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575Y1 -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575Y1
KR200361575Y1 KR20-2004-0014396U KR20040014396U KR200361575Y1 KR 200361575 Y1 KR200361575 Y1 KR 200361575Y1 KR 20040014396 U KR20040014396 U KR 20040014396U KR 200361575 Y1 KR200361575 Y1 KR 200361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rice straw
unit
collect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재
오권영
유병기
김장렬
이성현
박환중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2004-0014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5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4Plunger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65Rolling bales on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7/00Straw conveyors for threshing machines or baling presses
    • A01F17/02Mechanical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05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for disintegrating and cutting up bales of hay, straw or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1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or drawn by a tractor, e.g. field chopp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볏짚을 이송시키는 이송부(20); 상기 이송부(2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의 볏짚을 후방의 이송부(20)로 걷어올리는 볏짚수거부(30); 상기 이송부(20)의 후단부 하방인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볏짚을 저장하는 볏짚저장부(40); 상기 볏짚저장부(40) 내의 볏짚을 이 볏짚저장부(40) 후방으로 가압하는 종축가압부(50); 상기 후방으로 가압된 볏짚을 다시 측방으로 가압하는 횡축가압부(60); 및 상기 횡축가압부(60)에 의해 본체(10)의 일측면 외부로 노출되고 밴딩처리된 볏짚다발을 절단하는 볏짚절단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볏짚을 수거하고 압축 및 절단하여 느타리버섯 재배용 볏짚다발을 완성하는 작업이 자동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인건비가 삭감되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게 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Apparatus for gathering, compressing and cutting of rice straw into a bundle by using power}
본 고안은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논바닥에 널려 있는 볏짚을 수거하여 압축 및 절단과정을 통해 느타리버섯 재배용 볏짚다발이 되게 하는 작업이 자동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느타리버섯 재배용 볏짚은 논에서 낫으로 베어 묶거나 바인더로 수확 결속한 후 탈곡한 마른 볏짚단을 일정직경(대략 12~15cm)이 되게 하고 짚의 밑부분(그루터기)과 윗부분(이삭)이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묶어서 길이 15~20cm 내외로 절단하면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볏짚다발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거하고, 정렬하며, 절단하는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고비용의 인건비가 발생하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볏짚을 수거하고 압축 및 절단하여 느타리버섯 재배용 볏짚다발을 완성하는 작업이 자동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인건비가 삭감되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게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저장부덮개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방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나타낸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저장부덮개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방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를 나타낸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C를 나타낸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서 종축가압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서 횡축가압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배출구
11a : 가이드레일 12 : 경사실린더
20 : 이송부 22 : 이탈방지판
24 : 체인 30 : 볏짚수거부
31 : 축지지판 32 : 회전체
33 : 수거봉 34 : 회전축
35 : 볏짚가이드 35a : 절개부
36 : 볏짚지지대 40 : 볏짚저장부
42 : 경사면 44 : 가이드롤러
50 : 종축가압부 52 : 종축가압판
54 : 종축가압실린더 60 : 횡축가압부
62 : 횡축가압판 64 : 횡축가압실린더
66 : 스위치작동바 66a : 작동핀
70 : 볏짚절단부 72 : 커터
80 : 저장부덮개 82 : 측량판
84 : 걸림대 86 : 가압롤러
86a : 피니언기어 86b : 랙기어
87 : 힌지연결바 90 : 피브이시밴드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는 본체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볏짚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의 볏짚을 후방의 이송부로 걷어올리는 볏짚수거부; 상기 이송부의 후단부 하방인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볏짚을 저장하는 볏짚저장부; 상기 볏짚저장부 내의 볏짚을 이 볏짚저장부 후방으로 가압하는 종축가압부; 상기 후방으로 가압된 볏짚을 다시 측방으로 가압하는 횡축가압부; 및 상기 횡축가압부에 의해 본체의 일측면 외부로 노출되고 밴딩처리된 볏짚을 절단하는 볏짚절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볏짚저장부의 상단 내주면에 그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부의 저면으로 슬라이딩되는 저장부덮개; 상기 저장부덮개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송부를 통해 낙하된 볏짚의 무게를 측량하는 측량판; 및 상기 볏짚저장부의 상단 폭 방향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고 측량판의 상면이 그 저면에 근접해서 통과하는 동안 측량판 상면의 볏짚이 걸려 볏짚저장부로 낙하되게 하는 걸림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덮개의 후단부에는 볏짚저장부의 상단 폭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볏짚저장부의 상단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하방의 볏짚을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의 일측단부에 피니언기어가 동축상에 설치되고, 볏짚저장부의 상단부 일측에 종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피니어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회전 이동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일단부가 볏짚수거부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볏짚저장부로 연장되는 상향 경사진 벨트컨베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와 본체 사이에는 이 이송부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양단부가 각각 상기 이송부와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신장되는 경사실린더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볏짚수거부는, 상기 이송부의 하단 양측에서 지면으로 연장된 축지지판; 상기 축지지판에 양단부가 축착되어 축 회전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를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거봉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 궤도를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거봉의 선단부가 지면에 대해 상향 절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볏짚수거부의 축지지판 사이에는 수거봉에 의해 걷어 올려진 볏짚이 얹혀진 상태에서이송부로 안내되도록 회전축 상방을 감싸면서 지면에서부터 이송부까지 연장되고, 그 표면에는 회전되는 수거봉이 관통 회동되도록 수거봉에 대응해서 복수의 절개부를 갖는 볏짚가이드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볏짚가이드의 상방에는 이송되는 볏짚의 상방을 지지하여 볏짚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볏짚지지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볏짚지지대는 축지지판에 축착되어 볏짚가이드 방향으로 축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축가압부는, 상기 볏짚저장부 내의 볏짚을 이 볏짚저장부 후방으로 가압하는 종축가압판과; 상기 종축가압판을 종방향으로 전, 후진시키는 종축가압실린더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축가압부는, 상기 볏짚저장부의 후방으로 가압된 볏짚을 다시 본체의 일측면으로 가압하는 횡축가압판과; 상기 횡축가압판을 횡방향으로 전, 후진시키는 횡축가압실린더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축가압부에는, 상기 횡축가압실린더와 평행하게 결합된 스위치작동바와; 상기 스위치작동바에 일정간격씩 이격 배치되어 직교방향으로 돌출되며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횡축가압실린더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볏짚절단부를 작동시키는 작동핀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볏짚절단부는, 상기 횡축가압부에 의해 본체 일측면 외부로 볏짚이 노출되는 배출구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승강되면서 볏짚을 절단하는 커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는 본체(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볏짚을 이송시키는 이송부(20)와, 이 이송부(2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의 볏짚을 후방의 이송부(20)로 걷어올리는 볏짚수거부(30)와, 상기 이송부(20)의 후단부 하방인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볏짚을 저장하는 볏짚저장부(40)와, 이 볏짚저장부(40) 내의 볏짚을 이 볏짚저장부(40) 후방으로 가압하는 종축가압부(50)와, 상기 후방으로 가압된 볏짚을 다시 측방으로 가압하는 횡축가압부(60) 및 이 횡축가압부(60)에 의해 본체(10)의 일측면 외부로 노출된 볏짚을 절단하는 볏짚절단부(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볏짚저장부(40)의 상단 내주면에 그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부(20)의 저면으로 슬라이딩되는 저장부덮개(80)와, 이 저장부덮개(8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송부(20)를 통해 낙하된 볏짚의 무게를 측량하는 측량판(82) 및 상기 볏짚저장부(40)의 상단 폭 방향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고측량판(82)의 상면이 그 저면에 근접해서 통과하는 동안 측량판(82) 상면의 볏짚이 걸려 볏짚저장부(40)로 낙하되게 하는 걸림대(84)가 더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측량판(82)에는 볏짚의 설정무게를 감지하여 이송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저장부덮개(8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측량판(82) 상의 볏짚을 볏짚저장부(40)로 낙하시키고 나서 다시 상기 저장부덮개(80)를 원상태로 복귀시킨 다음 볏짚의 종축가압작업, 횡축가압작업 및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이송부(20)를 재작동시켜 볏짚수거작업이 재개되도록 하는 중량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본체(10)의 운전도 일시 정지시켜 볏짚의 종축가압작업에서부터 횡축가압작업을 거쳐 절단작업을 수행하며, 특히, 볏짚 절단 작업시, 볏짚이 본체(10)의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어 절단되기 전에 피브이시(pvc)밴드(90) 등으로 볏짚을 묶고 나서 볏짚절단부(70)에 의해 볏짚이 일정길이씩 다발형태로 절단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량감지센서는 본 고안의 전반적인 작동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덮개(80)의 후단부에는 볏짚저장부(40)의 상단 폭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볏짚저장부(40)의 상단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하방의 볏짚을 가압하는 가압롤러(8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롤러(86)의 일측단부에 피니언기어(86a)가 동축상에 설치되고, 볏짚저장부(40)의 상단부 일측에 종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86a)와맞물리는 랙기어(86b)가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86)가 회전되면서 전, 후진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롤러(86)는 저장부덮개(80) 후단부에 축 회전되는 힌지연결바(87)로 연결되고, 상기 볏짚저장부(40) 상단 양측 후단부에는 이 힌지연결바(87)가 상향 슬라이딩되면서 피니언기어(86a)와 랙기어(86b)가 분리되게 하는 경사면(42)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44는 저장부덮개(80)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원판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송부(20)는 일단부가 볏짚수거부(30)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볏짚저장부(40)로 연장되는 상향 경사진 벨트컨베이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20)와 본체(10) 사이에는 이 이송부(2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양단부가 각각 상기 이송부(20)와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신장되는 경사실린더(1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의 하단 일측부에는 벨트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볏짚수거부(30)로 전달하기 위한 체인(2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볏짚수거부(30)는 이송부(20)의 하단 양측에서 지면으로 연장된 축지지판(31)과, 이 축지지판(31)에 양단부가 축착되어 축 회전되는 회전체(32) 및 이 회전체(32)를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거봉(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32)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 궤도를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된복수의 회전축(34)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거봉(33)의 선단부는 지면에 대해 상향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볏짚수거부(30)의 축지지판(31) 사이에는 수거봉(33)에 의해 걷어 올려진 볏짚이 얹혀진 상태에서 이송부(20)로 안내되도록 회전축(34) 상방을 감싸면서 지면에서부터 이송부(20)까지 연장되고 그 표면에는 회전되는 수거봉(33)이 관통 회동되도록 수거봉(33)에 대응해서 복수의 절개부(35a)를 갖는 볏짚가이드(3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볏짚가이드(35)의 상방에는 이송되는 볏짚의 상방을 지지하여 볏짚이 사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볏짚지지대(36)가 상기 축지지판(31)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볏짚지지대(36)는 축지지판(31)에 축착되어 수거되는 볏짚의 부피에 밀려 들어올려지면서 볏짚을 하방으로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축가압부(50)는 볏짚저장부(40) 내의 볏짚을 이 볏짚저장부(40) 후방으로 가압하는 종축가압판(52)과, 이 종축가압판(52)을 종방향으로 전, 후진시키는 종축가압실린더(5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종축가압판(52)은 볏짚저장부(40)의 폭과 높이에 대응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축가압부(60)는 볏짚저장부(40)의 후방으로 가압된 볏짚을 다시 본체(10)의 일측면으로 가압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횡축가압판(62)과, 이 횡축가압판(62)을 횡방향으로 전, 후진시키는 횡축가압실린더(6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횡축가압판(62)은 본체(10)의 측면 배출구(11)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가압된 볏짚다발을 밀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횡축가압부(60)에는 횡축가압실린더(64)와 평행하게 결합된 스위치작동바(66)와, 이 스위치작동바(66)에 일정간격씩 이격 배치되어 직교방향으로 돌출된 작동핀(66a)과, 상기 스위치작동바(66) 인접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핀(66a)에 의해 작동되어 횡축가압실린더(64)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볏짚절단부(70)를 작동시키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볏짚절단부(70)는 횡축가압부(60)에 의해 본체(10) 일측면 외부로 볏짚이 노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1) 후방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1a)과, 이 가이드레일(11a)을 따라 상하 승강되면서 볏짚을 절단하는 커터(7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11a)의 인접 측부에는 커터(72)가 볏짚을 절단한 것을 감지하여 횡축가압실린더(64)의 작동을 재개시키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볏짚절단부(70)의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한 본원고안의 모든 왕복 이동되는 장치에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리미트스위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는 본체(10)가 전진 이동하는 동시에 볏짚수거부(30)의 수거봉(33)들이 지면에서 이송부(20)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서 지면의 볏짚을 걷어올려 이송부(20)로 전달하고, 이 이송부(20)로 전달된 볏짚은 계속해서 이송부(20)를 타고 저장부덮개(80)의 측량판(82)상면으로 낙하된다.
그러다가, 상기 측량판(82) 상의 볏짚무게를 중량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설정무게에 다달으면 이송부(20)의 작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저장부덮개(8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때 측량판(82) 상의 볏짚이 걸림대(84)에 걸리면서 다시 볏짚저장부(40)로 낙하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상기 본체(10)의 운전을 일시 정지시키고 볏짚의 종, 횡방향 압축 작업 및 절단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측량판(82) 상의 볏짚이 모두 볏짚저장부(40)로 낙하되면, 상기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었던 저장부덮개(80)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저장부덮개(80)의 가압롤러(86)는 저장부덮개(80)의 전, 후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볏짚저장부(40)의 상단부를 따라 축 회전되면서 전, 후진 이동되는 동안 하방의 볏짚을 가압하여 다져놓는다.
이렇게 볏짚 가압 작업이 완료되고 상기 저장부덮개(80)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볏짚저장부(40)의 상단부가 닫히면, 종축가압실린더(54)가 작동되어 선단의 종축가압판(50)이 볏짚저장부(40) 내의 볏짚을 후단부로 가압시키는 볏짚의 종축가압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연이어서 종축가압에 의해 볏짚저장부(40) 후단부로 압축된 볏짚은 이 볏짚저장부(40)의 후단부에 횡축 방향으로 작동되는 횡축가압실린더(64)의 횡축가압판(62)에 의해 본체(10)의 측방으로 가압되어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횡축가압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절단되기 전 단계에서 작업자가 피브이시밴드 등으로 볏짚을 묶어 다발형태로 만든 후 가이드레일(11a)을 따라 상하 승강되는 커터(72)에 의해 볏짚이 일정길이씩 절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횡축가압실린더(64)가 작동하는 동안 스위치작동바(66)의 작동핀(66a)이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횡축가압실린더(64)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키는 동시에 볏짚절단부(70)를 작동시켜 볏짚을 절단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커터(72)의 작동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커터(72) 작동이 완료되면 다시 횡축가압실린더(64)의 작동을 재개시켜 볏짚을 배출구(11)로 밀어내는 일련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볏짚의 절단작업이 수행된다.
이렇게 하여 절단된 볏짚다발은 느타리버섯재배용 볏짚다발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볏짚다발의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이송부(20)가 작동되어 볏짚수거작업이 재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는 볏짚을 수거하고 압축 및 절단하여 느타리버섯 재배용 볏짚다발을 완성하는 작업이 자동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인건비가 삭감되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게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16)

  1. 본체(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볏짚을 이송시키는 이송부(20);
    상기 이송부(2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의 볏짚을 후방의 이송부(20)로 걷어올리는 볏짚수거부(30);
    상기 이송부(20)의 후단부 하방인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볏짚을 저장하는 볏짚저장부(40);
    상기 볏짚저장부(40) 내의 볏짚을 이 볏짚저장부(40) 후방으로 가압하는 종축가압부(50);
    상기 후방으로 가압된 볏짚을 다시 측방으로 가압하는 횡축가압부(60); 및
    상기 횡축가압부(60)에 의해 본체(10)의 일측면 외부로 노출되고 밴딩처리된 볏짚다발을 절단하는 볏짚절단부(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저장부(40)의 상단 내주면에 그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부(20)의 저면으로 슬라이딩되는 저장부덮개(80);
    상기 저장부덮개(8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송부(20)를 통해 낙하된 볏짚의 무게를 측량하는 측량판(82); 및
    상기 볏짚저장부(40)의 상단 폭 방향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고 측량판(82)의 상면이 그 저면에 근접해서 통과하는 동안 측량판(82) 상면의 볏짚이 걸려 볏짚저장부(40)로 낙하되게 하는 걸림대(84);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덮개(80)의 후단부에는 볏짚저장부(40)의 상단 폭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볏짚저장부(40)의 상단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하방의 볏짚을 가압하는 가압롤러(8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86)의 일측 단부에 피니언기어(86a)가 동축상에 설치되고, 볏짚저장부(40)의 상단부 일측에 종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피니어기어(86a)와 맞물리는 랙기어(86b)가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86)가 회전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는 일단부가 볏짚수거부(30)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볏짚저장부(40)로 연장되는 상향 경사진 벨트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와 본체(10) 사이에는 이 이송부(2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양단부가 각각 상기 이송부(20)와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신장되는 경사실린더(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볏짚수거부(30)는,
    상기 이송부(20)의 하단 양측에서 지면으로 연장된 축지지판(31);
    상기 축지지판(31)에 양단부가 축착되어 축 회전되는 회전체(32); 및
    상기 회전체(32)를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거봉(33);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2)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 궤도를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회전축(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봉(33)의 선단부가 지면에 대해 상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수거부(30)의 축지지판(31) 사이에는 수거봉(33)에 의해 걷어 올려진 볏짚이 얹혀진 상태에서 이송부(20)로 안내되도록 회전축(34) 상방을 감싸면서 지면에서부터 이송부(20)까지 연장되고, 그 표면에는 회전되는 수거봉(33)이 관통 회동되도록 수거봉(33)에 대응해서 복수의 절개부(35a)를 갖는 볏짚가이드(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가이드(35)의 상방에는 이송되는 볏짚의 상방을 지지하여 볏짚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볏짚지지대(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지지대(36)는 축지지판(31)에 축착되어 볏짚가이드(35) 방향으로 축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가압부(50)는,
    상기 볏짚저장부(40) 내의 볏짚을 이 볏짚저장부(40) 후방으로 가압하는 종축가압판(52)과;
    상기 종축가압판(52)을 종방향으로 전, 후진시키는 종축가압실린더(54);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축가압부(60)는,
    상기 볏짚저장부(40)의 후방으로 가압된 볏짚을 다시 본체(10)의 일측면으로 가압하는 횡축가압판(62)과;
    상기 횡축가압판(62)을 횡방향으로 전, 후진시키는 횡축가압실린더(64);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횡축가압부(60)에는,
    상기 횡축가압실린더(64)와 평행하게 결합된 스위치작동바(66)와;
    상기 스위치작동바(66)에 일정간격씩 이격 배치되어 직교방향으로 돌출되며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횡축가압실린더(64)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볏짚절단부(70)를 작동시키는 작동핀(66a);
    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절단부(70)는,
    상기 횡축가압부(60)에 의해 본체(10) 일측면 외부로 볏짚이 노출되는 배출구(11)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1a)과, 이 가이드레일(11a)을 따라 상하 승강되면서 볏짚을 절단하는 커터(72)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KR20-2004-0014396U 2004-05-24 2004-05-24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KR200361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96U KR200361575Y1 (ko) 2004-05-24 2004-05-24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96U KR200361575Y1 (ko) 2004-05-24 2004-05-24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575Y1 true KR200361575Y1 (ko) 2004-09-14

Family

ID=4943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396U KR200361575Y1 (ko) 2004-05-24 2004-05-24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5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22B1 (ko) 2006-11-10 2008-11-14 대한민국 청예사료 수확압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22B1 (ko) 2006-11-10 2008-11-14 대한민국 청예사료 수확압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5670B2 (en) Baling apparatus and method
US8769801B2 (en) Biomass bale processing system with automatic binding remover
US9526214B2 (en) Drop floor assembly with front and rear linkage mechanism
RU214643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ссования сыпучей массы (варианты)
EP2992753A1 (en) Harvester with rear active bottom floor
US99366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gricultural crop material from a baler
US7377457B2 (en) Agricultural bale cutter
US5333799A (en) Bale cutting machine
CN110249779A (zh) 一种自走式谷物收获秸秆打捆一体机及其使用方法
BE1020303A3 (nl) Gecombineerde pakker-en stouwermiddelen.
US4674270A (en) Apparatus for banding cut produce
KR200361575Y1 (ko) 자주식 볏짚수거·압축·절단장치
CN106043781B (zh) 用于清洁圆形模块构造器带的转动刷
KR101364181B1 (ko) 베일러
CN113396698B (zh) 玉米秸秆打捆工艺及联合收割工艺
CN109230593A (zh) 滴灌带捡拾机构及全自动滴灌带回收机
CN113264217B (zh) 一种蔬菜收获机自动装箱和移箱装置及方法
CN109094908A (zh) 秸秆捡饲除尘自出包压捆机自动切袋出包装置
CN211267711U (zh) 全自动联合收割压捆一体机
CN208470276U (zh) 秸秆捡饲除尘自出包压捆机自动切袋出包装置
EP07441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and bunching agricultural produce and/of market garden produce
CN108782035B (zh) 切断装置
GB2275037A (en) Bale wrapper apparatus
CA2167664C (en) Bale separator
CN215957195U (zh) 一种畜牧业牧草安全收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