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504Y1 - 공동주택바닥의 난방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바닥의 난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504Y1
KR200360504Y1 KR20-2004-0014636U KR20040014636U KR200360504Y1 KR 200360504 Y1 KR200360504 Y1 KR 200360504Y1 KR 20040014636 U KR20040014636 U KR 20040014636U KR 200360504 Y1 KR200360504 Y1 KR 200360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panel
insulation
sound
floo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태창
Original Assignee
손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태창 filed Critical 손태창
Priority to KR20-2004-0014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5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5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6Tubes specially adapted for underflo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동주택 바닥의 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단열,축열,충격음저감기능을 가진 복합판넬을, 슬라브바닥에 일정 두께의 모래 위에 설치한 후, 온수배관재를 설치하고 마감 몰탈을 타설하는 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단열 및 축열,충격음 저감 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난방비 절감효과,에너지절약 효과 및 충격음(경량음,중량음)저감효과가 탁월한 난방구조로서,차음과 시공성을 고려하여 복합판넬을 모래층 위에 설치하며,또한,복합판넬과 복합판넬의 연결 부위도 차음재를 끼워 음의 진동을 차단하여 충격음저감을 극대화 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공동주택바닥의 난방 구조{heating construction of a commumity of dwelling houses floor}
본 고안은 공동주택 바닥의 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특히 난방 파이프설치 및 마감 몰탈 타설이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거공간의 난방구조는 난방연료와 난방방식,주거공간의 변화에 따라 난방구조가 변천해 가고 있다.
종래 공동주택의 난방구조는 바닥충격음저감을 위해 바닥에 충격음저감재(2)를 깔고,단열 및 축열을 위해 경량기포콘크리트(8)를 타설 후, 난방파이프(5)를 설치 후, 마감몰탈(6)를 타설하고 있다.
단열,축열 및 채움의 개념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절기 시공의 문제점,크랙 발생,단열성능의 저하,축열기능의 저하 단열성능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이상 확보로 인한 전체 건물 높이 증가로 동간거리문제, 고도제한 문제, 등이 야기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열성능,축열성능,충격음저감성능이 탁월하며, 최소의 두께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대체하는 난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동주택바닥 난방구조는 슬라브(1)위에 일정두께(10~20mm)의 모래층(10)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단열,축열,차음성능을 가진 복합판넬(9)을 설치 한 후, 난방파이프(5)를 설치하고 마감몰탈을 타설한다.
도1은 종래 공동주택바닥의 난방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공동주택바닥의 난방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단열,차음,축열판넬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단열,차음,축열판넬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슬라브 2 ; 충격음저감재 3 ; 단열재 4 ; 마그네슘보드
5 ; 난방파이프 6 ; 마감몰탈 7 ; 차음재
8 ; 경량기포콘크리트 9 ; 복합판넬 10 ; 모래층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에서, 본 고안의 난방구조는 슬라브(1) 위에 일정 두께의 모래(10)를 깔고, 그 위에 복합판넬(9)을 설치 한다.이 복합판넬(9)은 단열재(3)의 상부에는 축열기능,표면 강도 유지를 위해 마그네슘보드(4),하부에는 충격음 저감재(2)가 형성 된 복합판넬로서 기존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특징인 단열,축열 성능보다 월등하며,충격음 차단,흡수 효과가 뛰어나다.
이때 복합판넬(9)과 복합판넬(9) 사이에는 충격음의 진동을 차단하는 차음재(7)를 설치 하고, 난방용 파이프(5)를 설치 후 마감 몰탈을 타설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바닥 난방구조는 축열,단열,충격음차단 기능이 있는 복합판넬(9)이 슬라브(1)에서 일정 두께의 모래층(10) 위에 설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택바닥 난방구조에 의하면, 축열,단열,충격음저감 성능이 탁월한 복합판넬(9)과 슬라브(1)에서 일정 두께의 모래층(10) 위에 뜬 구조로 시공 됨으로서, 기존의 경량기포콘크리트(8)보다 탁월한 단열과 축열성능으로, 열효율을 향상시켜며,난방비절감,에너지 절약 효과, 및 충격음 저감으로 인한 쾌적한 주거환경에 이바지하며,기존의 경량기포콘크리트(8) 두께의 반으로 시공 됨으로서 슬라브(1) 두께의 증가로 인한 전체건물 높이를 흡수 하므로, 고도제한,일조건 확보를 위한 동 간 거리 확보에도 유리한 효가가 있다.

Claims (1)

  1. 공동주택 바닥 난방구조에 있어서,
    축열,단열,충격음저감성능을 가진 복합판넬(9)과,
    슬라브(1)바닥에 일정 두께의 모래층(10)위에 복합판넬(9)을 시공하는 구조와,
    복합판넬(9)과 복합판넬(9)사이에 차음재(7)가 충진 된 설치구조와,
    상기 복합판넬(9) 위에 난방용 파이프(5)와 마감몰탈(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난방 구조,
KR20-2004-0014636U 2004-05-25 2004-05-25 공동주택바닥의 난방 구조 KR200360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636U KR200360504Y1 (ko) 2004-05-25 2004-05-25 공동주택바닥의 난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636U KR200360504Y1 (ko) 2004-05-25 2004-05-25 공동주택바닥의 난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504Y1 true KR200360504Y1 (ko) 2004-08-31

Family

ID=4934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636U KR200360504Y1 (ko) 2004-05-25 2004-05-25 공동주택바닥의 난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5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969B1 (ko) 2010-03-08 2012-07-20 김상훈 모래와 조립식 보일러케이스를 이용한 보일러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969B1 (ko) 2010-03-08 2012-07-20 김상훈 모래와 조립식 보일러케이스를 이용한 보일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398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647908B1 (ko) 다중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소음 저감형 건식 바닥 시스템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46948B1 (ko) 바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33792Y1 (ko) 다층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방진단열모듈판 및 이를이용한 습식 이중바닥구조
KR100284894B1 (ko) 경량단열패널을 이용한 온돌바닥구조
KR100931511B1 (ko) 건물용 방음 및 단열 조립체
KR200421104Y1 (ko) 다층건축물 층간차음판의 차음받침대
KR200360504Y1 (ko) 공동주택바닥의 난방 구조
KR200360558Y1 (ko) 공동주택바닥의 난방 구조
KR102053497B1 (ko) 바닥재 시공방법
KR101892663B1 (ko) 바닥충격음을 흡수하는 복합 차음구조를 구비한 바닥시스템
KR200324664Y1 (ko) 충격흡수용 차음시트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KR200360557Y1 (ko) 공동주택바닥의 난방 구조
KR20060078348A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 다중패널
KR100778659B1 (ko) 건축물의 방음, 방진 바닥재
KR100705845B1 (ko)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KR20050002149A (ko)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KR100786807B1 (ko) 차음과 단열성능이 향상된 온돌바닥구조
KR200357992Y1 (ko) 건축물의 이중 슬래브 구조
CN111219000A (zh) 保温墙体结构
KR200416055Y1 (ko) 공동주택의 뜬바닥구조 시스템
KR200324358Y1 (ko) 건축물 내실 바닥 슬래브 합성방음 매트 설치구조
CN220486798U (zh) 具有隔音效果的空心预制墙板
KR200239517Y1 (ko) 아파트 바닥의 차음 및 제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