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951Y1 -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951Y1
KR200362951Y1 KR20-2004-0019394U KR20040019394U KR200362951Y1 KR 200362951 Y1 KR200362951 Y1 KR 200362951Y1 KR 20040019394 U KR20040019394 U KR 20040019394U KR 200362951 Y1 KR200362951 Y1 KR 200362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ivestock
schematic
pla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욱
Original Assignee
서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욱 filed Critical 서병욱
Priority to KR20-2004-0019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이 스스로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가축마다 갖고 있는 성향 예를들면 몸무게, 건강상태, 출생연월일 등등의 모든 정보가 입력된 컴퓨터에 가축의 식별을 위한 고유센서를 각 가축마다 식별 가능하게 착용토록 하고 상기 고유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식별가능토록 감응기를 구비하여 특정 가축의 출입시 자동으로 도식방지판이 개방됨과 동시에 토출구를 통해 상기 특정 가축의 한끼량의 사료가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축을 직접 농가가 축사에 가서 수작업으로 각 가축마다 사료를 공급 및 관리치 아니하고 대리인이 대리사육방식으로 컴퓨터를 통해 가축마다 입력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적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가축의 사료를 도식 즉, 훔쳐 먹지 못함으로서 가축의 영양 및 건강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여 최상품의 가축을 사육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가축마다 자기고유번호를 알리는 고유센서(T)를 부착하여 주고 사료급여통(1)에 접근하면 가축의 자기고유번호를 수신하여 관리실에 설치된 관리용 컴퓨터(C)에 입력하고 상기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상기 특정 가축의 나이, 건강상태, 이미 먹은 사료량 등등의 모든 정보가 기억되어 있어 이 모든 정보를 참고로 분석하여 현재의 사료급여량을 계산해서 사료탱크(B)에서 이송관(P)을 통해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측 전면 하단에는 감응기(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이송관(P)으로 부터 이송된 사료유입관(11)과 사료보관함(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료보관함(12)의 후면에는 모터(13)에 의해 보관된 사료를 배출키 위한 스크류(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14)에 의해 배출된 사료를 배출키 위하여 배출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15)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내측 후면 저부가까이에는 토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사료급여통(1)과, 상기 사료급여통(1)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16)로 부터 토출된 사료의 도식을 방지키 위하여 도식방지수단이 구비된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2)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에 원상회복이 가능한 탄성스프링(2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대략 사다리 형상의 도식방지판(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식방지판(21) 저면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체결홈(220,220')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바(2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바(22)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료급여통(1) 저부에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220,220')에 착탈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중앙에 구멍(240)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사료급여통(1)에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241)가 구비된 고정구(24)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측 정면 가까이 축사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체결부재(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스프링(31)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3)과,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에 원상회복이 가능한 탄성스프링(2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대략 사다리 형상의 도식방지판(21)과, 상기 도식방지판(21) 저면에는 일측에 체결홈(25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재(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솔레노이드(251)가 형성되어 있는 절곡된 상태의 승강바(25)와, 상기 사료급여통(1) 저부에는 상기 승강바(25)가 승강 가능하도록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250)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은 중앙에 구멍(240)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사료급여통(1)에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241)가 구비된 고정구(24)가 결합된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부 측면 가까이 축사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탄성스프링(260)이 결합되어 있는 고정봉(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스프링(260)에 중앙 절곡부(27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원상회복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에는 가축이 밀고 출입할 수 있도록 회동바(27)가, 타측에는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에 수납되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일측부에 형성된 슬릿(17)으로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도식방지판(21)이 결합된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부 정면 상부에 모터(M)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료급여통(1) 정측면 내측에는 승강레일(1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승강레일(18)을 따라 도식방지판(210)이 승강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도식방지판(210) 배면 하단에는 풀리(21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풀리(211)와 모터(M)사이에는 벨트(212)가 결합되어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식방지판(210)이 승강 가능하도록 된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 외부 양측면에 제1풀리(28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풀리(281)와 벨트(310)로 연결된 한쌍의 제2풀리(280)가 한쌍의 도식방지판(28) 배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축사 바닥면 양측에는 제3풀리(30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벨트(310)의 일측은 발판(3) 배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발판(3)은 일측이 축사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벨트(310)에 고정되어 있고 저면에는 탄성스프링(320)이 구비되어 상기 발판(3)을 밟으면 상기 한쌍의 도식방지판(28)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방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슬릿(170)을 통해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 외부 측면에 유압실린더(1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0)가 도식방지판(29)의 상단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29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도식방지판(29)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 슬릿(170)을 통해 인입출이 상기 유압실린더(19)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는 축사 울타리로 형성된 경계봉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축사 바닥면에 가축이 배설한 오물을 청소함에 있어서 본 고안은 축사 바닥면과 일정높이 이상에 설치됨에 따라 축사 바닥면 청소시 방해물이 없어 청소가 용이하며, 축사 바닥면과 일정높이 이상에 설치됨에 따라 축사의 활용 즉, 가축의 수용이나 가축의 행동반경이 넓어 가축이 생활하기에 쾌적하며 따라서, 협소한 축사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축의 본능상 충분히 사료를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다른 가축의 사료를 빼앗아 먹는 도식을 본 고안은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최적의 가축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최상품의 육질을 가축을 사육함에 있어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대리 사육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 농가에서 비합리적으로 사육된 가축보다 그 육질이 매우 우수하며 결국 경제적으로 최대의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가축 사육에 매우 필요한 사료 공급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Apparatus to supply feed of livestock}
본 고안은 가축이 스스로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가축마다 갖고 있는 성향 예를들면 몸무게, 건강상태, 출생연월일 등등의 모든 정보가 입력된 컴퓨터에 가축의 식별을 위한 고유센서를 각 가축마다 식별 가능하게 착용토록 하고 상기 고유센서의 정보를 입력받아 식별가능토록 감응기를 구비하여 특정 가축의 출입시 자동으로 도식방지판이 개방됨과 동시에 토출구를 통해 상기 특정 가축의 한끼량의 사료가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축을 직접 농가가 축사에 가서 수작업으로 각 가축마다 사료를 공급 및 관리치 아니하고 대리인이 대리사육방식으로 컴퓨터를 통해 가축마다 입력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적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가축의 사료를 도식 즉, 훔쳐 먹지 못함으로서 가축의 영양 및 건강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여 최상품의 가축을 사육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은 가축사육에 있어서도 경쟁에 대응해서 점차 대량화 추세이고, 대량 사육은 반드시 기계화, 자동화가 동반하여 요구되고 있는 바, 가축의 사료공급에 있어서도 전자동공급시스템이 도입되고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시스템은 사료탱크와 가축먹이통사이에 사료이송관이 연결설비되고, 이송관 내에서는 디스크가 간설된 와이어가 무한궤도로 이동되면서, 탱크내 사료가 이송관내에 낙하되면 디스크에 의해서 가축먹이통까지 이송 낙하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이송관 내의 각 디스크 내에 사료가 적치되어 와이어에 부하를 발생하는 폐단과 낙하되어야 할 사료의 낙하가 용이치 아니한 문제점 및 자동화로 사료를 공급함에 따라 특정 가축마다 하루소비량이 자동으로 체크되어 특정 가축이 가축먹이통에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사료를 낙하하는데 이때 다른 가축이 특정 가축의 사료를 빼앗아 먹는 즉, 도식의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는 중간에 감응기가 설치되고, 입구에는 문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헤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해 여닫히도록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입구 반대쪽에 설치되어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일정량의 사료를 받침대에 투출하는 사료공급기로 구성되어 가축이 입구를 통해 프레임 구조물 내로 들어오게 되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실린더를 작동되고 임구가 닫히게 되는 동시에 사료공급기로 부터 받침대에 적정량의 사료가 투출되어 프레임 구조물 내로 들어온 가축이 사료를 먹을 수 있게 되며, 가축이 사료를 다먹게 되면 실린더가 입구를 열어 가축이 나가게 됨으로써 다른 가축이 차례로 사료를 먹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는 가축이 프레임 구조물 내로진입후 사료를 다 먹는 일정 시간후에 입구만을 열어주기 때문에 사료를 다 먹고 나가야 할 가축이 프레임 구조물 내에서 버티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가축이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할 수 없어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료공급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하여 1996년 12월 3일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6-45216호로 출원된 고안의 명칭 "가축을 밀어낼 수 있게 한 사료공급장치"에 대한 기술적 요지인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중간에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입구에는 문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해 여닫히도록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입구 반대쪽에 설치되어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일정량의 사료를 받침대에 투출하는 사료공급기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내측에 일측이 축설된 밀대와 상기 밀대의 중간에 입설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에 연결설치된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가축이 프레임 구조물 내로 진입하여 사료를 다 먹는 일정시간 후에 입구를 열어주는 것과 동시에 밀대가 회동되어 가축을 프레임 구조물 밖으로 밀어낼 수 있게 함으로써 다른 가축이 연속해서 사료공급장치로 부터 사료를 먹을 수 있게 하여 가축에게 사료를 먹이는 작업이 보다 능률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상기 종래기술은 축사 내에 상기 프레임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둘째, 따라서 축사의 면적이 대규모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종래기술의 설치가 어려운 점 즉, 설치장소가 넓어야 하고 협소한 축사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며,
세째, 가축을 상대로 하는 기술임에 따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설치는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네째, 축사 바닥면에 상기 프레임 구조물을 설치함에 따라 축사의 청소 즉, 가축이 배설한 오물을 청소하는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이 많은 장애를 줌으로서 청소의 능률적인 처리가 곤란하고,
다섯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경제적인 면에서 농가가 많은 부담을 갖는 것으로서 실효성이 떨어지며,
여섯째, 특정 가축의 먹이를 다른 가축이 출입하여 빼앗아 먹는(도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결국 최상품의 육질을 보유하여야 하는 농가로서는 수익성이 떨어지며,
일곱째, 상기와 같이 도식방지수단이 존재하나 그 작동이나 장치의 복잡성 및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고 완전한 도식을 방지하는데는 문제점이 존재함으로서 특정 가축만 계속해서 비대해 질 수 있어 결국 농가 수입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품성을 목적으로 사육하는 가축은 무제한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하는 것이 아니라 제한 급여를 통하여 경제적으로 사육하여야 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젖소의 경우 비대해지면 우유생산능력이 저하되고, 소, 돼지의 경우에는 지방분포가 비이상적으로 되어 육질의 등급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한 급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제한 급여를 함에 따라 가축의 본능상 항상 배고품을 느끼게 되어 다른 가축의 사료를 도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소키 위한 방안으로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이 존재하고 있으나 도식을 방지하기에는 경제적 및 기술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는 축사 울타리로 형성된 경계봉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고 그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축사의 면적의 대소와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첫번째 목적이 있으며,
다른 목적은 축사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높이에 설치함으로서 축사 바닥면에 가축이 배설한 오물을 청소함에 있어서 방해물이 없어 청소가 용이하고 축사의 활용 즉, 가축의 수용이나 가축의 행동반경이 넓어 가축이 생활하기에 쾌적하며 따라서, 협소한 축사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또 다른 목적은 가축의 본능상 충분히 사료를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다른 가축의 사료를 빼앗아 먹는 도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결국 최적의 가축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최상품의 육질을 가축을 사육함에 있어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대리 사육이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축사 울타리에 형성된 경계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c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3a의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d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3a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4a의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c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4a의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d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4a의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e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4d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5a의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c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5a의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d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5c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6a의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c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6a의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b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7a의 도식방지수단의 단면도,
도 7c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7a의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d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7c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감응기 및 기타 구성요소의 작동상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사료급여통 10 : 감응기
11 : 사료유입관 12 : 사료보관함
13 : 모터 14 : 스크류
15 : 배출관 16 : 토출구
17 : 슬릿 18 : 승강레일
19 : 유압실린더 20 : 탄성스프링
21 : 도식방지판 22 : 승강바
23 : 관통공 24 : 고정구
25 : 승강바 26 : 고정봉
27 : 회동바 28 : 도식방지판
29 : 도식방지판 30 : 체결부재
31 : 스프링 170 : 슬릿
190 : 로드 210 : 도식방지판
211 : 풀리 212 : 벨트
220 : 체결홈 240 : 구멍
241 : 솔레노이드 250 : 체결홈
251 : 솔레노이드 260 : 탄성스프링
270 : 절곡부 280 : 제2풀리
281 : 제1풀리 290 : 돌출부
300 : 제3풀리 310 : 벨트
320 : 탄성스프링 B : 사료탱크
C : 관리용 컴퓨터 P : 이송관
T : 고유센서
상기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가축마다 자기고유번호를 알리는 고유센서를 부착하여 주고 사료급여통에 접근하면 가축의 자기고유번호를 수신하여 관리실에 설치된 관리용 컴퓨터에 입력하고 상기 관리용 컴퓨터에서는 상기 특정 가축의 나이, 건강상태, 이미 먹은 사료량 등등의 모든 정보가 기억되어 있어 이 모든 정보를 참고로 분석하여 현재의 사료급여량을 계산해서 사료탱크에서 이송관을 통해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측 전면 하단에는 감응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이송관으로 부터 이송된 사료유입관과 사료보관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료보관함의 후면에는 모터에 의해 보관된 사료를 배출키 위한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에 의해 배출된 사료를 배출키 위하여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내측 후면 저부가까이에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사료급여통과, 상기 사료급여통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로 부터 토출된 사료의 도식을 방지키 위하여 도식방지수단이 구비된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의 전면 내측 하단에 원상회복이 가능한 탄성스프링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대략 사다리 형상의 도식방지판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도식방지판 저면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바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바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료급여통 저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에 착탈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사료급여통에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된 고정구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의 외측 정면 가까이 축사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과, 상기 사료급여통의 전면 내측 하단에 원상회복이 가능한 탄성스프링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대략 사다리 형상의 도식방지판과, 상기 도식방지판 저면에는 일측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솔레노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절곡된 상태의 승강바와, 상기 사료급여통 저부에는 상기 승강바가 승강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은 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사료급여통에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된 고정구가 결합된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의 외부 측면 가까이 축사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탄성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는 고정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스프링에 중앙 절곡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원상회복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에는 가축이 밀고 출입할 수 있도록 회동바가, 타측에는 상기 사료급여통의 전면 내측 하단에 수납되어 상기 사료급여통의 일측부에 형성된 슬릿으로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도식방지판이 결합된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의 외부 정면 상부에 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료급여통 정측면 내측에는 승강레일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도식방지판이 승강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도식방지판 배면 하단에는 풀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풀리와 모터사이에는 벨트가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식방지판이 승강 가능하도록 된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 외부 양측면에 제1풀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풀리와 벨트로 연결된 한쌍의 제2풀리가 한쌍의 도식방지판 배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축사 바닥면 양측에는 제3풀리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벨트의 일측은 발판 배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발판은 일측이 축사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있고 저면에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발판을 밟으면 상기 한쌍의 도식방지판이 상기 사료급여통의 전방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슬릿을 통해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과,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 외부 측면에 유압실린더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도식방지판의 상단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도식방지판은 상기 사료급여통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인입출이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축사 울타리에 형성된 경계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3a의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d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3a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4a의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4a의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d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4a의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e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4d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5a의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c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5a의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d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5c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a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6a의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c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6a의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b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 7a의 도식방지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7c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7a의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d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중 도 7c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중 도식방지판이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식방지수단의 작동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감응기 및 기타 구성요소의 작동상태의 개략 구성도이다.
우선,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가축마다 자기고유번호를 알리는 고유센서(T)를 부착하여 주고 사료급여통(1)에 접근하면 가축의 자기고유번호를 수신하여 관리실에 설치된 관리용 컴퓨터(C)에 입력하고 상기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상기 특정 가축의 나이, 건강상태, 이미 먹은 사료량 등등의 모든 정보가 기억되어 있어 이 모든 정보를 참고로 분석하여 현재의 사료급여량을 계산해서 사료탱크(B)에서 이송관(P)을 통해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는 기존에 이미 개발된 기술로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사료를 공급하는 시스템적인 부분을 관리실에 설치된 관리용 컴퓨터(C)로 제어 및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시스템을 통해 제어 컨트롤 하기 위해서는,
지시부호 1인 사료급여통에 상기 관리용 컴퓨터(C)및 가축마다 부착하고 있는 고유센서(T)와 감지신호를 주고 받는 구성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상기 사료급여통(1) 외측 전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감응기(10)가 상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부 상면에는 상기 사료탱크(B)에서 이송관(P)으로 부터 이송된 사료가 유입되는 사료유입관(11)과 보관되는 사료보관함(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료보관함(12)의 후면에는 모터(13)에 의해 보관된 사료를 배출키 위한 스크류(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14)에 의해 배출된 사료를 배출키 위하여 배출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15)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급여통(1) 내측 후면 저부가까이에는 토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사료급여통(1)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16)로 부터 토출된 사료의 도식을 방지키 위하여 도식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하기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상기 도식방지수단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에 원상회복이 가능한 탄성스프링(2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대략 사다리 형상의 도식방지판(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식방지판(21) 저면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체결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바(2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바(22)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료급여통(1) 저부에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체결홈(220)에 착탈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중앙에 구멍(240)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사료급여통(1)에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241)가 구비된 고정구(24)가 형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도식방지판(21)은 대략 사다리 형상이라고 하였으나 그 형상은 다양화 될 수 있도 주된 기능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내측에 형성된 토출구(16)를 통해 토출되는 사료를 감지신호에 의해 선정된 즉, 허락된 가축이외에는 먹지 못하도록 폐쇄한 판을 의미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L)은 축사 울타리 형성된 경계봉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축사 울타리에 형성된 경계봉(L)에 프레임을 설치하여 상기 사료급여통(1)을 거치시킨 후 가축이 접근치 아니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이 접근치 아니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감응기(10)에 어떠한 감지신호도 잡히지 아니하므로 모터(13)의 구동이나 스크류(14)의 작동이 없으며, 특히 고정구(24)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240)이 승강바(22)의 하단 체결홈(220')에 체결된 상태에서 타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241)의 작동이 없이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식방지판(21)의 하강작동은 이루어지지 아니함과 동시에 토출구(16)로의 사료 토출도 모터(13) 및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므로 사료의 토출도 가능치 아니한 상태이다.
물론, 상기 모터(13), 스크류(14) 및 고정구(24)의 솔레노이드(241) 등등의 구성요소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따라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용 컴퓨터(C)와 상기 사료급여통(1)간의 거리 등은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상기 사료급여통(1)의 감응기(10)에 상기 구성요소의 작동을 컨트롤 하는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가 유지되다가 가축이 사료를 먹고자 상기 사료급여통(1)에 일정거리이하로 접근하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측 전면 하단에 형성된 감응기(10)에 가축의 목등에 걸고 있는 고유센서(T)가 신호를 보내면 상기 감응기(10)는 상기 감지신호를 받아 괸리용 컴퓨터(C)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신호에 따라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사료급여통(1)에 접근한 가축의 자기고유번호 및 특징 즉, 가축의 나이, 건강상태, 하루 사료급여량 등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여분이 없다고 인식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241)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여 결국 도식방지판(21)이 하강하는 작동은 하지 아니하므로 접근 한 가축은 사료를 먹을 수 없는 것이며,
반면에, 상기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량이 있다고 인식되면 상기 관리용 컴퓨터(C)는 일정 배급량의 사료를 급여하라는 지시에 따라 모터(13)가 구동되며 상기 모터(13)가 구동되면 사료보관함(12)에 보관되어 있는 사료를 스크류(14)가 배출관(15)으로 이송하고 이와 같이 이송된 사료는 토출구(16)를 통해 사료급여통(1) 내측으로 낙하되며 이와 거의 동시에 가축이 스스로 상기 도식방지판(21)을 머리 등으로 누르면 상기 도식방지판(21)은 상기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따라 상기 사료급여통(1) 저면 일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241)가 작동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40)이 상기 체결홈(220')을 빠져나오자 마자 자동적으로 승강바(22)가 관통공(23)을 따라 하강하고 이는 도식방지판(21)의 하강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하강을 계속하다가 승강바(22) 상단에 형성된 체결홈(220)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솔레노이드(241)가 작동하여 상기 체결홈(220)에 구멍(240)이 체결되어 상기 승강바(22)의 하강은 멈추게 되며 따라서 상기 승강바(22)에 결합된 도식방지판(21)은 사료급여통(1)의 내측 경사면에 밀착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토출구(16)를 통해 사료가 공급되며 가축은 사료를 먹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축이 사료를 다 먹었을 경우 즉, 관리용 컴퓨터(C)에서 급여할 사료의 할당량을 모두 투여했다고 지시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은 멈추게 되며 이와 동시에 고정구(24) 타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24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단 체결홈(220)에 체결된 구멍(240)이 해지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 상기 사료급여통(1)과 상기 도식방지판(21)을 결합하고 있는 원상회복이 가능한 탄성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도식방지판(21)이 승강하게 되며 이와 같은 승강작용은 상기 솔레노이드(241)가 승강바(22)의 하단 체결홈(220')에 구멍(240)이 체결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식방지판(21)이 사료급여통(1) 내부를 폐쇄하도록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도식방지판(21)이 사료급여통(1)의 저면으로 하강하는 구조이나 도 3c의 경우에는 본 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서 구조 및 작동은 동일하고 상기 도식방지판(21)이 사료급여통(1)의 후방 상면으로 회동되어 밀착되어 개방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 3d의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구성과는 동일하고 단지 도식방지판(21)이 사료급여통(1)의 양측면으로 개방되는 구조로서 작동관계는 본 실시예와 동일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상기 도식방지수단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발판(3)이 구성요소에 부가되는 것으로서 상기 발판(3)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측 정면 가까이 축사 바닥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가축이 사료를 먹고자 사료급여통(1)에 가까이 접근하여 사료를 먹는데 적합한 위치의 축사 바닥면에 상기 발판(3)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발판(3)의 일측은 축사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체결부재(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스프링(3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도식방지판(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도식방지판(21)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에 원상회복이 가능한 탄성스프링(2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대략 사다리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유사한 승강바(25)가 있으나 그 형태나 구조는 실시예 1과 다른 것으로서 상기 승강바(25)는 상기 도식방지판(21) 저면에 도식방지판(21)과 일체로 형성된 것은 동일하나 일측에 체결홈(25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재(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솔레노이드(251)가 형성되어 있는 절곡된 상태이다.
이하, 고정구(24)의 구성과 이에 따른 사료급여통(1)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대동소이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사료급여통(1) 저부에는 상기 승강바(25)가 승강 가능하도록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250)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은 중앙에 구멍(240)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사료급여통(1)에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241)가 구비된 고정구(24)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축사 울타리에 형성된 경계봉(L)에 프레임을 설치하여 상기 사료급여통(1)을 거치시킨 후 가축이 접근치 아니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이 접근치 아니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감응기(10)에 어떠한 감지신호도 잡히지 아니하므로 모터(13)의 구동이나 스크류(14)의 작동이 없으며, 특히 고정구(24)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240)이 승강바(25)의 체결홈(250)에 체결된 상태에서 타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241)의 작동이 없이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식방지판(21)의 하강작동은 이루어지지 아니함과 동시에 토출구(16)로의 사료 토출도 모터(13) 및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므로 사료의 토출도 가능치 아니한 상태이다.
설사 가축이 사료급여통(1)에 접근하여 상기 발판(3)을 밟는다고 하더라도 관리용 컴퓨터(C)의 감지에 의해 사료를 먹지 말아야 하는 가축, 즉 사료 급여가 필요치 아니한 가축이 상기 발판(3)을 밟을 경우에는 상기 승강바(25)의 타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251)가 작동치 아니하므로 단순히 발판(3)이 그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31)에 의해 상하강 운동만 되풀이 할 뿐이고 사료의 급여는 작동치 아니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모터(13), 스크류(14) 및 고정구(24)의 솔레노이드(251) 등등의 구성요소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따라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용 컴퓨터(C)와 상기 사료급여통(1)간의 거리 등은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상기 사료급여통(1)의 감응기(10)에 상기 구성요소의 작동을 컨트롤 하는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가 유지되다가 가축이 사료를 먹고자 상기 사료급여통(1)에 접근 상기 발판(3)을 밟을 경우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측 전면 하단에 형성된 감응기(10)에 가축의 목등에 걸고 있는 고유센서(T)가 신호를 보내면 상기 감응기(10)는 상기 감지신호를 받아 괸리용 컴퓨터(C)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신호에 따라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사료급여통(1)에 접근한 가축의 자기고유번호 및 특징 즉, 가축의 나이, 건강상태, 하루 사료급여량 등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여분이 없다고 인식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251)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여 결국 도식방지판(21)이 하강하는 작동은 하지 아니하므로 접근 한 가축은 사료를 먹을 수 없는 것이며 이때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판(3)의 단순한 승하강 작용만 되풀이 되는 것이며,
반면에, 상기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량이 있다고 인식되면 상기 관리용 컴퓨터(C)는 일정 배급량의 사료를 급여하라는 지시에 따라 모터(13)가 구동되며 상기 모터(13)가 구동되면 사료보관함(12)에 보관되어 있는 사료를 스크류(14)가 배출관(15)으로 이송하고 이와 같이 이송된 사료는 토출구(16)를 통해 사료급여통(1) 내측으로 낙하되며 이와 거의 동시에 가축이 발판(3)을 밟음에 따라 상기 발판(3)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재(30)와 승강바(25)의 솔레노이드(251)가 체결되어 가축이 밟은 발판(3)이 하강함에 따라 도 4b 및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바(25)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동은 상기 승강바(25)의 일측에 형성된체결홈(250)이 고정구(24)에 구비된 솔레노이드(241)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모든 작동은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의한 자동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도식방지판(21)은 상기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따라 상기 사료급여통(1) 저면 일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241)가 작동하여 도 4b 및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40)이 상기 체결홈(250)을 빠져나오자 마자 승강바(25)가 관통공(23)을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축이 발판(3)을 밟고 있기 때문으로 상기 승강바(25)의 하강은 도식방지판(21)의 하강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하강은 상기 발판(3)이 축사바닥면에 밀착될때 까지이며, 이때 상기 승강바(22)에 결합된 도식방지판(21)은 사료급여통(1)의 내측 경사면에 밀착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토출구(16)를 통해 사료가 공급되며 가축은 사료를 먹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축이 사료를 다 먹었을 경우 즉, 관리용 컴퓨터(C)에서 급여할 사료의 할당량을 모두 투여했다고 지시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은 멈추게 되며 비록 가축이 발판(3)을 계속 밟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료의 급여는 더이상 없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승강바(25)의 타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251)이 발판(3)의 체결부재(30)와 이탈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 상기 사료급여통(1)과 상기 도식방지판(21)을 결합하고 있는 원상회복이 가능한 탄성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도식방지판(21)이 승강하게 되며 이와 같은 승강작용은 상기 솔레노이드(241)가 승강바(25)의 체결홈(250)에 구멍(240)이 체결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식방지판(21)이 사료급여통(1) 내부를 폐쇄하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가축이 아무리 발판(3)을 밟고 있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발판(3)의 승하강 작용만 하는 것으로서 더이상 사료 급여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작동은 승강바(25) 타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고정구(24) 타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241) 및 기타 모터(13), 스크류(14) 등의 작동이 모두 가축의 몸에 부착된 고유센서(T)와 사료급여통(1)의 전면에 구비된 감응기(10)의 주고 받는 신호를 관리용 컴퓨터(C)에서 총괄하여 일률적으로 자동시스템처리하여 작동케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를 변형한 도 4d와 도 4e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d, 4e의 경우에 스프링(31)이 발판(3)의 저면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승강바(25) 중간부위에 형성되어 적합치 아니한 가축이 먹이를 먹고자 사료급여통(1)에 접근하여 발판(3)을 밟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241)가 작동치 아니하고 단순히 상기 스프링(31)만 작동함으로서 도식방지판(21)이 개방되지는 아니하며 적합한 가축이 접근하여 발판(3)을 밟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241)가 작동하여 고정구(24)의 구멍(240)에서 체결홈(250)이 이탈되어 승강바(25)가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도식방지판(21)이 개방되는 구조로서 본 실시예와 차이점은 스프링(31)의 위치 변경과 승강바(25) 일측에 형성된솔레노이드(251)가 삭제된 것이 차이점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상기 도식방지수단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식방지수단의 구성은,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부 측면 가까이 축사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탄성스프링(260)이 결합되어 있는 고정봉(26)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봉(26) 상단의 탄성스프링(260)에 중앙 절곡부(27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원상회복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에는 가축이 밀고 출입할 수 있도록 회동바(27)가, 타측에는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에 수납되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일측부에 형성된 슬릿(17)으로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도식방지판(21)이 결합된 구성이다.
즉, 가축이 상기 회동바(27)을 밀고 들어가면 자동으로 도식방지판(21)이 사료급여통(1) 일측부에 형성된 슬릿(17)으로 인출되고 가축이 상기 회동바(27)의 밀고 있는 힘을 해지하면 상기 탄성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바(27) 원상회복되는 구성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축사 울타리에 형성된 경계봉(L)에 프레임을 설치하여 상기 사료급여통(1)을 거치시킨 후 가축이 접근치 아니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이 접근치 아니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감응기(10)에 어떠한 감지신호도 잡히지 아니하므로 모터(13)의 구동이나 스크류(14)의 작동이 없으며, 특히 회동바(27)의 회동이 없으므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식방지판(21)이 사료급여통(1)의 일측부에 형성된 슬릿(17)으로 인출된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며 동시에 토출구(16)로의 사료 토출도 모터(13) 및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므로 사료의 토출도 가능치 아니한 상태이다.
설사 가축이 사료급여통(1)에 접근하여 상기 회동바(27)를 회동시킨다고 하더라도 관리용 컴퓨터(C)의 감지에 의해 사료를 먹지 말아야 하는 가축, 즉 사료 급여가 필요치 아니한 가축이 상기 회동바(27)를 회동시킨 경우라면 상기 모터(13)나 스크류(14)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단순히 회동바(27)의 회동만 가능할 것이다.
물론, 상기 모터(13), 스크류(14) 및 회동바(27) 감응기(10) 등등의 구성요소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따라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용 컴퓨터(C)와 상기 사료급여통(1)간의 거리 등은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상기 사료급여통(1)의 감응기(10)에 상기 구성요소의 작동을 컨트롤 하는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가 유지되다가 가축이 사료를 먹고자 상기 사료급여통(1)에 접근 회동바(27)에 접촉되기 이전에 이미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측 전면하단에 형성된 감응기(10)에 가축의 목등에 걸고 있는 고유센서(T)가 신호를 보내면 상기 감응기(10)는 상기 감지신호를 받아 괸리용 컴퓨터(C)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신호에 따라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사료급여통(1)에 접근한 가축의 자기고유번호 및 특징 즉, 가축의 나이, 건강상태, 하루 사료급여량 등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여분이 없다고 인식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며 단순히 회동바(27)의 회동과 더불어 도식방지판(21)의 사료급여통(1) 일측부로의 인입출만 반복될 것이며 따라서, 접근한 가축은 사료를 먹을 수 없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량이 있다고 인식되면 상기 관리용 컴퓨터(C)는 일정 배급량의 사료를 급여하라는 지시에 따라 모터(13)가 구동되며 상기 모터(13)가 구동되면 사료보관함(12)에 보관되어 있는 사료를 스크류(14)가 배출관(15)으로 이송하고 이와 같이 이송된 사료는 토출구(16)를 통해 사료급여통(1) 내측으로 낙하되며 이와 거의 동시에 가축이 상기 회동바(27)을 접촉함과 동시에 밀고 들어오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27)가 회동되고 이는 사료급여통(1) 일측부에 형성된 슬릿(17)을 통해 도식방지판(21)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되며 결국 토출구(16)로 급여된 일정량은 사료를 먹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든 작동은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의한 자동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축이 사료를 다 먹었을 경우 즉, 관리용 컴퓨터(C)에서 급여할 사료의 할당량을 모두 투여했다고 지시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은 멈추게 되며 비록 가축이 회동바(27)을 계속 밀고있다고 하더라도 사료의 급여는 더이상 없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당연히 가축은 상기 회동바(27)를 밀고있는 힘을 해지하고 돌아갈 것이다.
이때는 상기 탄성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바(27)는 원위치로 돌아올 것이고 결국 도식방지판(21)로 상기 사료급여통(1) 내로 돌아 와 사료급여통(1) 내부를 폐쇄할 것이다.로서 더이상 사료 급여는 없는 것이다.
본실시예를 변형한 도 5 c 및 도 5 d에 대하여 설명하면,
고정봉(26)에 형성된 탄성스프링(260)을 회동바(27)의 절곡된 부위에 형성하고 상기 회동바(27)과 절곡부위 및 도식방지판(21)을 일체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슬릿(17)이 사료급여통(1)의 후방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식 방지판(21)의 끝단 가까이 사료급여통(1) 외측 후방 하단에 록크(330)가 형성되어 있어 적합한 가축이 먹이를 먹고자 상기 회동바(27)을 압압하면 상기 록크(330)가 해지되어 슬릿(17)을 통해 도식방지판(21)이 사료급여통(1)의 후방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고 적합치 아니한 가축이 압압하면 상기 회동바(27)가 밀리지 아니하도록 되어 있다. 먹이를 다 먹은 후에는 감응기(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바(27)와 도식방지판(21)이 원상복귀하는 것이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상기 도식방지수단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식방지수단의 구성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부 정면 상부에 모터(M)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료급여통(1) 정측면 내측에는 승강레일(1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승강레일(18)을 따라 도식방지판(210)이 승강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도식방지판(210) 배면 하단에는 풀리(21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풀리(211)와 모터(M)사이에는 벨트(212)가 결합되어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식방지판(210)이 승강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축사 울타리에 형성된 경계봉(L)에 프레임을 설치하여 상기 사료급여통(1)을 거치시킨 후 가축이 접근치 아니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이 접근치 아니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감응기(10)에 어떠한 감지신호도 잡히지 아니하므로 모터(13)의 구동이나 스크류(14)의 작동이 없으며, 또한 사료급여통(1)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식방지판(210)이 승강작용을 하지 아니할 것이며 이는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부 정면 상부에 형성된 모터(M)가 구동치 아니하기 때문으로서 이와 같은 모든 구동 및 작동은 관리용 컴퓨터(C)와 감응기(10)의 신호로 인하여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식방지판(210)이 사료급여통(1)의 상측부로 인출된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며 동시에 토출구(16)로의 사료 토출도 모터(13) 및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므로 사료의 토출도 가능치 아니한 상태이다.
물론, 상기 모터(13), 스크류(14) 및 모터(M) 등등의 구성요소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따라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용 컴퓨터(C)와 상기 사료급여통(1)간의 거리 등은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상기 사료급여통(1)의 감응기(10)에 상기 구성요소의 작동을 컨트롤 하는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가 유지되다가 가축이 사료를 먹고자 상기 사료급여통(1)에 접근하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측 전면 하단에 형성된 감응기(10)에 가축의 목등에 걸고 있는 고유센서(T)가 신호를 보내면 상기 감응기(10)는 상기 감지신호를 받아 괸리용 컴퓨터(C)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신호에 따라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사료급여통(1)에 접근한 가축의 자기고유번호 및 특징 즉, 가축의 나이, 건강상태, 하루 사료급여량 등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여분이 없다고 인식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M)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여 결국 도식방지판(210)이 상측으로 슬라이딩 작동은 하지 아니하므로 접근 한 가축은 사료를 먹을 수 없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량이 있다고 인식되면 상기 관리용 컴퓨터(C)는 일정 배급량의 사료를 급여하라는 지시에 따라 모터(13)가 구동되며 상기 모터(13)가 구동되면 사료보관함(12)에 보관되어 있는 사료를 스크류(14)가 배출관(15)으로 이송하고 이와 같이 이송된 사료는 토출구(16)를 통해 사료급여통(1) 내측으로 낙하되며 이와 거의 동시에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부 정면 상부에 형성된 모터(M)가 구동되면서 상기 도식방지판(210) 배면 하단에 형성된 풀리(211)와 연결되어 있는 벨트(212)가 상기 모터(M)에 의해 권취되면서 결국 상기 도식방지판(210)이 상부로 승강하게 됨에 따라 도 6b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식방지판(210)이 사료급여통(1) 정측면 내측에 형성된 승강레일(18)을 따라 승강되는 것이다. 상기 모든 작동은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의한 자동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도식방지판(21)은 상기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따라 상기 사료급여통(1) 외부 정면 상부에 형성된 모터(M)가 작동하여 도 6b 및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12)의 권취에 의해 상기 도식방지판(210)이 승강레일(18)을 다라 승강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식방지판(210) 배면의 풀리(211)는 모터(M)와 벨트(212)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벨트(212)는 일정길이로서 풀리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모터(M)가 구동되면 풀리(211)에 감겨 있는 일정길이의 벨트(212)가 풀리면서 더이상 풀릴 벨트(212)가 없으면 상기 도식방지판(210)이 승강되는 것이며 상기 도식방지판(210)의 하강은 상기 설명한 바와 반대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토출구(16)를 통해 사료가 공급되며 가축은 사료를 먹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축이 사료를 다 먹었을 경우 즉, 관리용 컴퓨터(C)에서 급여할 사료의 할당량을 모두 투여했다고 지시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은 멈추게 되며 그와 동시에 상기 모터(M)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도식방지판(210)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상기 도식방지수단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식방지수단의 구성은,
상기 사료급여통(1) 외부 양측면에 제1풀리(28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풀리(281)와 벨트(310)로 연결된 한쌍의 제2풀리(280)가 한쌍의 도식방지판(28) 배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축사 바닥면 양측에는 제3풀리(30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벨트(310)의 일측은 발판(3) 배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발판(3)은 일측이 축사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벨트(310)에 고정되어 있고 저면에는 탄성스프링(320)이 구비되어 상기 발판(3)을 밟으면 상기 한쌍의 도식방지판(28)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방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슬릿(170)을 통해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축사 울타리에 형성된 경계봉(L)에 프레임을 설치하여 상기 사료급여통(1)을 거치시킨 후 가축이 접근치 아니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이 접근치 아니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감응기(10)에 어떠한 감지신호도 잡히지 아니하므로 모터(13)의 구동이나 스크류(14)의 작동이 없으므로 설사 발판(3)을 밟아서 도식방지판(28)이 제1풀리(281)와 제2풀리(280)와 연결된 벨트(310)로 인하여 상기 사료급여통91)의 전방 외측면에 형성된 슬릿(170)을 통하여 각각 인출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토출구(16)로의 사료 토출도 모터(13) 및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므로 사료의 토출도 가능치 아니한 상태이다.
물론, 상기 모터(13), 스크류(14) 등등의 구성요소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따라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용 컴퓨터(C)와 상기 사료급여통(1)간의 거리 등은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상기 사료급여통(1)의 감응기(10)에 상기 구성요소의 작동을 컨트롤 하는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가 유지되다가 가축이 사료를 먹고자 상기 사료급여통(1)에 접근 상기 발판(3)을 밟을 경우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측 전면 하단에 형성된 감응기(10)에 가축의 목등에 걸고 있는 고유센서(T)가 신호를 보내면 상기 감응기(10)는 상기 감지신호를 받아 괸리용 컴퓨터(C)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신호에 따라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사료급여통(1)에 접근한 가축의 자기고유번호 및 특징 즉, 가축의 나이, 건강상태, 하루 사료급여량 등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여분이 없다고 인식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고, 따라서 접근 한 가축은 사료를 먹을 수 없는 것이며 이때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판(3)의 승하강 작용과 도식방지판(28)의 개폐작용만이 되풀이 되는 것이며,
반면에, 상기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량이 있다고 인식되면 상기 관리용 컴퓨터(C)는 일정 배급량의 사료를 급여하라는 지시에 따라 모터(13)가 구동되며 상기 모터(13)가 구동되면 사료보관함(12)에 보관되어 있는 사료를 스크류(14)가 배출관(15)으로 이송하고 이와 같이 이송된 사료는 토출구(16)를 통해 사료급여통(1) 내측으로 낙하되며 이와 거의 동시에 가축이 발판(3)을 밟음에 따라 상기 발판(3) 배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각각 제1풀리(281)와 도식방지판(28)의 배면에 구비된 제2풀리(280)에 연결되어 있어 가축이 밟은 발판(3)이 하강함에 따라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3)이 하강되고 이에 따라 도식방지판(28)의 배면에 구비된 즉 제2풀리(280)에 타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된 벨트(310)이 풀리면서 결국 도식방지판(28)이 사료급여통(1)의 전방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슬릿(170)을 통해 인출되는데 상기 모든 작동은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의한 자동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토출구(16)를 통해 사료가 공급되며 가축은 사료를 먹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축이 사료를 다 먹었을 경우 즉, 관리용 컴퓨터(C)에서 급여할사료의 할당량을 모두 투여했다고 지시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은 멈추게 되며 비록 가축이 발판(3)을 계속 밟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료의 급여는 더이상 없는 것이며, 가축이 발판(3)의 압압을 해지하면 탄성스프링(320)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도식방지판(28) 배면에 형성된 제2풀리(280)에 벨트(310)가 권취되는 것으로서 물론, 벨트(310)가 권취되는 과정은 발판(3)의 압압을 해지하자마자 제3풀리(300)와 제1풀리(281) 및 제2풀리(280)으로 연결된 벨트(310) 자동적으로 권리취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면 당연히 상기 도식방지판(28)은 폐쇄되어 사료를 먹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가축이 아무리 발판(3)을 밟고 있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발판(3)의 승하강 작용과 도식방지판(28)의 개폐작용만 하는 것으로서 더이상 사료 급여는 없는 것이다.
본 실시예를 변형한 도 7c 및 도 7 d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발판(3)의 저면에 형성된 탄성스프링(320)을 벨트(310)의 중간부위에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별도의 록크(330)을 사료급여통(1)의 전면 양측에 형성하여 적합치 아니한 가축이 상기 발판(3)을 밟을 경우에는 상기 록크(330)가 도식방지판(28)에서 해지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단순히 발판(3)의 하강만 이루어지고 적합한 가축이 상기 발판(3)을 밟을 경우에는 상기 록크(330)가 도식방지판(28)으로 부터 해지됨과 동시에 벨트(310)가 제1풀리(281), 제2풀리(280) 제3풀리(300)을 통하여 당겨지면서 상기 도식방지판(28)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한구성인 것이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상기 도식방지수단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 외부 측면에 유압실린더(1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0)가 도식방지판(29)의 상단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29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도식방지판(29)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 슬릿(170)을 통해 인입출이 상기 유압실린더(19)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축사 울타리에 형성된 경계봉(L)에 프레임을 설치하여 상기 사료급여통(1)을 거치시킨 후 가축이 접근치 아니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축이 접근치 아니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감응기(10)에 어떠한 감지신호도 잡히지 아니하므로 모터(13)의 구동이나 스크류(14)의 작동이 없으며, 또한 유압실린더(19)의 작동도 없는 것으로서 결국 도식방지판(29)의 하강은 이루어지지 아니한 것이다.
물론, 상기 모터(13), 스크류(14) 및 유압실린더(19) 등등의 구성요소는 상기 관리용 컴퓨터(C)의 지시에 따라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용 컴퓨터(C)와 상기 사료급여통(1)간의 거리 등은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상기 사료급여통(1)의 감응기(10)에 상기 구성요소의 작동을 컨트롤 하는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가 유지되다가 가축이 사료를 먹고자 상기 사료급여통(1)에 일정거리이하로 접근하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측 전면 하단에 형성된 감응기(10)에 가축의 목등에 걸고 있는 고유센서(T)가 신호를 보내면 상기 감응기(10)는 상기 감지신호를 받아 괸리용 컴퓨터(C)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신호에 따라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사료급여통(1)에 접근한 가축의 자기고유번호 및 특징 즉, 가축의 나이, 건강상태, 하루 사료급여량 등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여분이 없다고 인식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이 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19)의 작동이 되지 아니하여 결국 도식방지판(21)이 하강하는 작동은 하지 아니하므로 접근 한 가축은 사료를 먹을 수 없는 것이며,
반면에, 상기 접근한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량이 있다고 인식되면 상기 관리용 컴퓨터(C)는 일정 배급량의 사료를 급여하라는 지시에 따라 모터(13)가 구동되며 상기 모터(13)가 구동되면 사료보관함(12)에 보관되어 있는 사료를 스크류(14)가 배출관(15)으로 이송하고 이와 같이 이송된 사료는 토출구(16)를 통해 사료급여통(1) 내측으로 낙하되며 이와 거의 동시에 상기 유압실린더(19)가 작동하여 로드(190)가 인출되고 상기 로드(190)의 일측에 결합된 돌출부(290)가 형성되어 있는 도식방지판(29)이 로드(190)의 인출에 따라 슬릿(170)을 통해 하강작용하게 되며 결국 로드(190)의 최대한 인출시 작동이 멈추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토출구(16)를 통해 공급된 사료를 가축이 먹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축이 사료를 다 먹었을 경우 즉, 관리용 컴퓨터(C)에서 급여할 사료의 할당량을 모두 투여했다고 지시하면 상기 모터(13)와 스크류(14)의 작동은 멈추게 되며 상기 유압실린더(19)의 작동은 도식방지판(29)이 하강하는 작용과 반대도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식방지판(29)이 사료급여통(1) 내부를 폐쇄하도록 되는 것이다.
기타 도 9의 경우에는 도식방지판(21) 끝단에 탄성스프링(260)과 벨트(21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벨트(212)는 풀리(211)에 의해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식방지판(21)이 사료급여통(1)의 후방에 형성된 슬릿(17)으로 인출되는 것으로서, 먹이를 먹어야 하는 즉, 먹이 급여의 필요성이 적합한 가축이 상기 사료급여통(1)에 접근하면 감응기(10)의 감지신호에 의해 모터(M)가 작동하여 벨트(212)를 당기면 상기 도식방지판(21)이 사료급여통(1)의 후방에 형성된 슬릿(17)을 통해 인출되고 먹이를 다 먹은 후 가축이 상기 사료급여통(1)으로 부터 일정거리로 물러나면 탄성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 도식방지판(21)이 원상복귀 즉, 폐쇄되는 것이다.
도 10의 경우에는 사료급여통(1)의 저부 일정부위가 사료급여통(1)과 분리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저부 일정부위가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저부 일정부위가 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먹이를 급여할 필요가 있는 가축이 상기 사료급여통(1)에 접근할 경우 감응기(10)에 의해 유압실린더(19)가 작동하여 사료급여통(1)애로 상기 사료급여통의 저부 일정부위가 진입하고 먹이를 다 먹은 후에는 사료급여통(1)의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로서 도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의 경우에는 유압실린더(19)의 작동에 의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저부 일정부위를 회동하여 탈락시킴으로서 도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모든 구조는 본 고안에 있어서 도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타 본 실시예와 같은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 속하는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는 축사 울타리로 형성된 경계봉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축사 바닥면에 가축이 배설한 오물을 청소함에 있어서 본 고안은 축사 바닥면과 일정높이 이상에 설치됨에 따라 축사 바닥면 청소시 방해물이 없어 청소가 용이하며, 축사 바닥면과 일정높이 이상에 설치됨에 따라 축사의 활용 즉, 가축의 수용이나 가축의 행동반경이 넓어 가축이 생활하기에 쾌적하며 따라서, 협소한 축사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축의 본능상 충분히 사료를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다른 가축의 사료를 빼앗아 먹는 도식을 본 고안은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최적의 가축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최상품의 육질을 가축을 사육함에 있어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대리 사육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 농가에서 비합리적으로 사육된 가축보다 그 육질이 매우 우수하며 결국 경제적으로 최대의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가축 사육에 매우 필요한 사료 공급장치인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가축마다 자기고유번호를 알리는 고유센서(T)를 부착하여 주고 사료급여통(1)에 접근하면 가축의 자기고유번호를 수신하여 관리실에 설치된 관리용 컴퓨터(C)에 입력하고 상기 관리용 컴퓨터(C)에서는 상기 특정 가축의 나이, 건강상태, 이미 먹은 사료량 등등의 모든 정보가 기억되어 있어 이 모든 정보를 참고로 분석하여 현재의 사료급여량을 계산해서 사료탱크(B)에서 이송관(P)을 통해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측 전면 하단에는 감응기(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이송관(P)으로 부터 이송된 사료유입관(11)과 사료보관함(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료보관함(12)의 후면에는 모터(13)에 의해 보관된 사료를 배출키 위한 스크류(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14)에 의해 배출된 사료를 배출키 위하여 배출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15)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내측 후면 저부가까이에는 토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사료급여통(1)과,
    상기 사료급여통(1)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16)로 부터 토출된 사료의 도식을 방지키 위하여 도식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식방지수단(2)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에 원상회복이 가능한 탄성스프링(2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대략 사다리 형상의 도식방지판(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식방지판(21) 저면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체결홈(220,220')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바(2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바(22)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료급여통(1) 저부에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220,220')에 착탈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중앙에 구멍(240)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사료급여통(1)에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241)가 구비된 고정구(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측 정면 가까이 축사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체결부재(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스프링(31)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3)과,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에 원상회복이 가능한 탄성스프링(2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대략 사다리 형상의 도식방지판(21)과,
    상기 도식방지판(21) 저면에는 일측에 체결홈(25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재(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솔레노이드(251)가 형성되어 있는 절곡된 상태의 승강바(25)와,
    상기 사료급여통(1) 저부에는 상기 승강바(25)가 승강 가능하도록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250)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은 중앙에 구멍(240)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사료급여통(1)에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241)가 구비된 고정구(2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부 측면 가까이 축사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탄성스프링(260)이 결합되어 있는 고정봉(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스프링(260)에 중앙 절곡부(27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원상회복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에는 가축이 밀고 출입할 수 있도록 회동바(27)가, 타측에는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내측 하단에 수납되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일측부에 형성된 슬릿(17)으로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도식방지판(21)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외부 정면 상부에 모터(M)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료급여통(1) 정측면 내측에는 승강레일(1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승강레일(18)을 따라 도식방지판(210)이 승강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도식방지판(210) 배면 하단에는 풀리(21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풀리(211)와 모터(M)사이에는 벨트(212)가 결합되어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식방지판(210)이 승강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 외부 양측면에 제1풀리(28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풀리(281)와 벨트(310)로 연결된 한쌍의 제2풀리(280)가 한쌍의 도식방지판(28) 배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축사 바닥면 양측에는 제3풀리(30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벨트(310)의 일측은 발판(3) 배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발판(3)은 일측이 축사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벨트(310)에 고정되어 있고 저면에는 탄성스프링(320)이 구비되어 상기 발판(3)을 밟으면 상기 한쌍의 도식방지판(28)이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방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슬릿(170)을 통해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식방지수단은 상기 사료급여통(1) 외부 측면에 유압실린더(1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0)가 도식방지판(29)의 상단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29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도식방지판(29)은 상기 사료급여통(1)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 슬릿(170)을 통해 인입출이 상기 유압실린더(19)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KR20-2004-0019394U 2004-07-08 2004-07-08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KR200362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394U KR200362951Y1 (ko) 2004-07-08 2004-07-08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394U KR200362951Y1 (ko) 2004-07-08 2004-07-08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951Y1 true KR200362951Y1 (ko) 2004-09-22

Family

ID=4943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394U KR200362951Y1 (ko) 2004-07-08 2004-07-08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9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437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identified pets selective access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r object
EP0512096B1 (en) Method of feeding animals and apparatus suitabl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A2969678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identified pets selective access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r object
US9854785B2 (en) Sow feeding system
US6837189B2 (en) Hog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6666167B1 (en) Dry particulate food dispenser
US3139065A (en) Laying nest for poultry
US6622651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milking and feeding of animals
EA009146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доения животных
US9485958B2 (en) Facility for handling lactating animal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11357655B (zh) 一种智能羊群饲养系统
CN114902975B (zh) 一种牛只识别自动分栏的rfid系统及分栏方法
CN109105270B (zh) 一种育肥猪只饲喂装置
DE3701864C2 (ko)
KR200470419Y1 (ko) 모돈 자동 군사 급이기
KR200362951Y1 (ko) 가축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EP0970607B1 (en) Poultry caging system and method for keeping poultry
US3543723A (en) Sow feed stall
US3127871A (en) Individual resting compartments for animals
CA3112174C (en) Improved system for feeding animals
US11903368B2 (en) System for feeding animals
EP1541017B1 (en) An assembly for and a method of managing a herd of animals moving about freely
NL1008334C2 (nl) Inrichting voor het melken van dieren.
DE29710014U1 (de) Automatischer Futterstand
CN215302244U (zh) 一种用于畜牧养殖的投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