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906Y1 -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 - Google Patents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906Y1
KR200364906Y1 KR20-2004-0020111U KR20040020111U KR200364906Y1 KR 200364906 Y1 KR200364906 Y1 KR 200364906Y1 KR 20040020111 U KR20040020111 U KR 20040020111U KR 200364906 Y1 KR200364906 Y1 KR 200364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line
busbar
current transform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충현
Original Assignee
최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충현 filed Critical 최충현
Priority to KR20-2004-0020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9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4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having two or more secondary windings, each supplying a separate load, e.g. for radio set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를 공개한다. 본 고안의 부스바는 제 1 전류가 흐르는 제 1 선로와, 상기 제 1 선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전류로부터 분기되는 제 2 전류가 흐르는 제 2 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부스바를 이용하는 변류기는 제 1 전류가 흐르는 제 1 선로와, 상기 제 1 선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전류로부터 획득되는 제 2 전류가 흐르는 제 2 선로를 구비하는 부스바와, 상기 제 2 전류에 비례하는 유도 전류를 발생하고, 상기 유도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뒤 출력하는 생성하는 전류-전압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부스바는 소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별도의 선로를 구비하도록 하여 대전류로 인한 자화 및 발열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부스바를 이용하는 변류기는 부스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전압의 형태로 제공하므로 감전 사고 및 화재 사고등과 같은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부스바를 이용하는 변류기가 소형화되도록 하여, 변류기의 생산원가 낮춰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bus-bar and current transformer using it}
본 고안은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검출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건물은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을 설치하고, 과전류가 계속적으로 흐르면, 이를 감지하고,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여 준다. 이에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은 과전류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은 부스바(1)와 변류기(2)와 계전기(3)를 구비한다.
부스바(1)는 수백 암페어(Å)~ 수천 암페어(Å)값을 가지는 대전류(iL)가 흐르는 선로를 제공하는 도체로, 이때의 도체로는 전도성이 좋은 구리, 알루미늄, 및 구리와 알루미늄의 합금이 적용될 수 있다.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2)는 부스바(1)를 통해 흐르는 대전류(iL)로부터 유도 전류(iI)를 발생한다. 이때의 변류기(2)는 부스바(1)를 1차 코일로 이용하고, 부스바(1)를 둘러싸도록 철심을 놓고 이 철심에 2차 코일을 감는 관통형이 적용하도록 한다.
계전기(3)는 전력계통 사고(예를 들면 송전선이 단락 또는 접지되어 아주 많은 전류가 흘러드는 현상, 과전류가 흐르는 현상) 등이 발생했을 때 계통의 나머지 부분에 나쁜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그 사고를 검출하고 그 부분을 계통으로부터 끊어내도록 지령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변류기(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과전류에 해당하면, 부스바(1)를 통해 과전류가 흐름을 확인하고,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준다.
이에 종래의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은 부스바(1)를 통해 과전류가 흘러,변류기(2)가 과전류에 상응하는 유도 전류(iI)를 발생하면, 계전기(3)는 부스바(1)를 통해 과전류가 흐름을 확인하고, 부스바와 연결된 스위치를 차단하여 준다.
그러나 종래의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은 변류기(2)와 계전기(3)간이 연결 상태일 때에는 안전하나, 변류기(2)와 계전기(3)간이 개방 상태일 때는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된다.
왜냐하면, 변류기(2)와 계전기(3)간이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변류기(2)를 통해 발생된 유도 전류(iI)는 계전기(3)를 거쳐 흐르지만, 변류기(2)와 계전기(3)간이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변류기(2)를 통해 발생된 유도 전류(iI)가 두개의 출력단자에 머무르게 됨과 동시에 두개의 출력단자(out1, out2)에 무한대의 저항이 인가되어 두개의 출력단자의 전압차는 매우 커지게 된다. 즉, 변류기(2)의 출력단자에 고전압이 인가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변류기(2)와 계전기(3)간이 개방 상태일 때 사람이 변류기(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면 고전압으로 인한 감전 사고가 발생하게 되며, 고전압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 또한 증가된다. 또한 변류기의 철심과 부스바도 고전압으로 인해 자화되고, 발열 상태가 된다.
또한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에서의 변류기(2)는 계전기(3)가 부스바(1)에 흐르는 전류량을 통보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데 반해, 도 1의 변류기(2)로는 부스바(1)를 통해 흐르는 대전류(iL)를 이용하여 유도 전류(iI)를 발생하는 하드웨어 특성상, 대용량 및 고성능을 가지는 변류기가 적용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전류를 흐르게 하는 선로를 구비하여 자화 및 발열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부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스바의 소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을 발생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향상되도록 하는 부스터를 이용하는 변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스바는 제 1 전류가 흐르는 제 1 선로와, 상기 제 1 선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전류로부터 분기되는 제 2 전류가 흐르는 제 2 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스바를 이용하는 변류기는 제 1 전류가 흐르는 제 1 선로와, 상기 제 1 선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전류로부터 획득되는 제 2 전류가 흐르는 제 2 선로를 구비하는 부스바와, 상기 제 2 전류에 비례하는 유도 전류를 발생하고, 상기 유도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뒤 출력하는 생성하는 전류-전압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부스바와 변류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변류기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부스바와 변류기를 이용하는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스바 11 : 제 1 선로
12 : 제 2 선로 20 : 변류기
30 : 계전기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부스바(10)는 수백 암페어(Å)~ 수천 암페어()값을 가지는 대전류(iL)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 1 선로(11)와, 제 1 선로(11)에 접속하여 대전류(iL)로 분기되는 소전류(iS)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 2 선로(12)를 구비한다.
이때 제 2 선로(12)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은 제 1 선로(11)의 부하와 제 2 선로(12)의 부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부스바(10)의 제 1 선로(11)를 통해서는 종래에서와 같이 대전류(iL)가 흐르고, 제 1 선로(11)에 접속되는 제 2 선로(12)를 통해서는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한 소전류(iS)가 흐르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부스바를 이용하는 변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은 부스바와 변류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변류기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류기는 관통형 변류기로서 도 2의 부스바(10)의 제 2 선로(12)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다.
계속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변류기(20)는 변류기(20)를 관통하며 소전류(iS)를 전송하는 부스바(10)의 제 2 선로(12)를 1차 코일(C1)로, 부스바(10)의 제 2 선로(12) 둘러싸는 철심에 감기는 코일을 2차 코일(C2)로 구비한다. 그리고 2차 코일의 두개의 출력 노드(n1, n2)와 병렬 연결되는 저항(R)을 더 구비한다.
1차 코일(C1)은 대전류(iL)에서 분기되는 소전류(iS)를 전송하고, 2차 코일(C2)은 소전류(iS)에 상응하는 유도 전류(iI)를 발생한다.
그리고 저항(R)은 2차 코일을 통해 생성된 유도 전류(iI)를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의 저항(R)으로는 가변 저항을 적용하여, 생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부스바와 변류기를 이용하는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전류 검출 및 차단 시스템은 제 1 선로(11)로는 대전류(iL)를 전송하고 제 2 선로(12)로는 대전류(iL)에서 분기되는 소전류(is)를 전송하는 부스바(10), 부스바(10)의 제 2 선로(12)에 접속되어 소전류(is)에 상응하는 전압을 발생하는 변류기(2), 변류기(2), 및 변류기(2)의 전압에 따른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계전기(3)를 구비한다.
이에 본 고안의 부스바(10)의 제 1 선로(11)를 통해 과전류가 흐르면 제 2 선로(12)에도 과전류에 상응하는 소전류(is)가 흐르게 된다.
그러면 변류기(20)는 부스바(10)의 제 2 선로(12)를 통해 흐르는 과전류에 상응하는 소전류(is)를 전압으로 변환한 후, 두개의 출력단자(out1, out2)로 출력하여 준다.
계전기(30)는 변류기(20)의 출력단자들(out1, out2)과의 연결을 수행하고, 출력단자들(out1, out2)을 통해 전송되는 전압이 과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이면, 부스바(10)의 제 1 선로(11)를 통해 과전류가 흐름을 확인하고,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준다.
상기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류기(20)는 전압을 출력함으로서, 변류기(20)와 계전기(30)간이 연결 상태인 경우에 두개의 출력단자(out1, out2)에 인가되는 전압과 변류기(20)와 계전기(30)간이 개방 상태인 경우에 두개의 출력단자(out1, out2)에 인가되는 전압이 동일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변류기는 연결 상태일 때뿐만 아니라 개방상태일 때도 안정성을 보장하여 준다.
또한 본 고안의 부스바(10)는 소전류(is)가 흐르도록 하는 별도의 선로(12)를 더 구비하도록 하고, 변류기(20)는 소전류(is)에 비례하여 용량 및 성능을 가지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변류기(20)는 도 1의 변류기(2)에 비해 소형화된다.
또한 부스바(10) 및 변류기(20)의 자화 및 발열현상은 소전류(is)에 의해 최소화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부스바는 소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별도의 선로를 구비하도록 하여 대전류로 인한 자화 및 발열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부스바를 이용하는 변류기는 부스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전압의 형태로 제공하므로 감전 사고 및 화재 사고등과 같은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부스바를 이용하는 변류기가 소형화되도록 하여, 변류기의 생산원가 낮춰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제 1 전류가 흐르는 제 1 선로; 및
    상기 제 1 선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전류로부터 분기되는 제 2 전류가 흐르는 제 2 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로는
    상기 제 1 선로에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는
    상기 제 1 선로의 부하와 제 2 선로의 부하의 비율에 따라 전류량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4. 제 1 전류가 흐르는 제 1 선로와, 상기 제 1 선로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전류로부터 획득되는 제 2 전류가 흐르는 제 2 선로를 구비하는 부스바; 및
    상기 제 2 전류에 비례하는 유도 전류를 발생하고, 상기 유도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뒤 출력하는 생성하는 전류-전압 변환부를 구비하는 부스바를 이용하는 변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는
    상기 제 2 전류에 비례하는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생성부; 및
    상기 유도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를 이용하는 변류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부는
    가변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를 이용하는 변류기.
KR20-2004-0020111U 2004-07-14 2004-07-14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 KR200364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111U KR200364906Y1 (ko) 2004-07-14 2004-07-14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111U KR200364906Y1 (ko) 2004-07-14 2004-07-14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906Y1 true KR200364906Y1 (ko) 2004-10-19

Family

ID=4943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111U KR200364906Y1 (ko) 2004-07-14 2004-07-14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9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56323B (zh) 用于保护变压器免受地磁感应电流影响的保护装置
JP6609063B2 (ja) 電力変換装置、電力変換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200364906Y1 (ko)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하는 변류기
JP2009005528A (ja) 限流装置
TW575988B (en) Ground relay system in a multiplex direct grounding system
Das Protection planning and system design to reduce arc flash incident energy in a multi-voltage level distribution system to 8 CAL/CM 2 (HRC 2) or less–part II: Analysis
KR102289336B1 (ko) 이중 철심을 이용한 변압기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EP2909854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ransductor circuit and alternating current electronic trip circuit
KR20090078187A (ko) 접지선에 직류 전류의 차단 회로를 갖는 변압기
JPH0223021A (ja) 回路しや断器
JP2007060797A (ja) 発電機保護リレー装置
RU2159980C1 (ru) Способ токовой направленной защиты двух параллельных линий трехфаз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2001320828A (ja) 事故範囲判別機能付地絡継電器
Paul et al. Ground fault current protection of a 480Y/277V power system compliance with NEC design requirements
JP2007068279A (ja) 地絡事故の検出方法
RU2395145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трехфаз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с нулевым проводом от несимметричных режимов
Bierals Overcurrent Protection NEC Article 240 and Beyond
Dobrzyński et al. Neutral earthing reactor protection
JP2009295839A (ja) クロス貫通変流器、端子台および保護継電装置
RU2180982C2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JP2000032662A (ja) 受配電設備
JP2005192318A (ja) 三相変圧器投入方法および装置
CN116387078A (zh) 一种外置双侧取电模块的智能柱上开关
KR20210114172A (ko)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KR920000516Y1 (ko) 단권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