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880Y1 - 서류케이스 - Google Patents

서류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880Y1
KR200363880Y1 KR20-2004-0020059U KR20040020059U KR200363880Y1 KR 200363880 Y1 KR200363880 Y1 KR 200363880Y1 KR 20040020059 U KR20040020059 U KR 20040020059U KR 200363880 Y1 KR200363880 Y1 KR 200363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support member
synthetic resin
plate
z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희식
Original Assignee
채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희식 filed Critical 채희식
Priority to KR20-2004-0020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880Y1/ko
Priority to PCT/KR2005/000336 priority patent/WO2006006762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2Briefca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4Boxes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의 박판으로 형성된 공간 내에 서류나 문구용품을 삽입하여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서류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박판을 ㄷ자형상으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선을 경계로하여 상면부와 하면부 및 소폭면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소폭면부을 제외한 상면부와 하면부의 외주연을 따라서 플레이트웨빙으로 감싸진 ㄴ자 형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에 플레이트웨빙으로 감싸져서 외부로 형성된 지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서류케이스에 의하면 섬유벨트를 제거하고 합성수지재 박판을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외곽을 감싼 후에 외부에 지퍼를 형성시킴으로써 본래의 형상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서 미관상 좋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류케이스{file case}
본 고안은 서류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 박판으로 형성된 공간 내에 서류나 문구용품을 삽입하여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서류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은 양의 서류를 외부로 반출하거나, 학생들이 간단하게 문구류를 가지고 외출 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의 박판으로 형성된 서류케이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서류 케이스는 케이스를 이루는 상면부와 하면부 및 소폭면부가 일체형의 합성수지재의 박판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의 박판의 외주면을 따라 벤드로 처리되며, 상기 소폭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의 보호를 위해서 섬유벨트가 상면부와 하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섬유 벨트의 중앙에 지퍼를 결합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서류케이스는 내용물이 적을 때나, 보관할 때 섬유벨트부분이 찌그러져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크기와 비슷한 크기의 용지 등을 삽입할 때에는 상기 찌그러진 섬유벨트가 방해를 해서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섬유벨트부분이 찌그러지게 되면 파지하기가 불편하여 쉽게 손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기 섬유벨트를 제거하고 합성수지재 박판을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외곽을 감싼 후에 외부에 지퍼를 형성시킴으로써 본래의 형상을 항상 유지할 수 있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서류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류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서류케이스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서류케이스의 전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서류케이스의 개봉 상태도.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서류케이스의 전개도 및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서류케이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01, 102 : 플레이트웨빙
103 : 지퍼 104 : 지지부재
106 : 고정단추 125 : 절곡선
210 : 상면부 220 : 소폭면부
230 : 하면부 300 : 하부지지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박판을 ㄷ자 형상으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선을 경계로하여 상면부와 하면부 및 소폭면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소폭면부을 제외한 상면부와 하면부의 외주연을 따라서 플레이트웨빙으로 감싸진 ㄴ자 형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에 플레이트웨빙으로 감싸져서 외부로 형성된 지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박판을 ㄷ자형상으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선(125)을 경계로하여 상면부(210)와 하면부(230) 및 소폭면부(220)가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소폭면부(220)를 제외한 상면부(210)와 하면부(230)의 외주연을 따라서 플레이트웨빙(101)으로 감싸진 ㄴ자 형상의 지지부재(104)와; 상기 지지부재(104)의 끝단에 플레이트웨빙(102)으로 감싸져서 외부로 형성된 지퍼(103)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상면부(210)와 하면부(230)의 끝단은 호형으로 절단되고, 상기 상면부(210)와 하면부(230)의 외주연으로는 플레이트웨빙(101)이 감싸진다. 이때 합성수지재 박판을 ㄴ자 형상으로 하단에 하부지지부(300)가 형성된 지지부재(104)를 형성하여 상기 소폭면부(220)를 제외하고 상기 상면부(210)와 하면부(230)의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하부지지부(300)가 일치할 수 있도록 호형의 모서리부분에 맞닿을 부분의 하부지지부(300)를 일부분 절개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도6과 같이 위치시킨 후 플레이트웨빙(101)으로 감싸는 것이다.
이때 지지부재(104)의 높이는 소폭면부(220)의 높이의 절반에 플레이트웨빙(102)과 하부지지부(300)의 두께를 뺀 만큼의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면부(210)에 형성된 지지부재(104)와 하면부(220)에 형성된 지지부재(104)의 각각의 끝단이 맞닿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몸체(100)의 소폭면부(220)에는 고정단추(106)에 의해서 고정되어진 지퍼(103)가 상기 지지부재(104)의 끝단을 따라서 상면부(210)와 하면부(230)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04)의 끝단과 지퍼(103)의 섬유벨트(103a)의 끝단을 플레이트웨빙(102)으로 감싸서 형성한다.
상기 상면부(210)와 하면부(230)에 형성된 각각의 지지부재(104)가 서로 맞닿아서 외곽을 형성함으로써 내부공간이 확실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적게 있더라도 형상이 완벽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외관상 보기가 좋고, 상기 지퍼(103)의 섬유벨트(103a)부분이 상기 지지부재(104)의 외부로 나와있으므로, 내부에 상기 케이스의 크기와 비슷한 용지 등을 삽입할 때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서류케이스에 의하면 섬유벨트를 제거하고 합성수지재 박판을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외곽을 감싼 후에 외부에 지퍼를 형성시킴으로써 본래의 형상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서 미관상 좋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합성수지재 박판으로 ㄷ자 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절곡부를 경계로 상면부와 하면부 및 소폭면부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플레이트웨빙으로 지퍼와 함께 재봉된 종래의 서류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소폭면부을 제외한 상면부와 하면부의 외주연을 따라서 플레이트웨빙으로 감싸진 ㄴ자 형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에 플레이트웨빙으로 감싸져서 외부로 형성된 지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합성수지재박판을 ㄴ자 형상으로 하단에 하부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폭면부를 제외하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하부지지부가 일치할 수 있도록 모서리에 맞닿을 부분의 하부지지부를 일부분 절개하여 ㄷ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면부와 하면부에 각각 플레이트웨빙으로 감싸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케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높이는 소폭면부의 높이의 절반에 플레이트웨빙과 하부지지부의 두께를 뺀 만큼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에 형성된 지지부재와 하면부에 형성된 지지부재의 각각의 끝단이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서류케이스.
KR20-2004-0020059U 2004-07-14 2004-07-14 서류케이스 KR200363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059U KR200363880Y1 (ko) 2004-07-14 2004-07-14 서류케이스
PCT/KR2005/000336 WO2006006762A1 (en) 2004-07-14 2005-02-04 Fil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059U KR200363880Y1 (ko) 2004-07-14 2004-07-14 서류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880Y1 true KR200363880Y1 (ko) 2004-10-08

Family

ID=3578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059U KR200363880Y1 (ko) 2004-07-14 2004-07-14 서류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63880Y1 (ko)
WO (1) WO2006006762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555B2 (ja) * 1989-02-15 2000-03-21 コクヨ株式会社 綴り込み可能な収納ケース
US6059478A (en) * 1998-04-24 2000-05-09 The Mead Corporation Binder with elastic gusset
KR200332823Y1 (ko) * 2003-08-29 2003-11-10 유옥진 망이 구비된 파일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06762A1 (en)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3880Y1 (ko) 서류케이스
KR200382730Y1 (ko) 다이어리용 책갈피
US1914001A (en) Bookmark
JP3200976U (ja) ポーチ
KR200386010Y1 (ko) 폭조절이 가능한 서류케이스
RU198703U1 (ru) Сумка
KR200368956Y1 (ko) 서류 보관용 파일
KR102248925B1 (ko) 양면 포켓이 형성되는 파일 커버
CN209834395U (zh) 一种耐用防勒手的礼品袋
KR200372871Y1 (ko) 서류 보관용 클리어 화일
JP3107313U (ja) 折り畳み式うちわ
KR102177669B1 (ko) 임의적인 풀림이 방지되는 일체형의 잠금 기능이 구비된 메모수첩커버
KR910007095Y1 (ko) 랩(lap) 수장용 포장케이스
CN213229892U (zh) 一种具有正反两用盒盖的礼品盒
KR200256169Y1 (ko) 손잡이가 포함된 포장용 박스
KR100989060B1 (ko) 서류케이스
KR200359986Y1 (ko) 서류케이스
KR200352430Y1 (ko) 다기능 테이프(멀티 테이프)
KR200190437Y1 (ko) 사진 등을 내장할 수 있는 티슈 케이스
KR200319027Y1 (ko) 서류 케이스
KR200363868Y1 (ko) 파일
KR200339499Y1 (ko) 합성수지 화일의 테두리 마감구조
JP2515558Y2 (ja) 商品収納ケース
JP3122071B2 (ja) 表 版
JP2021031083A (ja) 巻回体の収容箱及び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