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747Y1 - 역류방지용 밸브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747Y1
KR200360747Y1 KR20-2004-0017478U KR20040017478U KR200360747Y1 KR 200360747 Y1 KR200360747 Y1 KR 200360747Y1 KR 20040017478 U KR20040017478 U KR 20040017478U KR 200360747 Y1 KR200360747 Y1 KR 200360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outlet
tank
valve bod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경
Original Assignee
태진밸브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진밸브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진밸브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7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34Excess-flow valves in which the flow-energy of the flowing medium actuates the clos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봉구조가 간단하고 밀봉성능이 뛰어난 역류방지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역류방지용 밸브는, 탱크의 가스 배출구에 접속되도록 대향된 위치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며 중앙 내부에는 이들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축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함몰되어진 볼수용부가 형성된 밸브체와, 밸브체의 배출구 단부 내주면에 밀착 결합된 환형홀더와, 일단부가 환형홀더에 밀착되게 끼워져 기밀을 유지시키는 환형패킹부재와, 밸브체의 볼수용부에 내장되며 탱크 내에 유체가 과충전될 때 유체의 부력에 의해 대각선방향으로 상승하여 환형패킹부재와의 밀착으로 배출구 쪽의 공기통로를 차단하는 플로트볼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각종 유류 탱크 또는 화학약품 탱크 등에 유체가 과충전되거나 또는 탱크가 전도되었을 때에 밸브체의 플로트볼이 빠르게 응답하여 배출구를 보다 완벽하게 차단해 줌으로써,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분해·조립의 편리성과 고장율이 적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역류방지용 밸브{NON RETURN VALVE FOR PREVENTION FLOWING BACKWARD}
본 고안은 예컨대, 각종 약품탱크, 기름탱크 등과 같은 유체탱크에 설치되어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할 때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탱크가 전도되거나 탱크 내의 유체가 과충전 되었을 때 볼의 승하강 방식으로 관로를 보다 안전하고 확실하게 밀폐시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서도 구조의 간략화는 물론 응용범위의 다양성을 양립시키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나 화화물질 등을 저장하는 각 탱크에는 탱크 내부에 실려 있는 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유독가스 또는 휘발성 가스, 수증기 등을 배기시키기 위한 가스 배출구가 구비되고, 또한 가스 배출구에는 상기 가스 및 수증기 등에 의하여 탱크 내부의 압력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되어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밸브가 국제 규정상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유류나 화학약품 등의 물질을 탱크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상기 탱크의 상부에는 안전밸브를 가지는 공급관이, 그리고 하부에는 탱크 내부의 저장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밸브를 가지는 배수관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공급관을 통해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각각 공급되어 저장되고, 또 내부의 유독가스 또는 휘발성 가스 및 수증기 등은 상부에 구비된 가스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어짐으로써 탱크가 규정치 이하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화학물질 및 유류 등을 저장하게 되며, 또 탱크 내에 유류 및 화학물질이 과충전이 될 경우 공급관에 설치되어진 안전밸브가 닫혀 더 이상의 유류 또는 화학물질의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탱크의 공급관 또는 가스 배출구에 구비된 안전밸브가 고장이 발생될 경우 공급관으로부터는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탱크 내부에 과충전이 발생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저장된 유류 또는 화학물질은 탱크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가스 배출구를 통해 역류되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됨으로써 경제적인 큰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탱크가 운반선용 선박에 탑재된 상태에서 그 선박이 좌초되거나 혹은 태풍을 만나거나 좌현 또는 우현쪽으로 심하게 기울어질 경우, 또는 탱크 자체가 전도될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탱크에 저장된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가스 배출구를 통해서 자연적으로 배출되어져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 바다를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치유하면서도 비용 면에서는 보다 저가의 역류방지용 밸브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구조가 보다 간단하면서도 기밀을 확실하게 보장해 줄 수가 있는 역류방지용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탱크에 화학물질 또는 유류 등이 과충전 또는 탱크가 전도되었을 때 가스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류 또는 화학물질을 빠른 응답속도로 차단하여 주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밸브는 탱크 내부에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충전될 때에는 진공상태로 이루어진 플로트볼이 자체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가스 배출구를 열어주어 탱크 내부의 압력을 해지시키고 있다가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과충전 또는 탱크가 전도되었을 때 저장물질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가스 배출구를 순간적으로 차단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발생되지 않고 또 밀봉성이 보다 확실한 역류방지용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밸브는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탱크 내부에 과충전되어 플로트볼이 가스 배출구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 탱크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플로트볼과 맞닿는 환형패킹부재의 선단부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밀착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용 밸브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역류방지용 밸브가 탱크 내의 유체에 잠기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본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체의 과충전 또는 탱크의 전도 때 역류방지용 밸브가 유체에 잠겨진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밸브체 14 : 볼수용부
14a : 볼가이드부 14b : 곡면
16 : 돌기 20 : 플로트볼
30 : 환형홀더 40 : 환형패킹부재
50 : 연결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용 밸브에 의하면, 탱크 내부에 발생된 압력을 자동으로 가스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단일체로서 상기 탱크의 가스 배출구에 접속되도록 대향된 위치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며 중앙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 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그 측단면의 하부면이 수직하향으로 함몰되어진 볼수용부가 형성된 밸브체;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의 공기통로를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체의 배출구 단부 내주면에 밀착·결합된 환형홀더; 일단부가 상기 환형홀더에 밀착되게 끼워져 기밀을 유지시키는 환형패킹부재; 및 상기 밸브체의 볼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탱크 내에 유체가 과충전될 때 상기 유체의 부력에 의해 대각선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환형패킹부재와의 밀착으로 상기 배출구 쪽의 공기통로를 차단하는 플로트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볼수용부는 상기 플로트볼의 외주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승, 하강하도록 상기 밸브체의 유입구 방향에 대해 일측이 개방되어지고 상기 유입구와 같은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 라인형태의 볼가이드부가 상기 배출구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밸브체의 배출구는 상기 플로트볼이 상기 볼수용부에 내장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상기 플로트볼이 상기 환형패킹부재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때 상기 볼가이드부의 개방부위로 돌출된 상기 플로트볼의 구면을 감쌓을 수 있도록 그 측단면의 상부가 축방향에 대해 수직상향으로 라운딩되어 상기 유입구 및 상기 플로트볼의 직경보다 크게 확장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볼수용부의 바닥면은 그 측 단면이 상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벌어진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플로트볼의 구면과 상기 볼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유지되도록 상기 반구형의 바닥면에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단일체로 이루어진 밸브체에 볼수용부를 형성하고, 이 볼수용부에는 내부가 진공상태로 이루어진 플로트볼(float ball)을 내장하여, 탱크 내부로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충전될 때 상기 플로트볼이 자체의 무게에 의해 볼수용부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공기통로를 열어주고 있다가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과충전 또는 탱크가 전도되었을 때 상기 플로트볼이 탱크 내에 충전된 저장물질의 부력에 의해서 바닥면으로부터 상승하여 공기통로를 차단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각종의 탱크에 화학물질 또는 유류 등이 과충전 또는 상기 탱크가 전도되었을 때에 밸브체의 수용부에 수용된 플로트볼이 빠르게 응답하여 공기통로를 차단해 줌으로써,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분해 조립이 편리하고 고장율이 적으며, 특히 플로트볼이 유체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공기통로를 차단하고 이어서 탱크내부의 압력에 따라 플로트볼의 구면이 환형패킹부재로 파고들어 감으로써 밀착도가 보다 강해져 완벽한 기밀이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용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용 밸브가 탱크 내의 유체에 잠기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본 확대 단면도이며,도 3은 도 1의 유체의 과충전 또는 탱크의 전도 때 역류방지용 밸브가 유체에 잠겨진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밸브(1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의 가스 배출구에 접속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유입구(12a)와 그 유입구(12a)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배출구(12b)가 길이방향에 대해 상호 대향하게 관통·배치되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탱크에서 발생된 가스를 유입구(12a) 및 배출구(12b)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밸브체(12)를 갖는다.
그리고 밸브체(12)는 성형관재를 채용하여 성형된 단일체로서 유입구(12a)와 배출구(12b) 사이의 중앙 내부 바닥면에 플로트볼(float ball)(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그들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축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함몰되어진 볼수용부(14)가 형성된다. 또 볼수용부(14)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볼(20)의 구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승, 하강할 수 있도록 밸브체(12)의 유입구(12a) 쪽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구부(14b)를 가지는 파이프 라인형태의 볼가이드부(14a)가 배출구(12b) 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볼수용부(14)의 볼가이드부(14a)는 유입구(12a)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볼수용부(14)의 바닥면은 그 측 단면이 상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벌어진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밸브체(12)의 배출구(12b)는 플로트볼(20)이 볼수용부(14)에 내장될 수 있게 하고 또 플로트볼(20)이 환형패킹부재(40)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때 볼가이드부(14a)의 개방부위로 돌출된 플로트볼(20)의 구면을 감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 측단면의 상부를 축방향에 대해 수직상향으로 라운딩시킨 곡면(14b)을 주어 유입구(12a) 및 플로트볼(20)의 직경보다 크게 확장·형성한다.
그리고 플로트볼(20)이 산화작용에 의해 볼수용부(14)의 바닥면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 탱크에 유체가 과충전되어 볼수용부(14)로 유입되었을 때 플로트볼(20)이 유체의 부력에 의해 즉각 반응하여 상승할 수 있도록 그 볼수용부(14)의 바닥면 중심부로부터 약간 벗어난 경사면에 돌기(16)를 형성하여 그 플로트볼(20)과 볼수용부(14)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밸브체(12)의 배출구(12b) 단부 내주면에는 환형패킹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홀더(30)가 기밀이 유지되도록 끼워져 고정된다.
고탄력성과 내마모성 및 열안정성이 아주 우수하며 유체의 부식 특성에 강한 고무재질의 환형패킹부재(40)가 플로트볼(20)과 환형홀더(30) 사이에서 밀봉을 형성하도록 그 환형홀더(30)에 일단부가 끼워 맞춤되어 결합되어 있다. 환형패킹부재(4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볼(20)의 구면과 밀착되는 선단부가 유연성을 가지도록 쐐기형으로 이루어져 플로트볼(20)의 구면에 대하여 압축된다.
그리고 플로트볼(20)은 유입구(12a)를 통해 볼수용부(14)로 유입된 탱크 내의 유류나 화학물질의 부력에 의해 잘 뜰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진공상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력에 의해서 볼가이드부(14a)를 통해 대각선방향으로 승, 하강하여 환형패킹부재(40)와 함께 공기의 통로를 허용 및 차단할 수 있도록 구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구형의 플로트볼(20)은 유입구(12a) 및 볼가이드부(14a) 보다 직경이 크고배출구(12b)의 직경보다 작다.
연결관(50)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홀더(30)가 배출구(12b)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밸브체(12)의 유입구(12a)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환형홀더(30)와 정합된 상태에서 배출구(12b)에 너트로 고정되며, 배출구(12b)와 연결관(50) 사이에는 가스켓(gasket)(45)이 개재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역류방지용 밸브(10)는 단일체로 이루어진 밸브체(12)의 유입구(12a)를 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합해 준다. 이때 밸브체(1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수용부(14)가 지면을 향하도록 평행하게 하여 결합해 준다.
그리고 역류방지용 밸브(10)가 탱크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공급관을 통해 탱크 내부로 유체(기름이나 화학물질 등)가 공급되어 충전이 되는데, 이때 탱크에 공급되는 유체가 탱크의 상부에 위치한 밸브체(12)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밸브체(12)의 볼수용부(14)에 수용되어진 플로트볼(20)은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수용부(14)의 바닥 경사면에 형성된 돌기(16)에 얹혀져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탱크 내부에서 발생된 유독가스 또는 휘발성 가스 및 수증기 등이 밸브체(12), 환형패킹부재(40), 환형홀더(30) 및 연결관(50)을 통해 배출되어짐으로 인해 탱크 내부에 압력이 발생되지 않고 이것에 의해 계속 공급관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된다.
이후 탱크에 공급되는 유체가 점차적으로 불어나서 밸브체(12)의 위치까지 도달할 경우, 즉 다시 말해서 탱크의 내부에 유체가 과충전이 된 경우에 그 탱크내부의 유체는 밸브체(12)의 유입구(12a)를 통해 볼수용부(14)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때 돌기(16)에 의해 밸브체(12)의 볼수용부(14)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플로트볼(20)이 유체의 유입량 및 부력에 의해 즉각 반응하여 볼가이드부(14a)를 통해 서서히 대각선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플로트볼(20)이 상승하면 자동적으로 플로트볼(20)의 일측 구면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쐐기형으로 이루어진 환형패킹부재(40)의 선단에 접촉되고, 또 볼가이드부(14a)로 돌출되어진 플로트볼(20) 상부의 구면은 밸브체(12)의 배출구(12b)쪽에 형성된 곡면(14b)에 접촉되며, 이로써 탱크 내부에 과충전되어진 유체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 이 경우 탱크 내부의 압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즉, 유체가 과충전된 상태에서 탱크 내로 유체가 지속적으로 공급될수록 플로트볼(20)이 그 압력에 의해 유연성을 갖는 환형패킹부재(40)로 파고 들어가면서 강한 접촉력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탱크 내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가능성은 전혀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플로트볼(20)이 환형패킹부재(40)와의 접촉으로 밸브체(12)의 배출구(12b)를 차단하게 되면 탱크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함으로써, 그 탱크 내의 압력은 점점 상승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공급관에 설치된 안전밸브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탱크의 내부 압력에 의해서 더 이상의 유체의 공급은 중단된다.
또한, 유체가 충전된 탱크가 운반 중 전도되었을 때, 이때에는 탱크 내부의 유체가 한쪽방향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하여 밸브체(12) 내로 유입되므로, 결과적으로 밸브체(12) 내의 플로트볼(20)이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즉각 반응하여 탱크 내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탱크 내부에 유체가 과충전되거나 탱크 자체가 전도될 경우, 그 탱크에 충전된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가스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어져 경제적인 손실과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탱크 내에 유체가 과충전되거나 탱크가 전도되었을 때 밸브체 내에 수용된 플로트볼이 유체의 부력에 즉각 반응하여 배출구를 보다 완벽하게 차단해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각종 유류 탱크 또는 화학약품 탱크 등에 유체가 과충전되거나 또는 탱크가 전도되었을 때에 밸브체의 플로트볼이 빠르게 응답하여 배출구를 보다 완벽하게 차단해 줌으로써, 유류 또는 화학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분해·조립의 편리성과 고장율이 적은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역류방지용 밸브에 의하면, 밸브체를 단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분해·조립작업이 편리하고 생산효율이 증대되며, 특히 플로트볼이 유체의 부력에 의해 즉각 반응하여 환형패킹부재와 강한 압력으로 접촉력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유체가 쉽게 새지 않고 밀착도가 강해져 완벽한 밀봉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탱크 내부에 발생된 압력을 자동으로 가스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1) 단일체로서 상기 탱크의 가스 배출구에 접속되도록 대향된 위치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며 중앙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 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축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함몰되어진 볼수용부가 형성된 밸브체;
    (2)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의 공기통로를 허용하도록 상기 밸브체의 배출구 단부 내주면에 밀착 결합된 환형홀더;
    (3) 일단부가 상기 환형홀더에 밀착되게 끼워져 기밀을 유지시키는 환형패킹부재; 및
    (4) 상기 밸브체의 볼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탱크 내에 유체가 과충전될 때상기 유체의 부력에 의해 대각선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환형패킹부재와의 밀착으로 상기 배출구 쪽의 공기통로를 차단하는 플로트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부는 상기 플로트볼의 구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승, 하강하도록 상기 밸브체의 유입구 방향에 대해 일측이 개방되어지고 상기 유입구와 같은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 라인형태의 볼가이드부가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밸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배출구는 상기 플로트볼이 상기 볼수용부에 내장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상기 플로트볼이 상기 환형패킹부재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때 상기 볼가이드부의 개방부위로 돌출된 상기 플로트볼의 구면을 감쌓을 수 있도록 그 측단면의 상부가 축방향에 대해 수직상향으로 라운딩되어 상기 유입구 및 상기 플로트볼의 직경보다 크게 확장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부의 바닥면은 그 측 단면이 상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벌어진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볼의 구면과 상기 볼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유지되도록 상기 바닥면 중심부에서 약간 벗어난 경사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밸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볼은 내부가 진공상태로 이루어진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형패킹부재는 상기 플로트볼의 구면과 밀착되는 선단부가 유연성을 가지도록 쐐기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밸브.
KR20-2004-0017478U 2004-06-21 2004-06-21 역류방지용 밸브 KR200360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78U KR200360747Y1 (ko) 2004-06-21 2004-06-21 역류방지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78U KR200360747Y1 (ko) 2004-06-21 2004-06-21 역류방지용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747Y1 true KR200360747Y1 (ko) 2004-09-01

Family

ID=4943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478U KR200360747Y1 (ko) 2004-06-21 2004-06-21 역류방지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7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2758B2 (en) 2016-10-21 2020-02-18 Hyundai Motor Company Valve apparatus of urea tank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2758B2 (en) 2016-10-21 2020-02-18 Hyundai Motor Company Valve apparatus of urea tank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7347B2 (en) Dual function valve for fuel tank
US10683946B2 (en) Combination air release, degassing and vacuum relief valve
CN102481839A (zh) 排气阀
US8464764B1 (en) Fuel system ullage float assembly
US7673659B2 (en) Spill avoidance system and venting system for a storage tank using pressure transfer methods
JP3015102B2 (ja) 充填システム、特に電気牽引バッテリ用充填システムのフロート弁
KR200360747Y1 (ko) 역류방지용 밸브
US6026842A (en) Float activated shutoff valve
RU2726843C1 (ru) Поплавковый клапан, топливный бак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US10059406B1 (en) Marine drain valve
US7422027B2 (en) Marine fuel tank vent valve
CN202109081U (zh) 球阀
CN101523098B (zh) 液体料箱通气系统
US7225826B2 (en) Marine fuel tank vent valve
KR20090055628A (ko) 액체 탱크 벤트 시스템
CN212318900U (zh) 一种可启闭的排气阀及具有排气功能的水管系统
US4540342A (en) Hydraulic switch
US4745942A (en) Flow regulating device
US4748999A (en) Flow regulating device
US4632139A (en) Flow regulating device
US11492183B2 (en) Chemical container
CN106104002A (zh) 防气锁阀组件
JP5052239B2 (ja) 船舶
JP2001271952A (ja) 排気用バルブ
US4865070A (en) Flow regul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