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206Y1 - 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 - Google Patents

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206Y1
KR200361206Y1 KR20-2004-0018091U KR20040018091U KR200361206Y1 KR 200361206 Y1 KR200361206 Y1 KR 200361206Y1 KR 20040018091 U KR20040018091 U KR 20040018091U KR 200361206 Y1 KR200361206 Y1 KR 200361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tag
underground facility
attribute inform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0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범
Original Assignee
아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람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8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2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206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G01V3/16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the object or by the detec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G01V3/17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 가스, 통신, 전기선 등의 시설물을 탐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earching facilities, such as water and sewage, gas, telecommunications, electric lines buried underground.

이 같은 본 고안은, 지하 시설물에 대한 속성정보를 가진 태그를 지하에 매설한 후 그 태그와 지상의 태그 리더기가 무선 송수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하 시설물에 대한 탐색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하 시설물에 대한 종류, 매설날짜, 매설 깊이, 매설 간격, 좌표값, 교체 정보 등의 속성정보의 취득을 통해 지하 시설물에 대한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by embedding a tag with the attribution information about the underground facilities in the basement, and by configuring the tag and the tag reader on the ground to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transmission, the search for the underground facilities can be made more precise Search for underground facilit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of underground facilities by acquiring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types, burial dates, depth of burial, burial intervals, coordinates, and replacement information for underground facilities. Provide a system.

Description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ies {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 가스, 통신, 전기선 등의 시설물을 탐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에 매설된 시설물에 대한 속성정보(예; 시설물 종류, 매설날짜, 매설 깊이, 매설 간격, 좌표값, 교체 정보 등)를 가진 태그를 지하에 매설한 후 그 태그내의 속성정보를 지상의 태그 리더기가 필요에 따라 수시로 전송받아 지하 시설물에 대한 탐색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하 시설물에 대한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earching facilities, such as water and sewage, gas, telecommunications, and electric lines buried underground, and in particular, attribute information (e.g., facility type, buried date, buried depth, buried interval, After embedding tags with coordinates, replacement information, etc. underground, the tag readers on the ground are frequently transmitted as necessary to make the search for underground facilities more preci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of facilities.

현재 사회 구조가 점차적으로 발달되면서 상하수도, 가스 공급관, 전기선로 및 통신선로 등이 일정한 깊이의 지하에 매설되어 있으며, 이는 그 매설 경로 등을 지상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화살표 등을 통해 표시하였다.As the current social structure gradually develops, water and sewage, gas supply pipes, electric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are buried underground at a certain depth, which are indicated by arrows to identify the buried paths on the ground.

그러나, 상기와 같은 표시 방법은 식별판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파손이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 도로작업 보수 등을 진행할 때 지하 시설물에 대한 탐색이 불가능하게 되는 폐단이 따랐다.However, the display method as described above may be damaged due to the fact that the identification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 this case, a closure is made that it is impossible to search for underground facilities when performing road work maintenance.

이에 종래에는 지하 시설물에 대한 탐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지하 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는데, 상기 GPR은 고주파대역의 전자파를 지표에서 송신 안테나를 통해 지하로 방사하여 지표 하부의 지층 경계, 파쇄대, 공동, 매설관 등과 같은 지하의 불균질층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를 수신안테나를 통해 기록하고 파형을 처리 분석하는 방식이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arching underground facilities. The GPR 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high frequency band from the ground to the ground through the transmitting antenna, thereby causing It is a method that records reflected waves reflected from underground heterogeneous layers such as stratum boundaries, crushing zones, cavities, buried pipes through receiving antennas and processes and analyzes waveforms.

하지만, 상기 GPR의 경우에는 지하 시설물의 매설깊이와 매설 간격 및 좌표값 등을 탐색할 수 있는 반면, 탐사된 지하 시설물의 보다 구체적인 속성정보 즉, 시설물 종류, 매설 날짜, 교체 정보 등의 정보를 얻을 수는 없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GPR, the buried depth, buried interval, and coordinate values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can be searched, while more specific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explored underground facilities can be obtained, that is, information such as facility type, buried date, and replacement information. There was no number.

이에따라, 종래에는 지하 시설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의 취득이 불가능해지면서 그 유지 보수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Accordingly, in the past, it was impossible to obtain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underground facilities, which led to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maintenanc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지하 시설물에 대한 속성정보를 가진 태그를 지하에 매설한 후 그 태그와 지상의 태그 리더기가 무선 송수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하 시설물에 대한 탐색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하 시설물에 대한 종류, 매설날짜, 매설 깊이, 매설 간격, 좌표값, 교체 정보 등의 속성정보의 취득을 통해 지하 시설물에 대한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mbedding a tag with the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underground facilities in the basement, the tag and the tag reader on the groun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earch for underground facilities can be done more precisely, and through the acquisition of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types, burial dates, depth of burial, burial intervals, coordinate values, and replacement information for underground facilities. The aim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of underground facilitie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지하 시설물 탐색을 위한 태그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ag for searching underground facilitie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지하 시설물 탐색을 위한 태그 리더기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tag reader for searching underground facilitie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정형 태그 리더기에 의한 지하 시설물의 탐색 상태도.Figure 3 is a search state diagram of an underground facility by a fixed tag read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이동형 태그 리더기에 의한 지하 시설물의 탐색 상태도.Figure 4 is a search state diagram of an underground facility by a mobile tag read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지하 시설물 20; 태그10; Underground facility 20; tag

21;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부 22; 제 1 송수신부21; A first nonvolatile memory unit 22; First transceiver

23; 제 1 엔코더부 24; 제 1 디코딩부23; A first encoder part 24; First decoding unit

25; 태그 제어부 26; 센서25; Tag control unit 26; sensor

30; 태그 리더기 31; 제 2 메모리부30; Tag reader 31; Second memory

32; 제 2 송수신부 33; 제 2 엔코더부32; A second transceiver 33; 2nd encoder part

34; 제 2 디코딩부 35; 키이입력부34; A second decoding unit 35; Key input unit

36; 리더기 제어부 37; 통신 인터페이스부36; A reader controller 37; Communication interface

40; 중계기 50; 관제센터40; Repeater 50; Control Center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지하 시설물 탐색을 위한 태그의 구성도이고,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지하 시설물 탐색을 위한 태그 리더기의 구성도 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g for searching underground facilitie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g reader for searching underground facilitie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정형 태그 리더기에 의한 지하 시설물의 탐색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이동형 태그 리더기에 의한 지하 시설물의 탐색 상태도 이다.Figure 3 is a search state diagram of an underground facility by a fixed tag read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arch state diagram of an underground facility by a mobile tag read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상하수도, 가스, 통신, 전기선 등의 시설물(10)을 탐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1 to 4, in the system for searching facilities 10, such as water and sewage, gas, telecommunications, electric lines buried underground,

상기 지하 시설물(10)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면서 지하 시설물(10)에 대한 속성정보를 저장한 후 이를 무선 송신하는 다수의 태그(20);A plurality of tags 20 which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underground facilities 10 and store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10 and then wirelessly transmit them;

상기 태그(20)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지상에 설치하되, 상기 태그(20)의 속성정보를 전송받아 지하 시설물(10)에 대한 위치 탐색과 매설 상태를 분석하고, 태그(20)의 속성정보를 수정하는 태그 리더기(30);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stalled on the ground to enabl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tag 20, receiv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tag 20, analyzing the location search and the buried state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and analyz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tag 20. A tag reader 30 to modify the;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태그(20)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tag 20,

시스템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Power supply unit (not shown) to supply power in the system,

지하 시설물(10)의 속성정보를 저장한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부(21),A first nonvolatile memory unit 21 stor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태그 리더기(30)와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송수신부(22),A first transceiving unit 2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tag reader 30,

상기 제 1 송수신부(22)를 통해 태그 리더기(30)로 지하 시설물(10)에 대한 속성정보의 송신이 이루어질 때 그 속성정보를 엔코딩하는 제 1 엔코더부(23),A first encoder unit 23 encod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whe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transmitted to the tag reader 30 through the first transceiver 22;

상기 제 1 송수신부(22)를 통해 태그 리더기(30)로부터 정보 변경의 제어명령이 수신될 때 그 수신된 정보 변경의 제어명령을 디코딩하는 하는 제 1 디코딩부(24) 및,A first decoding unit 24 which decodes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of the information change when the control command of the information change is received from the tag reader 30 through the first transceiver 22, and

상기 시스템 각부를 제어하는 태그 제어부(25)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t comprises a tag control unit 25 for controlling each part of the system.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태그(20)에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tag 20,

태그 리더기(30)에 의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식별부호(ID)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한다.An identification code (ID) is provided to enable identification by the tag reader 30.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태그(20)에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tag 20,

지하 시설물(10)은 물론 그 지하 시설물(10)이 매설된 지하 관로내의 이상상태를 On/Off 또는 수치로 감지하는 센서(2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s well as the underground facility 10,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26 for detecting the abnormal state in the underground pipeline buried in the On / Off or numerical value.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센서(26)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sensor 26,

지하 시설물(10)에서 가스 누출이 발생될 때 그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gas leak occurs in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gas leak.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센서(26)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sensor 26,

지하 시설물(10) 및 그 지하 시설물(10)이 매설된 지하 관로에서 화재가 발생시 그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underground facility 10 and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fire when a fire occurs in the underground pipeline.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센서(26)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sensor 26,

지하 시설물(10)이 매설된 지하 관로내의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change in humidity in the underground pipeline embedded.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센서(26)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sensor 26,

지하 시설물(10)내의 누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nsor for detecting a leak state in the underground facility (10).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센서(26)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sensor 26,

지하 시설물(10)이 매설된 지하 관로내의 환경오염가스 발생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 gas generation in the underground pipeline buried.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센서(26)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sensor 26,

지하 시설물(10)의 단선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disconnection state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태그 리더기(30)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tag reader 30,

시스템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Power supply unit (not shown) to supply power in the system,

Passive형 태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송신부(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Power transmitter (not shown) to supply power to the passive tag,

태그(20)로부터 전송받은 지하 시설물(10)의 속성정보는 물론 그 속성정보에 대한 변경 정보를 저장한 제 2 메모리부(31),A second memory unit 31 stor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received from the tag 20 as well as change information on the attribute information;

태그(20)와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송수신부(32),A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2 for enab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with the tag 20,

상기 제 2 송수신부(32)를 통해 태그(20)로 지하 시설물(10)의 속성정보에 대한 변경신호를 송신할 때 그 변경정보를 엔코딩하는 제 2 엔코더부(33),A second encoder unit 33 for encoding the change information when the change signal for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transmitted to the tag 20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32;

상기 제 2 송수신부(32)를 통해 태그(20)로부터 지하 시설물(10)에 대한 속성정보가 수신될 때 그 수신된 속성정보를 디코딩하는 하는 제 2 디코딩부(34),A second decoding unit 34 which decodes the received attribute information whe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received from the tag 20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32;

시스템에 대한 동작키이신호를 출력하는 키이입력부(35) 및,A key input unit 35 for outputting an operation key signal for the system,

상기 키이 입력부(35)로부터 출력되는 키이신호에 따라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하는 리더기 제어부(36)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ader control unit 36 for controlling each part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key signal output from the key input unit 35.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태그 리더기(30)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tag reader 30,

태그(20)로부터 전송받은 지하 시설물(10)의 속성정보를 중계기(40)를 통해 관제센터(5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7 to transmit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received from the tag 20 to the control center 50 through the repeater 40.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태그 리더기(30)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tag reader 30,

지하에 매설된 다수개의 태그(20)로부터 속성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후 이를 현장에서 바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fter receiv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sequentially from a plurality of tags 20 buried undergr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 mobile to display it directly on the site.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태그 리더기(30)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tag reader 30,

지면에 소정간격으로 매설되면서 지하에 매설된 태그(20)로부터 속성정보를 1:1의 매칭으로 수신한 후 이를 중계기(40)를 통해 관제센터(50)로 전송하는 고정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type to receive the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tag 20 embedded in the basemen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in a 1: 1 match and then transmit it to the control center 50 through the repeater 40. do.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지하에 상하수도관, 가스관, 통신선로, 전기선 등의 시설물(10)이 매설될 때 그 지하 시설물(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전원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부(21), 제 1 송수신부(22), 제 1 엔코더부(23), 제 1 디코딩부(24) 및 태그 제어부(25)를 포함하는 태그(20)를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한다.First, when facilities 10 such as water and sewage pipes, gas pipes, communication lines, and electric lines are buried underground, the underground facilities 10 include a power supply unit, a first nonvolatile memory unit 21, and 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as shown in FIG. 1. The tag 20 including the unit 22, the first encoder unit 23, the first decoding unit 24 and the tag control unit 25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때, 상기 태그(20)내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부(21)에는 지하 시설물(10)에 대한 속성정보로서 시설물의 종류, 매설날짜, 매설 깊이, 매설 간격, 좌표값, 교체 정보 등을 저장하는 한편, 식별부호(ID)를 부여한다.At this time, the first non-volatile memory unit 21 in the tag 20 stores the type of the facility, the date of embedding, the depth of embedding, the embedding interval, coordinate values, replacement information, etc., as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On the other hand, an identification code (ID) is assigned.

이후, 지상에서 작업자가 지하 시설물(10)을 탐색하고자 하는 지역으로 이동형 또는 고정형으로 구성된 태그 리더기(30)를 위치시킨다.Then, the tag reader 30 is configured to be mobile or fixed to the area where the operator wants to search the underground facility 10 on the ground.

여기서, 상기 태그 리더기(30)는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이동형의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태그 리더기(30)를 통해 지하에 매설된 다수개의 태그(20)로부터 속성정보를 취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고,Here, the tag reader 30 may be configured as a mobile type and a fixed type. In the case of the mobile type, attribut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tags 20 embedded underground through one tag reader 30 as shown in FIG. 4. To display and collect

상기 고정형의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태그(20)와 1:1로 매칭되면서 그 매칭된 태그(20)로부터 속성정보를 얻은 후 이를 중계기(40)를 통해 관제센터(50)로 전송하도록 지표면에 소정간격으로 배열시키면서 매설되어 있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fixed type, as shown in FIG. 3, the contact surface is 1: 1 and the attribute surface is obtained from the matched tag 2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50 through the repeater 40. It is embedded while being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따라서, 상기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태그 리더기(30)는 태그(20)와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태그(20)의 식별번호 및 속성정보를 전송받아 지하 시설물(10)에 대한 위치 탐색과 매설 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태그(20)의 속성정보를 수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xed or mobile tag reader 3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tag 20 while performing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tag 20 to search for th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and bury the buried state. As well as being able to analyze,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tag (20).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태그 리더기(30)는 도 2에서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전원부, 전원송신부는 물론, 제 2 메모리부(31), 제 2 송수신부(32), 제 2 엔코더부(33), 제 2 디코딩부(34), 키이입력부(35) 및 리더기 제어부(36)를 포함하고 있는 바,In more detail, the tag reader 3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a power transmission unit, as well as a second memory unit 31, a second transceiver unit 32, and a second encoder unit not shown in FIG. 2. ), The second decoding unit 34, the key input unit 35 and the reader control unit 36,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의 키이입력부(35)를 조작하여 지하에 매설된 태그(20)의 속성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상기 리더기 제어부(36)는 전원송신부를 통해 태그로 전원을 송신함은 물론, 제 2 송수신부(32)를 통해 탐색의 제어명령을 송출한다.When the worker on the ground wants to obtai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tag 20 embedded in the basement by operating the key input unit 35, the reader controller 36 transmits power to the tag through the power transmitter. The control command of the search is sent out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32.

그러면, 상기 제 2 송수신부(32)로부터 송신되는 탐색의 제어명령은 지하 시설물(10)에 형성된 태그(20)의 제 1 송수신부(22)에서 수신하게 되고, 상기 태그(20)내의 태그 제어부(25)는 제 1 송수신부(22)를 통해 수신된 탐색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부(21)에 저장된 지하 시설물(10)의 속성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제 1 엔코더부(23)로 출력한다.Then, the search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ceiver 32 is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22 of the tag 20 formed in the underground facility 10, and the tag controller in the tag 20 is received. The extractor 25 extract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stored in the first nonvolatile memory unit 21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search received through the first transceiver 22, and then extract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first encoder unit 23. )

이때, 상기 제 1 엔코더부(23)는 상기와 같이 추출된 속성정보를 엔코딩한 후 이를 제 1 송수신부(22)로 출력하게 되는 바,At this time, the first encoder 23 encodes the extracted attribut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n outputs it to the first transceiver 22.

상기 태그 제어부(35)는 추출된 속성정보는 물론 태그(20)의 식별번호를 제 1 송수신부(22)를 통해 지상의 태그 리더기(30)에 포함된 제 2 송수신부(32)로 무선 송신함으로써, 상기 태그 리더기(30)내의 리더기 제어부(36)는 제 2 송수신부(32)를 통해 수신된 식별번호를 통해 태그(20)를 식별한 후 그 식별된 태그(20)에서 송신한 지하 시설물(10)의 속성정보를 통해 지하 시설물(10)에 대한 각종 정보를 쉽게 탐색할 수 있는 것이다.The tag controller 35 wirelessly transmits the extracted attribute information as well a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tag 20 to the second transceiver 32 included in the tag reader 30 on the ground through the first transceiver 22. By doing so, the reader controller 36 in the tag reader 30 identifies the tag 20 through the identification number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32 and then transmits the underground facility transmitted from the identified tag 20. Through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10) it is possible to easily search for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underground facility (10).

한편, 상기와 같이 탐색이 이루어진 후 리더기 제어부(36)는 송신받은 지하 시설물(10)의 속성정보를 제 2 디코딩부(24)를 통해 디코딩한 후 이를 제 2 메모리부(31)에 저장하는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통신인터페이스부(27) 및 중계기(40)를 통해 원거리에 위치하는 관제센터(50)로 상기의 속성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지하 시설물(10)의 탐색은 물론 그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search is made as described above, the reader controller 36 decode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underground facility 10 through the second decoding unit 24 and stores it in the second memory unit 31. 4, the attribu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50 located at a remote distance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7 and the repeater 40, as well as the search for the underground facility 10 as well as its maintenance. It can be managed efficiently.

더불어, 작업자가 태그 리더기(30)내의 키이 입력부(35)를 통해 태그(20)내의 속성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먼저 리더기 제어부(36)가키이입력부(35)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변경의 제어신호를 제 2 송수신부(32)를 통해 지하에 매설된 태그(20)의 제 1 송수신부(22)로 송신한다.In addition, the operator may change the attribute information in the tag 20 through the key input unit 35 in the tag reader 30. In this case, the reader control unit 36 may change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35.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ceiver 22 of the tag 20 buried underground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32.

그러면, 상기 태그(20)내의 태그 제어부(25)는 수신된 정보변경의 제어신호로부터 제 1 메모리부(31)에 저장된 지하 시설물(10)의 속성정보를 변경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Then, the tag control unit 25 in the tag 20 changes and store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stored in the first memory unit 31 from the control signal of the received information change.

한편, 상기 태그(20)에는 지하 시설물(10)은 물론 그 지하 시설물(10)이 매설된 지하 관로내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센서(26)가 더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센서(26)는 지하 시설물(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Meanwhile, the tag 20 further includes an underground facility 10 as well as a sensor 26 for detecting an abnormal condition in an underground pipeline in which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embedded. The sensor 26 includes an underground facility. According to the kind of (10), the installation was made in various ways.

즉, 지하 시설물(10)이 가스관인 경우, 상기 센서(26)는 가스관으로부터 가스 누출이 발생될 때 그 가스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하거나, 지하 관로내에 시설물(10)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지하 시설물(10) 및 지하 관로에서 화재가 발생될 때 그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at is, when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a gas pipe, the sensor 26 us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gas leak when a gas leak occurs from the gas pipe, or when the facility 10 is located in the underground pipe. When a fire occurs in the underground facility 10 and the underground pipeline, a sensor for detecting the fire can be used.

또한, 상기 센서(26)는 지하 시설물(10)이 매설된 지하 관로내의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지하 시설물(10)이 상수도관인 경우 그 상수도관의 누수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지하 시설물(10)이 매설된 지하 관로내의 환경오염가스 발생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지하 시설물(10)이 통신 및 전력선인 경우 그 통신 및 전력선의 단선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지하 시설물(10)의 종류가 선택적으로 그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nsor 26 is a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humidity in the underground pipeline in which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buried, a sensor for detecting a leak state of the water supply pipe when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a water pipe, an underground facility ( 10) a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 gas generation in the underground pipes buried underground, and if the underground facility 10 is a communication and power line, a sensor for detecting the disconnec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and power line can be used, which is an underground facility The type of (10) can be selectively configur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지하 시설물에 대한 속성정보를 가진 태그를 지하에 매설한 후 그 태그와 지상의 태그 리더기가 무선 송수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하 시설물에 대한 탐색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하 시설물에 대한 종류, 매설날짜, 매설 깊이, 매설 간격, 좌표값, 교체 정보 등의 속성정보의 취득을 통해 지하 시설물에 대한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mbeds a tag having attribute information on an underground facility in the basement, and then configures the tag and a tag reader on the ground to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so that the search for the underground facility is more precise. In addi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of underground facilities by acquiring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type, buried date, buried depth, buried interval, coordinate value, and replacement information for underground facilities. .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14)

지하에 매설되는 상하수도, 가스, 통신, 전기선 등의 시설물을 탐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for searching facilities such as water and sewage, gas, telecommunications, electric wires buried underground, 상기 지하 시설물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면서 지하 시설물에 대한 속성정보를 저장한 후 이를 무선 송신하는 다수의 태그;A plurality of tag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underground facilities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상기 태그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지상에 설치하되, 상기 태그의 속성정보를 전송받아 지하 시설물에 대한 위치 탐색과 매설 상태를 분석하고, 태그의 속성정보를 수정하는 태그 리더기;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A tag reader installed on the ground to enabl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tag, receiv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tag, analyzing a location search and a buried state for underground facilities, and modify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tag; 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ag, 시스템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지하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저장한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부,A first nonvolatile memory unit stor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태그 리더기와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송수신부,A first transceiver for enab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tag reader, 상기 제 1 송수신부를 통해 태그 리더기로 지하 시설물에 대한 속성정보의 송신이 이루어질 때 그 속성정보를 엔코딩하는 제 1 엔코더부,A first encoder unit for encod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whe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s transmitted to the tag reader through the first transceiver; 상기 제 1 송수신부를 통해 태그 리더기로부터 정보 변경의 제어명령이 수신될 때 그 수신된 정보 변경의 제어명령을 디코딩하는 하는 제 1 디코딩부 및,A first decoding unit which decodes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of the information change when the control command of the information change is received from the tag reader through the first transceiver; 상기 시스템 각부를 제어하는 태그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part of the syste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에는,The tag of claim 1 or 2, wherein the tag includes: 태그 리더기에 의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식별부호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An 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enable identification by a tag read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에는,The tag of claim 1 or 2, wherein the tag includes: 지하 시설물은 물론 그 지하 시설물이 매설된 지하 관로내의 이상상태를On/Off 또는 수치로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Underground facilities as well as 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further compris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abnormal state in the underground pipeline in which the underground facilities are buried on / off or numerical value.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The method of claim 1 or 4, wherein the sensor, 지하 시설물에서 가스 누출이 발생될 때 그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An 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omprising a sensor that detects a gas leak when an underground facility leaks.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The method of claim 1 or 4, wherein the sensor, 지하 시설물 및 그 지하 시설물이 매설된 지하 관로에서 화재가 발생시 그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An 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omprising an underground facility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fire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underground pipeline where the underground facility is embedded.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The method of claim 1 or 4, wherein the sensor, 지하 시설물이 매설된 지하 관로내의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An 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changes in humidity in an underground pipeline with underground facilities embedded.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The method of claim 1 or 4, wherein the sensor, 지하 시설물내의 누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leak state in the underground facility.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The method of claim 1 or 4, wherein the sensor, 지하 시설물이 매설된 지하 관로내의 환경오염가스 발생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An 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 gas generation in an underground pipeline in which underground facilities are embedded.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The method of claim 1 or 4, wherein the sensor, 지하 시설물의 단선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disconnection status of the underground faci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리더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ag reader, 시스템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Passive형 태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송신부,A power transmitter for supplying power to a passive tag, 태그로부터 전송받은 지하 시설물의 속성정보는 물론 그 속성정보에 대한 변경 정보를 저장한 제 2 메모리부,A second memory unit for stor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received from the tag as well as the change information on the attribute information; 태그와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송수신부,A second transceiver for enab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tag, 상기 제 2 송수신부를 통해 태그로 지하 시설물의 속성정보에 대한 변경신호를 송신할 때 그 변경정보를 엔코딩하는 제 2 엔코더부,A second encoder for encoding the change information when the change signal for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s transmitted to the tag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상기 제 2 송수신부를 통해 태그로부터 지하 시설물에 대한 속성정보가 수신될 때 그 수신된 속성정보를 디코딩하는 하는 제 2 디코딩부,A second decoding unit for decoding the received attribute information when the attribute information about the underground facility is received from the tag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시스템에 대한 동작키이신호를 출력하는 키이입력부 및,A key input unit for outputting an operation key signal for the system; 상기 키이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키이신호에 따라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하는 리더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ad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part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key signal output from the key input unit.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리더기에는,The tag reader according to claim 1 or 11, wherein: 태그로부터 전송받은 지하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Underground facilities search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interface configured to transmit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received from the tag to the control center through the repe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리더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ag reader, 지하에 매설된 다수개의 태그로부터 속성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후 이를 현장에서 바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An 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attribute information sequentially from a plurality of tags buried underground and to display it immediately in the fiel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리더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ag reader, 지면에 소정간격으로 매설되면서 지하에 매설된 태그로부터 속성정보를 1:1의 매칭으로 수신한 후 이를 중계기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고정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Underground facility sear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and receive the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tag embedded in the basement in a 1: 1 match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center through the repeater.
KR20-2004-0018091U 2004-06-25 2004-06-25 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 KR2003612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091U KR200361206Y1 (en) 2004-06-25 2004-06-25 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091U KR200361206Y1 (en) 2004-06-25 2004-06-25 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294A Division KR20050122675A (en) 2004-06-25 2004-06-25 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206Y1 true KR200361206Y1 (en) 2004-09-07

Family

ID=4943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091U KR200361206Y1 (en) 2004-06-25 2004-06-25 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20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739B1 (en) * 2014-05-20 2015-12-1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nderground utilities
KR101645879B1 (en) * 2015-05-15 2016-08-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Real-time underground pipe control system using underground pipe locating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739B1 (en) * 2014-05-20 2015-12-1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nderground utilities
KR101645879B1 (en) * 2015-05-15 2016-08-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Real-time underground pipe control system using underground pipe locating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295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lo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s-built plants of pipes, conduits, cables or hidden objects
CN102748588B (en) A kind of underground piping monitoring method
EP2015271A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location dete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s
CN210006165U (en) gas pipeline anti-damage early warning system
CN102523621A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underground personnel
KR101714341B1 (en) Smart information marker for underground facility and information providing using management
US20090170544A1 (en) Field device search system
KR101337722B1 (en) Underground Management System
US7728725B2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underground/above ground application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ransponders
CN111183440A (en) Device for controlling, monitoring and visualizing construction site
KR20050122675A (en) 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
KR101562625B1 (en)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of specipic position of underground pipe and method thereof
KR200361206Y1 (en) Search system for underground establishments
KR20100116815A (en) Management system of under-ground equipments using the rfid-tag radio frequency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KR1015097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drawing
KR101531402B1 (en) Smart information marker
US97477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ng physical presence
KR20080031566A (en) System for observing environment of water quality and water ecosystem
KR102172000B1 (en) Wir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Electric Wire
CN110610314A (en) Real-time positioning system for underground cable line
CN115248454B (en) Underground pipelin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electronic identifier
KR1015757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nderground utilities
KR20170062255A (en) Power plants instantaneous meter reading system using beacon
KR101689735B1 (en) Collective System of Integrated Information for Underground Distributed Line with Pad Transformer and Pad Switch
KR20030067372A (en) System for comprehending underground equipment using digital line mar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