupled to the correcting part to support the correcting part; It extends from the cuff to secure the hand fixing portion to the arm to wrap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ar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rm fixing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fixing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learn the posture by preventing the pinky from excessively moving upward, straightening the pinky, or tilting the pinky sideways during the teaching of the keyboard instrument. To be.

Description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LIT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TI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

본 고안은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끼손가락의 상하 또는 좌우 움직임을 일정 범위내에서 한정함으로써, 건반악기의 사용시 새끼손가락을 과도히 위로 들거나 옆으로 눕히는 등 손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instrument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more specifically, by limiting th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little finger within a certain range, the grandchild, such as lifting the little finger excessively up or lying sideways when using the keyboard instru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ing teach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that can prevent the tax from being distracted.

사회의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면서 자녀에 대한 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특히 조기교육 부문에서 그러한 경향이 심화되어 갈수록 조기교육의 시작시기가 빨라지고 그 분야 또한 광범위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As the economic level of society rises, parents' interes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has increased, and in particular, as the trend deepens in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the early stage of early education begins and its field also expands.

조기교육은 한글이나 영어 등 어학 등의 학습분야 뿐만 아니라, 예체능 방면에까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체능은 크게 음악, 미술, 체육 분야로 나눌 수 있으며, 음악 분야는 주로 피아노와 바이올린 등의 악기 교습을 들 수 있고,체육 분야는 발레, 수영, 태권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기 시작한 초창기부터 배우기 시작한 것이 피아노이며, 음악 조기교육에서 가장 인기가 높다고 한다.Early education is widely conducted in the field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learning areas such as Korean and English. Arts and spor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Music includes mainly piano and violin lessons, and sports includes ballet, swimming, and taekwondo. Among them, piano is the most popular in early music education.

피아노는 젓가락을 사용할 정도의 손 조작 능력이 발달하는 3∼4세부터 교습이 가능하며, 절대음감을 기르는데 가장 좋은 악기이다. 이는 바이올린이나 리코더 등은 현과 손가락, 호흡으로 음을 만들어야 하지만, 피아노는 건반을 두드리면 이미 만들어진 음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절대음감은 태아 때부터 길러져 만 8세 전에 완성되므로 늦어도 만 8세 전에 음악교육을 시키는 것이 좋다고 한다.The piano can be taught from the age of 3 to 4 years old, when the ability to use chopsticks is developed. It is the best instrument for developing absolute sound. This is because violins, recorders, etc. must produce notes with strings, fingers, and breath, but pianos can hear notes that have already been made by tapping the keys. Absolute pitches are raised from the fetus and completed before the age of eight, so it is better to give music education before the age of eight.

이러한 피아노는 3∼4세 정도면 학습이 가능하기는 하나, 본격적인 교육은 6세 전후가 적당하다. 피아노를 학원에서 배울 경우에는 다양한 놀이 프로그램으로 아이들의 음악적 흥미를 이끌어내는 곳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인 교습으로 배울 경우에는 일대일 책임 지도로 집중 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이가 지루해 하기가 쉽다는 단점이 있다.These pianos can be studied by three to four years old, but full-scale education is appropriate around 6 years old. When learning piano at an institute, it is desirable to choose a place that draws children's musical interests through various play programs. On the other hand, when learning by private less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tensive education is possible with one-to-one responsibility guidance, but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easy for a child to be bored.

한편, 피아노를 처음 배울 때는 손의 자세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손이 건반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하며, 각 손가락은 손끝이 건반에 수직으로 만나도록 거의 90도로 구부리도록 한다. 그리고, 건반을 누를 때는 각 손가락으로 건반을 누르는 힘이 동일해지도록 연습함으로써, 어떤 손가락으로 건반을 누르더라도 동일한 크기의 음이 발생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learning the piano for the first time, your hand posture is important, and your hands should not touch the keys, and each finger should be bent almost 90 degrees so that your fingers meet perpendicular to the keys. When the key is pressed, the force for pressing the key with each finger is equalized, so that the same size sound is generated even if the key is pressed with any finger.

그런데, 어릴 때 피아노를 배우는 경우, 손에 힘이 충분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건반을 눌러야 하므로 건반을 누른다는 자체가 힘이 들고, 각 손가락의 힘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건반을 누르는 손가락에 따라 음의 크기가 달라진다. 특히, 새끼손가락의 경우 힘이 약하기 때문에, 새끼손가락으로 건반을 누를 때는 새끼손가락을 위로 들었다가 누른다든지, 손 자체를 새끼손가락 쪽으로 기울여 힘을 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든지, 새끼손가락을 눕히거나 펴서 좀 더 넓은 면적으로 건반을 누르게 된다. 이렇게 변칙적인 방법으로 새끼손가락을 사용할 경우, 피아노를 치는 손자세가 흐트러지게 되기 때문에, 교사들은 아이가 이러한 손자세를 사용할 경우, 주의를 주게 되며, 반복적인 실수에 대해서는 심한 꾸중이나 매 등으로 손을 때리는 경우도 있다. 물론, 초기에 손자세를 정확히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렇게 혼내거나 때리는 경우 아이가 피아노 치는 것에 흥미를 잃거나 두려워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다른 악기나 취미생활 등을 배우는 것을 꺼려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By the way, if you are learning to play the piano when you are young, you have to press the keys without having enough power on your hands, so pressing the keys is powerful and the magnitude of the power of each finger is different, so the size of the sound depends on the finger pressing the keys. Is different. In particular, the little finger is weak, so when you press the key with the little finger, you can lift the little finger up and press it, or tilt the hand to the little finger to apply the force. You will press the keyboard in a large area. Using the pinky in this anomalous way disrupts the attitude of playing the piano, so teachers are wary of the child's use of this attitude, and for repeated mistakes, hands can be severely scolded or falconed. Sometimes you hit. Of course, it is important to learn the correct hand posture early on, but this may cause you to lose interest in or be afraid to play the piano, or even reluctant to learn other musical instruments or hobbies. .

이에 따라, 피아노를 배우는 초기에 손자세를 정확하게 배울 수 있도록 하면서, 아이가 피아노 치는 것에 대한 흥미를 잃거나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nsure that the child posture is correctly learned at the early stage of learning the piano while the child does not lose interest or fear about playing the piano.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새끼손가락의 움직임을 일정 범위내에서 한정할 수 있도록 교습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손자세를 배울 수 있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 instrument teach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that can be taught more easily and simply by hand teaching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little finger within a certain rang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교정부 영역의 측단면도,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gion of the correction unit along line II-II of FIG. 1;

도 3의 (a)는 도 1의 교정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3 (a)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ection unit of FIG.

도 3의 (b)는 도 3의 (a)의 Ⅲ-Ⅲ선에 따른 교정부 영역의 정단면도,FIG. 3B is a cross sectional front view of the calibration part region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3A;

도 4는 도 1의 상부교정부와 손고정부 연결영역의 확대사시도,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area between an upper bridge and a songo government of FIG. 1;

도 5는 도 1의 Ⅴ-Ⅴ선에 따른 손고정부 영역의 정단면도,5 is a sectional front view of the finger fixing region according to line V-V of FIG.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고정부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g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은 도 1의 팔고정부 영역의 배면도,FIG. 7 is a rear view of the arm fixing section of FIG. 1;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팔고정부의 배면도,8 is a rear view of the pagogog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의 (a) 내지 (b)는 도 1의 조인트부 영역의 확대 평면도,9A to 9B are enlarged plan views of the joint part region of FIG. 1;

도 10의 (a) 내지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 영역의 확대 평면도,10 (a) to 10 (b) are enlarged plan views of a joint part reg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면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 상부교정부 7 : 측부교정부5: Higher School Government 7: Side Church Government

10 : 교정부 13 : 코일스프링10: calibration unit 13: coil spring

15 : 전방교정부재 19 : 접촉막15: forward calibration member 19: contact film

20 : 손고정부 25 : 간격재20: Songo government 25: spacer

30 : 팔고정부 31 : 절개부30: Sales Government 31: Incision

35 : 조절부재35: adjusting memb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손등 측에서 새끼손가락을향해 연장되어 첫째 마디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차단하며 새끼손가락이 손등측과 손바닥측을 오가는 손등에 대한 상하방향과 손등 또는 손바닥에 대해 평행한 좌우방향 중 적어도 일측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교정부와; 상기 손등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서 손에 고정되며, 상기 교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교정부를 지지하는 손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extending from the back of the hand toward the little finger to block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first node, and the little finger on the back and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back or palm of the hand to the palm side and the palm side A correction unit that restricts movement in at least one of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parallel to each other; Wrapping at least one area of the back of the hand is fixed to the h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 fixing part coupled to the correction part to support the correction part.

여기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새끼손가락의 상부면을 차단하는 상부교정부와, 상기 새끼손가락의 외측면을 차단하는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rrection unit,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block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ittle finger, and the side correction portion block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finger.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는 그 이음영역의 단면이 완만한 곡선을 이룰 수 있다.The upper and side ridges may form a smooth curve in cross section of the joint area.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손고정부를 연결하는 영역에는,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를 탄성부세하여 새끼손가락의 이동에 의한 이동위치로부터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side abutments and the region where the finger fixing portion is connected, an elastic member is mounted to elastically force the upper and the side abutments to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from the moving posi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little fing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done. Herein, the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spring, rubber, and silicon.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상부교정부 또는 측부교정부의 자유단부로부터 절곡된 다음 새끼손가락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새끼손가락의 전방 이탈을 제한하는 전방교정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and side braces bend from the free end of the upper or lateral brace to form a front brace to extend forward of the little finger to limit the forward deviation of the little finger. .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상부교정부 또는 측부교정부의 판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교정부 또는 측부교정부의 판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로부터 절곡된 다음 새끼손가락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새끼손가락의 전방 이탈을 제한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전방교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and side abutments, the length adjusting part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or side abutment and movably mounted along the plate of the upper or side abutmen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ront straightening member including a blocking portion that is bent from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and then extended to the front of the little finger to limit the forward departure of the little finger.

상기 길이조절부는, 그 이동방향의 가로방향 양 단부에 채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일측의 측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ngth adjusting part may include a guide formed in a channel shape at both 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ovement direction to accommodate at least one side en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side portions.

상기 길이조절부에는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를 향한 면에 상기 길이조절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길이조절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길이조절홈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전방교정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길이조절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adjusting pa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groov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on the surface fac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length adjusting groove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may be protruded.

상기 상부교정부와, 상기 측부교정부와, 상기 전방교정부 및 전방교정부재의 내측면에는 실리콘, 천, 고무 등의 유연 재질로 형성된 접촉막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contact film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 cloth, or rubber, is mounted on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the side correction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rrection portion and the front correction member.

상기 손고정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손등을 향해 완만하게 돌출되어 상기 손고정부와 손등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간격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pacer which gently protrudes toward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d fixing portion toward the back of the han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hand fixing part and the back of the hand.

상기 간격재는, 실리콘, 고무, 스폰지, 천 등 유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pacer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 rubber, sponge, cloth.

상기 손고정부를 팔에 고정하도록 팔목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박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상기 손고정부와 상호 좌우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팔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rm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uff to fix the finger fixing portion to the arm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arm, and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 so as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상기 팔고정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팔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절개부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팔고정부를 팔에 지지하기 위한 조절부재가 장착되어 있다.The arm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ision in which one region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arm fixing portion is equipped with an adjustment member for supporting the arm fixing portion on the arm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incision portion. have.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양단에 고정된 끈, 벨트, 벨크로, 스냅단추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The adjusting member may use one of a strap, a belt, a velcro, and a snap button fixed at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utout.

상기 팔고정부는 팔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절반이상 감싸고 팔의 장착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팔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rm fixing portion wraps at least half or mo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rm and is formed with an opening for mounting the arm,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and closely attached to the arm.

상기 손고정부와 팔고정부는, 상기 손고정부와 팔고정부를 손등의 판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손고정부와 팔고정부를 관통하는 회동축을 갖는 조인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ngojeonggo and pagogogo governmen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joint having a rotating shaft penetrating the songojeonggo and pagogojeonggoru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hand.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손고정부와 팔고정부 중 일측에 타측을 향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형성되는 궤적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함몰형성된 안내그루브와, 상기 손고정부와 팔고정부 중 타측에 일측을 향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그루브에 수용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안내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joint part. A guid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ongojeonggo and pagogojeonggo, and formed recessed with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e trajectory formed when the pivot is rotated about the pivot axis, and one side of the Songogogo and Pagogojeong It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oward the guide groove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for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during the rota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한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손등 측에서 새끼손가락을 향해 연장되어 첫째 마디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차단하며 새끼손가락이 손등측과 손바닥측을 오가는 손등에 대한 상하방향과 손등 또는 손바닥에 대해 평행한 좌우방향 중 적어도 일측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교정부와; 상기 손등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서 손에 고정되며, 상기 교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교정부를 지지하는 손고정부와; 상기 손고정부를 팔에 고정하도록 팔목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박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상기 손고정부와 상호 좌우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팔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ward the little finger at the back of the hand to block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first node and the little finger up and down and the back of the hand or the back of the hand between the back and palm of the hand or A correction unit for limiting movement i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arallel to the palm; A hand fixing part surrounding at least one area of the back of the hand and fixed to the hand and coupled to the correcting part to support the correcting part; To extend the cuff to secure the hand to the arm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arm, and to be achieved by the hand posture teaching mechanism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rm fixed to b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to rotate with each other. Can be.

한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새끼손가락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감싸며 새끼손가락의 손등에 대한 상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교정부와; 약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감싸는 지지부와; 상기 교정부가 좌우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ction portion for wrapping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little finger and restric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ttle finger's back; A support part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ing finger; It can also be achieved by a hand-held posture teaching mechanism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c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교정부로부터 연장된 교정연장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된 지지연장부의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on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calibratio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calibration portion, and a rotating shaft installed through the end of the support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는, 새끼손가락의 움직임을 일정 범위내에 한정시킴으로써, 피아노 칠 때 새끼손가락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little finger within a certain range, thereby preventing the little finger's posture from being disturbed when playing the piano.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1)는, 새끼손가락의 교정을 위한 교정부(10)와, 교정부(10)를 손등에 고정하기 위한 손고정부(20)와, 교정부(10)와 손고정부(20)를 팔에 고정하기 위한 팔고정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정부(10), 손고정부(20), 팔고정부(30)는 각각 일정 이상의 탄성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형성되어 쉽게 구부러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1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cludes a correction part 10 for correcting the little finger, a hand fixing part 20 for fixing the correction part 10 to the back of the hand, It includes a pagoda government (30) for fixing the government (10) and the songo government 20 to the arm. Here, the correction unit 10, the hand fixing portion 20, the arm fixing portion 30 is formed of a plastic, metal, etc. each having a predetermined or more elastic strength so as not to be easily bent or deformed.

교정부(10)는, 새끼손가락의 손등에 대한 상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부교정부(5)와, 새끼손가락이 손등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측부교정부(7)를 포함한다. 교정부(10)는 손등으로부터 연장되어 새끼손가락의 첫째 마디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그 단부가 첫째 마디와 둘째 마디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며, 그 길이는 사용하는 사람의 연령이나 체격에 따라 좀 더 길게 또는 짧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교정부(10)의 자유단부가 새끼손가락에 닿는 경우, 접촉이나 마찰로 인해 상처가 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는 새끼손가락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rector 10 includes an upper correction portion 5 for limiting upward movement of the little finger on the back of the hand, and a side correction portion 7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little finger on the outside of the back of the hand. Orthodontic portion 1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ack of the hand slightly longer than the first node of the little finger so that the end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nodes, the length is longer depending on the age or physique of the person using Or it can be made short. However, when the free end of the straightening portion 10 touches the little finger, the wound may be caused by contact or friction, it is generally preferable to form slight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ittle finger to prevent this.

한편, 상부교정부(5)는 손등으로부터 연장되어 새끼손가락의 상부면을 차단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측부교정부(7)는 새끼손가락의 외측 측부를 차단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는 그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새끼손가락의 상부와 측부를 감싸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5 is formed in a plate shape extending from the back of the hand to block the upper surface of the little finger, side lateral correction portion 7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block the outer side of the little finger. That is,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5 and the side correction portion 7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b' to surround the top and sides of the little finger.

이러한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의 자유단부에는, 새끼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대응적으로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새끼손가락이 전방으로 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방교정부재(15)가 장착되어 있다. 전방교정부재(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의 판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ㄱ'자 형상의 길이조절부(17)와, 길이조절부(17)의 자유단부에서 절곡된 다음 새끼손가락의 전방으로 연장된 차단부(18)를 포함한다.On the fre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5 and 7,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5 and 7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ttle finger. A front straightening member 15 is mounted to prevent this from being extended forwar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15 has a length adjusting unit 17 having a '-' shap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late surfaces of the upper and rear calibration units 5 and 7. And a blocking portion 18 which is bent at the free end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7 and then extended to the front of the little finger.

길이조절부(17)는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교정부(10)의 외측부에 장착되며, 이를 위해, 길이조절부(17)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의 가로로 양 단부에는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의 양 측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14)가 채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길이조절부(17)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의 전영역에 걸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부교정부(5)나 측부교정부(7) 중 일측에만 평행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length adjusting part 17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straightening part 10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plate surface of the upper straightening part 5 and the side straightening part 7, and for this purpose, the length adjusting part 17 is slid. At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ovement direction, guides 14 are formed in a channel shape to accommodate both sid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5 and 7. Here, the length adjustment unit 17, as shown in Figure 2, may be formed in a 'b' shape over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5 and 7, the upper and lower parts (5) Of course, it may be formed in a plate parallel to only one side of the side bridges (7).

한편, 이러한 전방교정부재(15)는 새끼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교정부(10)로부터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돌출길이의 조절 후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 중 일측에는 길이조절돌기(8)를 돌출형성시키고, 전방교정부재(15)에는 길이조절돌기(8)를 수용하는 길이조절홈(16)을 함몰형성시킨다. 이 때, 길이조절홈(16)은 전방교정부재(15)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방교정부재(15)를 자신의 새끼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전방교정부재(15)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조절할 수 있으며, 이 때, 길이조절홈(16)에 길이조절돌기(8)가 수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전방교정부재(15)가 고정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15 can adjust the protruding length from the orthodontic part 1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ttle finger, in order to maintain the position after the adjustment of the protruding length,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5 and the side bridge One side of the government (7) protrudes the length adjusting projection (8),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15) to form a recessed length adjusting groove (16) for receiving the length adjusting projection (8). At this time,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grooves 1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15.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front straightening member 15 by sliding the front straightening member 15 according to the length of his pinky finger, and 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ing projection 8 in the length adjusting groove 16. Is accommodated is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15 is fixed to the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 중 일측에 길이조절돌기(8)를 형성하고, 전방교정부재(15)에 길이조절홈(16)을 형성하였으나,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 중 일측에는 길이조절홈(16)을 형성하고, 전방교정부재(15)에는 길이조절돌기(8)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교정부(10)에 전방교정부재(15)를 장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length adjusting projection 8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second straightening portions 5 and the side orthogonal portions 7, and the length adjusting groove 16 is formed on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15, the upper bridge Of course,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16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government 5 and the side calibration unit 7, and the length adjustment protrusion 8 may be formed at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15. In addition,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15 may be mounted on the calibration unit 10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이러한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와 전방교정부재(15)의 내측면은 새끼손가락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데, 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1)가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경성의 물질로 재작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피부와 접촉하고 마찰이 발생할 경우 피부에 상처를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와 전방교정부재(15)의 내측면에는 부드러운 천,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된 접촉막(19)을 접착 또는 도포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에도 새끼손가락에 상처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s of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5, the side correction portion 7 and the front correction member 15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little finger.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1 for the keyboard instrument is made of hard plastic or metal. As it is rewritten as a substance, it may damage the skin if it is in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long term and friction occurs. Accordingly,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5, the side correction portion 7 and the front correction member 15 is adhered or coated with a contact film 19 made of a soft cloth, silicon, rubber, or the like for a long time. Even the use of a pinky can be prevented from hurting.

한편, 도 3의 (a)는 도 1의 교정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도 3(a)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교정부(100)는 상부교정부(50)와 측부교정부(70)의 연결영역을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이 때, 곡면의 곡률반경은 손가락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교정부(50)와 측부교정부(70)의 전방에는 새끼손가락의 펴짐을 방지하는 전방교정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교정부(115)는 상부교정부(50)와 측부교정부(70)의 자유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새끼손가락의 전방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전방교정부(115) 대신 상술한 전방교정부재(15)를 장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방교정부(115)의 내측면에는 상부교정부(5)나 측부교정부(7)와 마찬가지로 접촉막(19)이 형성되어 있다.3A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ector of FIG. 1, and FIG. 3B is a sectional front view of FIG. 3A. As shown, the correction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connection reg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rrection portion 50 and the side correction portion 70 in a gentle curved surfac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finger It can be formed according to. Here, in front of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50 and the side correction portion 70 is formed a front correction portion 115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little finger. The front corrector 115 is bent from the free ends of the upper corrector 50 and the side corrector 70 and formed into a plate extending forward of the little fing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ember 15 may be mounted and used. 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film 19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brace 115 similarly to the upper brace 5 and the side brace 7.

이러한 도 1 내지 도 4의 교정부(10)는 피아노의 연주 중, 멀리 이격된 두 개의 건반을 누르기 위해 새끼손가락을 벌리거나, 좀 더 강하게 건반을 누르기 위해 새끼손가락을 상향이동해야 할 경우, 이를 허여하기 위해 손고정부(20)와의 연결영역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부재는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 중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탄성부재의 재료로는 코일스프링(13), 판스프링, 실리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1 to 4 when the calibration unit 10, while playing the piano, if you need to move the little finger to press two keys that are far apart, or to move the little finger up to press the key more strongly, In order to allow, the elastic member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area with the hand fixing part 20. The elastic member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5) and the side correction portion (7),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as the material of the elastic member coil spring (13), leaf spring, silicon, rubber Etc. can be used.

이러한 탄성부재 중 코일스프링(13)을 이용하여 새끼손가락을 옆으로 벌리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 측부교정부(7)와 손고정부(20)와의 연결영역이 회동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교정부(5)와 손고정부(20)와의 연결영역에 측부교정부(7)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코일스프링(13)을 설치하고, 측부교정부(7)와 손고정부(20)의 연결영역에는 막힌지(11)를 형성하였으며, 상부교정부(5)와 손고정부(20)를 벨로우즈(12) 또는 연질의 재료로 연결하여 코일스프링(13)에 의한 교정부(10)의 회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렇게 상부교정부(5)와 손고정부(20)의 연결영역에 코일스프링(13)을 설치함으로써, 새끼손가락을 옆으로 벌렸을 때, 코일스프링(13)이 인장되어 측부교정부(7)가 손고정부(20)로부터 회동하여 이동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새끼손가락을 약지손가락 옆으로 오무리면, 코일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코일스프링(13)이 압축되어 측부교정부(7)가 원위치로 복귀된다.When configured to allow the little finger to open sideways by using the coil spring 13 of these elastic members,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side correction portion 7 and the hand fixing portion 20 should be rotatable. 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coil spring 13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side brace 7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upper brace 5 and the finger fixing portion 20, and the side brace (7) and the closing portion (11) was formed in the connection region of the finger fixing portion 20, the upper spring (5) and the finger fixing portion (20) by connecting the bellows (12) or soft material coil spring (13) The rotation of the calibrating unit 10 by) is smooth. Thus, by installing the coil spring 13 in the connection region of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5 and the hand fixing portion 20, when the pinky fingers are opened sideways, the coil spring 13 is tensioned so that the side correction portion 7 When rotated from the finger fixing part 20 to move to the moving position, and the little finger is pinched to the side of the ring finger, the coil spring 13 is com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3, and the side brace 7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Return to.

이러한 교정부(10)를 손에 고정하기 위한 손고정부(20)는, 도 5의 손고정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등의 전영역을 감싸는 손등면(21)과, 손등면(21)으로 양측부로부터 손바닥을 향해 완만하게 굴곡되어 곡면으로 형성되는 걸림면(22)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엄지손가락이 있는 영역은 걸림면(22)과 손등면(21)의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엄지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한다. 한편, 걸림면(22)의 양측부에 걸리도록 손의 두께를 고려하여 충분한 폭과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손고정부(20)는 손등을 감싸서 손에 고정되고, 이러한 손고정부(20)에 의해 교정부(10)가 손에 견고하게 고정된다.The hand fixing part 20 for fixing the correcting part 10 to the hand is, as shown in the hand fixing part sectional view of FIG. 5, the back of the hand 21 surrounding the entire area of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back of the hand 21. It is formed as a locking surface 22 is gently curved toward the palm from both sides to form a curved surface. And the part with the thumb is removed part of the locking surface 22 and the back of the hand 21, so that the thumb movement is free. On the other hand, by being formed to have a sufficient width and curv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hand to be caught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surface 22, the hand fixing part 20 is fixed to the hand wrapped around the back of the hand, to such a hand fixing part 20 By this, the straightening part 10 is firmly fixed to the hand.

손고정부(20)는 팔고정부(30)와 연결될 경우, 손목을 중심으로 손등과 팔과의 단차가 발생함에 따라, 손고정부(20)가 손등으로부터 이격되어 이격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되면, 손고정부(20)가 유동하게 되므로, 교정부(10)를 제대로 지지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손고정부(20)의 내측면에는 손등과의 이격공간을 메우기 위한 간격재(25)가 부착되며, 간격재(25)는 손고정부(20)의 내측면으로부터 완만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간격재(25)는 손등과 접촉하는 만큼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면, 스폰지, 스치로폼, 실리콘, 천, 고무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격재(25)는 탄성력을 가지므로, 손의 두께에 따라 적응적으로 두께가 조절되어 손의 두께에 무관하게 손고정부(20)에 손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When the hand fixing part 20 is connected to the arm fixing part 30, as the step between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arm occurs around the wrist, the hand fixing part 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ck of the hand. When the space is generated in this way, since the hand fixing part 20 is flowing, it is not able to properly support the correction unit 10.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pacer 25 for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back of the hand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 fixing portion 20, the spacer 25 is projected gent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0. It is formed into a shape. The spacer 25 is preferably made of a soft and elastic material such as sponge, styrofoam, silicone, cloth, rubber, and the like,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and. Since the spacer 25 has an elastic force, the thickness is adap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and so that the hand is firmly fixed to the hand fixing unit 20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hand.

한편, 손고정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손가락이 시작되는 영역까지 연장된 판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팔고정부(30) 없이 손고정부(200)만으로 교정부(1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별도의 팔고정부(30)를 형성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손고정부(200)만으로 교정부(10)를 지지해야 하므로, 손고정부(200)를 손등과 손바닥을 둘러싸는 밴드형태로 형성하여 손고정부(200)가 손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손고정부(200)의 형상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형상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hand fixing unit 2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extending from the region where the thumb is formed to the region where the finger starts, as shown in FIG. 6, and in this case, the fixing unit without the arm fixing unit 30 ( Only the 200 will support the calibration unit 10. In addition, when not forming a separate arm fixing portion 30, so that the correction portion 10 must be supported only by the hand fixing portion 200, so that the hand fixing portion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surrounding the back of the hand and palm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 fixing unit 200 is manufactured to be firmly supported by the hand. The shape of the finger fixing unit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addition to the shapes shown in FIGS. 5 and 6.

이러한 손고정부(20)를 상박에 고정하기 위한 팔고정부(30)는, 손고정부(20)의 단부인 손목영역으로부터 상박의 일정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일측 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팔고정부(30)의 자유단부에는 절개부(31)의 폭을 조절하여 팔고정부(30)를 팔에 견고히 지지하기 위한 조절부재(35)가 장착되어 있다.The arm fixing portion 30 for fixing the finger fixing portion 20 to the upper arm is formed extending from a wrist region, which is an end of the finger fixing portion 20, to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upper arm, as shown in FIG. Accordingly, an incision 31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one region. And, at the free end of the arm fixing portion 30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incision portion 31 is equipped with an adjusting member 35 for firmly supporting the arm fixing portion 30 to the arm.

조절부재(35)는 절개부(31)를 중심으로 한 양단에 끈, 벨트, 벨크로, 스냅단추 등을 장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도 7에는 이 중 벨크로를 이용하여 조절부재(35)를 구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절개부(31)의 양단에 조절부재(35)를 장착하여 절개부(31)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팔의 두께에 상관없이 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1)를 착용할 수 있다.The adjusting member 35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string, a belt, a velcro, a snap button, and the like at both ends centering the cutout part 31, and in FIG. 7, the adjusting member 35 is formed by using a velcro. The case is illustrat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cutout portion 31 by attaching the adjustment member 35 to both ends of the cutout portion 31 as described above,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1 for the keyboard instrument can be worn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arm. .

한편, 도 8은 팔고정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팔고정부(300)는 팔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절반이상 감싸는 통상으로 형성되며, 팔의 장착을 위해 상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개구(3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팔고정부(3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홈으로 형성된 꺽임선(320)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고, 꺽임선(320)은 개구(310)를 통한 상박의 장착시 또는 팔이 두꺼울 때 외측으로 꺽임으로써, 상박의 장착을 원활히 하고, 팔이 두꺼운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팔고정부(300)의 착용과정을 살펴보면, 개구(310)를 통해 팔을 밀어 넣으면 개구(310)가 탄성적으로 벌어져 상박이 팔고정부(300)내에 수용되고, 개구(310)는 다시 탄성력에 의해 좁아져 팔고정부(300)가 상박에 밀착되어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lling state. As shown, the arm fixing portion 300 is usually formed to wrap at least half or mo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rm, the opening 310 is formed long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rm for mounting the arm. In addition, the arm fixing part 3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320 formed in the long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ending line 320 is when the upper arm is mounted through the opening 310 or the arm By bending it outward when it is thick, the upper arm can be attached smoothly and the arm can be used even when the arm is thick. Looking at the wearing process of the arm fixing portion 300, when the arm is pushed through the opening 310, the opening 310 is elastically opened so that the upper arm is accommodated in the arm fixing portion 300, the opening 310 is subjected to the elastic force again By narrowing and selling the selling portion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rm is fixed.

이러한 팔고정부(30)와 손고정부(20)의 연결영역에는, 손고정부(20)가 팔고정부(30)에 대해 좌우회동가능하도록 조인트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부(40)는, 도 9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고정부(30)와 손고정부(20)의 손등면(21)을 관통하는 회동축(41)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축(41)을 마련하기 위해, 팔고정부(30)와 손고정부(20)의 단부는 각각 손고정부(20)와 팔고정부(30)를 향해 연장되어 상호 소정 구간만큼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 손고정부(20)가 팔고정부(30)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팔고정부(30)가 손고정부(20)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연장된 영역에는 팔고정부(30)와 손고정부(20)를 관통하여 각각 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공을 관통하여 축핀이 장착됨으로써, 회동축(41)을 형성하게 된다.The joint portion 40 is formed in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pawling portion 30 and the pawling portion 20 so that the pawling portion 20 can rotat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pawling portion 30. Joint portion 40, as shown in (a) to (b) of FIG. 9, includes a pivot shaft 41 penetrating the arm fixing portion 30 and the back surface 21 of the finger fixing portion 20. do. In order to provide such a rotating shaft 41, the ends of the arm fixing portion 30 and the finger fixing portion 20 are formed to extend toward the finger fixing portion 20 and the arm fixing portion 30 to overlap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section. At this time, the hand fixing part 20 may be located outside the arm fixing part 30, the arm fixing part 30 may be located outside the hand fixing part 20. In this extended area, shaft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arm fixing portion 30 and the finger fixing portion 20, respectively, and the shaft pins are mounted through the shaft fixing portion to form the pivot shaft 41.

한편, 이렇게 회동축(41)만 형성할 경우, 손고정부(20)의 회동시 팔고정부(30)와 손고정부(20) 간에 상호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손고정부(20)와 팔고정부(30)에는 안내그루브(42)와 안내돌기(43)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안내그루브(42)와 안내돌기(43)는 회동축(4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회동축(41)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회동축(41)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only the rotation shaft 41 is formed in this way, the mutual flow between the pagogogo 30 and the sogogogo 20 during the rotation of the sogogogo 20 may occur, to prevent this, sogogogogo 20 And the armrests (30) are formed with guide grooves (42) and guide protrusions (43), respectively. The guide grooves 42 and the guide protrusions 43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otation shaft 41, and may be formed around the rotation shaft 41. It may be formed on one side.

안내그루브(42)는, 손고정부(20)와 팔고정부(30) 중 일측에 타측을 향한 판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한 손고정부(20)의 회동시 발생하는 궤적을 고려하여 형성된다. 안내돌기(43)는, 손고정부(20)와 팔고정부(30) 중 타측에 일측을 향한 면에 형성되며, 안내그루브(42)에 수용되어 손고정부(20)의 회동시 안내그루브(4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 guide groove 42 is formed by depressing a plate surface facing the other side on one side of the hand fixing part 20 and the selling part 30, which is generated when the hand fixing part 20 is rotated around the rotating shaft 41. It is formed taking into account the trajectory. The guide protrusion 4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 fixing part 20 and the arm fixing part 30 toward one side, and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42 to guide the grooves 42 when the hand fixing part 20 rotates. Will move along.

이에 따라, 손고정부(20)의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한 회동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43)가 안내그루브(42)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손고정부(20)의 회동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과도한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내그루브(42) 대신 판면을 관통하는 슬롯 형상의 안내슬롯을 안내그루브(42)와 동일한 위치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ly, at the time of pivoting around the pivot shaft 41 of the finger fixing part 20, as shown in FIG. 8B, the guide protrusion 43 moves in the guide groove 42, thereby causing damage. It is possible to keep the meeting of the government 20 stable, and prevent excessive meetings. 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guide groove 42, a slot-shaped guide slot penetrating the plate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nd the same shape as the guide groove 42, of course.

한편, 도 10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부(400)를 안내그루브(42)와 안내돌기(43)로 형성하는 대신 벨로우즈(420)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손고정부(20)와 팔고정부(30)의 양측면에 각각 손고정부(20)와 팔고정부(30)를 연결하도록 벨로우즈(420)를 장착한다. 이에 따라, 회동축(410)을 중심으로 손고정부(20)를 외측으로 회동시에는 외측의 벨로우즈(420)가 접히고, 손고정부(20)를 내측으로 회동시킬 때에는 내측의 벨로우즈(420)가 접히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0A to 10B, the joint part 400 may be formed of a bellows 420 instead of the guide groove 42 and the guide protrusion 43. In this case, the bellows 420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nger fixing part 20 and the arm fixing part 30 to connect the finger fixing part 20 and the arm fixing part 3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outer bellows 420 is folded when the hand fixing part 20 is rotated outwardly about the rotation shaft 410, and the inner bellows 420 is rotated when the finger fixing part 20 is rotated inward. Folded.

이러한 구성에 의한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1)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using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1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by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1)를 손고정부(20)와 팔고정부(30)를 이용하여 손과 상박에 고정한다. 팔고정부(30)에 팔을 장착하는 경우, 팔고정부(30)의 형상에 따라 다소 상이하나, 팔고정부(30)내에 팔을 수용시킨 다음, 조절부재(35)를 이용하여 절개부(31)의 폭을 조절하여 팔고정부(30)내에 팔에 밀착시키게 된다. 물론, 팔고정부(30)가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단지 팔고정부(30)의 개구(310)를 통해 팔을 밀어 넣는 과정만으로 팔을 팔고정부(30)에 고정할 수 있다.First,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1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s fixed to the hand and upper arm by using the hand care unit 20 and the arm care unit 30. When the arm is mounted on the arm fixing portion 30, but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arm fixing portion 30, the arm is accommodated in the arm fixing portion 30, and then using the adjusting member 35, the incision 31 is us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arm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rm in the government (30). Of course, when the arm fixing portion 30 is formed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8, the arm can be fixed a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 30 only by pushing the arm through the opening 310 of the arm fixing portion 30. .

이렇게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1)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후에 교정부(10)에 장착된 전방교정부재(15)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사용자의 새끼손가락 길이에 맞추도록 한다.Thus, before or after mounting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1) for the keyboard instrument to slide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15) mounted on the correction unit 10 to match the length of the little finger of the user.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1)를 손과 팔에 고정한 다음, 건반을 누르는 연습을 하게 되며, 이 때, 새끼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에 새끼손가락이 교정부(10)의 상부교정부(5)와 측부교정부(7) 및 전방교정부재(15)를 통해 상향이동과 측부이동 및 전방이탈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새끼손가락으로 건반을 누를 때, 새끼손가락을 과도히 상향 이동시키거나 새끼손가락을 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새끼손가락의 과도한 상향이동을 방지하고 있기는 하나, 상부교정부(5)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약간의 상향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힘을 주어 건반을 눌러야 할 경우에는 새끼손가락을 상향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호 멀리 이격된 두 개 이상의 건반을 눌러야 할 경우에는 새끼손가락이 충분히 벌어져야 하므로, 이를 위해,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측부교정부(7)가 일정 범위내에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After fixing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1) for the keyboard instrument to the hands and arms, the practice of pressing the keyboard, at this time, when using the little finger, the little finger is the upper part of the correction unit 10 (5) Upward and side movement and frontal deviation are limited through the side and side correction portion 7 and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15). Accordingly, when the key is pressed with the little fing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ttle finger from excessively moving upward or spreading the little finger. This prevents excessive upward movement of the little finger, but by installing an elastic member on the upper correction part (5) to allow a slight upward movement, when the force is required to press the key, the little finger can be moved upward. Make sure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key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ess the little finger is enough to open, for this purpose, by installing an elastic member so that the side correction portion 7 can be opened in a certain range.

한편, 연주 중 건반의 위치에 따라, 손목이 좌우로 회동하게 되면, 손고정부(20)는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팔고정부(30)에 대해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이 때, 손고정부(20)와 팔고정부(30)에 형성된 안내그루브(42)내에서 안내돌기(43)가 이동함으로써, 손고정부(20)가 팔고정부(30)에 대해 안정적으로 좌우회동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eyboard during the play, when the wrist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the hand fixing part 20 is moved around the rotating shaft 41 to the left and right relative to the fixing part (30).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43 is moved in the guide groove 42 formed in the hand fixing part 20 and the selling part 30, so that the hand fixing part 20 can be sli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elling part 30 in a stable manner. do.

이와 같이, 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1)는, 새끼손가락을 일정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교정함으로써, 건반악기의 교습시 새끼손가락이 과도하게 상향 이동하거나, 새끼손가락을 펴거나, 새끼손가락을 옆으로 기울이거나 하는 바람직하지 아니한 자세를 취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에 의한 별도의 교습이나 훈계를 듣지 아니하고도 건반악기를 연주할 때의 손자세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배울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1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orrects the pinky finger to move within a certain range, so that the pinky finger moves excessively upward, stretches the pinky finger, or the pinky during the teaching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t is not possible to take the undesirable posture of tilting the finger to the side. Accordingly. It is easy and easy to learn the hand posture when playing a keyboard instrument without listening to a separate instruction or instruction by a teacher.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1)를 교정부(10)와 손고정부(20) 및 팔고정부(30)로 구성하였으나, 교정부(10)와 손고정부(20) 만으로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1)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and posture teaching mechanism 1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s composed of the correction unit 10, the hand fixing portion 20 and the arm fixing portion 30, but the correction portion 10 and the hand fixing portion 2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1) for keyboard instruments only.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상기 교습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는, 새끼손가락의 첫째 마디의 일부 구간을 감싸는 교정부(160)와, 약지를 둘러싸는 지지부(150)와, 교정부(160)와 지지부(150)를 연결하는 연결부(170)를 포함한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eaching apparatus. As shown,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rection portion 160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first node of the little finger, the support portion 150 surrounding the ring finger, and the correction portion 160 ) And a connection part 170 connecting the support part 150.

교정부(160)와 지지부(150)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된 고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둘레방향을 따라 힌지와 잠금수단을 형성하여 새끼손가락 및 약지에 장착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The corrector 160 and the support 15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with one side ope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may be formed to be mounted on the pinky finger and the ring finger by forming a hinge and a locking mean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한편, 연결부(170)는 교정부(160)로부터 연장된 판상의 교정연장부(165)와, 지지부(150)로부터 연장된 판상의 지지연장부(155)로 형성되며, 교정연장부(165)와 지지연장부(155) 중 하나는 타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판으로 형성된다. 즉, 교정연장부(165)가 한 쌍의 판으로 형성될 경우, 지지연장부(155)는 교정연장부(165)내에 수용되며, 약지와 새끼손가락이 이격 또는 접근할 때, 지지연장부(155)는 교정연장부(165)내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교정연장부(165)와 지지연장부(155)의 손등을 향한 단부에는 교정연장부(165)와 지지연장부(155)를 관통하여 회동축(15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교정부(160)와 지지부(150)는 회동축(157)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호 이격 및 접근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ortion 170 is formed of a plate-like straightening extension 165 extending from the straightening unit 160, the plate-like support extending portion 155 extending from the support 150, the calibration extension 165 And one of the support extension 155 is formed of a pair of plates form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That is, when the orthodontic extension portion 165 is formed of a pair of plates, the support extension portion 155 is accommodated in the orthodontic extension portion 165, when the ring finger and the little finger is separated or approaching, the support extension portion ( 155 slides in the calibration extension 165.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shaft 157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alibration extension portion 165 and the support extension portion 155 facing the back of the hand through the calibration extension portion 165 and the support extension portion 155. Accordingly, the calibration unit 160 and the support unit 150 can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157 to be spaced apart and approach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achieve the same effect as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should be taken as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described below.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새끼손가락을 일정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교정함으로써, 건반악기의 교습시 새끼손가락이 과도하게 상향 이동하거나, 새끼손가락을 펴거나, 새끼손가락을 옆으로 기울이거나 하는 바람직하지 아니한 자세를 취할 수 없도록 하여 손자세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배울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rrecting the pinky to move within a certain range, during the teaching of the keyboard instrument, the pinky is excessively upward, stretch the pinky, or tilt the pinky sideways It is not possible to take an unfavorable posture, or to make the hand posture easy and easy to learn.

Claims (20)

손등 측에서 새끼손가락을 향해 연장되어 첫째 마디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차단하며 새끼손가락이 손등측과 손바닥측을 오가는 손등에 대한 상하방향과 손등 또는 손바닥에 대해 평행한 좌우방향 중 적어도 일측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교정부와;It extends from the back of the hand toward the little finger to block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first node, and the pinky moves at least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back of the palm and parallel to the back of the hand or palm. Limiting correction unit; 상기 손등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서 손에 고정되며, 상기 교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교정부를 지지하는 손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Wrapping at least one area of the back of the hand is fixed to the hand, the hand posture teaching mechanism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omprising a hand fixing part coupled to the correction part to support the correct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교정부는, 상기 새끼손가락의 상부면을 차단하는 상부교정부와, 상기 새끼손가락의 외측면을 차단하는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corrector, at least one of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for block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ittle finger, and the side correction portion for block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fing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는 그 이음영역의 단면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And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of the upper section and the side section form a smooth curve in cross section of the joint are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손고정부를 연결하는 영역에는,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를 탄성부세하여 새끼손가락의 이동에 의한 이동위치로부터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side abutments and the region where the finger fixing portion is connected, an elastic member is mounted to elastically force the upper and the side abutments to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from the moving posi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little finger.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elastic member, spring, rubber, silicon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silic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상부교정부 또는 측부교정부의 자유단부로부터 절곡된 다음 새끼손가락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새끼손가락의 전방 이탈을 제한하는 전방교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and side br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brace is bent from the free end of the upper ridge or side girder and then extended to the front of the little finger to limit the front deviation of the little finger is formed. The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pla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상부교정부 또는 측부교정부의 판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교정부 또는 측부교정부의 판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로부터 절곡된 다음 새끼손가락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새끼손가락의 전방 이탈을 제한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전방교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and side abutments, the length adjusting part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or side abutment and movably mounted along the plate of the upper or side abutment; And a front straightening member including a blocking portion which is bent from the length adjusting part and then extended to the front of the little finger to limit the forward departure of the little fing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길이조절부는, 그 이동방향의 가로방향 양 단부에 채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일측의 측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length adjustment unit is formed in the channel shape at both 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ovement direction, and includes a guide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side end portion of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and the side correction portion Instrumen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길이조절부에는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를 향한 면에 상기 길이조절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길이조절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교정부와 측부교정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길이조절홈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전방교정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길이조절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length adjusting pa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groov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on the surface fac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A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wherein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length adjusting groove so as to protrude from the length adjusting projection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front calibration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상부교정부와, 상기 측부교정부와, 상기 전방교정부 및 전방교정부재의 내측면에는 실리콘, 천, 고무 등의 유연 재질로 형성된 접촉막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rrection portion, the side correction portion, and the front correction portion and the front correction member, a contact film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 cloth, or rubber is mounted. Instrum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손고정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손등을 향해 완만하게 돌출되어 상기 손고정부와 손등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간격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inner surface of the hand fixing part is a protruding gently at least a portion toward the back of the hand, the spacer material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r is provid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hand fixing part and the back of the han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간격재는, 실리콘, 고무, 스폰지, 천 등 유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spacer material is a handrail teach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 rubber, sponge, clot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손고정부를 팔에 고정하도록 팔목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박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상기 손고정부와 상호 좌우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팔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And an arm pawl which extends from the cuff to fix the hand pawl to the arm and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arm, and which is coupled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with the hand pawl.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팔고정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팔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절개부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팔고정부를 팔에 지지하기 위한 조절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arm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ision in which one region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arm fixing portion is equipped with an adjustment member for supporting the arm fixing portion on the arm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incision portion. Hand posture teach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양단에 고정된 끈, 벨트, 벨크로, 스냅단추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control member is a handrail teaching mechanism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strap, a belt, a velcro, a snap button fixed to both ends around the incision.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팔고정부는 팔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절반이상 감싸고 팔의 장착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팔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arm fixing portion wraps at least half or mo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rm, and an opening for mounting the arm is formed,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and is closely attached to the arm.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손고정부와 팔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영역에 형성되며, 손등의 판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손고정부와 팔고정부를 관통하는 회동축이 형성된 조인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It is formed in the connection region connecting the hand fixing part and the arm fixing part, and the hand postur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urther comprising a joint portion formed with a rotating shaft penetrating the hand fixing part and the arm fix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hand Teaching Organization.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손고정부와 팔고정부 중 일측에 타측을 향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형성되는 궤적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함몰형성된 안내그루브와, 상기 손고정부와 팔고정부 중 타측에 일측을 향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그루브에 수용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안내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The joint part. A guid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ongojeonggo and pagogojeonggo, and formed recessed with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e trajectory formed when the pivot is rotated about the pivot axis, and one side of the Songogogo and Pagogojeong And a guide protrusion which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guide groove and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and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when pivoting about the pivot axis. 손등 측에서 새끼손가락을 향해 연장되어 첫째 마디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차단하며 새끼손가락이 손등측과 손바닥측을 오가는 손등에 대한 상하방향과 손등 또는 손바닥에 대해 평행한 좌우방향 중 적어도 일측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교정부와;It extends from the back of the hand toward the little finger to block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first node, and the pinky moves at least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back of the palm and parallel to the back of the hand or palm. Limiting correction unit; 상기 손등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서 손에 고정되며, 상기 교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교정부를 지지하는 손고정부와;A hand fixing part surrounding at least one area of the back of the hand and fixed to the hand and coupled to the correcting part to support the correcting part; 상기 손고정부를 팔에 고정하도록 팔목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박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상기 손고정부와 상호 좌우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팔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And an arm restraint extending from the cuff to fix the hand restraint to the arm and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arm, the arm restraint being coupled to the hand restraint so as to be reciprocated left and right. 손등 측에서 새끼손가락을 향해 연장되어 첫째 마디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차단하며 새끼손가락이 손등측과 손바닥측을 오가는 손등에 대한 상하방향과 손등 또는 손바닥에 대해 평행한 좌우방향 중 적어도 일측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교정부와;It extends from the back of the hand toward the little finger to block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first node, and the pinky moves at least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back of the palm and parallel to the back of the hand or palm. Limiting correction unit; 상기 교정부의 자유단부에 상기 교정부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새끼손가락의 전방을 차단하는 전방교정부와;A front correction part installed at a free end of the correction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correction part to block the front of the little finger; 상기 손등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서 손에 고정되며, 상기 교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교정부를 지지하는 손고정부와;A hand fixing part surrounding at least one area of the back of the hand and fixed to the hand and coupled to the correcting part to support the correcting part; 상기 손고정부를 팔에 고정하도록 팔목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박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상기 손고정부와 상호 좌우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팔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용 손자세 교습기구.And an arm restraint extending from the cuff to fix the hand restraint to the arm and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arm, the arm restraint being coupled to the hand restraint so as to be reciprocated left and right.
KR20-2004-0022183U 2004-08-03 2004-08-03 The lit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 KR20036629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183U KR200366290Y1 (en) 2004-08-03 2004-08-03 The lit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183U KR200366290Y1 (en) 2004-08-03 2004-08-03 The lit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345A Division KR100595830B1 (en) 2004-07-28 2004-07-28 The lit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290Y1 true KR200366290Y1 (en) 2004-11-10

Family

ID=4944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183U KR200366290Y1 (en) 2004-08-03 2004-08-03 The lit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29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26B1 (en) 2010-09-16 2011-03-23 박송주 Training tool of hand posture for keyboard instru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26B1 (en) 2010-09-16 2011-03-23 박송주 Training tool of hand posture for keyboard instrument
WO2012036415A2 (en) * 2010-09-16 2012-03-22 Park Song Ju Hand position learning tool for keyboard instrument
WO2012036415A3 (en) * 2010-09-16 2012-06-28 Park Song Ju Hand position learning tool for keyboard instru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1723B1 (en) Bow hold training device
KR20150004042U (en) Chopsticks for studying
KR100595830B1 (en) The lit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
KR200366290Y1 (en) The little finger correcting device for keyed instrument
US4909123A (en) Fingering guide and performance accessory for woodwind instruments
US4763556A (en) Flute instrument digit rest and spacer
KR101024426B1 (en) Training tool of hand posture for keyboard instrument
US6777600B2 (en) Bowed string instrument teaching device
US7582818B2 (en) Violin thumb pad
GB2507590A (en) A playing aid for a stringed instruments
KR200405614Y1 (en) Device for learning to grip a bow of stringed instrument
CA1139553A (en) Playing aid for keyboard instruments
KR101567513B1 (en) Support device of fingers for practicing playing string instrument
US2782670A (en) Training attachments for stringed instruments
KR100646804B1 (en) Device for learning to grip a bow of stringed instrument
KR101288675B1 (en) 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of hand
KR101998870B1 (en) Elbow correction band for golf
KR200476745Y1 (en) Finger position guide of bow using stringed instrument
KR100974330B1 (en) Bow Drawing Correction Apparatus for String Instrument
JP2000352924A (en) Auxiliary appliance for training musical instrument
US11948541B2 (en) Trombone finger positioner and gripper
KR200313020Y1 (en) Bow drawing correction equipment for string instrument
WO2016056382A1 (en) Health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TWI507157B (en) Chopsticks
KR20090042646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nt to width direction, and slide module and parts thereof for th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