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673Y1 - 거울 필름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거울 필름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673Y1
KR200363673Y1 KR20-2004-0017665U KR20040017665U KR200363673Y1 KR 200363673 Y1 KR200363673 Y1 KR 200363673Y1 KR 20040017665 U KR20040017665 U KR 20040017665U KR 200363673 Y1 KR200363673 Y1 KR 200363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ousing
link
mirror fil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선
Original Assignee
오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선 filed Critical 오민선
Priority to KR20-2004-0017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6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6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2001/005Frames made from flexible material, e.g. rubber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스프링롤에 일단을 부착하여 하우징에 수납한 두루마리 형태의 플라스틱 거울 필름을 그 타단이 연결된 인출 케이싱을 하우징으로부터 잡아 당김으로써 펼쳐내면 하우징과 인출 케이싱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거울 필름과 함께 신장된 팬터그래프 X링크가 인출 케이싱 내부에 구비한 랫치장치에 의해서 접히지 않게 됨으로써 거울 필름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고, 거울 사용 후에 다시 한번 인출 케이싱을 살짝 당겨주면 랫치장치가 해제되고 하우징에 구비한 나선스프링의 힘으로 인출 케이싱이 하우징쪽으로 원위치되며 거울 필름도 다시 하우징에 말려서 수납되는 거울 필름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울 필름 권취장치 { A portable mirror film rewinder assembly }
본 고안은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코팅한 두루마리 형태의 플라스틱 거울 필름 두루마리를 하우징에 수납하고 필요할 때 인출하여 거울면을 이용하고 사용 후에는 자동으로 말아 수납하여 주는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소형거울은 보통의 깨지기 쉬운 유리제 거울이 휴대하기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를 목적으로 해서 명함 한면에 거울 물질을 증착한 것, 휴대폰의 액정화면 앞에 부착하여 휴대폰 액정화면이 꺼지면 보이게 되는 거울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명함을 겸한 것은 구겨질 수 있고, 휴대폰 액정 관련 거울은 완전거울이 아니고 반거울로서 반사율이 떨어지고 주간에 액정화면이 잘 보이지 않는 등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또한 휴대폰 거울은 액정이 작으면 거울면도 작은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여성들이 사용하는 컴팩트 화장 거울은 깨지기 쉬운 유리제 거울의 단점 외에도 거울면이 분가루에 오염되어 사용하기 불편하였다. 또한 중간 크기의 손거울은 벽에 걸지 않기 때문에 거울 면이 벽거울보다 더 오염에 노출되어 더러워지기가 쉽고, 이리 저리 옮기다가 깨지기가 쉬으며 휴대거울보다 꽤 크기 때문에 화장대 등에서 장소를 상당히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중간 크기의 벽에 걸지 않는 손거울과 휴대용 소형 거울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넓은 거울면을 가지면서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작은 부피로 자동으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으며, 거울 필름을 리필하기도 쉬운 구조의 거울 필름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거울 필름을 감아 넣은 상태의 본 고안 거울 필름 권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거울 필름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양단을 필름고정대와 스프링롤에 부착한 거울 필름 사시도
도 4는 X링크(절반)와 하우징(뚜껑 생략)의 분해사시도
도 5는 X링크와 인출 케이싱(필름 고정대 생략)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인출 케이싱과, 하우징에서 뚜껑과 나선스프링을
분해한 본 고안 거울 필름 권취장치 전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정지부와 공지의 랫차장치 중 작동부가 형성된 안쪽면을 보이는
인출 케이싱 덮개의 사시도
도 8은 도 1의 A에서 본 B-B선 단면도
도 9는 X링크의 위치에 따른 이동부재의 동작과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X링크를 접었을 때 이동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9b는 이동부재가 방향전환부에 닿아 회동하기 시작하는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9c는 이동부재가 안내벽에 걸려 X링크가 접히지 못하도록 한 평면도
도 9d는 안내벽에 걸렸던 이동부재를 풀어낸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의 이동부재의 캠홈을 도시한 평면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X자형 팬터그래프 링크로 인출 케이싱와 하우징을 연결하고, 하우징 회전축에 끼워지는 스프링롤에 일단을 접착하여 하우징의 수납공에 수납한 거울 필름을, 그 타단을 고정한 인출 케이싱을 상기 X링크를 이용하여 하우징으로부터 평행하게 이탈시킴으로써 펼쳐내고, 랫치장치를 인출 케이싱에 구비하고,랫치장치의 이동부재를 인출 케이싱쪽 X링크 일아암의 말단과 연결해서 상기 랫치장치가 작동하여 이동부재가 걸릴 때 펼쳐진 X링크와 거울이 다시 접혀지지 않게 되도록 하고, 랫치장치의 작동을 해제하면 거울을 펼칠 때 압축된 하우징 나선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거울을 다시 수납공으로 말아 넣어주는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우징(3)에 인출 케이싱(4)이 결합되어 있다. 인출 케이싱(4) 전면의 고리는 달 수도 안달 수도 있다. 고리는 이 후의 도면들에서는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로서, 하우징(3)과, 인출 케이싱(4)과, 그 사이에 신장된 거울 필름(2)과, 거울 필름(2)을 신축시키는 팬터그래프식 X링크(5)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양단이 각각 스프링롤(14)과 필름고정대(15)에 부착되어 있는 거울 필름(2)을 나타낸 것으로서, 거울 필름(2)은 PET기층에 반사물질을 증착하고, 수지물질로 피복한 공지의 것을 사용한다.
도 4는 X링크(5)와 하우징(3)의 분해사시도로서, 하우징(3)은 상단 후방에 직육면체 돌출부(7)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7) 전방은 인출 케이싱 결합부(6)로서, 인출 케이싱(4)이 거기에 탈착하게 된다. 하우징(3) 하단부의 우측면에는 회전축(9)을 중심에 구비한 원통형의 수납공(8)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7) 상단 전면부에는 그 후방이 수납공(8)과 통하는 필름 인출공(10)이, 하단 전면부에는 링크 슬롯(11)이 구비된다. 링크 슬롯(11) 바닥에는 안내홈(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축핀(13)은 하우징(3)의 좌단부 상면과 필름 인출공(10)을 관통하여 링크 슬롯(11) 바닥에 하단 일부를 삽입하여 설치되는데, 설치 후 결합축핀(13)의 상면이 필름 인출공(10)의 바닥과 동일선상에 놓이게 된다. 결합축핀(13)이 삽입되는 하우징(3)의 좌단 상면 구멍은 마개(49)로 봉해진다. 팬터그래프 X링크(5)는 제1아암(33)의 일단이 결합축핀(13)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하우징(3)에 결합 되며, 상기 제1아암(33)과 중간부를 교차하여 힌지결합한 제2아암(34)은 일단 한면에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걸림부(35)가 하우징(3)의 안내홈(12)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설비된다.
도 5는 X링크(5)와 인출 케이싱(4)의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따르면 거울 필름(2)을 하우징(3)으로부터 인출하는 인출 케이싱(4)은 길이 방향 측벽을 하나 제거하여 개구부(20)로 만든 박스 형태로서, 내부 바닥면(21)에 일단으로부터 안내홈(22)을 길이 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구비하였다. 또한 안내홈(22)와 일직선상으로 인출 케이싱(4)내부 바닥면(21) 일단에 일체로 형성한 회동축(41)에는 제1아암(33)에 일단을 힌지결합한 제3아암(36)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개구부(20)를 통해 연결되고, 제2아암(34)에 일단을 힌지결합한 제4아암(37)의 타단은 제2아암(34)과 같은 방식으로 한면에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걸림부(38)가 인출 케이싱(4) 바닥면(21)에 구비한 안내홈(22)을 따라 활주하도록 개구부(20)를 통해 설비된다.
제 4아암(37)의 걸림부(38)와 동심으로서 반대면에 구비된 일정 높이의 원통형 지지부(39)) 상면에 형성한 원형의 지지홈(40)에는 점성이 있는 윤활제가 도포되고, 상단이 위에서 볼 때 나비형인 이동부재(29a)의 하단 지지축(30)이 안착된다.
도 6은 인출 케이싱(4)과 덮개(23)를, 하우징(3)에서 뚜껑(48)과 나선스프링(18)을 분해한 본 고안 거울 필름 권취장치 전체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외주에 거울 필름(2) 일단이 부착되어 두루마리로 감겨진 중공 슬리브 형태의 스프링롤(14)이 수납공(8)의 회전축(9)에 축설되어 있고, 아울러 필름인출공(10)을 통하여 나온 거울 필름(2) 타단이 인출 케이싱(4)의 필름고정대(15)에 부착되어 있다. 필름고정대(15)는 그 양말단이 인출 케이싱(4) 양단 상면에 형성한 홈(43)에 삽입되어 인출 케이싱(4)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다.
스프링롤(14) 일단 절개홈(17)에는 나선스프링(18)의 절곡한 중앙이 끼워지고, 절곡한 나선스프링(18)의 외곽 말단부는 수납공(8) 입구 하우징(3) 우측면에 형성한 틈새(19)에 끼워 넣어진다.
도 7은 인출 케이싱 덮개(23)의 안쪽면을 보이는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진행하는 나란한 2개의 안내벽(24)과, 안내벽(24)로부터 소폭 떨어진 곳에서 안내벽(24)을 막아선 방향전환부(27)로 구성된 공지의 랫치장치 작동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안내벽(24)의 일벽면 일단은 방향전환부(27)를 향하여 조금씩 넓어지는 경사면(25)으로 되어 있다. 상기 랫치장치의 작동부와 아울러서 덮개 안쪽면 중심부에는 덮개 길이방향 일직선상으로 두개의 직육면체 정지부(58)가 돌출 형성 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29a)와 작동부는 오디오 수납장의 여닫이문등에 쓰여져 온 공지의 랫치장치로서 이동부재(29a)는 안내벽(24) 사이의 통로에 그 나비형의 상단이 위치되어 이동하고 방향전환부(27)에 이르러 폭이 넓은 측면이 회동하여 통로를 가로질러 걸림으로써 연결된 물체의 이동을 멈추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서는 X링크(5)가 펼쳐진 이후에 다시 접혀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 도 1의 B-B선을 절단한 단면을 상기 도 1의 A방향에서 본 것으로서, 안내벽(24) 사이에 위치한 이동부재(29a)와 접혀진 X링크 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X링크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 케이싱(4)이 하우징(3)에 결합되어 있을 때 그 대부분이 인출 케이싱 결합부(6)위에서 인출 케이싱(4) 내부공간에 접혀져 위치하게 된다. 상방으로부터 팬터그래프 X링크에 근접되어 있는 정지부(58)는 팬터그래프 X링크가 인출 케이싱(4)의 바닥으로부터 뜨지 않도록 해 주고 그럼으로써 이동부재(29a)의 상면이 덮개에 접촉되어 회동이 방해받는 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한다. 거울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거울 필름(2)은 말려져서 하우징(3)안에 보관되며, 인출 케이싱(4)은 돌출부(7) 앞쪽 인출 케이싱 결합부(6)에 도 1에서와 같이 합체하여 있게 되고, X링크(5)는 접혀져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이동부재(29a)는 도 9a와 같이 안내벽(24)의 일단에 머물게 된다. 거울면을 펼치기 위해서 인출 케이싱(4)을 인출 케이싱 결합부(6)에서 이탈시켜 X링크(5)를 펴주면 제4아암(37)의 걸림부(38)가 인출 케이싱(4) 내부 바닥면(21)의 안내홈(22)을 따라 이동하고(도 5 참조), 제 4아암(37)과 연결된 이동부재(29a)도 함께 안내벽(24) 사이에서 이동한다. 도 9b에서처럼 이동부재(29a)가 안내벽(24)을 막아선 방향전환부(27)에 도착하면, 방향전환부(27)의 선단(28)과 이동부재(29a)가 부딪쳐서 이동부재의 일단 요홈(31a)에 방향전환부 선단(28)이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부재(29a)가 일정 각도 회동한다. 이 때 당기던 인출 케이싱(4)를 놓으면 수축하였던 하우징(3) 나선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하여 인출 케이싱(4)이 하우징(3)쪽으로 당겨진다. 그러면 출발지로 돌아가던 이동부재(29a)의 타단 요홈(31b)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안내벽(24) 말단의 모퉁이(26)에 걸려서 더욱 회동하고, 이동부재(29a)의 측면(32)이 안내벽(24)의 통로를 가로지르는 형태가 된다. 이동부재(29a)는 요홈(31a)(31b)쪽 보다 측면(32)쪽이 폭이 더 넓으므로 경사면(25)에 의해서 안내벽(24)폭이 좁아지는 위치에서는 안내벽(24)에 걸리게 된다. 이동부재(29a)가 안내벽(24)에 걸리면 X링크(5)는 접혀질 수 없으므로 거울 필름(2)이 펴진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거울 사용을 마치고 거울 필름(2)을 다시 접기 위해서는 인출 케이싱(4)를 살짝 당겨서 거울면을 하우징(3)에서 좀 더 꺼내주면 된다. 그러면 이동부재(29a)는 방향전환부(27)에 대향한 그 측면(32)이 방향전환부(27)의 선단(28)에 닿아 일차 소정 각도 회동하고, 바깥쪽 안내벽(24) 모통이(26)에 반대 측면(32)이 도 9d와 같이 닿아 소정의 각도를 다시 회동하여 측면(32)이 안내벽(24)와 평행하여진다. 요홈(31a)(31b)쪽은 폭이 좁으므로 안내벽(24) 경사면에 걸리지 않고 최초의 출발지를 향하여 계속 진행하며, 이와 동시에 X링크(5)도 다시 접히게 되어서 인출 케이싱(4)은 인출 케이싱 결합부(6)에 결합한다.
(제2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평면도로서, 도시한 바처럼 제2실시예 랫치장치에는 방향전환부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부재(29b)는 몸체 일측면의 상단을 연장하여 그 말단에는 걸림돌기(42)를 구비하고 있다. X링크(5)의 제3아암(36)이 축설된 회동축(41) 상단에는 길쭉한 탄력보드(43)가 일단의 조립홈(56)을 끼워 고정되고, 탄력보드(43)의 타단에 형성한 걸림돌기(44)가 이동부재(29b)의 걸림돌기(42)에 대향하여 서로 얽힐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실시예에서는 인출 케이싱(4)을 당기면 이동부재(29b)는 이동하다가 그 걸림돌기(42) 전방에 형성한 필렛면(45)이 탄력보드(43)의 걸림돌기(44) 전방의 필렛면(46)을 밀어내리고 진행한다. 그 후 인출 케이싱(4)를 놓으면 이동부재(29b)는 하우징(3)의 나선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당겨지면서 두 걸림돌기(42)(44)가 서로 얽히게 되어서 X링크(5)와 거울 필름(2)의 신장상태가 유지된다. 탄력보드(43)의 상면에 형성하고 인출 케이싱(4)의 덮개(23)를 관통하여 나온 누름부(47)를 누르면 얽혀 있던 걸림돌기(42)(44)들이 풀려지고 인출 케이싱(4)은 다시 나선스프링(18)의 힘에 의해 인출 케이싱 결합부(6)로 원위치한다.
(제3실시예)
본 고안 제 3실시예에서는 공지의 하트캠과 가이드핀을 사용하는 랫치장치를 이용하여 X링크를 고정시킨다. 도 11은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로서, 상면에 하트캠(50)을 구비하고, 저면 결합공(52)에 제4아암(37) 걸림부(38) 반대면에 형성한 결합축(53)을 축설하여 제4아암(37)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출 케이싱(4) 내부의 벽면과 덮개 안쪽면에 하나만 형성한 안내벽(24) 사이에서 왕복하게 되는 이동부재(29c)와, 회동축(41) 상단에 저면 조립공(56)을 끼워 고정한 지지부재(55)와, 직선 몸체 양단을 같은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일단을 지지부재(55) 일단 상면의 핀공(57)에 삽입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재(29c)가 이동해 오면 캠홈(51)을 일순하도록 한 가이드핀(54)으로 된 랫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에서는 인출 케이싱(4)을 당겨서 X링크(5)를 신장시키면 이동부재(29c)가 지지부재(55)쪽으로 가까이 이동해 오고, 가이드핀(54)의 선단이 도 12에 도시한 하트캠(50) 아래의 비교적 깊은 도입부(a)로 들어가게 된다. 도입부(a)에 연속하여 서서히 얕아지는 유도로(b)와 이 유도로(b)로부터 일단 낮아지며 캠(50)을 지나 계속 이어지고 진행이 끝나는 종단부(c)에 가이드핀(54)이 도착하고 더 이상 인출 케이싱(4)를 당길 수 없을 때 인출 케이싱(4)를 놓아주면 나선스프링(18)의 힘으로 이동부재(29c)가 다시 돌아가면서 가이드핀(54) 선단이 종단부(c)보다 더욱 깊게 된 하트캠(50)의 움푹 패인 정지부(d)로 빠져서 걸리게 된다. X링크(5)를 접기 위해서 인출 케이싱(4)를 다시 잡아 당기면 가이드핀(54) 선단은 정지부(d)로부터 앞쪽으로 경사지게 이어지고 서서히 얕아지는 안내부(e)를 거쳐서 인출 케이싱를 더 이상 당길 수 없는 탈출부(f)에 이른다. 이 때 인출 케이싱(4)를 놓으면 나선스프링(18)의 힘으로 귀로(g)를 통해 이동부재(29c)와 가이드핀(54)이 해제되고 인출 케이싱(4)는 하우징의 인출 케이싱 결합부(6)로 돌아간다.
본 고안은 깨지지 않으며 충분한 거울면을 가진 거울 필름을 신속히 말아 들이거나 펼 수 있도록 하는 거울 필름 권취 장치로서, 거울 필름을 리필하기 쉽고,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며, 쓰지 않을 때 거울면을 오염으로부터도 보호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하우징 및 인출 케이싱과, 스프링롤에 일단을 부착하고 말아서 하우징에 수납하고 타단은 하우징과 착탈하는 인출 케이싱에 고정하는 거울 필름과, 하우징에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을 인출 케이싱에 연결한 팬터그래프 X링크와, 인출케이싱 내부에서 팬터그래프 X 링크의 일 아암 말단과 연결되어 X링크가 일정 정도 이상 신장되었을 때 X링크가 접히지 않도록 걸어주는 랫치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필름 권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우측면에는 회전축을 중심에 구비한 원통형의 수납공을 형성하고, 상단 전방은 인출 케이싱 결합부로서 인출 케이싱이 탈착하고, 상기 인출 케이싱 결합부 후방에 직육면체 돌출부를 형성하여 돌출부 상단 전면부에는 그 후방이 수납공과 통하는 필름 인출공을, 하단 전면부에는 안내홈이 길이 방향으로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링크 슬롯을 구비하고, 결합축핀을 돌출부 좌단부 상면으로부터 필름 인출공을 관통하여 링크 슬롯 바닥에 하단 일부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나선스프링의 절곡한 외곽 말단부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틈새를 우측면에 형성한 하우징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필름 권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 측벽을 하나 제거하여 개구부로 만든 박스 형태로서, 내부 바닥면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의 안내홈을 길이 방향으로 구비하였고,상기 안내홈과 일직선상의 바닥면 타단에 일체로 형성한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면 양단에 필름고정대 양단을 삽입하는 홈을 형성하고, 덮개를 상면에 덮어 고정하는 인출 케이싱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필름 권취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X자가 두번 연이은 통상의 팬터그래프 X링크의 하우징쪽 두 아암 말단 중 일측은 링크 슬롯 내부에서 결합축핀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결합하고, 타측은 그 말단 한면에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걸림부가 링크 슬롯 바닥면의 안내홈을 따라 활주하도록 설비하고, 인출 케이싱쪽 두 아암의 말단 중 일측은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측은 그 말단 한면에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걸림부가 인출 케이싱의 안내홈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필름 권취장치.
  5. 제1항,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하우징 수납공 중심의 회전축에 축설되며 일단에 절개홈을 구비하여 나선스프링의 절곡한 중앙을 끼우게 되는 중공슬리브형의 스프링롤에 일단을 부착하고, 타단은 그 양말단이 인출 케이싱 양단 상면에 형성한 홈에 삽입되어 인출 케이싱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필름고정대에 부착한 거울 필름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필름 권취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단이 위에서 볼 때 나비형인 이동부재와, 소정 길이로 나란하게 형성한 안내벽과 안내벽로부터 소폭 떨어진 곳에 안내벽을 막아선 형태로형성하되 안내벽을 대향한 선단에 상기 이동부재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형상을 구비한 방향전환부로 이루어진 잠금작동부로 구성되는 공지의 랫치장치 중 이동부재 하단 지지축을 인출 케이싱 안내홈에서 왕복하는 걸림부의 반대면에 동심으로 형성한 원통형 지지부 상면 지지홈에 안착하고, 인출 케이싱의 덮개 일면에 상기한 잠금작동부를 형성하며 아울러 잠금작동부와 동일면에 길이방향 일직선상으로 일정길이의 직사각형 정지부를 두 곳에 형성하여 팬터그래프 X링크가 인출 케이싱 바닥으로부터 뜨지 않게 하고, 상기 이동부재 나비형 상단이 안내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덮개를 인출 케이싱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필름 권취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몸체의 일측면 상단을 옆으로 연장하여 그 말단에는 전방에 필렛면을 구비한 걸림돌기를 형성한 이동부재와, 일단은 회동축 상단에 끼워 고정하고 타단에는 전방에 필렛면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걸림돌기에 미끄러지면서 얽히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얽혀진 걸림돌기들을 풀어내기 위한 도구로서 일면에 인출 케이싱 밖으로 노출되는 누름부를 구비한 탄력보드로 구성되는 랫치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거울 필름 권취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몸체 상면에 하트캠과 캠홈을 형성한 이동부재와, 회동축 상단에 고정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상면 핀공에 동일 방향으로 직각 절곡한 양단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의 캠홈을 일순하면서 이동부재를 걸거나 풀어내는 작동을 하는 가이드핀으로 구성된 랫치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거울필름 권취장치.
KR20-2004-0017665U 2004-06-22 2004-06-22 거울 필름 권취장치 KR200363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665U KR200363673Y1 (ko) 2004-06-22 2004-06-22 거울 필름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665U KR200363673Y1 (ko) 2004-06-22 2004-06-22 거울 필름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673Y1 true KR200363673Y1 (ko) 2004-10-06

Family

ID=4943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665U KR200363673Y1 (ko) 2004-06-22 2004-06-22 거울 필름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6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148Y1 (ko) * 2010-02-11 2012-06-25 김성은 이동설치가 용이한 전신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148Y1 (ko) * 2010-02-11 2012-06-25 김성은 이동설치가 용이한 전신거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692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4881397B2 (ja) 化粧品容器
US5645244A (en) Dispenser apparatus for dispensing paper sheet material
US11737614B2 (en) Web material dispenser and method
CN108289575B (zh) 卷的分配器
US20210231970A1 (en) Clip-on glasses system and carry case for same
JPH0353933B2 (ko)
DE69210594D1 (de) Ausgeber für Papierhandtücher (Schwenkboden)
KR0168745B1 (ko) 우산의 봉투수납장치
KR200363673Y1 (ko) 거울 필름 권취장치
KR20050068612A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354448Y1 (ko) 거울 필름 권취장치
US4537366A (en) Roll container
CN212729093U (zh) 一种方便调节的化妆盒
CN210890861U (zh) 一种支撑结构及自拍装置
CN209170435U (zh) 移动终端
KR200218503Y1 (ko) 슬라이딩 수납식 이동통신 단말기
CN221101236U (zh) 一种转动卡盘机构及具有其的柔光箱
KR200339414Y1 (ko) 화장지 케이스
KR200336095Y1 (ko) 이어폰 권취 장치
CN215351592U (zh) 一种光能细胞修复仪
CN217907545U (zh) 纸巾盒
CN221419041U (zh) 一种容积可调的收纳箱
CN213113990U (zh) 一种支撑结构及晾衣架
CN218935813U (zh) 一种具有收纳功能的折叠装置及电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