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926Y1 - 도배용 발판 - Google Patents

도배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926Y1
KR200361926Y1 KR20-2004-0010170U KR20040010170U KR200361926Y1 KR 200361926 Y1 KR200361926 Y1 KR 200361926Y1 KR 20040010170 U KR20040010170 U KR 20040010170U KR 200361926 Y1 KR200361926 Y1 KR 200361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footrest
scaffolding
support ba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섭
Original Assignee
김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섭 filed Critical 김만섭
Priority to KR20-2004-0010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27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for removing wall pap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발판부와, 이 발판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각부가 힌지절첩되어 휴대보관이 용이하고, 발판부의 양단으로 발판연장부를 형성하여 발판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발판부의 중앙하부에 보조각부를 구비하여 길이가 긴 발판부 상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도배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배용 발판은 발판부(1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각부(120)로 이루어지는 도배용 발판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는 복수의 발판부(110)를 가운데서 힌지(112)로 연결하여 절첩가능하게 하고, 이 힌지(112)의 일측에는 돌출핀(118)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돌출핀(118)에 걸려지는 안전고리(116)를 형성하여 발판부(110)가 중앙부분에서 절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배용 발판{WORKTABLE FOR PAPERING}
본 고안은 도배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발판부와 발판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각부가 힌지절첩되어 휴대보관이 용이하고, 발판부의 양단으로 발판연장부를 형성하여 발판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발판부의 중앙하부에 보조각부를 구비하여 길이가 긴 발판부 상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도배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천장에 마련된 형광등을 교체하거나 혹은 천장에 별도의 시설물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를 밟고 올라서서 작업을 하거나 혹은 의자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방안과 천장에 도배를 할 경우라면 폭이 좁은 의자나 사다리만으로는 그 작업이 상당히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에, 도배공들의 경우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길게 제조된 받침대를 놓고 이 받침대 위에 올라서서 이동하면서 도배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받침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받침대는 가로방향을 따라 길게 제조된 긴 판상의 디딤판(410)과, 디딤판(410)의 양측에 마련되어 디딤판(410)을 지면에 대해 지지시키는 한편 디딤판(410)에 대해 접철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420)를 갖는다.
각 다리부(420)와 디딤판(410) 사이에는 다리부(420)를 디딤판(410)에 대해 지지 및 접철시키는 수단으로 접철부(440)가 형성되어 있다. 접철부(440)는 한 쌍의 다리부(420)를 잇는 지지바(430)에 그 일단이 고정된 제1링크(441)와, 일단부가 디딤판(410)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링크(441)와 힌지(443)결합된 제2링크(442)를 갖는다.
이에, 접철부(440)를 접고 한 쌍의 다리부(420)를 디딤판(410)의 하부를 향해 접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받침대를 휴대할 수 있다. 받침대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접철부(440)의 제1 및 제2링크(441,442)가 상호 일직선이 되도록 펴서 다리부(420)가 디딤판(410)에 대해 거의 직각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면에 배치해서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받침대에 있어서는, 디딤판의 길이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방이나 거실의 작업을 위해서는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받침대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디딤판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다리를 절첩하여도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휴대가 불편하며, 길이가 긴 디딤판이 작업자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부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작업중 디딤판이 출렁거려 작업자가 작업중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뿐만아니라, 일정한 길이를 갖는 디딤판으로 넓은 벽면등의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중 수시로 디딤판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발판부가 각부와 함께 절첩되어 휴대보관이 용이하고,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배용 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발판부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발판부의 단부에 발판연장부를 인출가능게 관삽하여 한번의 설치로 넓은 공간을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중 수시로 도배용 발판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도배용 발판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길이가 긴 발판부의 중앙하부에 보조각부를 형성하여 발판부의 중앙을 지지하여 발판부의 출렁거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으며, 이와 함께 이 보조각부가 발판부 양단을 지지하는 각부와 함께 절첩되게 함으로써 절첩시 최소공간만을 차지하게 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도배용 발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은 발판부를 지지하는 각부 및 보조각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환경에 따라 유효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경사면이나 계단등 고저차이가 있는 바닥면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배용 발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도배용 발판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발판연장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b의 "A"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보조각부의 발췌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보조각부의 분해사시도,
도 5a, 5b, 5c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절첩작용도,
도 6a, 6b, 6c는 도 5a의 "B"부분의 작용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발판연장부의 인출상태도,
도 8a, 8b는 도 7의 "C"부분의 작용단면도,
도 9a, 9b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높이조절 작용도이며,
도 10a, 10b, 10c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다른 실시예의 절첩작용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발판부 112:힌지 116:안전고리 118:돌출핀
120:각부 122:지지각 124:가로바 126:힌지축
130:보조각부 132:지지각 134:가로바 136:힌지축
140:지지바 142:상부지지바 144:하부지지바 146:안전클립
150:발판연장부 152:고정공 154:돌출핀 160:스토퍼
162:탄성스프링 164:고정핀 170:높이조절수단 172:연장바
174:작용핀 176:탄성스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은 발판부의 양단에 각각설치되는 한쌍의 각부로 이루어지는 도배용 발판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는 복수의 발판부를 가운데서 힌지로 연결하여 절첩가능하게 하고, 이 힌지의 일측에는 돌출핀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돌출핀에 걸려지는 안전고리를 형성하여 발판부가 중앙부분에서 절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발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상기 각부는 상기 발판부의 양단에서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은 상기 발판부의 저면 중앙으로 발판부의 중앙부분을 지지함과 아울러 그 높이가 조절되는 보조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의 저면과 상기 보조각부사이에 상기 발판부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지지바와, 상기 상부지지바의 하단과 보조각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지지바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부지지바와 하부지지의 지지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은 상기 각부 및 보조각부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삽입공이 다수 형성되어 각부의 하방으로 인출/관삽되는 연장바를 형성하고, 이러한 각부의 사이에는 고정핀과 판상 손잡이를 형성한 작용핀이 양측에서 상기 삽입공을 향해 잠금/해제되도록 저면의 개구공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탄성부재와 함께 탄설된 가로바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상기 발판부는 그 외측방향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입구측에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이 수용공간으로 관삽/인출되도록 측면 고정공을 다수형성한 발판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발판부의 통공 측부에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2a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발판연장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b의 "A"부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보조각부의 발췌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보조각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은 크게 중앙이 힌지결합되어 절첩되는 발판부(110)와, 상기 발판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각부(120)와, 상기 발판부의 중앙을 지지하는 보조각부(130)와, 상기 보조각부(130)의 지지상태를 고정시키는 지지바(140)와, 상기 발판부(110)의 외측단부로부터 인출가능하게 삽입되는 발판연장부(150)와, 이 발판연장부(150)의 인출길이를 고정시키는 스토퍼(160)와, 각부와 보조각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판부(110)는 중앙이 분리된 발판부(110)를 힌지(112)로 연결하여 절첩가능하게 하고, 양단부 내측으로 수용공간(111)을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후술할스토퍼(160)의 고정핀(164)이 삽입되는 통공(11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힌지(112)의 일측에는 돌출핀(118)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돌출핀(118)에 걸려지는 안전고리(116)를 형성한다.
상기 각부(120)는 상기 발판부(110)의 단부에 힌지축(12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각(122)과, 이 지지각(122)을 연결하는 가로바(124)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축(126)의 측부에는 각부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고리(128)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각부(130)는 상기 발판부(110)의 중앙하부에 고정되어 발판부(1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힌지축(13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각(132)과 이 지지각(132)을 연결하는 가로바(13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각부(120)와 보조각부(130)의 지지바(122,132)의 내측면으로는 통공(122a,132a)이 형성되고, 가로바(124,134) 내측으로는 개구공(124b,134b)이 형성된 대략 "C"형 단면을 갖는 안내홈(124a,134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140)는 상기 보조각부(130)가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부(110)의 저면과 상기 보조각부(130)를 연결시켜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발판부(110)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지지바(142)와, 일단이 상기 보조각부(130)의 가로바(13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지지바(142)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대략 "ㄷ"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부지지바(144)로 이루어져 보조각부(130)의 절첩과 함께 연동하면서 절첩된다. 또한, 지지바(140)의 지지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지지바(144)의 상단에 연장편(144a)을 형성하고, 상부지지바(142)의 외측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연장편(144a)을 고정하는 안전클립(146)을 구비한다.
상기 발판연장부(150)는 상기 발판부(110)의 외측단부를 통해 수용공간(111)으로 인출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공(152)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각부(120)의 안전고리(128)가 걸려지는 돌출핀(154)을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발판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114)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스프링(162)과 이 탄성스프링(16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고정핀(1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70)은 길이방향으로 삽입공(172a)이 다수 형성되어 각부(120) 또는 보조각부(130)의 지지각(122,132)하단으로 삽입되는 연장바(172)와, 선단에 고정핀(174a)을 형성하고 그 후방에 손잡이(174b)를 형성하여 고정핀(174a)이 연장바(172)의 삽입공(172a)을 향하도록 각부(120) 및 보조각부(130)의 가로바(124,134) 내측에 형성된 안내홈(124a,134a)에 삽입되는 작용핀(174)과, 상기 작용핀(17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176)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5a, 5b, 5c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절첩작용도이고, 도 6a, 6b, 6c는 도 5a의 "B"부분의 작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은 중앙이 분리된 발판부(110)가 힌지(112)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러한 발판부(110)의 양단에 발판부(110)를 지지하기 위한 각부(120)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부(110)의 저면중앙으로는 발판부(1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각부(13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보조각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바(140)가 발판부(110)의 저면과 보조각부(130) 사이에 절첩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발판부(110)의 힌지(112)와, 발판부(110)의 양단을 지지하는 각부(120) 및 발판연장부(150)에는 돌출핀(118,154)과 안전고리(116,128)가 각각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돌출핀(118,154)에 안전고리(116,128)가 걸려지게 함으로써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각 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중앙이 힌지고정된 지지바(140)의 상부지지바(142)와 하부지지바(144)는 펼쳐진 상태에서 보조각부(130)를 지지함에 있어서 상부지지바(142)상을 슬라이딩하는 안전클립(146)이 하부지지바(144)의 상단에 연장형성된 연장편(144a)을 상부지지바(142)에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바(140)의 지지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도배용 발판은 휴대 및 보관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발판부(110)의 중앙이 힌지(112)에 의해 절첩되고 이 발판부(110)의 양단을 지지하는 각부(120)가 힌지축(12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발판부(110)의 외측으로 회동하면서 절첩되며, 발판부(1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보조각부(130)역시 힌지축(13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절첩된다.
이때, 상기 보조각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바(140)역시 보조각부(130)와 함께 절첩되도록 상부지지바(142)와 하부지지바(144)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 상부지지바(142)는 일단이 발판부(110)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각부(130)의 가로바(13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하부지지바(144)의 상단에 힌지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펼쳐진 상태로부터 발판부(110)가 절첩될 때 상부지지바(142)와 하부지지바(144)의 연결부분이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절첩되며, 하부지지바(144)의 단면이 대략 "ㄷ"형으로 형성되어 절첩시 하부지지바(144)의 내측으로 상부지지바(142)가 수용된다.
첨부도면중 도 7은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발판연장부의 인출상태도이고, 도 8a, 8b는 도 7의 "C"부분의 작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은 발판부(110)의 내측 수용공간(111)에 외측단부를 통해 인출가능하도록 관삽된 발판연장부(150)를 작업공간의 넓이에 따라 인출 또는 삽입시켜 발판의 길이를 조절한 뒤 설치함으로써 작업중 수시로 발판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함과 아울러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발판부(110)의 일측에 고정된 스토퍼(160)의 탄성스프링(162)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고정핀(164)이 발판부(110)의 통공(114)을 통해 상기 발판연장부(15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공(152)에 삽입되게 하여 발판부(110)로부터 인출된 발판연장부(150)의 인출길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발판연장부(150)에 의해 길이가 연장되는 발판부(110)는 그 길이가 길어질 수록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발판부(110)가 출렁거리거나 하부로 휘어져 작업시 위험도가 커지는데, 이 발판부(110)의 중앙하부에 보조각부(130)를 통해 발판부(110)의 중앙하부를 지지하여 발판의 길이를 연장했을 때에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보조각부(130)가 발판부(110)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바(140)를 구비하여 보조각부(130)의 임의절첩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도가 크게 향상된다.
뿐만아니라 작업공간의 좁고 넓음등의 작업환경에 따라 발판연장부(150)를 통해 유효적절하게 대응하여 한번의 설치로 비교적 넓은 공간까지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로인해 작업중 잦은 발판의 이동설치의 불편함을 해소시켜 작업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킨다.
첨부도면중 도 9a, 9b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높이조절 작용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은 발판부(110)를 지지하는 각부(120) 및 보조각부(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환경에 유효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경사면이나 계단등 바닥면의 높이가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9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바(124,134)의 안내홈(124a,134a)에는 중앙에 탄성스프링(176)이 삽입되고, 이 탄성스프링(176)의 양측으로는 선단에 고정핀(174a)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손잡이(174b)가 형성된 작용핀(174)이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있는데, 이 작용핀(174)의 고정핀(174a)이 지지각(122,132)의 내측면에 형성된 통공(122a,132a)을 통해 지지각(122,132)의 하단으로 인출가능하게 삽입되어있는 연장바(172)의 삽입공(172a)에 삽입되어 이 연장바(172)가 지지각(122,132)에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가로바(124,134)의 안내홈(124a,134a)은 대략 "C"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이 안내홈(124a,134a)으로 작용핀(174)의 삽입봉(174a)이 삽입되면서 안내홈(124a,134a)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공(124b,134b)을 통해 작용핀(174)의 손잡이(174b)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다. 이때, 상기 작용핀(174)의 고정핀(174a)은 개구공(124b,134b)의 크기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안내홈(124a,134a) 내에서 개구공(124b,134b)을 통해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지지각(122,132)에 고정되어있는 연장바(172)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바(124,134)의 안내홈(124a,134a)에 삽입되어 탄성스프링(176)에 의해 탄지되는 작용핀(174)의 손잡이(174b)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작용핀(174)의 고정핀(174a)이 연장바(172)의 삽입공(172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면 연장바(172)가 지지각(122,132)의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고정핀(174a)으로부터 고정해제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워진 연장바(172)를 삽입 또는 인출시켜 원하는 높이로 맞춘후 후방으로 잡아당긴 작용핀(174)의 손잡이(174b)를 놓으면 작용핀(174)이 후방에 위치하는 탄성스프링(176)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작용핀(174)의 고정핀(174a) 선단이 지지각(122,132)의 통공(122a,13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바(172)의 면부에 접하게 되는데, 이때, 연장바(172)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고정핀(174a)과 근접한 연장바(172)의 삽입공(172a)이 일치되는 순간 상기 작용핀(174)의 고정핀(174a)이 연장바(172)의 삽입공(172a)으로 삽입되어 지지각(110)에 연장바(172)가 고정된다.
첨부도면중 도 10a, 10b, 10c는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다른 실시예의 절첩작용도이다.
상기의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의 다른 실시예는 힌지(112)에 의해 절첩되는 발판부(110)와, 이 발판부의 양단에 인출가능하도록 삽입된 발판연장부(150)와, 이 발판연장부(150)의 단부에 힌지축(12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발판부(110)의 내측으로 절첩되는 각부(120)와, 상기 발판부(110)의 중앙하부에 힌지축(13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보조각부(130) 및, 이 보조각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바(140)로 구성되어, 각 부재들이 펼쳐진 상태로 사용되고, 휴대보관시 최소공간을 차지하도록 각 부재들이 절첩되며, 펼쳐진 상태로부터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고리(116,128) 및 안전클립(146)으로 각각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즉, 보조각부(1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140)가 상부지지바(142)와 하부지지바(144)의 힌지연결부위에 체결되어있는 안전클립(146)을 해제시킨 뒤 절첩시키면, 이 상부지지바(142)와 하부지지바(144)의 절첩과 연동하여 발판부(110)가 힌지(112)를 중심으로 절첩된다. 또한, 발판부(110)의 양단에 고정된 각부(120)가 발판연장부(150)와 연결된 힌지축(126)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발판부(110) 내측을향해 절첩되어 최소공간만을 차지하도록 절첩되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은 각 부재들이 절첩되어 최소공간만을 차지하게 되므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펼쳐진 상태로부터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부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발판부의 단부에 발판연장부를 인출가능게 관삽하여 한번의 설치로 넓은 공간을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중 수시로 도배용 발판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가 긴 발판부의 중앙하부에 보조각부를 형성하여 발판부의 중앙을 지지하여 발판부의 출렁거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 도배용 발판은 발판부를 지지하는 각부 및 보조각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환경에 따라 유효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경사면이나 계단등 고저차이가 있는 바닥면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발판부(1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각부(120)로 이루어지는 도배용 발판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는 복수의 발판부(110)를 가운데서 힌지(112)로 연결하여 절첩가능하게 하고, 이 힌지(112)의 일측에는 돌출핀(118)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돌출핀(118)에 걸려지는 안전고리(116)를 형성하여 발판부(110)가 중앙부분에서 절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부(120)는 상기 발판부(110)의 양단에서 힌지축(12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10)의 저면 중앙으로 발판부(1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함과 아울러 그 높이가 조절되는 보조각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발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10)의 저면과 상기 보조각부(130)사이에 상기 발판부(110)의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지지바(142)와, 상기 상부지지바(142)의 하단과 보조각부(13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지지바(144)로 이루어지는 지지바(1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발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40)는 상부지지바(142)와 하부지지(144)의 지지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클립(14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발판.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각부(120)및 보조각부(130)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삽입공(172a)이 다수 형성되어 각부(120)(130)의 하방으로 인출/관삽되는 연장바(172)를 형성하고, 이러한 각부(120)(130)의 사이에는 고정핀(174a)과 판상 손잡이(174b)를 형성한 작용핀(174)이 양측에서 상기 삽입공(172a)을 향해 잠금/해제되도록 저면의 개구공(124b,134b)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탄성부재(176)와 함께 탄설된 가로바(124,13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발판.
  7.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10)는 그 외측방향으로 개구된 수용공간(111)을 형성하고, 수용공간(111)입구측에는 스토퍼(160)를 설치하여 이 수용공간(111)으로 관삽/인출되도록 측면 고정공(152)을 다수형성한 발판연장부(1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발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발판부(110)의 통공(114) 측부에 탄성스프링(162)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고정핀(1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발판.
KR20-2004-0010170U 2004-04-13 2004-04-13 도배용 발판 KR200361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170U KR200361926Y1 (ko) 2004-04-13 2004-04-13 도배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170U KR200361926Y1 (ko) 2004-04-13 2004-04-13 도배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926Y1 true KR200361926Y1 (ko) 2004-09-14

Family

ID=4943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170U KR200361926Y1 (ko) 2004-04-13 2004-04-13 도배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9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992B1 (ko) 절첩식 작업대
DK2870314T3 (en) FOLDING LADDER
US2194856A (en) Ladder
AU2001294591B2 (en) Adjustable ballet bar exercise device
US6296304B1 (en) Inclined back support arrangement for folding furniture
EA012890B1 (ru) Складн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лестница
CA2449775C (en) Collapsible scaffolding tower
KR20170035530A (ko) 접이식 발판사다리
AU2002311439A1 (en) Collapsible scaffolding tower
KR200361926Y1 (ko) 도배용 발판
KR100899226B1 (ko) 작업대
KR102428437B1 (ko) 공사용 비계
AU729484B2 (en) Variable height fold and roll staging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0267160B1 (ko) 접철식 의자
KR20140083533A (ko) 비상 사다리 겸용 의자
KR100714993B1 (ko) 절첩식 작업대
KR102381438B1 (ko) 말비계 겸용 a자형 안전사다리
JP7129817B2 (ja) 組立式のテーブル
KR100610763B1 (ko) 사다리 겸용 탁자
CN220551052U (zh) 一种新型晾衣梯
KR20090005670U (ko) 입식 좌식 겸용 테이블
KR200450788Y1 (ko) 접이식 책상
CN211882717U (zh) 一种新型折叠桌
US11612242B2 (en) Support device for countertops
KR100905091B1 (ko) 접철식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