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942Y1 -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942Y1
KR200361942Y1 KR20-2004-0015864U KR20040015864U KR200361942Y1 KR 200361942 Y1 KR200361942 Y1 KR 200361942Y1 KR 20040015864 U KR20040015864 U KR 20040015864U KR 200361942 Y1 KR200361942 Y1 KR 200361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amera
main body
control device
guide ro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연
Original Assignee
황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연 filed Critical 황창연
Priority to KR20-2004-0015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 영상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를 좌우 이동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를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볼트를 갖는 고정판과, 일면에 돌출부로 이루어진 거리조절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로 이루어진 본체와, 본체 일면에 형성된 거리조절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측단부가 지지대에 고정되어 고정판 일측 통공에 끼워진 가이드봉과, 본체의 공간부 바닥 상면에 미장패널이 고정되고 저면에 삼각대 고정공가 형성된 커버와, 본체 공간부의 바닥 일측에 설치된 수평표시부로 이루어진 조절장치의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디지털카메라를 이동시 상하 움직임 없이 수평으로만 정확하게 이동함으로서 피사체의 좌우 영상촬영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디지털카메라의 이동되는 수평거리가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리조절부를 형성함으로서 피사체의 거리에 따른 촬영위치를 정호학히 표시하고 좌우영상 사이의 수많은 미들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The Digital camera horizontal shift control system}
본 고안은 입체 영상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를 좌우 이동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디지털카메라를 좌우이동시킬 수있도록 이동수단인 가이드봉을 본체에 설치하여 피사체의 좌우측 사진을 각각 촬영할때 좌우측으로 이동시 상하높이차이 없이 동일 수평선상으로 이동시켜 사진을 촬영토록 함으로서 피사체를 입체 영상사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존의 디지털 사진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로 피사체를 좌우 각각 촬영후 이를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2개의 피사체 영상을 좌우촬영하여 합성한 후 이를 특수안경을 착용한 후 사진을 투시하면 평면사진이 입체영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행하는 기술이나 입체영상으로 사진을 좌우 각각 촬영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좌측 눈으로 본 피사체를 촬영하고 다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우측 눈으로 본 피사체를 촬영하게되는 이때 좌측에서 우측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킬 때 상하움직임 없이 수평으로 정확히 이동시켜야 하나 촬영자 이동시 상하 움직임에 의하여 피사체를 정확하게 입체사진으로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에는 좌우이동촬영시 상하 움직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특허 등록 제10-0421170호 "초점 및 주시각 동시제어 수평이동축 입체영상 카메라"의 제1 렌즈; 제2 렌즈;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렌즈삽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렌즈와 연결되어 영상을 촬상하는 제1 영상센서수단; 상기 제2렌즈와 연결되어 영상을 촬상하는 제2 영상센서수단;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영상센서수단과 상기 제2 영상센서수단을 좌우로 조정하여 초점과 주시각을 제어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영상센서수단을 좌, 우로 수평이동시키는 캠; 상기 캠과 결합되는 가이드; 및 상기 캠과 결합되며, 좌, 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캠이 상하 직선운동을 하도록 하는 나사형태의 조절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및 주시각 동시제어 수평이동축 입체영상 카메라가 등록되었으나, 이 역시 좌우 이동시 발생되는 편차는 줄일 수 있으나, 이를 구성하는 부품이 많아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지 못하고 카메라와 고정장치가 별도 제작되어야 한 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체에 디지털카메라를 좌우이동이킬 수 있도록 이동수단인 가이드봉을 설치하여 피사체의 좌우측 사진을 각각 촬영할 때 디지털카메라를 좌우측으로 이동시 상하높이 차이 없이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이동시켜 사진을 촬영토록 함으로서 피사체를 입체 영상사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촬영시 이동거리의 다양성 즉, 근거리와 원거리의 미들 영상을 다양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카메라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다른 고정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거리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4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가드봉이 다수 설치된 상태의 고정장치 평면 구성도.
도5b는 도5a에 따른 단면 구성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가이드봉이 나사부로 형성된 상태의 평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가이드봉과 지지대의 연결구성도.
도8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를 통상의 삼각대에 결합한 상태의 예시도.
도9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를 이용한 디지털카메라로 촬영된 피사체의 입체사진 투시 각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고정장치 2:본체
3:공간부 4:고정판
5:고정볼트 6,6b:통공
6':부싱 6a:이동부재
7:거리조절부 8:돌출부
9,9a,9b:가이드봉 10:미장패널
11:커버 12:지지대
13:고정공 14:수평표시부
15:표시눈금 16:가이드홈
17:안내돌기 18:요홈
19:기준표시부 20:이동 조절부
21;볼트부 22;너트공
23:받침턱 24:걸림턱
디지털 카메라(30)를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볼트(5)를 갖는 고정판(4)과;
일면에 돌출부(8)로 이루어진 거리조절부(7)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3)로 이루어진 본체(2)와;
본체(2) 일면에 형성된 거리조절부(7)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측단부가 지지대(12)에 고정되어 고정판(4) 일측 통공(6)에 끼워진 가이드봉(9)과;
본체의 공간부(3) 바닥 상면에 미장패널(10)이 고정되고 저면에 삼각대(40)고정공(13)가 형성된 커버(11)와;
본체 공간부(3)의 바닥 일측에 설치된 수평표시부(14)로 이루어진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1)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 조절부는 고정판(4)의 좌우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표시눈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일면에 가이드홈(16)이 형성되고 고정판(4)의 안내돌기(17)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가이드홈 상부 테두리에 요홈(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은 거리 조절부(7)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기준 표시부(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은 저부에 일체로된 이동부재(6a)가 형성되고 이동부재 양측에는 통공(6)(6b)이 형성되어 본체의 공간부(3)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봉(9)(9a)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 구성한다.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봉(9b)은 볼트부(21)로 형성되고 일측단에 이동조절부(20)가 구비되어 고정판(4)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바닥일측에 너트공(22)이 형성되어 커버(11)의 고정공(13)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봉은 양측단 저면에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커버(11)의 지지대(12)가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봉은 그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지지대는 상단부가 내측으로 받침턱(23)이 형성되어 가이드봉(9)(9a)(9b)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장치(1)의 본체(2) 저면 커버(11)에 형성된 고정공(13)를 통하여 통상의 삼각대(40)를 고정한다. 이때 삼각대(40)의 고정볼트(5)는 커버의 고정공(13)에 끼워진 바닥의 너트공(22)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장치(1)를 삼각대에 고정한 후에는 가이드봉(9)에 통공(6)이 끼워진 고정판(4)에 디지털 카메라(30)를 고정볼트(5)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4)에 디지털카메라(30)를 고정한 후에는 삼각대를 이용하여 디지털카메라가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되 이때 수평은 본체의 공간부(3) 일측에 형성된 수평 표시부(14)의 기포를 보고 디지털카메라가 수평이 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수평 표시부(14)는 기포가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삼각대의 수평조절부(도시없음)를 이용하여 본체(2)가 수평이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판은 본체와 수평이 되도록 가이드봉(9)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본체를 삼각대로부터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면 고정판(4) 위에 설치된 디지털 카메라 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를 고정장치(1)에 수평으로 설치한 후에는 고정판을 왼쪽 방향으로 최대한 밀면 디지털카메라가 고정장치의 왼쪽에 위치하고 고정장치에 형성된 기준 표시부(19)가 거리조절부(7)의 L자에 일치되도록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4)을 이동시켜 디지털카메라(30)가 본체(2)의 거리조절부(7)의 좌측 L자 눈금이 일치하도록 이동시킨 다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물인 피사체를 촬영한다.
상기와 같이 피사체 촬영한 후 고정장치(1) 본체(2)의 일측 가이드봉(9)에 끼워진 고정판(4)을 우측으로 밀면 디지털카메라가 고정된 고정판(4)은 가이드봉(9)을 따라서 일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사용자는 고정판의 일면에 형성된 기준 표시부(19)가 거리조절부(7)의 표시눈금(15)이 좌측 r자 눈금에서부터 최 말단의 우측 R자 눈금까지 중 어느한 눈금과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카메라 이동되는 거리는 촬영되는 물체의 크기와 거리에 따라서 달라진다.
상기 본체의 거리 조절부(7)의 좌측 L자 눈금에서부터 우측최단의 R자 누금까지의 거리는 6.5㎝의 거리로 설정된 것이다.
이렇게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물체를 촬영후 우측으로 일정거리 만큼 이동후 물체를 다시 촬영하여 이를 컴퓨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림자가 발생되도록 합성한다.
즉, 촬영된 물체의 우측에 동일한 물체의 우측 부분이 이중으로 보이도록 합성하여 사진을 인화 한다.
상기와 같이 사진촬영된 물체의 우측에 그림자 처럼 소정의 간격으로 물체 우측부분만 촬영된 사진을 입체안경(편광안경 또는 적청안경, 셔터글라스)으로 보면 입체사진이 되도록 한 것이다.
즉, 촬영된 사진은 인체 합성프로그램을 통하여 좌우 영상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여 입체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보면 평면으로 보이고, 입체안경을 착용하고 보면 사진속의 물체가 실제 사물과 같은 동영상의 입체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입체 동영상 화면으로 보기 위해서는 디지털사진기로 물체(피사체)를 촬영할 때 1차 촬영후 우측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시킬 때 상하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우측으로 이동하여야 만 차후 합성된 물체의 사진이 선명하고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촬영시 디지털 사진기의 수평이동을 위해 본체의 전면 길이 발향으로 가이드봉(9)을 설치하고 이의 가이드봉(9)은 디지털사진기(30)를 고정한 고정판(4)의 통공(6)에 끼워져 고정판을 원하는 방향으로 밀면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판(4)의 통공(6)은 내부에 부싱(6')이 끼워져 가이드봉(9)을 따라서 이동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판(4)이 가이드봉(9)에서 부드럽게 이도록되도록 설게하더라도 가이드봉(9)이 수평상태를 유지 하고 있으므로고정판(4)은 임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도면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카메라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체의 전면 가장자리의 거리 조절부(7)측 상부에 가이드봉(9)을 설치하고 이의 가이드봉(9)에는 고정볼트(5)가 구비된 고정판(4)의 통공(6) )이 끼워진 구성이며, 거리조절부(7)는 전방으로 돌출부(8)를 갖고 돌출부(8) 상면에는 표시눈금(15)과 일치되도록 좌측에 L자가 가표기되고 우측으로 다수의 r자가 표기되고 우측의 가장자리에는 R자가 표기된 것이다.
상기 r자는 짧은 거리를 나타낸 것이고 R자는 큰 거리를 나타낸것이다.
또한 고정판의 통공(6)외면에는 기준표시부(19)가 형성되어 디지털카메라의 이동거리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체의 공간부 바닥 일측에는 수평표시부(14)가 형성되어 본체를 수평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체의 가이드봉(9)이 설치된 반대의 테두리 일측에는 요홈(18)이 형성되어 디지털카메라를 고정판(4)에 장착시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고정판을 가이드홈(16)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고정판(4)은 가이드봉(9)을 축으로하여 상부로 들어 올려져 고정판 저부의 고정볼트(5)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다른 고정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거리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체(2)의 전면에 구비된 거리조절부(7)로서 돌출부(8)와 표시눈금(15),고정판(4)에 형성된 기준표시부(19)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고정판이 가이드봉(9)을 따라서 이동시 이동되는 것이를 나타낼 수 있도록 기준표시부(19)가 거리조절부(7)에 형성된 표시눈금(15)을 가리킬 수 있도록 한것이다.
또한 가이드봉 양측 단부의 저면은 걸림턱(24)이 형성되도록 절삭되에 본체의 저부에 결합되는 커버(11) 양측에 돌출된 지지대(12)가 끼워져 가이드봉(9)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 바닥 상면에 부착되는 미장패널(10), 본체 바닥 저부에 결합되는 커버(11), 본체 전면 거리조절부(7)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9), 가이드봉(9)에 끼워지는 고정판(4)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본체는 공간부 바닥에 알루미늄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미장패널(10)을 부착하여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저부에는 커버(11)를 결합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는 동시에 커버의 양측에는 지지대(12)가 형성되어 본체의 바닥으로 끼워져 가이드봉 양측단의 절삭된 걸림턱(24)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미장패널은 공간부 바닥에 형성되는 수평표시부(14)가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되어 있다. 또한 커버는 바닥의 일측에 형성되어 삼각대와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너트공(22)이 끼워지도록 고정공(13)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커버를 바닥에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의 공간부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판(4)의 안내돌기(17)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6)일측에는 요홈(18)이 형성되어 고정판의 안내돌기(17)가 요홈(18)을 통하여 인입출되도록 함으로서 고정판에 디지털카메라를 장착 또는 분리시 고정판 저부의 고정볼트(5)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판(4)를 가이드봉에 끼워지도록 된 통공 측의 외면 즉, 기준표시(19)측에 홈이 형성되고 이의 홈에는 다수의 환형돌기가 형성되어 고정판을 가이드봉에서 슬라이딩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4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평면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고정장치(1)의 거리조절부(7), 수평표시부(14), 고정판(4), 가이드봉(9)의 연결 구성을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며,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단면 구성도로서, 고정판 일측에 형성된 안내 돌기(17)와 가이드홈(16)의 연결 구성과 고정판(4)과 고정볼트(5), 바닥의 미장패널(10)과 커버(11)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가드봉이 다수 설치된 상태의 고정장치 평면 구성도로서, 본체의 공간부 내에서 이동되는 고정판은 저부에 일체로된 이동부재(6a)가 형성되고 이동부재(6a) 양측에는 통공(6)(6b)이 형성되어 본체의 공간부(3)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봉(9)(9a)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 구성한 것이다.
즉, 본체의 공간부 바닥을 깊게하여 고정판(4)과 일체로 형성되어 저부에 위치하는 이동부재(6a)를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한 후 이동부재(6a) 양측단에 부싱(6')을 갖는 통공(6)(6b)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판 저부 이동부재의 양측 통공이 끼워지도록 본체의 공간부에는 일측의 가이드봉은 상기 도1 내지 도4b의 가이드봉(9)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구조로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일측에는 바닥에 근접되도록 가이드봉(9a)을 설치하여이동부재(6a)의 통공(6b)이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판(4)이 죄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의 일측 저부에 형성되는 안내돌기(17)와 본체 테두리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6)은 구성되지 않고 바닥부에 근접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봉(9a)이 대체되어 고정판(4)을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2)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봉(9)(9a)을 두개 이상설치하여 고정판(4)을 설치할 수 있으나 이는 구성만 복잡하고 부품의 가격만 상승시키게 됨으로서 가이드봉은 두개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b는 도5a에 따른 단면 구성도로서 상기 도5a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측면에서 본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 단면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가이드봉을 다수 설치하여 이동부재(6a)가 끼워지도록 한 고정판(4)의 경우에는 고정판을 상부로 들어 올릴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은 대신에 공간부(3)의 바닥과 고정판 저부에 위치하는 고정볼트(5)와의 높이 차이가 발생되므로 디지털카메라를 고정판에 탈부착하는데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는다.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가이드봉이 나사부로 형성된 상태의 평면구성도로서,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봉(9b)에 볼트부(21)를 형성하고 가이드봉 일측 단부의 외면에는 이동조절부(20)를 구비시켜 고정판(4)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고정판에 고정된 디지털카메라를 이동시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때 일측의 이동조절부(20)를 돌리면 고정판(4)이 가이드봉(9b)에 형성된 볼트부(21)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하게된다.
상기 고정판은 통공(6) 내부에 너트가 형성되어 가이드봉(9b)의 볼트부(21)와 결합되므로 이동조절부(20)의 조작에 따라서 고정판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가이드봉과 지지대의 연결구성도로서, 상기 커버(11)의 지지대(12) 상단부 내측면이 절곡되도록 절삭시켜 받침턱(23)을 형성함으로서 가이드봉의 양측 단부가 받침턱(23) 부분에 끼워지 고정되록한 것이다.
이때 가이드봉(9b)의 양측단은 절삭되지 않아 걸림턱(24)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도8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를 통상의 삼각대에 결합한 상태의 예시도로서, 디지털카메라, 고정판, 삼각대의 경합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9은 본 고안의 디지털카메라로 촬영된 피사체의 입체사진 투시각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피사체를 촬영한 사진으로는 투시각도를 나타낸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하우징부에 거리조절표시부를 형성함으로서 피사체를 촬영시 미들영상을 다양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따라서 미들영상은 사진(50)은 피사체의 좌우영상 사이의 수많은 미들영상들을 촬영하여 입체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사진을 3d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한 것이다.
상기 피사체를 좌우촬영하여 합성프로그램으로 합성한 후 사진을 인화하여사징 전면에 일면이 반구형태의 돌기를 갖는 패널(51) 또는 투시와 불투시창이 형성된 필림(51)을 위치시켜 무안경 방식으로 투시할 경우 입체 영상으로 보이도록 한 것이다.
상기 좌우사이의 수많은 미들영상으로 피사체가 촬영되어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의해 합성된 사진은 도9와 같이 다양한 각도에서 투시할 경우 투시하는 위치에 따라서 입체적으로 보이도록한 것이며 마치 영상화면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가이드봉을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고정판의 통공을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각형 가이드봉과 사각형통공의 작용 효과는 상기에서 설명한 원형의 가이드봉과 원형의 통공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장치는 본체에 가이드 봉을 설치함으로서 고정판에 고정된 디지털카메라를 이동시 상하 움직임 없이 수평으로만 정확하게 이동함으로서 피사체의 좌우촬영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디지털카메라의 이동되는 거리를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리조절부를 형성함으로서 수 많은 미들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피사체의 좌우 영상은 촬영한 사진을 공급함으로서 평면사진을 입체사진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입체영상 사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0)

  1. 디지털 카메라(30)를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볼트(5)를 갖는 고정판(4)과;
    일면에 돌출부(8)로 이루어진 거리조절부(7)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3)로 이루어진 본체(2)와;
    본체(2) 일면에 형성된 거리조절부(7)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측단부가 지지대(12)에 고정되어 고정판(4) 일측 통공(6)에 끼워진 가이드봉(9)과;
    본체의 공간부(3) 바닥 상면에 미장패널(10)이 고정되고 저면에 삼각대(40)고정공(13)가 형성된 커버(11)와;
    본체 공간부(3)의 바닥 일측에 설치된 수평표시부(14)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절부는 고정판(4)의 좌우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표시눈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면에 가이드홈(16)이 형성되고 고정판(4)의 안내돌기(17)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가이드홈 상부 테두리에 요홈(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거리 조절부(7)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돌기를 갖는 기준 표시부(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저부에 일체로된 이동부재(6a)가 형성되고 이동부재 양측에는 통공(6)(6b)이 형성되어 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봉(9)(9a)이 끼워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봉(9b)은 볼트부(21)로 형성되고 일측단에 이동조절부(2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은 양측단 저면에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커버(11)의지지대(12)가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양측에 형성된 지지대 상단부가 내측으로 받침턱(23)이 형성되어 가이드봉(9)(9a)(9b)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은 그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KR20-2004-0015864U 2004-06-07 2004-06-07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KR200361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864U KR200361942Y1 (ko) 2004-06-07 2004-06-07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864U KR200361942Y1 (ko) 2004-06-07 2004-06-07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942Y1 true KR200361942Y1 (ko) 2004-09-14

Family

ID=4943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864U KR200361942Y1 (ko) 2004-06-07 2004-06-07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9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176B1 (ko) * 2013-05-01 2014-08-20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취득용 다관절 카메라 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176B1 (ko) * 2013-05-01 2014-08-20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취득용 다관절 카메라 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8139A1 (ja) 立体映像撮像装置
WO2018017622A1 (en) Camera apparatus and methods which allow for filters to be used
US9118824B2 (en) Prompting apparatus
KR100972572B1 (ko) 양안식 입체영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카메라 장착 장치
JP2005024629A (ja) 立体カメラ用雲台装置
JPH11160815A (ja) 2台のカメラによる立体写真撮影装置
TWM521202U (zh) 以線性及旋轉同步連動之攝影旋轉調校裝置
CN205334051U (zh) 一种具有卡合座的双镜头光学摄像系统
KR200361942Y1 (ko) 디지털 카메라 수평이동 조절장치
US5565947A (en) Framing apparatus for a camera
KR100944214B1 (ko) 도브테일 방식을 이용한 파노라마 촬영 장치
EP2378357A1 (en) Apparatus for moving stereo imaging lens and method for digital stereo projection
US10356330B1 (en) Small, rugged, covert outdoor PTZ camera with concentric square, pan-tilt movement and tracking photo sensors
JP3875658B2 (ja) ステレオ写真撮影装置
US4999657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aking portraits
CN110888283A (zh) 调焦器
KR20060069387A (ko) 영상촬영장치
Wildi The Hasselblad Manual
CN110888284A (zh) 对焦点移动调节装置
CN220775952U (zh) 一种水下摄影装置
KR200345084Y1 (ko) 파노라마촬영 카메라의 지지대 구조
CN221125309U (zh) 自助照相设备和自助拍照屋
KR200362033Y1 (ko) 다목적 영상촬영 장치
JP2006251228A (ja) 複眼撮影装置
KR101715721B1 (ko)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