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418Y1 -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구조 - Google Patents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418Y1
KR200364418Y1 KR20-2004-0019735U KR20040019735U KR200364418Y1 KR 200364418 Y1 KR200364418 Y1 KR 200364418Y1 KR 20040019735 U KR20040019735 U KR 20040019735U KR 200364418 Y1 KR200364418 Y1 KR 200364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aste
synthetic resin
mortar
extru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만
Original Assignee
키콘스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콘스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키콘스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9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4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4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건축, 토목 시공을 위하여 반드시 천연골재를 사용하는데 이는 자연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에 불과하여 자연을 훼손 및 자원고갈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는 산업용 폐기물로서 그 재활용이 적극적으로 모색되고 있는 폐 비닐 및 합성수지을 녹인후, 이것에 슬래그 분말등을 혼합하여 소정의 크기로 인발하는 방법을 통하여 건축, 토목시공을 위한 건설골재로 사용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제품은 그 형상이 원형등의 것에 불과하여 그 표면적이 작아 몰탈(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과의 접합면이 작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이와 같이 제조한 제조물을 사용한 구조물의 경우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탈 또는 방수상의 문제을 낳을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폐 비닐과 같은 폐 합성수지재를 용융하여 얻은 겔 상태의 용융물을 압출하여 얻는압출물의 외표면을 극대화하여 몰탈과의 접합력을 극대화하면서 경량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 구조{A CONSTRUCTION MATERALS STRUCTURE BY USED COMPOSITION PLASTICS}
본 고안은 폐 비닐, 폐 합성수지 및 페트병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물의 시공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건축물 또는 토목공사에 흔히 사용되는 각종 벽돌, 경계석, 보드블록, 축대용블록 등은 시멘트와 모래를 적당한 비율로 배합한 몰탈을 원재료로 하여 이를 성형한 후 건조시켜 사용하거나 요업용 흙 등을 몰탈과 배합하여 이를 성형하여 일정한 온도로 소성시킨 벽돌이 흔히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종래의 벽돌, 경계석, 보드블록, 축대용블록 등의 벽돌형 건축, 토목시공용자재는 표면이 약하여 가벼운 충격에 의하여도 표면 몰탈이 훼손되어 버리고, 특히 이러한 벽돌은 자연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에 불과하여 자연을 훼손 및 자원고갈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 자재인 폐 비닐, 폐 합성수지 및 페트병을 이용한 건설골재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산업용 폐기물로서 그 재활용이 적극적으로 모색되고 있는 폐 비닐 및 합성수지을 녹인후, 이것에 슬래그 분말, 슬럿지, 화력발전소의 석탄재, 폐 콘크리트 가루, 폐 타이어등과 또는 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이들과 혼합하여 소정의 크기로 인발하는 방법을 통하여 건축, 토목시공을 위한 건설골재로 사용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폐 합성수지를 녹인 용융물에 슬래그 분말, 슬럿지, 화력발전소의 석탄재, 폐 콘크리트 가루, 폐 타이어등과 같은 폐 자재를 투여하여 이를 인발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폐 합성수지 용융물과 위폐 자재가 일체화되는 형태이나 그 외표면이 작아 몰탈(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과의 접착면이 작고 또한 그 만큼 무거운 문제점과 함께 구조물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탈 또는 외력에 의해 쉽게 구조물에서 이탈되는 우려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폐 비닐과 같은 폐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경량 골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같이 폐 비닐과 같은 폐 합성수지재를 용융하여 얻은 겔 상태의 용융물을 압출하여 얻은 압출물의 외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몰탈과의 접합면을 최대화하면서도 경량화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압출물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압출물의 다른 실시 참고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요부 2: 돌출부
3: 작은 압출물 4: 중공식 압출물
종래와 같이 폐 비닐과 같은 폐 합성수지재를 용융하여 얻은 겔 상태의 용융물을 압출하여 얻은 압출물을 제조하여 폐 비닐, 폐 합성수지 및 페트병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압출물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정하여 절단하는 방법을 통하여 압출을 행하되 그 압출물의 외표면은 첨부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많은 표면적을 갖도록 요부(1)와 돌출부(2)를 형성하고 그 내부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멍(3)을 형성한 중공식 압출물(4)로 압출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중공식 압출물(4)은 필요에 따라 천연 골재의 대용으로 사용함에 있어, 요부(1)와 돌출부(2)를 외표면에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외표면적의 극대화로 몰탈과의 접합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구멍(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멍(3) 만큼 중공식 압출물(4)의 중량도 작아지는 반면 그 구멍(3)의 내부에 몰탈이 투여되어 몰탈과의 접합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하여 본 고안의 중공식 압출물(4)은 외표면에서는 그 표면적의 극대화를 통한 몰탈과의 접합면적을 크게하여 접합력을 상승하고, 또한 구멍(3)에 몰탈이 삽입되도록하여 본 고안의 중공식 압출물(4)과 몰탈과의 혼합력을 크게 상승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중공식 압출물(4)은 천연 골재의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그 몰탈과의 접합력의 상승과 혼합력을 극대화하면서 사요알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그 형상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둘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모두 외표면은 요부(1)와 돌출부(2) 및 내부에는 구멍(3)을 형성하여 본 고안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직경이 작은 압출물의 경우에는 그 구멍의 형성이 불 가능하므로 첨부한 도면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그 직경이 작은 압출물(5)은 요부(1)와 돌출부(2)를 형성하여 천연 골재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능한 구조물 시공보다는 구조물 시공용 벽돌등과 같은 비 구조성 원자재로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된 본 고안의 경량 골재는 천연 골재의 대용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조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본 고안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적의 극대화를 통하여 몰탈과의 접합력을 극대화하는 시공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폐 합성수지재를 가열 용융하여 얻은 겔 상태의 용융물을 압출하여 얻은 압출물을 천연 골재 대용으로 사용하게 함에 있어 그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몰탈과의 접합면적을 높임과 동시에 경량화하면서도 몰탈과의 혼합성을 극대화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기할 수 있도록하여 건축, 토목시공용 자재의 단가 절감을 통한 건축, 토목시공지의 절감 및 심각한 산업상 폐기물인 폐 비닐과 같은 폐 합성수지 재 사용을 모색하여 환경보호, 자연보호를 꾀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폐 비닐과 같은 폐 합성수지재를 주재료로 가열 용융하여 얻은 겔 상태의 용융물로 압출하여 얻은 압출물을 경량 골재로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압출물이 많은 표면적을 갖도록 요부(1)와 돌출부(2)를 형성하고 그 내부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멍(3)을 형성한 중공식 압출물(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식 압출물(4)에 구멍(3)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 구조.
KR20-2004-0019735U 2004-07-12 2004-07-12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구조 KR200364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735U KR200364418Y1 (ko) 2004-07-12 2004-07-12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735U KR200364418Y1 (ko) 2004-07-12 2004-07-12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418Y1 true KR200364418Y1 (ko) 2004-10-08

Family

ID=4943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735U KR200364418Y1 (ko) 2004-07-12 2004-07-12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4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452B2 (en) Building bricks including plastics
KR100664567B1 (ko) 폐기물을 이용한 재활용 소성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한 재활용 소성 점토벽돌
US7345107B2 (en) Material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same
KR200364418Y1 (ko)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구조
KR20220117546A (ko) 재생플라스틱 칩을 혼합한 시멘트 벽돌, 블록 과 건축용 또는 산업용 자재
KR100521426B1 (ko) 폐섬유와 폐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이용한 플라스틱 강화콘크리트용 강화 플라스틱 섬유의 제조방법
JPH07279106A (ja) 複合舗設材およびその製法
KR20060004110A (ko)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경량골재
KR100402484B1 (ko) 폐페트병과 고로슬래그의 미분말을 이용한 경량골재의 제조방법
EP1598164B1 (en) Polymeric foam extrusion process
JP2013227188A (ja) リサイクル材料を用いた建材の製造方法及び建材
KR970069278A (ko) 토건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333863Y1 (ko) 폐 타이어나 폐 고무재를 이용한 건축,토목시공용 자재
KR20020066459A (ko) 폐자재를 이용한 투수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382993B1 (ko) 폐자재를 이용한 고강도 인조자갈 및 이 인조자갈을포함하는 콘크리트
TWM579661U (zh) Environmentally friendly bricklaying
KR20020024279A (ko) G.r.c.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06838A (ko) 폐 타이어나 폐 고무재를 이용한 건축,토목시공용 자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토목시공자재
KR100242713B1 (ko) 재활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US20240149537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haped body from plastic waste and natural fibres
KR20110091176A (ko) 이산화탄소가 고정된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를 활용한 건축용 자재
US8603604B1 (en) One-piece encapsulated plastic product formed from multiple recycled products
JPH10182206A (ja) 廃材利用透水性成形材の製造方法
JPH11100919A (ja) ブロック材
KR940006959A (ko) 프라스틱 물질을 결합제로 사용한 토목 및 건축 재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