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843Y1 -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843Y1
KR200361843Y1 KR20-2004-0016577U KR20040016577U KR200361843Y1 KR 200361843 Y1 KR200361843 Y1 KR 200361843Y1 KR 20040016577 U KR20040016577 U KR 20040016577U KR 200361843 Y1 KR200361843 Y1 KR 200361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ifting
elevating
stan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근
Original Assignee
삼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6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8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Abstract

본 고안은 스탠드 바디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 이면과 전면 상단부에 형성된 절곡부의 이면에 각각 형성되는 돌부에 의해 스프링 걸림부에 수용되어 감기거나 풀리는 태엽 스프링와 승강 스프링 바디의 전면을 압박하고, 스프링 걸림부의 양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롤러 지지벽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롤러에 의해 태엽 스프링의 중심 내경부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된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태엽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승강 지지 바디가 일정한 폭으로 상승한 후 멈춰져 액정 모니터의 높이가 실제의 최대 한도로 낮춰지지 않는 종래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부품 제작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극에 의해 스탠드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승강 지지 바디가 고정된 승강 스프링 바디가 전후좌우로 유동하여 액정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이 불안정해지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RISING AND FALLING STAND DEVICE OF LCD MONITORS}
본 고안은 액정(LCD) 모니터의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액정 모니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는 스탠드 베이스(10)와; 상기 스탠드 베이스(10)에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전면 상단부와 배면 하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배면 상단 커버(21)에 길이 방향의 승강 안내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상단부에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상단과 수평을 유지하는 스프링 고정 구멍(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전면 상단부의 양측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절곡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스탠드 바디(20); 배면 상단의 힌지 장착부(31)에 액정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액정 모니터가 앞뒤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되고, 배면 하단에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승강 안내 구멍(22)을 따라서 승강하면서 승강 구간을 제한하는 승강 멈춤쇠(40)가 끼워지는 구멍(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액정 모니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지지 바디(30); 및 ㄷ자형 요부를 제공하는 한쌍의 승강 안내부(51)에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각각의 측면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승강 안내부(51)의 측면에 길이 방향의 스프링 안내 홈(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안내부(51)의 하단부에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에 반발하는 복원력을 구비하고 그 일측 절곡단부(61)가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스프링 고정 구멍(23)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태엽 스프링(60)이 수용되는 스프링 걸림부(53)가 형성되어 있는 승강 스프링 바디(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는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의 스프링 걸림부(53)에 수용되고 그 일측 절곡단부(61)가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스프링 고정 구멍(23)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액정 모니터사용자가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힌지 장착부(31)에 고정된 힌지장치에 앞뒤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액정 모니터를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끌어 올릴 때마다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에 고정된 승강 지지 바디(30)가 승강 스프링 바디(50)와 함께 그 전면 상단부에 절곡부(24)가 형성된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를 따라서 승강한다.
이때,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승강 구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승강 안내 구멍(22)의 길이에 해당하며,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상단(도 2의 a지점)과 하단(도 2의 b지점)에 상기 승강 멈춤쇠(40)가 걸림에 따라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승강 구간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에 고정된 승강 지지 바디(30)가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을 따라서 승강할 때,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의 스프링 걸림부(53)에 수용되는 태엽 스프링(60)은 도 3의 (가)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도 3의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에 반발하는 복원력을 발생하여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승강 위치를 조절한다. 이 경우, 도 3의 a지점과 b지점은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고정되는 승강 스프링 바디(50)의 상승 상한점과 하강 하한점에 해당하며,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복원력은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과 균형(weight balance)을 이루어 상기 액정 모니터 사용자가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액정 모니터를 아래로 눌러 놓은 지점이나 위로 끌어 올려 놓은 지점에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와 같은 대상물을 원위치로 되돌리는 복원력을 구비한 상기 태엽 스프링(60)이 완전히 풀려 중심 내경부의 직경이 최소 한도로 축소되는 경우, 상기 최소 한도로 축소된 중심 내경부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일정한 폭으로 상승한 후 멈춰져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복원력이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과 균형(weight balance)을 이루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승강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승강 안내 구멍(22)의 길이를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 직경이 최소 한도로 축소되었을 때 발생하는 반발력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설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태엽 스프링(60)이 그 중심 내경부의 직경이 최소 한도로 축소될 때까지 완전히 풀려 펴지도록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길이를 설정하였을 경우, 상기 액정 모니터 사용자가 모니터 높이를 최대 한도로 낮추기 위하여 상기 액정 모니터를 아래로 눌러 상기 태엽 스프링(60)이 완전히 풀려 펴지는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하단(도 2의 b지점)까지 승강 지지 바디(30)가 도달하게 하더라도 중심 내경부의 직경이 최소 한도로 축소된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하단(도 2의 b지점)에서 일정한 폭으로 상승한 후 멈춰져 상기 액정 모니터의 높이가 최대 한도로 낮춰지지않는 현상이 나타난다.
둘째로,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의 스프링 걸림부(53)에 수용되는 태엽 스프링(60)이 상기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에 반발하는 복원력을 발생하여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도 3의 (가)와 (나)에 나타낸 a지점과 b지점까지 하강하면서 풀릴 때,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의 스프링 걸림부(53)의 이면에 태엽 스프링(60)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눌려진 상태에서 풀리게 되므로, 상기 스프링 걸림부(53)의 이면에 밀착되는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일부분이 찌그러지는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태엽 스프링(60)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셋째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를 승강 스프링 바디(5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를 그 전면 상단부에 절곡부(24)가 형성된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를 따라서 승강 가능하게 삽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부품 제작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극에 의해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고정된 승강 스프링 바디(50)가 전후좌우로 유동하여 액정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이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 지지 바디가 고정된 승강 스프링 바디가 삽입되어 승강 가능한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그 전면 상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된 스탠드 바디의 상기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 이면과 상기 절곡부의 이면에 각각 형성되는 돌부에 의해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의 스프링 걸림부에 수용되어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의 측면에 형성된 스프링 안내 홈을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는 태엽 스프링을 압박하거나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의 전면을 압박하고, 상기 스프링 걸림부의 양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롤러 지지벽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롤러에 의해 상기 태엽 스프링의 중심 내경부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된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의 승강 지지 바디의 승강 구간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종래의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의 태엽 스프링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따른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롤러 지지벽에 형성된 구멍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의 태엽 스프링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따른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의 태엽스프링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 따른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탠드 베이스 20,20a: 스탠드 바디
30: 승강 지지 바디 40: 승강 멈춤쇠
50,50a,50b: 승강 스프링 바디 60: 태엽 스프링
70,71: 조임 볼트 80: 롤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와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와 비교해 볼 때 전체 구성이 동일하며, 단지 상기 스탠드 바디(20)와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구조가 다음과 같이 변경되고, 상기 태엽 스프링(60)이 감겨지고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롤러(80)가 추가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 바디(20)는 그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 이면과 상기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전면 상단부의 양측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절곡부(24)의 이면에 각각 돌부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는 상기 스프링 걸림부(53)의 양측면에 롤러 지지벽(53a)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롤러 지지벽(53a)에는 구멍(53a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 지지벽(53a)에 형성된 구멍(53a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 지지벽(53a)은 상기 롤러(80)의 고정돌부(81)가 롤러 지지벽(53a)의 하단 측에서부터 구멍(53a1)까지 통과하여 상기 구멍(53a1)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롤러 지지벽(53a)의 하단 측에서부터 상기 구멍(53a1) 쪽으로 향할수록 끝이 점점 줄어드는 형상으로 된 개구부(53a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80)는 양측면 중앙부에 고정돌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스프링 걸림부(53)의 양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롤러 지지벽(53a)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의 롤러 지지벽(53a)에 형성된 구멍(53a1)에 끼워지는 고정돌부(81)에 의해 상기 롤러 지지벽(53a)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에 고정된 승강 지지 바디(30)가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을 따라서 승강할 때,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스프링 걸림부(53)에 수용되는 태엽 스프링(60)은 도 5의 (가)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도 5의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에 반발하는 복원력을 발생하여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승강 위치를 조절한다.
이 경우, 도 5의 a지점과 b지점은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고정되는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상승 상한점과 하강 하한점에 해당하며,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복원력은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과 균형(weight balance)을 이루어 상기 액정 모니터 사용자가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액정 모니터를 아래로 눌러 놓은 지점이나 위로 끌어 올려 놓은 지점에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특히,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도 5의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태엽 스프링(60)은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부(27)에 의해 압박되므로, 상기 태엽 스프링(60)가 완전히 풀려 중심 내경부가 최대 한도로 축소되도록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길이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액정 모니터 사용자가 모니터 높이를 최대 한도로 낮추기 위하여 상기 액정 모니터를 아래로 눌러 상기 태엽 스프링(60)이 완전히 풀려 펴지는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하단(도 2의 b지점)까지 승강 지지 바디(30)가 도달하게 하면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복원력이 상기 돌부(27)의 압박력에 의해 억제되어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는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하단(도 2의 b지점)에서 정상적으로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부(27)에 의해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도 5의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태엽 스프링(60)이 압박되는 동안, 상기 롤러(80)는 각각의 롤러 지지벽(53a)에 형성된 구멍(53a1)에 끼워지는 고정돌부(81)에 의해 상기 롤러 지지벽(53a)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를 상기 롤러(80)의 직경 만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때, 특히 상기 롤러(80)는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스프링 걸림부(53)에 수용되는 태엽 스프링(60)이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도 5의 (가)와 (나)에 나타낸 a지점과 b지점까지 하강하면서 풀릴 때, 상기 고정돌부(81)를 중심축으로 하여 풀리게 함으로써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스프링 걸림부(53)의 이면에 태엽 스프링(60)의 외주면이 직접적으로 밀착되어 눌려짐에 따라서 소성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 결과, 상기 태엽 스프링(60)이 완전히 풀렸을 때 발생하는 반발력이 종래와 같이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를 롤러(80)에 의해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태엽 스프링(60)이 완전히 풀려 중심 내경부의 직경이 최소 한도로 축소되었을 때 발생하는 반발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되므로, 태엽 스프링(60)이 완전히 풀려 중심 내경부의 직경이 최소 한도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일정한 폭으로 상승한 후 멈춰져 상기 액정 모니터의 높이가 최대 한도로 낮춰지지 않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부(27)는 도 5의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상기 태엽 스프링(60)을매개로 하여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승강 안내부(51)의 측면을 압박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각각의 부품 제작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극에 의해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고정된 승강 스프링 바디(50a)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된 절곡부(24)의 이면에 형성된 돌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전면, 예컨대 상기 승강 안내부(51)의 전면을 압박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각각의 부품 제작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극에 의해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고정된 승강 스프링 바디(50a)가 앞뒤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6와 도 7을 참조하면, 도 4a와 도 5를 참조하여 그 작동 과정을 설명한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부(27)와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된 절곡부(24)의 이면에 형성된 돌부(도시하지 않음)는 각각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과 상기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전면 상단부의 양측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절곡부(24)에 각각 조임 볼트(70,71)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25,26)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볼트 구멍(25,26)은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승강 안내 구멍(22)의 상단과 수평을 유지하는 스프링 고정 구멍(23)의 아래쪽에서부터 상기 승강 스프링바디(50a)에 고정된 승강 지지 바디(30)의 승강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하강 하한점(도 7의 b지점)까지의 구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볼트 구멍(25)을 통하여 삽입되는 조임 볼트(70)는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스프링 걸림부(53)에 수용되어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측면에 형성된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는 태엽 스프링(60)을 압박함과 동시에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승강 안내부(51)의 측면도 함께 압박한다.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된 절곡부(24)에 형성된 볼트 구멍(26)을 통하여 삽입되는 조임 볼트(71)는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전면을 압박한다.
상기와 같이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볼트 구멍(25)을 통하여 삽입되는 조임 볼트(70)는,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도 7의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태엽 스프링(60)을 압박함과 동시에, 도 7의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태엽 스프링(6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승강 안내부(51)의 측면을 압박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각각의 부품 제작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극에 의해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고정된 승강 스프링 바디(50a)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된 절곡부(24)에 형성된 볼트 구멍(26)을 통하여 삽입되는 조임 볼트(71)는,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전면, 예컨대 상기 승강 안내부(51)의 전면을 압박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각각의 부품 제작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극에 의해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고정된 승강 스프링 바디(50a)가 앞뒤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도 4a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승강 스프링 바디(50a)와 상기 각각의 승강 스프링 바디(50a)에 수용되어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롤러(80)를 채택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와 달리, 하나의 승강 스프링 바디(50b)와 이 하나의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하단부의 양측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롤러(80)를 채택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너비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도 4a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한쌍의 승강 스프링 바디(50a)를 채택하고, 승강 지지 바디(30a)의 너비가 도 4a와 도 6에 도시된 승강 지지 바디(30)의 너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승강 스프링 바디(50b)를 채택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하나의 승강 스프링 바디(50b)를 채택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의 스탠드 바디(20a)는 스탠드 베이스(10)에 직립된상태로 고정되고, 전면 상단부와 배면 하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배면 상단 커버(21)에 길이 방향의 승강 안내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상단부에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상단과 수평을 유지하는 스프링 고정 요홈(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전면 상단부의 양측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절곡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 지지 바디(30a)는 배면 상단의 힌지 장착부(31)에 액정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액정 모니터가 앞뒤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되고, 배면 하단에 중앙돌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돌부(32a)의 좌우측에 바디 걸림홈(3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는 상기 중앙돌부(32a)에 상기 스탠드 바디(20a)의 승강 안내 구멍(22)을 따라서 승강하면서 승강 구간을 제한하는 승강 멈춤쇠(40)가 끼워지는 구멍(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탠드 바디(20a)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액정 모니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승강 스프링 바디(50b)는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와 롤러(8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형 승강 스프링 바디(50b)이다.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는 측면에 길이 방향의 스프링 안내 홈(52)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 하단부 양측과 배면 하단부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걸림홈(5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는 배면 중앙부에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의 하단 중앙돌부(32a)가 끼워지고 상기 중앙돌부(32a)의 좌우측 바디 걸림홈(32b)이 걸리는 요부(54)가 전면의 이면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의 하단 중앙돌부(32a)가 요부(54)에 완전히 끼워져 걸리면 상기 중공형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되는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는 상기 중공형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내부 공간에 더이상 삽입되지 않고 멈춰진다. 이때,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의 하단부는 상기 중공형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삽입되어 중공형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롤러(80)에 감겨 있는 태엽 스프링(60)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떨어져 있게 된다.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는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에 반발하는 복원력을 구비하고 그 일측 절곡단부(61)가 상기 스탠드 바디(20a)의 스프링 고정 요홈(23a)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태엽 스프링(60)이 하단부의 양측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롤러(80)는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전면 하단부 양측과 배면 하단부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걸림홈(53b)에 끼워지도록 양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돌부(81)에 의해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하단부의 양측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하단부의 양측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승강 스프링 바디(50b)를 채택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에 고정된 승강 지지 바디(30a)가 상기 스탠드 바디(20a)의 전면 상단부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을 따라서 승강할 때,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하단부의 양측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태엽 스프링(60)은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에 반발하는 복원력을 발생하여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의 승강 위치를 조절한다.
이 경우,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복원력은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과 균형(weight balance)을 이루어 상기 액정 모니터 사용자가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액정 모니터를 아래로 눌러 놓은 지점이나 위로 끌어 올려 놓은 지점에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하단부의 양측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태엽 스프링(60)이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는 동안, 상기 롤러(80)는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전면 하단부 양측과 배면 하단부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걸림홈(53b)에 끼워지는 고정돌부(81)에 의해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하단부의 양측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를 상기 롤러(80)의 직경 만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때, 특히 상기 롤러(80)는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하단부의 양측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태엽 스프링(60)이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하강하면서 풀릴 때, 상기 고정돌부(81)를 중심축으로 하여 아무런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로 풀리게 함으로써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소형 변형을 방지한다.
그 결과, 상기 태엽 스프링(60)이 완전히 풀렸을 때 발생하는 반발력이 종래와 같이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를 롤러(80)에 의해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태엽 스프링(60)이 완전히 풀려 중심 내경부의 직경이 최소 한도로 축소되었을 때 발생하는 반발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되므로, 태엽 스프링(60)이 완전히 풀려 중심 내경부의 직경이 최소 한도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가 일정한 폭으로 상승한 후 멈춰져 상기 액정 모니터의 높이가 최대 한도로 낮춰지지 않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로, 상기 태엽 스프링의 중심 내경부가 완전히 풀려 펴지는 경우 상기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강 지지 바디가 일정한 폭으로 상승한 후 멈춰져 상기 액정 모니터의 높이가 최대 한도로 낮춰지지 않는 종래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소한다.
둘째로,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의 스프링 걸림부에 수용되는 태엽 스프링이 상기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에 반발하는 복원력을 발생하여 상기 승강 지지 바디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안내 홈을 따라서 도 5의 (가)와 (나)에 나타낸 a지점과 b지점까지 하강하면서 풀릴 때, 상기 롤러가 고정돌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태엽 스프링이 풀리게 함으로써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의 스프링 걸림부의 이면에 태엽 스프링의 외주면이 직접적으로 밀착되어 눌려짐에 따라서 소성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서 태엽 스프링의 신뢰도가 종래에 비해 더욱더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로, 본 고안에 따른 각각의 부품 제작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극에 의해 상기 스탠드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가 고정된 승강 스프링 바디가 전후좌우로 유동하여 액정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이 불안정해지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넷째로, 상기 승강 지지 바디의 승강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스탠드 바디의 승강 안내 구멍의 길이를 아무런 제한없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스탠드 베이스(10)와;
    상기 스탠드 베이스(10)에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전면 상단부와 배면 하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배면 상단 커버(21)에 길이 방향의 승강 안내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상단부에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상단과 수평을 유지하는 스프링 고정 구멍(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전면 상단부의 양측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절곡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스탠드 바디(20);
    배면 상단의 힌지 장착부(31)에 액정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액정 모니터가 앞뒤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되고, 배면 하단에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승강 안내 구멍(22)을 따라서 승강하면서 승강 구간을 제한하는 승강 멈춤쇠(40)가 끼워지는 구멍(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액정 모니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지지 바디(30);
    ㄷ자형 요부를 제공하는 한쌍의 승강 안내부(51)에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각각의 측면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승강 안내부(51)의 측면에 길이 방향의 스프링 안내 홈(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안내부(51)의 하단부에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에 반발하는 복원력을 구비하고 그 일측 절곡단부(61)가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스프링 고정 구멍(23)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태엽 스프링(60)이 수용되는 스프링 걸림부(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걸림부(53)의 양측면에 구멍(53a1)이 형성되어 있는 롤러 지지벽(53a)이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승강 스프링 바디(50a); 및
    상기 각각의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스프링 걸림부(53)의 양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롤러 지지벽(53a)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롤러 지지벽(53a)에 형성된 구멍(53a1)에 끼워지도록 양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돌부(81)에 의해 상기 롤러 지지벽(53a)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스프링 걸림부(53)에 수용되는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롤러(8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벽(53a)은
    상기 롤러(80)의 고정돌부(81)가 롤러 지지벽(53a)의 하단 측에서부터 상기 구멍(53a1)까지 통과하여 상기 구멍(53a1)에 끼워지게 하고, 롤러 지지벽(53a)의 하단 측에서부터 상기 구멍(53a1) 쪽으로 향할수록 끝이 점점 줄어드는 형상으로 된 개구부(53a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 이면에 상기 태엽 스프링(60)을 압박하는 돌부(27)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전면 상단부의 양측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절곡부(24)의 이면에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전면을 압박하는 돌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과 상기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전면 상단부의 양측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절곡부(24)에 각각 조임 볼트(70,71)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25,26)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구멍(25,26)은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승강 안내 구멍(22)의 상단과 수평을 유지하는 스프링 고정 구멍(23)의 아래쪽에서부터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에 고정된 승강 지지 바디(30)의 승강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하강 하한점까지의 구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볼트 구멍(25)을 통하여 삽입되는 조임 볼트(70)는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스프링 걸림부(53)에 수용되어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측면에 형성된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는 태엽 스프링(60)을 압박함과 동시에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측면도 함께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된 절곡부(24)에 형성된 볼트 구멍(26)을 통하여 삽입되는 조임 볼트(71)는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a)의 전면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8. 스탠드 베이스(10)와;
    상기 스탠드 베이스(10)에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전면 상단부와 배면 하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배면 상단 커버(21)에 길이 방향의승강 안내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상단부에 상기 승강 안내 구멍(22)의 상단과 수평을 유지하는 스프링 고정 요홈(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부의 양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전면 상단부의 양측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절곡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스탠드 바디(20a);
    배면 상단의 힌지 장착부(31)에 액정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액정 모니터가 앞뒤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되고, 배면 하단에 중앙돌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돌부(32a)의 좌우측에 바디 걸림홈(3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돌부(32a)에 상기 스탠드 바디(20a)의 승강 안내 구멍(22)을 따라서 승강하면서 승강 구간을 제한하는 승강 멈춤쇠(40)가 끼워지는 구멍(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탠드 바디(20a)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액정 모니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지지 바디(30a);
    측면에 길이 방향의 스프링 안내 홈(52)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 하단부 양측과 배면 하단부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걸림홈(53b)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중앙부에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의 하단 중앙돌부(32a)가 끼워지고 상기 중앙돌부(32a)의 좌우측 바디 걸림홈(32b)이 걸리는 요부(54)가 전면의 이면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액정 모니터의 자체 중량에 반발하는 복원력을 구비하고 그 일측 절곡단부(61)가 상기 스탠드 바디(20a)의 스프링 고정 요홈(23a)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안내 홈(52)을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승강 지지 바디(30a)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태엽 스프링(60)이 하단부의 양측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중공형 승강 스프링 바디(50b); 및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전면 하단부 양측과 배면 하단부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걸림홈(53b)에 끼워지도록 양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돌부(81)에 의해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하단부의 양측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스프링 바디(50b)의 하단부의 양측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태엽 스프링(60)의 중심 내경부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롤러(8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KR20-2004-0016577U 2004-06-14 2004-06-14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KR200361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577U KR200361843Y1 (ko) 2004-06-14 2004-06-14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577U KR200361843Y1 (ko) 2004-06-14 2004-06-14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843Y1 true KR200361843Y1 (ko) 2004-09-13

Family

ID=4935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577U KR200361843Y1 (ko) 2004-06-14 2004-06-14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8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2801A2 (en) 2006-03-06 200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s
KR101443146B1 (ko) * 2007-04-02 2014-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2801A2 (en) 2006-03-06 200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s
KR101443146B1 (ko) * 2007-04-02 2014-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834B2 (en) Support stand for flat-panel display monitor
US7789363B2 (en) Support stand for flat-panel display monitor and elevating support used for support stand
US8070115B2 (en) Support stand for flat-panel monitor and elevating support for support stand
US20100133409A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EP2161490B1 (en) Supporting device to display apparatus
CA2690421C (en) Spindle for a roll of web material
EP3321457B1 (en) Furniture hinge
KR200361843Y1 (ko) 액정 모니터의 승강 스탠드 장치
US20030172497A1 (en) Hinge device for use in electric equipment
KR20190001750U (ko) 경첩용 힌지축과 힌지캡의 이탈방지구조
US10136768B2 (en) Dispenser with metal sheet outer surface, support structure, meta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100282931A1 (en) Sheave supporting element for use in window regulator guide sections
JP2003302915A (ja) 平板型モニタスタンド
US6481675B1 (en) Outer tube support plate structure of a gas cylinder
JPH09238756A (ja) 収納部昇降支持装置
US20090214353A1 (en) Hanging frame of the ceiling fan
KR200268646Y1 (ko) 평판형 모니터 스텐드
KR100633259B1 (ko) 케이블 고정용 밴드
US20130243233A1 (en) Air Cushioned Microphone Cable Retractor and Receptacle Assembly
KR100686766B1 (ko) 월 마운트 장치
KR100747827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JP3236374U (ja) 印判
US20220026950A1 (en) Wall mount type display device
JP4266805B2 (ja) ディスプレイの方向調整装置
KR20060017218A (ko)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의 높이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