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855Y1 - 제함기 - Google Patents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855Y1
KR200363855Y1 KR20-2004-0019331U KR20040019331U KR200363855Y1 KR 200363855 Y1 KR200363855 Y1 KR 200363855Y1 KR 20040019331 U KR20040019331 U KR 20040019331U KR 200363855 Y1 KR200363855 Y1 KR 200363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actuator
width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현
조정욱
임영현
Original Assignee
임영현
조정욱
손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현, 조정욱, 손진현 filed Critical 임영현
Priority to KR20-2004-0019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8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4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having several cooperating plungers and dies fitted on a rotating table or on movin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having several plungers moving in a closed path and cooperating with stationary fold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made from tubular webs or blanks, including by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는, 상하 구동에 의해 판재의 접착부위로 핫멜트가 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누출수단을 포함하는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가 절곡되는 판재 접힘부와, 상기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 접힘부로 판재를 이동시키고, 완성된 상자를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함기 {Apparatus for folding box }
본 고안은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의 접합을 위한 핫멜트가 주입되는 핫멜트 주입부와, 상기 핫멜트 주입부로부터 이송되는 판재가 절곡되어 원하는 형상의 상자가 절곡되는 판재 접힘부와, 상기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 접힘부로 판재를 이송하고, 상기 판재 접힘부에 의해 절곡되는 상자를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부로 구성된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분야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제조물들은 일반적으로 손상방지와 구매자의 관심유발 또는 포장 운송 등의 목적으로 출시 당시의 제품을 종이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상자로 포장하게 된다. 이러한 상자들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목적에 따른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자동화 공정으로 대량 생산되어야 하는 바, 보통 미리 전개되어 절곡되어야 할 각 부분이 형성되어있는 판재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판재를 여러 가지 작동체에 의해 접어주는 공정을 통해 상자의 절곡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접착제는 보통 큰 접착강도를 요구하지 않는 책, 종이상자, 부직포 기저귀 등의 제품에 사용되는 핫멜트(hot melt) 접착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핫멜트 접착제(이하, 핫멜트)는 용제의 증발이나 제거를 통해 또는 중합에 의해 고체상태가 되는 다른 형태의 접착제와는 달리 용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필요로 하지 않는 100% 고체물질로서, 실온에서는 고체물질이지만 열을 가하면 접착물에 도포 가능한 액체 또는 유체 상태가 되며, 이러한 액체 또는 유체 상태의 열 가소성 수지 핫멜트가 접착물에 도포된 후, 실온에서 냉각되면 다시 고체가 되어 결합력이 발생됨에 따라 접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핫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무용제형(無溶制形) 접착제로서 작업 환경개선이 용이하고 작업공정의 인력 절감을 위한 자동화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 등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제함기에서 상기와 같은 핫멜트를 판재에 주입하기 위해서는 가열 수단을 통해 핫멜트를 용융상태로 유지해주고, 용융된 상태의 핫멜트에 압력을 가하여 적정한 위치에 누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피스톤 주사기를 작동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피스톤 주사형 제함기는, 장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피스톤 주사기와, 상기 피스톤 주사기를 제어하기 위한 부가적인 장치들이 다수 추가되게 되므로 넓은 작업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고, 제조비용 또한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제함기는 전문적인 박스 제작업체에 배치되어 그곳에서 제작된 박스를 출고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게 되므로, 절곡이 완료된 완제품 상자로 운송되어 부피가 커짐에 따라 다량의 운송 및 보관이 어렵고 이에 따라 운송비용이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 구동에 의해 판재의 접착부위로 핫멜트가 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누출수단을 포함하는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가 절곡되는 판재 접힘부와, 상기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 접힘부로 판재를 이동시키고, 완성된 상자를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핫멜트 주입부의 하향 이동에 따라 한번의 작동으로 판재의 각 부분에 적당량의 핫멜트가 주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핫멜트 주입을 위한 누출수단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제함기의 크기를 소형화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킴에 따라, 일반 사업장에 직접 구비하여 절곡되기 이전 상태의 판재를 직접 절곡하기 용이하므로 판재의 운송비 내지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제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판재의 규격에 따라 제함기 각각의 부분을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여러 가지 다양한 규격의 판재를 절곡 가능하게 하는 제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의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의 핫멜트 주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누출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의 판재 접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고안에 의한 판재 접힘부가 사용되는 판재 접힘 공정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송 실린더 102 : 제 1 기어
104 : 제 2 기어 110 : 제 1 구동축
112 : 제 1 체인 스프라켓 120 : 제 2 구동축
122 : 제 2 체인 스프라켓 124 : 체인
126 : 경사면 130 : 제 1 이송대
132, 332 : 로울러 140 : 제 2 이송대
150 : 인입부 160 : 제 3 이송대
170 : 가이드 프레임 210 : 상하 구동부
220 : 제 1 길이 조절부 221 : 길이 조절 볼트
222 : 길이 조작부 224 : 가이드 봉
226 : 제 1 슬라이드부 228 : 제 2 슬라이드부
230 : 제 1 폭 조절부 231 : 이송체
232 : 폭 조절 볼트 234 : 폭 조작부
236 : 폭 조절 가이드 302 : 판재 안내면
310 : 제 1 작동체 320 : 제 2 작동체
322 : 누름판 330 : 제 3 작동체
340 : 제 4 작동체 342, 432 : 스프링
352 : 피스톤 354 : 제 1 동력 전달체
356 : 연결로드 358 : 제 2 동력 전달체
360a : 상단 폭 가이드 부재 360b : 하단 폭 가이드 부재
362a : 상단 제 2 폭 조절부 362b : 하단 제 2 폭 조절부
370a : 상단 길이 가이드 부재 370b : 하단 길이 가이드 부재
372a : 상단 제 2 길이 조절부 372b : 하단 제 2 길이 조절부
400 : 누출수단 410 : 하우징
412 : 하측 가이드홈 420 : 탄성 조절부
422 : 상측 가이드홈 430 : 이동봉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는, 판재의 접착부위로 핫멜트가 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누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수단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제 1 길이 조절부와 제 1 폭 조절부를 포함하며, 프레임 전체가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상하 이동부를 포함하는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가 절곡되는 판재 접힘부와, 상기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 접힘부로 판재를 이동시키고, 완성된 상자를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출수단은 내부에 용융 상태의 핫멜트가 채워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측 가이드홈과, 상기 하우징 하단부에상측 가이드홈의 개수만큼 형성되고, 상기 상측 가이드홈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측 가이드홈과, 상기 상측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하측 가이드홈에 거치되며, 일정거리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봉과, 상기 이동봉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이 조절되는 탄성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길이 조절부는 상기 누출수단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암나사 형상의 면이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드부와, 상기 누출수단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는 안내면이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 부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에 결합되는 수나사 형상의 길이 조절 볼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봉과, 상기 길이 조절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누출수단의 이송을 담당하는 길이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폭 조절부는 상기 길이 조절 볼트와 가이드 봉이 결합되는 이송체와, 상기 이송체가 일정거리 안내되도록 하단에 결합되는 폭 조절 가이드와, 상기 길이 조절 볼트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폭 조절 가이드에 결합되는 폭 조절 볼트와, 상기 폭 조절 볼트의 회전을 담당하는 폭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 접힘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하단 폭 가이드 부재와,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상단 폭 가이드 부재와,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를 따라 안내되는 두 개 이상의 하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b)와, 상기 상단 폭 가이드 부재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상단 폭 가이드 부재를 따라 안내되는 두 개 이상의 상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a)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판재를 절곡시키도록 구비되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작동체는,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정각도 상향 회동되어 판재의 측면 모서리를 접도록 구비되는 제 1 작동체(310)와, 상기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정거리 하향 이동되어 판재의 하단 모서리를 접도록 구비되는 제 2 작동체(320)와, 상기 판재 접힘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단 구동부에 의해, 일정각도 하향 회동되어 판재의 상단 모서리를 접도록 구비되는 제 3 작동체(330)와, 상기 제 3 작동체의 작동과 함께 일정각도 하향 회동되어 판재의 상단 측면 모서리를 접는 제 4 작동체(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작동체는,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제 3 작동체의 구동에 의해 판재의 상단 모서리가 접혀져 형성되는 상단면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누름판(3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3 작동체, 제 4 작동체(340)는 판재와 접촉되는 말단부에 로울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의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의 이송부는, 장치의 측단에 구비되는 이송 실린더(100)의 작동에 따라 제 1 기어(102)가 회전되고, 상기 제 1 기어(102)에 맞물린 제 2 기어(104)가 구동됨에 따라 제 1 구동축(110)이 회전되며, 상기 제 1 구동축(110)에 결합되는 제 1 체인 스프라켓(112)의 회전이 체인(124)으로 전달되어 제 2 구동축(120)에 결합되는 제 2 체인 스프라켓(122)이 회전되고, 상기 체인(124)에 결합되는 제 1 이송대(130)가 판재 진행방향의 전후로 구동되며, 상기 제 1 이송대(13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 2 이송대(140)가 상기 제 1 이송대(130)의 구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이송 실린더(100) 구동방식 외에도 모터 회전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이송대(130) 및 제 2 이송대(14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서는 제 1 이송대(130) 및 제 2 이송대(140)의 하단에 로울러(132)를 구비하고, 상기 로울러(132)가 회전되어 상기 제 1 이송대(130) 및 제 2 이송대(140)가 안내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프레임(17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이송부의 제 1 이송대(130)와 제 2 이송대(140)의 사이에 올려지는 판재는, 이송 실린더(100)의 구동에 따라 제 1 이송대(130)가 작동됨으로써, 판지 이송 방향의 전방에 구비되는 인입부(150) 하단의 공간을 통과하여 핫멜트 주입부로 이동되고, 미리 핫멜트 주입부에 위치되어 핫멜트가 분사된 판재는 제 2 이송대(140)에 의해 밀려져 판재 접힘부로 이동되게 되며, 판재 접힘부에서 각각의 작동체에 의해 절곡이 이루어진 상태의 완성된 상자는 제 2 이송대(140) 하단에 결합되는 제 3 이송대(160)에 의해 밀려져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인입부(150)의 하단에는 상기 제 1 이송대(130)가 이동되어 핫멜트 주입부로 위치되는 판재가 제 1 이송대(130)의 역 방향 구동에 의해 다시 밀려져 들어오지 않도록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은 이송부의 정 방향 이송에 따라 판재가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판재 이송 방향의 전방 측에 경사를 갖는 경사면(1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의 핫멜트 주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핫멜트 주입부는, 판재의 접착부위로 핫멜트가 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누출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수단(40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제 1 길이 조절부(220)와 제 1 폭 조절부(230)를 포함하며, 프레임 전체가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상하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길이 조절부(220)는 상기 누출수단(40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암나사 형상의 면이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드부(226)와, 상기 누출수단(40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는 안내면이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부(228)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226)에 결합되는 수나사 형상의 길이 조절 볼트(221)와, 상기 제 2 슬라이드부(228)에 결합되는 가이드 봉(224)과, 상기 길이 조절 볼트(221)에 결합되어 상기 누출수단(400)의 이송을 담당하는 길이 조작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폭 조절부(230)는 상기 길이 조절 볼트(221)와 가이드 봉(224)이 결합되는 이송체(231)와, 상기 이송체(231)가 일정거리 안내되도록 하단에 결합되는 폭 조절 가이드(236)와, 상기 길이 조절 볼트(221)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폭 조절 가이드(236)에 결합되는 폭 조절 볼트(232)와, 상기 폭 조절볼트(232)의 회전을 담당하는 폭 조작부(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의 핫멜트 주입부는, 판재 위로 핫멜트를 주입하는 누출수단(400)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 전체가 이동되는 방식에 따라 판재의 접착면에 핫멜트가 주입되는 방식을 이용하며, 누출수단(400)은 제 1 길이 조절부(220)에 결합되어 조절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길이 조절부(220)는 제 1 폭 조절부(230)에 결합되어 폭 조작부(234)를 회전시킴에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도 2b는 도 2a의 누출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누출수단(400)은, 내부에 용융 상태의 핫멜트가 채워지는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 상단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측 가이드홈(422)과, 상기 하우징(410) 하단부에 상측 가이드홈(422)의 개수만큼 형성되고, 상기 상측 가이드홈(42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측 가이드홈(412)과, 상기 상측 가이드홈(422)을 관통하여 상기 하측 가이드홈(412)에 거치되며, 일정거리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봉(430)과, 상기 이동봉(43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스프링(432)과, 상기 스프링(432)의 탄성이 조절되는 탄성 조절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출수단(400)의 하단부가 도 2의 상하 구동부(210)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되면, 이동봉(430)의 하단이 판재에 눌려지게 되고, 이때 하우징(410) 내부에 용융상태로 들어있는 핫멜트가 하측 가이드 홈으로 흘러나오게 됨으로서 핫멜트의주입이 완료된다. 이때, 하우징(410) 상측의 탄성조절부는 스프링(432)의 탄성을 조절하여 핫멜트의 누출량을 조절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너트를 조이는 방법을 이용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의 판재 접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의 판재 접힘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와,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와,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를 따라 안내되는 두 개 이상의 하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b)와, 상기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를 따라 안내되는 두 개 이상의 상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a)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판재를 절곡시키도록 구비되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체는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정각도 상향 회동되어 판재의 측면 모서리를 접도록 구비되는 제 1 작동체(310)와, 상기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정거리 하향 이동되어 판재의 하단 모서리를 접도록 구비되는 제 2 작동체(320)와, 상기 판재 접힘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단 구동부에 의해, 일정각도 하향 회동되어 판재의 상단 모서리를 접도록 구비되는 제 3 작동체(330)와, 상기 제 3 작동체의 작동과 함께 일정각도 하향 회동되어 판재의 상단 측면 모서리를 접는 제 4 작동체(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상기 제 2 작동체(320)는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제 3 작동체(330)의 구동에 의해 판재의 상단 모서리가 접혀져 형성되는 걸림면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누름판(3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3 작동체(330)와 제 4 작동체(340)는 판재와 접촉되는 말단부에 로울러(3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와 상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a)의 결합은, 상기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를 따라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상단 제 2 폭 조절부(362a)를 통해 결합되어 판재의 폭에 따라 상기 상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a)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와 하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b)의 결합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를 따라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하단 제 2 폭 조절부(362b)를 통해 결합되어 판재의 폭에 따라 상기 하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b)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a)에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단 제 2 길이 조절부(372a)는, 상기 제 2 작동체에 결합되어 판재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단이며, 상기 하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b)에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단 제 2 길이 조절부(372b)는, 상기 제 1 작동체에 결합되어 판재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단이 된다.
상기와 같은 판재 접힘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단 구동부는 피스톤(352)과, 상기 피스톤(352)에 의해 회동되는 제 1 동력 전달체(354)와, 상기 제 1 동력 전달체(354)로 전달되는 피스톤(352)의 힘을 전달하는 연결로드(356)와, 상기 연결로드(356)에 의해 회동되는 제 2 동력 전달체(358)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동력 전달체(354) 및 제 2 동력 전달체(358)는 제 3 작동체(330)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 3 작동체(330)의 구동과 동시에 측단에 구비되는 스프링(342)과 결합되는 제 4 작동체(340)가 함께 구동되게 된다. 상기 제 3 작동체(330)와 제 4 작동체(340)는 판재와 접촉되는 말단부에 로울러(332)를 구비하여 판재의 긁힘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작동체(320)는 상기 핫멜트 주입부의 작동과 유사하게 상단부 프레임 전체가 하향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되며, 끝단에는 하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누름판(322)을 구비하여 완성된 상자의 상단면에서 쉽게 이탈되도록 한다. 하단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판재 안내면(302)은 제 2 작동체(320)에 의해 판재가 눌려질 경우 판재가 올바른 위치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상단 구동부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서 처럼 피스톤을 이용하는 구성 외에도 캠 또는 기어 등을 조합시키는 구성을 통해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주의하여야 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고안에 의한 판재 접힘부에 따른 판재 절곡 공정을 도시한다.
도 4a에서 처럼, 먼저 판재 접힘부의 하단에 판재가 이송되어 내입되고, 도 4b에서 처럼, 제 1 작동체(310)가 구동되어 판재의 1번 선이 접혀진다. 그 다음으로 도 4c에서 처럼, 판재 접힘부 상단 전체가 하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작동체(320)의 누름판(322)이 하향으로 눌려짐에 따라 판재의 2번 선이 접혀지고, 도 4d에서 처럼 작동체 피스톤(352)의 구동에 의해 제 3 작동체(330)가 하향으로 회동되어 판재의 3번 선이 접혀짐과 동시에 도 3에 도시된 스프링(342)의 탄성에 따라, 제 4 작동체(340)가 하향 회동되어 판재의 4번 선이 접혀지게 됨으로써, 도 4e에 도시된 상자가 완성되며, 이때 판재 접힘부는 도 4a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단 전체가 다시 상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누름판(322)은 판자의 상단면에 걸려지는 상태로 회동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제함기는, 상하 구동에 의해 판재의 접착부위로 핫멜트가 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누출수단을 포함하는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가 절곡되는 판재 접힘부와, 상기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 접힘부로 판재를 이동시키고, 완성된 상자를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핫멜트 주입부의 하향 이동에 따라 한번의 작동으로 판재의 각 부분에 적당량의 핫멜트가 주입된다는 장점이 있고, 핫멜트 주입을 위한 누출수단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제함기의 크기를 소형화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킴에 따라, 일반 사업장에 직접 구비하여 절곡되기 이전 상태의 판재를 직접 절곡하기 용이하므로 판재의 운송비 내지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판재의 규격에 따라 제함기의 규격을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여러 가지 다양한 규격의 판재를 절곡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판재의 접착부위로 핫멜트가 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누출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수단(40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제 1 길이 조절부(220)와 제 1 폭 조절부(230)를 포함하며, 프레임 전체가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상하 이동부를 포함하는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가 절곡되는 판재 접힘부와;
    상기 핫멜트 주입부와 판재 접힘부로 판재를 이동시키고, 완성된 상자를 배출시키는 이송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수단(400)은,
    내부에 용융 상태의 핫멜트가 채워지는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 상단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측 가이드홈(422)과;
    상기 하우징(410) 하단부에 상측 가이드홈(422)의 개수만큼 형성되고, 상기 상측 가이드홈(42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측 가이드홈(412)과;
    상기 상측 가이드홈(422)을 관통하여 상기 하측 가이드홈(412)에 거치되며, 일정거리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봉(430)과;
    상기 이동봉(43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스프링(432)과;
    상기 스프링(432)의 탄성이 조절되는 탄성 조절부(4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길이 조절부(220)는,
    상기 누출수단(40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암나사 형상의 면이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드부(226)와, 상기 누출수단(40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는 안내면이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부(228)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226)에 결합되는 수나사 형상의 길이 조절 볼트(221)와, 상기 제 2 슬라이드부(228)에 결합되는 가이드 봉(224)과, 상기 길이 조절 볼트(221)에 결합되어 상기 누출수단(400)의 이송을 담당하는 길이 조작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폭 조절부(230)는,
    상기 길이 조절 볼트(221)와 가이드 봉(224)이 결합되는 이송체(231)와, 상기 이송체(231)가 일정거리 안내되도록 하단에 결합되는 폭 조절 가이드(236)와, 상기 길이 조절 볼트(221)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폭 조절 가이드(236)에 결합되는 폭 조절 볼트(232)와, 상기 폭 조절 볼트(232)의 회전을 담당하는 폭 조작부(2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접힘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와;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와;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를 따라 안내되는 두 개 이상의 하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b)와;
    상기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를 따라 안내되는 두 개 이상의 상단 길이 가이드 부재(370a)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판재를 절곡시키도록 구비되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상기 하단 폭 가이드 부재(360b)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정각도 상향 회동되어 판재의 측면 모서리를 접도록 구비되는 제 1 작동체(310)와;
    상기 상단 폭 가이드 부재(360a)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정거리 하향 이동되어 판재의 하단 모서리를 접도록 구비되는 제 2 작동체(320)와;
    상기 판재 접힘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단 구동부에 의해, 일정각도 하향 회동되어 판재의 상단 모서리를 접도록 구비되는 제 3 작동체(330)와;
    상기 제 3 작동체의 작동과 함께 일정각도 하향 회동되어 판재의 상단 측면 모서리를 접는 제 4 작동체(3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체(320)는,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제 3 작동체(330)의 구동에 의해 판재의 상단 모서리가 접혀져 형성되는 걸림면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누름판(322);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작동체(330)와 제 4 작동체(340)는,
    판재와 접촉되는 말단부에 로울러(3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KR20-2004-0019331U 2004-07-07 2004-07-07 제함기 KR200363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331U KR200363855Y1 (ko) 2004-07-07 2004-07-07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331U KR200363855Y1 (ko) 2004-07-07 2004-07-07 제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855Y1 true KR200363855Y1 (ko) 2004-10-08

Family

ID=4943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331U KR200363855Y1 (ko) 2004-07-07 2004-07-07 제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8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703B1 (ko) * 2009-10-29 2011-12-07 효원기계(주) 패턴지 상자 자동 접지장치
KR101735206B1 (ko) 2015-10-29 2017-05-12 서태환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703B1 (ko) * 2009-10-29 2011-12-07 효원기계(주) 패턴지 상자 자동 접지장치
KR101735206B1 (ko) 2015-10-29 2017-05-12 서태환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367B1 (ko) 종이 빨대 제조장치
US9446876B2 (en) Cooking material dispensing method and dispensing system
EP3305514B1 (en) Machine for forming bases or lids for prism-shaped boxes by folding and joining die-cut sheets
MX2014010627A (es) Metodos y maquina para formar un recipiente a partir de una plantilla utilizando una seccion de mandril pre-doblada.
KR200363855Y1 (ko) 제함기
CN109203756B (zh) 一种自动上书芯机构
EP0819602A2 (en) Ear bonding device for use in packaging machines
CN105501521A (zh) 一种分道装置
TW201615285A (zh) 自動貼裝機
US10322558B2 (en) Device and method for erecting predominantly plane material blanks
US20180251315A1 (en)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as well as method for exchanging at least one transport module and at least one work module of the apparatus
KR102211493B1 (ko) 포장상자용 골판지의 압착 장치
SE517051C2 (sv) Kontinuerlig anordning vid en distributionsutrustning
EP1281632B1 (en) Cushioning material for packaging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cushioning material
US5595043A (en) Cartoner with selectively interchangeable tucking and gluing modules
US7089717B2 (en) Tray loader
JPH1029611A (ja) 包装機械における駆動装置
JPH1029610A (ja) 容器搬送コンベヤ
KR101557675B1 (ko) 접착제 도포수단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JPH08183505A (ja) 立詰装置
CN210848787U (zh) 激光打标机用产品运动机构
JP3609386B2 (ja) 包装箱搬送装置
CA2422998A1 (en) Feeding and aligning device for a folder-gluer
CN109514921A (zh) 纸板的整理装置
EP1462371A1 (en) Unit for applying opening devices to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