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17Y1 - 책상 다리 받침 장치 - Google Patents

책상 다리 받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117Y1
KR200360117Y1 KR20-2004-0014060U KR20040014060U KR200360117Y1 KR 200360117 Y1 KR200360117 Y1 KR 200360117Y1 KR 20040014060 U KR20040014060 U KR 20040014060U KR 200360117 Y1 KR200360117 Y1 KR 200360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leg
support
heigh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Priority to KR20-2004-0014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8Means for rotational adjustment on a non-rotational fo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 다리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 다리의 저면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하 이동하면서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와 볼 결합하여 회전각도가 자유로우면서 지면을 지탱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져 경사진 다리에 장착되더라도 높이 조절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경사진 저면에 책상이 설치되더라도 책상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 다리 받침 장치{SUPPORTING DEVICE OF DESK LEG}
본 고안은 책상 다리의 저면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하 이동하면서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와 볼 결합하여회전각도가 자유로우면서 지면을 지탱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져 경사진 다리에 장착되더라도 높이 조절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경사진 저면에 책상이 설치되더라도 책상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다리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책상은 통상 각종 서류나 작업물을 펼쳐 놓을 수 있는 작업판과, 상기 작업판의 저면에 형성되어 작업판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작업판의 재질에 따라 상기 다리는 못이나 용접 또는 나사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을 하게된다.
한편, 지면의 높이 편차가 상이할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해 다리 저면에 높이조절수단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은 다리 저면에 나사 결합하여 좌우 회전에 따라 다리의 높이를 가변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작업판의 안정적인 지지력을 유지하면서 미적 향상을 위해 다리가 수직한 형상을 갖지 않고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 것이 출시되고 있는데, 기울어진 책상의 다리에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되기 어려워 대개 고무패킹을 장착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책상의 다리마다 높이 조절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지면이 수평하지 않고 경사진 경우 경사진 부분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은 경사진 책상의 다리 저면에 장착되어 다리의 높이 조절을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지면의 경사진 부분에 대해서도 보정이 가능한 책상 다리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 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책상 다리 장치가 책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책상 21 : 작업판
22 : 다리 31 : 안착부
32 : 안착홀 41 : 조절부
42 : 조절바 43 : 회전볼
51 : 지지부 52 : 지지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책상 다리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안착홀을 갖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홀에 나사 결합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조절바의 하측에 구 형상의 회전볼이 형성되는 조절부와; 상기 회전볼이 삽입되어 조절부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지면을 지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다리 받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책상 다리 받침장치는 조절부의 회전에 따라 다리의 높이가 가변되어 궁극적으로 책상의 높이 조절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회전볼이 지지부에서 다양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경사진 다리에 부착되거나 경사진 지면에 책상이 설치되더라도 책상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본 기술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 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책상 다리 장치가 책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20)은 상부에 작업을 위한 작업판(21)이 형성되고, 작업판(21)의 저면으로는 다수의 다리(22)가 형성된다.
상기 다리(2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 다리 장치인 안착부(31), 조절부(41), 지지부(5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다리(22)의 하단부에는 안착부(31)가 형성되는데, 그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안착홀(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31)는 다리(22)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서 다리(22)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홀(32)에는 조절부(41)가 삽입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바, 상기 조절부(41)에는 안착홀(32)에 삽입되되 나사 결합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조절바(42)와, 상기 조절바(42)의 저면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구 형상을 갖는 회전볼(4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볼(43)과 결합하고 지면을 지탱하는 지지부(51)가 형성되는바, 상기 지지부(51)의 상부에는 회전볼(43)이 삽입되어 조절부(41)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지지홈(5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홈(52)의 내부는 회전볼(43)이 삽입 가능하도록 동일 크기의 구 형상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입구는 회전볼(43)의 반경보다 작도록 함으로서, 회전볼(43)의 반경이상이 지지홈(52)에 삽입시키면 회전볼(43)은 지지부(51)에서 이탈되지 않지만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책상(20)의 다리(22) 저면에 일체로 또는 부품화되어 장착되는 안착부(31)의 안착홀(32)에는 지지부(51)와 결합된 조절부(41)의 조절바(42)가 나사 결합한다.
따라서, 지면의 편차나 다른 외부 환경에 의해 책상(20) 작업판(21)의 높이가 서로 상이할 경우, 지지부(51)를 회전시키면 조절바(42)가 안착홀(32)에서 상하 이동하여 작업판(21)의 높이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보정한다.
한편, 조절부(41)의 회전볼(43)은 지지부(51)의 지지홈(52)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 다리(22)에서도 조절부(41)의 각도 조절을 통해 조절부(41)가 경사지더라도 지지부(51)가 지면에 안착되어 책상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면이 경사진 경우, 지지부(51)의 저면이 지면에 안착되더라도 조절부(41)의 회전에 의해 작업판(21)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 다리 받침 장치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 책상 다리에 장착되더라도 각 다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책상 다리에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회전볼이 지지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유로운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여 경사진 저면에서도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책상 다리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안착홀을 갖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홀에 나사 결합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조절바의 하측에 구 형상의 회전볼이 형성되는 조절부와;
    상기 회전볼이 삽입되어 조절부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지면을 지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다리 받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에는 회전볼의 반경이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다리 받침장치.
KR20-2004-0014060U 2004-05-20 2004-05-20 책상 다리 받침 장치 KR200360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060U KR200360117Y1 (ko) 2004-05-20 2004-05-20 책상 다리 받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060U KR200360117Y1 (ko) 2004-05-20 2004-05-20 책상 다리 받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117Y1 true KR200360117Y1 (ko) 2004-08-31

Family

ID=4943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060U KR200360117Y1 (ko) 2004-05-20 2004-05-20 책상 다리 받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025B1 (ko) 2004-11-09 2006-09-27 (주)한국Brt 승강장 높이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025B1 (ko) 2004-11-09 2006-09-27 (주)한국Brt 승강장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526B1 (ko) 내진용 조절발
KR200473097Y1 (ko) 영상의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테이블
KR101300009B1 (ko) 낚시받침대용 거치틀
KR200360117Y1 (ko) 책상 다리 받침 장치
KR20090072786A (ko) 실험대의 높이조절 장치
KR101659662B1 (ko) 높이조절용 받침구가 구비된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200408294Y1 (ko) 독서대
CN208365120U (zh) 水平方向360度旋转的显示器支架
KR102221216B1 (ko) 다용도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375580B1 (ko) 멀티비전용 회전형 거치대
KR20041181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걸상
KR200420040Y1 (ko) 가구용 다리의 높이조절구
KR100649143B1 (ko) 냉장고용 수평조절장치
KR200293613Y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장치
JPH10211794A (ja) アーム支持具
JP2008196235A (ja) 据付具
KR20090078882A (ko) 책상의 경사 조절 장치
CN218720092U (zh) 一种可任意调节角度的激光测量仪三脚架
CN213247467U (zh) 一种可调节高度的家具
KR20080104507A (ko) 디스플레이장치
CN219680040U (zh) 支撑架及挂墙式桌子
CN220619474U (zh) 调节底座结构及家用电器
CN212139914U (zh) 具有可调节支脚的柜子
KR102589360B1 (ko) 호스거치대
KR200235557Y1 (ko) 낚시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